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716A -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 Google Patents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16A
KR19990007716A KR1019980044744A KR19980044744A KR19990007716A KR 19990007716 A KR19990007716 A KR 19990007716A KR 1019980044744 A KR1019980044744 A KR 1019980044744A KR 19980044744 A KR19980044744 A KR 19980044744A KR 19990007716 A KR19990007716 A KR 1999000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percha point
length
working length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송
Original Assignee
오석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송 filed Critical 오석송
Priority to KR101998004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716A/ko
Publication of KR1999000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16A/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 거타 퍼차 포인트의 상반부 외주면에 다단계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된 눈금을 새겨넣은 눈금으로 된 작업길이 표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근관 충전시 거타 퍼차 포인트에 작업길이를 표시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서 빠른 시간내에 충전을 할수 있도록 하고, 작업길이 표시에 오차가 없어서 근첨공에 적합하도록 충전하여 근관치료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본 발명은 치과병원에서 근관 치료시 근관 충전제로 사용하는 거타 퍼차 포인트(Gutta Percha Point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부 외주면에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거타 퍼차(Gutta Percha)는 말라야 군도에서 자생하는 Sapotaceae의 Palaguium속과 Payena속의 나무에서 추출한 상온에서는 반고체이나 압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면 변형되는 재료로서 60。C 이상에서 가소성이 된다.
근관 충전재료로서 사용하는 거타 퍼차 포인트는 생산회사 마다 구성 농도의 차이가 있으나 대개 산화아연(zinc oxide) 66%, 거타 퍼차 20%, 중금속 황산염(방사선 불투과성 물질) 11%, 그리고 왁스(wax) 또는 레진(가소제) 3%의 복합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재료는 좁은 근관에는 쉽게 삽입되지 않고, 실러(sealer)와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근관의 밀폐가 어렵다.
또, 오래되면 잘 부서지는 단점 등이 있다.
그러나, 근관 충전재로서의 필요조건을 대부분 갖추고 있다.
장점으로는 소성이 있어서 근관내 적합과 폐쇄성이 좋고 조작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근관의 재치료와 치아 수복시에 근관내에서 제거가 용이하고 치근단조직에 독성이 비교적 낮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타 퍼차 포인트에는 규격화된 포인트(standardized points)와 재래식 포인트(conventional points)의 2가지 종류가 있다.
규격화 포인트는 크기나 테이퍼(taper)의 정도가 근관기구와 동일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거타 퍼차는 소개된지 100년이 넘었으나 아직도 이재료를 능가하는 충전재료는 현재 없다.
도 3 (a)∼(g)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치과병원에서의 근관 치료과정을 개요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관감염의 형태는 주로 치아(T)의 윗부분 인 법랑질(31)과 상아질(32)을 통하여 충치가 생겨서 차차 치수강(33)과 근관(34)내로 내려와서 치수조직까지 감염시켰을 때 통증을 많이 느낀다.(도 3 (a))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근관 치료가 행하여지게 되는데, 먼저, 근관(35)을 형성한다.(도 3 (b))
근관(35)의 형성은 충치가 생긴 법랑질(31)과 상아질(32)을 파일(file)이나 리머(reamer) 등의 근관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치수조직도 제거한 다음 근관내면이 매끈하게 될때까지 근관(35)을 확장 형성하고, 그 확장형성된 근관을 페이퍼 포인트(Paper Points)로 소독 및 건조 시킨다.
다음에는, 치아(T)의 상단부에서 근첨공(Apical Foramen)(36)까지 이르는 작업길이(Working Length)(WL)를 측정한다.(도 3 (c))
근관의 작업길이(WL)를 측정하는 목적은 기구나 약제 또는 충전재료가 근관내에서만 사용되어 치근단조직에 손상을 주지않고 근관형성과 근관충전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 작업길이(WL)는 개인차나 치아(T)의 종류 또는 근첨공(36)의 위치등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경우는 18m/m∼24m/m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작업길이(WL)의 측정은 실리콘고무로 된 스토퍼(38)가 삽입된 파일(file)(37)을 사용하여 행하는데, 파일(37)의 첨단부가 근첨공(36)에 근접되게 도달할 때까지 파일(37)을 근관(35)에 삽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근첨공(36)에 적합 여부를 확인한 후, 근첨공(36)에 파일(37)의 첨단부가 적합한 상태에서 스토퍼(38)를 치아(T)의 상단부와 일치시켜서 파일(37) 첨단부와 스토퍼(38)사이의 길이를 작업길이(WL)로 측정하여 낸다.
파일(37)로 측정하여 낸 작업길이(WL)를 자로 재어서 그 길이를 수치로 읽어낸 다음 다시 자를 이용하여 거타 퍼차 포인트의 길이를 하단부로부터 재어서 작업길이(WL)의 수치에 해당하는 길이를 거타 퍼차 포인트에 표시하여 거타 퍼차 포인트의 충전작업에 들어간다.(도 3 (d))
거타 퍼차 포인트의 충전작업은 근관(35)에 실러(sealer)를 도포하고 거타 퍼차 포인트의 마스터 포인트(master points)를 작업길이(WL)가 표시된 부분이 치아(T)의 상단부와 일치하는 삽입 깊이 만큼 근관(35)에 삽입하고 마스터 포인트의 주위에 측방가압법(lateral condensation method)에 의하여 스프레더(spreader)로써 거타 퍼차 포인트의 액세서리 포인트(accessory points)들을 충전하여 근관(35)내에 공극이 남지 않도록 한다.
