KR100983229B1 -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 Google Patents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29B1
KR100983229B1 KR1020080067683A KR20080067683A KR100983229B1 KR 100983229 B1 KR100983229 B1 KR 100983229B1 KR 1020080067683 A KR1020080067683 A KR 1020080067683A KR 20080067683 A KR20080067683 A KR 20080067683A KR 100983229 B1 KR100983229 B1 KR 10098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filling
body portion
tip
work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73A (ko
Inventor
배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슈어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슈어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슈어덴트
Priority to KR102008006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이 개시된다. 개시된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가 되게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연장 성형되어 주사기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주사기 내의 근관충전재가 상기 관통공을 따라 배출되어 치아의 근관에 적정량의 상기 근관충전재가 충전되도록 상기 근관에 상기 몸체부를 적정 길이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표시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관충전재의 충전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정확한 량의 충전이 가능하여 빠르고 확실한 근관 치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작업길이

Description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FILLING TIP FOR DENTAL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외주면에 작업길이를 표시하여 치아의 근관에 정확한 량의 근관충전재가 충전되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에 관한 것이다.
근관충전재는 충치에 의한 치아의 부식이 치수(齒髓)에 이르게 되어 치아의 신경 및 모세혈관을 제거할 경우, 그 공동 신경관부, 즉 치근관을 기밀적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과용 충전 치료제이다.
이와 같은 근관충전재를 이용한 충전시술은 임상치료의 기초로서, 이러한 근관충전이 완벽하게 행하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그 근관 내부에 사강(死腔)을 갖게되어 근단부위의 치주조직에 장애를 주게됨으로써 심한 경우 발치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등 처치후의 임상 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과용 근관충전재 및 치료제에는 그 용도 및 재질에 따라 고무수지류의 일종인 거타 퍼차 포인트(gutta percha points), 은재의 실버 포인트 및 지재로 된 페이퍼 포인트 등이 있다.
상기한 거타 퍼차(Gutta Percha)는 말라야 군도에서 자생하는 Sapotaceae의 Palaguium속과 Payena속의 나무에서 추출한 상온에서는 반고체이나 압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면 변형되는 재료로서 60℃ 이상에서 가소성이 된다.
상기와 같은 근관충전재 재료로서 거타 퍼차는 좁은 근관에는 쉽게 삽입되지 않고, 실러(sealer)와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근관의 밀폐가 어렵다. 또한 오래되면 잘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린지 타입(syringe type)의 근관충전재를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주사기와, 주사기의 전단부에 끼워져 치아의 근관에 근관충전재를 충전하도록 구비된 충전팁을 사용한다.
상기 시린지 타입의 근관충전재 또는 수복제는 치수복조와 감염된 근관 치료에 사용되는 항균 성질과 방사선 불투과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충전팁은 통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근관에 충전팁의 전단부를 삽입한 후 근관충전재를 충전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충전팁을 이용한 근관충전재의 충전작업은 육안에 의해 실시되므로, 근관충전재의 정확한 충전량을 근관에 충전할 수 없다. 즉, 상기한 근관충전재를 치수강 내로 충전시킬 때, 충전팁을 너무 조금 삽입하거나, 과다하게 깊게 삽입하는 경우 불충분한 충전이나 과다 충전이 되어 결국 모두 불완전한 충전작업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정확히 치료가 완료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충전량을 파악하기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충전량을 충전하지 못하는 관계로 확실하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외주면에 작업길이를 표시하여 정확한 충전량의 근관충전재가 치아의 근관에 충전되도록 한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가 되게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연장 성형되어 주사기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주사기 내의 근관충전재가 