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46B1 -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46B1
KR100961346B1 KR1020080081986A KR20080081986A KR100961346B1 KR 100961346 B1 KR100961346 B1 KR 100961346B1 KR 1020080081986 A KR1020080081986 A KR 1020080081986A KR 20080081986 A KR20080081986 A KR 20080081986A KR 100961346 B1 KR100961346 B1 KR 10096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gas
plate
fire extinguishing
edge
cok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299A (ko
Inventor
윤해상
강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8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쳄버와 덕트사이에 순환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연통에 설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는, 냉각쳄버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연통에 배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로서, 상기 냉각쳄버측 연와에 고정되는 쳄버연와 고정수단; 및,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상에 구비되는 순환가스 유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단들이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은,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에 포함된 하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쳄버와 덕트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인 연통부분에서의 순환가스 편류(유속 편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장치의 연통 설치 구조를 견고하게 개선하는 한편, 특히 장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크스 소화,건식소화설비(CDQ),냉각쳄버 연통, 순환가스 편류

Description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Apparatus for Leading Gas of Coke Dry Quench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쳄버와 덕트 사이에 순환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연통에 설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쳄버와 덕트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인 연통부분에서의 순환가스 편류 즉, 유속 편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장치의 연통 설치 구조를 견고하게 개선하는 한편, 특히 장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된 석탄은 일정시간 건류되어 코크스화되며, 이 코크스는 탄화실에서 추출된 후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OKE DRY QUENCHING FACILITIES)(이하, 'CDQ'라 약하여 기재함)의 냉각쳄버(탑)에서 불활성 순환가스 예를 들어, 질소(N2)를 이용한 형태로 소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알려진 CDQ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DQ(100)는 적열 코크스(C)가 운송설비(110)로서 장입되는 냉각쳄버(120)와 냉각쳄버(120)와 연통(130)을 매개로 연결되어 고온의 순환가스가 냉각쳄버에서 배출되는 덕트(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140)에는 고온의 순환가스로부터 열교환을 통해 과열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142)와 순환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144)와, 순환가스에 포함된 분 코크스와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더스트 캐쳐(Dust Catcher)(146) 및, 최종적으로 열을 교환하기 위한 이코노마이저(148)가 순차적으로 연계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냉각쳄버(120)의 하부에 연계된 배출구(122)에는 냉각된 코크스를 외부 배출하는 배출장치 예를 들어, 로터리 실 밸브(122)가 설치되고, 냉각 배출된 코크스는 벨트 컨베이어(미도시)로 이송 처리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CDQ에서의 순환가스(G)는 덕트(140)에 구비된 순환팬(144)에 의하여 180℃ 정도로 냉각쳄버(120)의 하부에서 불로잉되고, 이때 냉각쳄버에 적치된 적열코크스(C)를 냉각시키며, 냉각쳄버(120)와 덕트(140) 연결부분인 연통(슬로핑연통)(130)을 통하여 가스는 1,000 ~ 1,100℃ 의 온도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순환가스는 다시 덕트의 보일러(142)를 거치면서 고열이 회수되어 180℃ 정도의 온도로 강하되어 다시 순환팬을 통하여 냉각쳄버(120)에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적열 코크스의 냉각소화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쳄버와 덕트사이를 연결하고 순환가스의 덕트 배출을 가능하 게 하는 연통(130)은 도 4를 참조하면, 냉각쳄버(120)의 2중 쳄버벽연와(120a) (120b)사이에 기둥연와(132)가 구축되고 2중 쳄버벽 일지점에 덕트(연와)가 연결된다.
그런데, 도 2를 참고하면, 순환가스(G)는 연통(130)을 통과할 때, 기둥연와(도 4의 132)측에서의 유속보다 쳄버벽측에서의 유속이 더 빠름에 따라 도 3과 같이, 연통에 인접한 코크스(C)가 쳄버벽(120a)을 따라 부양하게 되고, 부양된 코크스(C)가 연통 벽면에 누적되어 순환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누적되는 코크스로 인하여 연통 입구가 좁아지게 되고, 반대로 기둥연와(132)의 마모는 촉진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은 순환가스의 유속 편차 즉, 편류를 제거하기 위한 편류방지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예컨대, 도 4에서 종래의 알려진 CDQ의 냉각쳄버 연통에 설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2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연와(132)사이에 연결핀(210)이 연결되고, 연결핀(210)의 하부에 편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플레이트(220)들이 연결되고, 이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판(230)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핀(210)에는 유동방지 서포트(21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도플레이트(220)들은 대략 길이 2,978mm × 높이 922mm×두께 20t의 사이즈이고, 상기 상판(230)은 길이 1,000mm × 폭 540mm × 두께 20t의 사이즈로 되어 있다.