이때, 거타 퍼차 포인트의 충전은 포인트의 하단이 근관(35)의 근첨공(36)과 정확히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만일, 근첨공(36)에 미달하면 그 부분에 사강(Dead Space)이 생겨 결국 그 부위에서 세균등이 번식하게 되어 나중에 재치료를 받아야 하고, 근첨공(36) 밖으로 빠져나오면 치근단조직을 압박하여 환자들이 통증을 호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타 퍼차 포인트, 특히 마스터 포인트로 사용되는 거타 퍼차 포인트를 근첨공에 적합한 상태로 충전하기 위하여서는 작업길이(WL)를 거타 퍼차 포인트에 정확히 표시하고 그 작업길이(WL)만큼만 삽입하여 충전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도 3 (e) 는 근관(35)에 거타 퍼차 포인트를 충전한 다음 플러거(plugger)를 이용하여 포인트의 윗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f) 는 거타 퍼차 포인트를 충전한 근관(35)의 윗부분에 아말감(39)을 충전한 상태를 보여준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근관(35)에 거타 퍼차 포인트와 아말감(39)을 충전한 치아(T)의 상단부에 금관(40)을 장착하여 치아수복을 완료한다.(도 3 (g))
그런데, 적합한 충전작업을 행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파일(37)로 측정하여 낸 작업길이(WL)를 자로 재어서 그 길이를 수치로 읽어낸 다음 다시 자를 이용하여 거타 퍼차 포인트의 길이를 하단부로부터 재어서 작업길이(WL)의 수치에 해당하는 길이를 거타 퍼차 포인트에 표시하여야 하는데,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20)는 외주면에 작업길이(WL)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작업길이(WL)의 표시 방법으로서는 도 2 (a) 와 도 2 (b)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업길이(WL)에 해당하는 길이 부분을 구부려서 절곡부(21)를 작업길이(WL) 표시로 하거나, 작업길이(WL)에 해당하는 길이 부분을 핀셋등으로 꾹 눌러서 생긴 누른 자국(22)을 작업길이(WL) 표시로 하거나, 또는 기타의 표시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타 퍼차 포인트(20)에 의하여 근관 충전작업을 행하게 되면 작업시 마다 작업길이(WL)만큼의 거타 퍼차 포인트(20)의 길이를 자로 일일이 재어서 수작업에 의하여 거타 퍼차 포인트(20)에 절곡부(21)나 누른 자국(22) 또는 기타의 작업길이(WL) 표시를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안에 정확히 치료가 완료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에는 작업길이(WL)의 표시도 수작업에 의하여 절곡부(21)나 누른 자국(22)을 표시하는 것이므로 실제의 작업길이(WL)와는 거타 퍼차 포인트(20)를 자로 재는 과정이나 길이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근관충전시 근첨공(36)에 적합되지 아니하여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의 종래 거타 퍼차 포인트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타 퍼차 포인트의 상반부 외주면에 다단계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된 눈금을 새겨넣어 작업길이를 표시함으로써 근관충전 작업시 거타 퍼차 포인트에 일일이 표시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서 빠른 시간내에 충전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또한, 거타 퍼차 포인트에 표시되어 있는 작업길이 표시에 맞추어서 거타 퍼차 포인트를 정확한 삽입길이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의 측면도.
도 2 (a), (b)는 종래의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에 대한 작업길이
표시 예시도.
도 3 (a)∼(g) 는 근관 치료과정의 개요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충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거타 퍼차 포인트 2, 12 : 작업길이 표시
T : 치아 35 : 근관
36 : 근첨공 WL : 작업길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의 거타 퍼차 포인트(1)는 상반부 외주면에 다단계로 된 작업길이 표시(2)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의 작업길이 표시(2)는 다단계의 양각으로 된 눈금을 새겨넣어서 된 것이다.
이 눈금은 18m/m 부터 24m/m 범위내에서 1m/m 간격 또는 2m/m 간격으로 다단계로 형성된다.
또한, 이 눈금은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각의 정상부에 눈에 띄기 쉬운 도색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 의 예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작업길이(WL)가 18m/m 인 경우 거타 퍼차 포인트(1)에 표시된 작업길이 표시(2)의 18m/m 눈금이 치아(T)의 상단부에 일치하도록 거타 퍼차 포인트(1)를 근관(35)내에 삽입하여 충전하면 거타 퍼차 포인트(1)의 첨단부가 근첨공(36)에 정확히 적합하도록 충전되어 사강(Dead Space)이 남거나 근첨공(36) 밖으로 빠져나오지 아니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이 예에서도 거타 퍼차 포인트(11)는 상반부 외주면에 다단계로 된 작업길이 표시(12)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은 앞서의 예와 마찬가지 이지만, 앞서의 예가 작업길이 표시를 양각으로 된 눈금으로 형성하였던 것에 대하여 특히 이 예에서는 작업길이 표시(12)를 음각으로 새겨넣은 눈금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눈금 또한 18m/m 부터 24m/m 범위내에서 1m/m 간격 또는 2m/m 간격으로 다단계로 형성된다.