상기 관통공을 따라 배출되어 치아의 근관에 적정량의 상기 근관충전재가 충전되도록 상기 근관에 상기 몸체부를 적정 길이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강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후단부에는 주사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업길이는 눈금으로 마킹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를 기준(0)하여 4mm 지점에서 시작하여 26mm까지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표시되며, 상기 작업길이의 간격은 1mm, 2mm, 3mm, 4mm 또는 5mm 간격의 다단계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외주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길이가 표시됨으로써, 치과작업시 충전팁을 근관에 정확한 길이(높이)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의 근관에 정확한 양의 근관충전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한 번에 정확한 량의 근관충전재를 충전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불완전한 근관충전재의 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빠르고 확실한 치아 치료가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또는 부재)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50)은, 몸체부(21)와, 이 몸체부(21)와 일체가 되게 몸체부(21)의 상단부에 연장 성형되어 예컨대, 후술하는 도 8의 주사기(4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와 결합부(23)에 걸쳐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3)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충전팁(5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강부(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3)의 후단부에는 주사기(4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과 치료시, 주사기(40) 내에 충전된 근관충전재(30)가 관통공(26)을 따라 배출되어 치아(10)의 근관(12)에 적정량이 충전되게 상기 몸체부(21)의 적정한 길이가 근관(12)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길이(50b)가 상기 충전팁(50)의 몸체부(21)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팁(50)은 플라스틱(plastic)재나, 금속(metal)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길이(50b)는 충전팁(50)의 몸체부 외부에 일정 폭과 깊이로 인입홈(56)을 형성하고, 이 인입홈(56)에 마킹 가능 물질(57)을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작업길이(50b)를 음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음각 표시 방법은 충전팁(50)이 금속재인 경우에는 더욱 쉽게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각 표시 방법을 플라스틱재의 충전팁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충전팁용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작업길이로 표시되는 부분에 상기 인입홈(56)과 같은 홈을 가공하고, 사출성형하면 간단하게 작업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팁(60)의 작업길이(60b)를 양각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즉, 충전팁(60)의 몸체부(21)의 외주면에 작업길이(60b)를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양각의 표시의 경우에는, 충전팁(60)이 플라스틱재인 경우 작업길이(60b)를 더욱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작업길이(60b)로 표시되는 부분에 일정 높이와 폭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길이 표시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충전팁의 외주면에 색구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팁(70)의 몸체부(21) 외주면에 작업길이(70b)의 각 구간마다 각기 다른 색으로 구분 표시하므로써 작업길이(70b)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길이의 또 다른 실시예로, 충전팁의 외주면에 예컨대, 자(scale)와 같이 눈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팁(80,90,100)의 몸체부(21) 외주면에 작업길이(80b,90b,100b)를 자(scale)의 눈금과 같이 새기면(marking),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30)의 충전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21)와 결합부(23)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며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길이(50b~100b)는 상기 몸체부(21)의 전 길이, 즉 몸체부(21)의 전단부(22)의 배출부 끝단점(0)에서 L 사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작업길이(50b~100b)는 상기 끝단점(0)으로부터 4mm에서 시작하여 26mm까지 사이에 표시된다. 상기한 4mm에서 26mm까지의 내에서 작업길이(50b~100b)의 간격은 1mm, 2mm, 3mm, 4mm 또는 5mm로 할 수 있다.