또한, 이 예에서도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음각으로 된 홈의 내면에 눈에 띄기 쉬운 도색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거타 퍼차 포인트(11) 또한 예컨대 작업길이(WL)가 18m/m 인 경우 거타 퍼차 포인트(11)에 표시된 작업길이 표시(12)의 18m/m 에 해당하는 음각된 눈금이 치아(T)의 상단부에 일치하도록 거타 퍼차 포인트(11)를 근관(35)내에 삽입하여 충전하면 거타 퍼차 포인트(11)의 첨단부가 근첨공(36)에 정확히 적합하도록 충전되어 사강(Dead Space)이 남거나 근첨공(36) 밖으로 빠져나오지 아니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에 의하면 근관충전 작업시 거타 퍼차 포인트에 일일이 작업길이를 표시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서 빠른 시간내에 충전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또한, 거타 퍼차 포인트에 표시되어 있는 작업길이 표시에 맞추어서 거타 퍼차 포인트를 정확한 삽입길이로 충전할 수 있어서 사강(Dead Space)이 생긴다거나 거타 퍼차 포인트의 첨단부가 근첨공 밖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게 되어 확실한 근관치료를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6)

  1. 거타 퍼차 포인트의 상반부 외주면에 다단계로 된 작업길이 표시를 형성하여서 된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길이 표시는 양각으로 새겨넣은 눈금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길이 표시는 음각으로 새겨넣은 눈금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양각으로 된 눈금은 양각의 정상부에 도색을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음각으로 된 눈금은 홈의 내면에 도색을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눈금은 18m/m 부터 24m/m 범위내에서 1m/m 간격 또는 2m/m 간격으로 다단계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KR1019980044744A 1998-10-24 1998-10-24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KR19990007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44A KR19990007716A (ko) 1998-10-24 1998-10-24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44A KR19990007716A (ko) 1998-10-24 1998-10-24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16A true KR19990007716A (ko) 1999-01-25

Family

ID=6589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44A KR19990007716A (ko) 1998-10-24 1998-10-24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71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23B1 (ko) * 2011-09-09 2013-06-11 한동희 하프랭스마크가 형성된 가타퍼차 및 그 마킹방법
WO2015111773A1 (ko) * 2014-01-25 2015-07-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WO2019083118A1 (ko) * 2017-10-26 2019-05-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식된 근관 충전제
WO2019084127A1 (en) * 2017-10-25 2019-05-02 Wildey William L RADICULAR CHANNEL FILLING DEVICE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23B1 (ko) * 2011-09-09 2013-06-11 한동희 하프랭스마크가 형성된 가타퍼차 및 그 마킹방법
WO2015111773A1 (ko) * 2014-01-25 2015-07-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WO2019084127A1 (en) * 2017-10-25 2019-05-02 Wildey William L RADICULAR CHANNEL FILLING DEVICE
WO2019083118A1 (ko) * 2017-10-26 2019-05-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식된 근관 충전제
US20200306142A1 (en) * 2017-10-26 2020-10-01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Labelled root canal filling material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454B1 (en) Endodontic gutta-percha point with working length marks
Holcomb et al. Further investigation of spreader loads required to cause vertical root fracture during lateral condensation
Dalat et al. Comparison of apical leakage in root canals obturated with various gutta-percha techniques using a dye vacuum tracing method
Nattress et al. An in vitro assessment of tooth preparation for porcelain veneer restorations
US81775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pulp chamber in a tooth
US6264471B1 (en) Length control marked gutta-percha cones and method of insertion
Fróes et al. Smear layer influence on the apical seal of four different obturation techniques
De Moor et al. The long-term sealing ability of AH 26 and AH plus used with three gutta-percha obturation techniques.
US20060068362A1 (en) Endodontic instrument with depth markers
Sapone et al. An endodontic-prosthodontic approach to internal tooth reinforcement
US4253829A (en) Dental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lost tooth structure
ATE257678T1 (de) Endodontische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s füllungsmaterials auf zahnwurzelkanäle
US6004133A (en) Endodontal procedure with graduated swab
US5149268A (en) Method of filling an endodontically prepared root canal
KR19990007716A (ko)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US20060154213A1 (en) Integral gutta percha core/cone obturation technique
JP5020632B2 (ja) 改良型閉塞具
US20030219699A1 (en) Stepped root canal plugger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Veis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pical leakage of root canal fillings after in situ obturation with thermoplasticized and laterally condensed gutta‐percha
WO2013181105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dental endodontic point
Beer et al. Investigation of the canal space occupied by gutta‐percha following lateral condensation and thermomechanical condensation
Weine et al. The use of standardized tapered plastic pins in post and core fabrication
RU251941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сть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корневого канала зуба
US4795346A (en) Visual measurement method for reading occulusal clea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