즉, 작업길이(50b,~100b)의 최소 간격은 1mm로 하고, 최대 간격은 5mm로 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간격으로 구분되게 하여 다단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작업길이(50b~100b) 표시 방법에 근거하여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로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길이(50b,60b,100b)의 표시를 4mm 간격으로 12mm, 16mm, 20mm, 24mm 4개 구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길이(60b,70b)의 표시를 1mm 및 4mm 간격으로 12mm, 16mm, 18mm, 19mm, 20mm, 24mm 6개 구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3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길이(80b)의 표시를 1mm, 2mm 및 4mm 간격으로 12mm, 16mm, 18mm, 19mm, 20mm, 22mm, 24mm 7개 구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길이(90b)의 표시를 1mm, 2mm 및 4mm 간격으로 12mm, 16mm, 18mm, 19mm, 20mm, 21mm, 22mm, 24mm 8개 구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50~100)의 작업길이(50b~100b)를 전단부(22)의 배출부 끝단점(0)을 기준하여 4mm에서부터 26mm까지 사이에 표시하고, 표시 간격은 1mm, 2mm, 3mm, 4mm 또는 5mm 간격의 다단계로 하며, 양각, 음각 또는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양각 또는 음각의 경우, 인체에 무해한 예컨대, 흑색 또는 칼라로 된 도료나 잉크와 같은 것을 도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색깔의 경우에는 표시된 간격마다 색을 구분하여 도포함으로써 작업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팁(100)을 몸체부(21)와 결합 부(23) 사이에서 일정 각도로 벤딩함으로써 충전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벤딩 각도는 작업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치료시 주사기(40)에 끼워진 충전팁(50)을 치아(10)의 근관(12)에 삽입할 때, 충전팁(50)의 삽입 길이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팁(50)을 적정한 길이만 삽입할 수 있어 주사기(40) 내의 근관충전재(30)를 근관(12) 내에 정확한 량을 간단하게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외관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외관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여러 실시예의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외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몸체부
23. 결합부
24. 보강부
25. 단차부
26. 관통공
40. 주사기
50,60,70,80,90,100. 충전팁
50b,60b,70b,80b,90b,100b. 작업길이

Claims (9)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가 되게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연장 성형되어 주사기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주사기 내의 근관충전재가 상기 관통공을 따라 배출되어 치아의 근관에 적정량의 상기 근관충전재가 충전되도록 상기 근관에 상기 몸체부를 적정 길이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길이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강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후단부에는 주사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업길이는 눈금으로 마킹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를 기준(0)하여 4mm 지점에서 시작하여 26mm까지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표시되며, 상기 작업길이의 간격은 1mm, 2mm, 3mm, 4mm 또는 5mm 간격의 다단계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길이는 색구분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팁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재 충전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팁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일정 폭과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인입홈에 마킹 가능 물질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부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벤딩되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9. 삭제
KR1020080067683A 2008-07-11 2008-07-11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KR10098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83A KR100983229B1 (ko) 2008-07-11 2008-07-11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83A KR100983229B1 (ko) 2008-07-11 2008-07-11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73A KR20100007173A (ko) 2010-01-22
KR100983229B1 true KR100983229B1 (ko) 2010-09-20

Family

ID=4181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683A KR100983229B1 (ko) 2008-07-11 2008-07-11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1338B2 (ja) * 2016-09-15 2021-09-29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充填材料用シリンジ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筒体先端部およびリング状キャッ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85Y1 (ko) 2006-07-14 2006-09-25 이광석 치아치료용 근관 충전기의 니들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85Y1 (ko) 2006-07-14 2006-09-25 이광석 치아치료용 근관 충전기의 니들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73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000B2 (en) Impression cap
EP2133038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delivery of a dental composition
WO2001034056A1 (en) One-part dental implant
US7097454B1 (en) Endodontic gutta-percha point with working length marks
JP5529583B2 (ja) 歯科用根管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149268A (en) Method of filling an endodontically prepared root canal
ATE257678T1 (de) Endodontische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s füllungsmaterials auf zahnwurzelkanäle
US2782503A (en) Interproximal stops for preventing filling overhang into the interproximal space between teeth
KR100983229B1 (ko) 치과용 근관충전재 충전팁
JP7334033B2 (ja) 歯冠および歯根の歯科修復物、このような修復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歯科修復物をエッチングするための方法
US20030219699A1 (en) Stepped root canal plugger
US4747777A (en) Dental instrument
US4315745A (en) Dental elevator
US20100203471A1 (en) Dental filling material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EP2644153A1 (en) Impression tray for local area
US20060078845A1 (en) Device for pushing away a dental element, and method for filling dental elements
KR19990007716A (ko)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CN215458805U (zh) 牙胶尖
US6513254B1 (en) Gutta percha cone gauge
JP3124215U (ja) 歯科用シリンジ
KR102569275B1 (ko)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입식 보철 장치
US1734676A (en) Dual tooth crown
KR101372387B1 (ko) 근관 크기 측정기구
KR200286941Y1 (ko) 거타퍼차 포인트 길이 표시용 지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