한편, 연결핀(210)은 길이 1000mm× 직경 139mm 이고, 이와 같은 연결핀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둥연와(132)에는 직경 142mm 정도의 구멍을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2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데, 도 4를 참조할 때, 먼저 종래 장치의 총 중량이 1,500kg 정도로서 이에 따라 상당한 하중이 쳄버벽연와(120a)(120b) 보다는 구조가 견고하지 않은 기둥연와(132) 부분에 가해진다.
따라서, 기둥연와의 손상이나 균열 발생이 쉽게 발생되고, 심한 경우 장치 연결핀이 기둥연와에서 탈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치 요소(연결핀, 유도플레이트 및 상판)들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실제 연통(130)에서의 장치 설치나 필요시 해체 등의 보수 유지 작업도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그리고, 유도플레이트나 상판 크기가 너무 커서 유도플레이트가 오히려 순환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다른 문제를 발생할 수 도 있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CDQ의 연통에 설치하기 쉽게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CDQ는 물론 순환가스 유도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의 일 측면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냉각쳄버와 덕트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인 연통부분에서의 순환가스 편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장치의 연통 설치 구조를 매우 견고하게 개선한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목적은, 장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한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냉각쳄버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연통에 배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쳄버측 연와에 고정되는 쳄버연와 고정수단; 및,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상에 구비되는 순환가스 유도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수단들이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은,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에 포함된 하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의 상부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을 상부에 고정하면서 순환가스를 유도하는 제2 순환가스 유 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은, 상기 냉각쳄버측 연와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와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연와 고정핀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조립판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조립판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하여 수직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는 고온 가스에 의한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토록 일체로 형성된 열변형 방지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은,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의 수직 플레이트상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의 수평 플레이트에는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의 수직 플레이트에 돌출 구비되고 고정핀이 체결되는 조립판이 삽 입 돌출되는 조립판 체결개구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조립판을 포함하여 수평 플레이트는 수직 플레이트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에 의하면, CDQ의 냉각쳄버와 덕트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인 연통부분에서의 순환가스의 편류 즉, 유속 편차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특히 장치의 연통 설치 구조를 매우 견고하게 개선하여 장치가 설치된 연와의 보수 유지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장치 구조가 기존에 비하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장치의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CDQ 관련 구성요소들은 종래기술부분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4의 100 단위의 도면부호로 기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CDQ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4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1)의 전체 구성을 조립상태도, 분해사시도 및, 정면 구조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 CDQ의 연통(130)의 냉각쳄버측 연와(120a)(도 8,9 참조)에 고정되는 쳄버연와 고정수단(10) 및,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에 구비되는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을 포함하여 그 일 실시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상부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을 상부에서 고정하면서 순환가스를 유도하는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구성수단(10) (30)(50)들을 용접 등으로 고정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 매우 쉽게 구성수단들을 각각 분해하고, 조립하기 쉽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8 및 도 9(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순환가스 유도장치(도 4의 200)가 연통(130)의 기둥연와(132)에 연결고정핀(210)이 설치되는 것에 따른 문제를 해소토록 기둥연와 보다는 구조적으로 견고한 냉각쳄버측 연와(120a)에 장치를 고정시키고, 이는 장치의 설치 구조를 더 견고하게 하면서, 종래 기둥연와의 손상우려를 제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판, 체결볼트. 체결홈 및 고정핀 등을 통하여 구성수단의 부품들이 용접 등의 종래 고정구조와는 다르게 쉽게 분해 및 조립 가능한 구조로 개선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의 1,000 ℃에 가까운 고운의 가스가 통과하는 연통(130) 부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쉽게 보수 및 유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필요한 부품 만을 쉽게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과, 순환가스 유도수단(30) 및, 순환가스 유도수단을 고정하면서 순환가스를 유도하는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은, 상기 연통(130)의 냉각쳄버측 연와(120a)에 형성된 구멍(120b)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와고정핀(12) 및, 상기 연와 고정핀(12)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조립판(14)이 하나 이상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1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연와와 고정되는 부분은 도 6 및 도 8,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연와고정핀(12)이 냉각쳄버측 연와(120a)에 형성된 구멍(120a')에 고정되기 때문에, 기둥연와(132)가 아니라 냉각쳄버측 연와(120a)에 구축되어 구조가 견고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조립판(14)을 3개 정도 도시하였지만, 그 설치수는 앞,뒤로 2개로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연와고정핀(12)은 하부 플레이트(16)의 저부에 앞에 하나, 뒤에 2개로 하여 용접 부착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은,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의 하부 플레이트(16)에 수직하게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직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잇다.
따라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은, 냉각쳄버(120)의 연통(130)을 통과하는 순환가스(G)가 통과하면서 가능한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편류를 방지하고, 이를 위하여 연와(120a)에 밀착된 하부 플레이트(16)에 일정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수직 플레이트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6)의 좌우 양측으로 수직하게 용접 등으로 설치된 조립판(14)에 체결되는 체결수단(B) 즉,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32)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인 수직 플레이트는 연와 고정수단(10)의 하부 플레이트(16)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인 수직 플레이트에는 고온가스(G)에 의하여 수직한 플레이트가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변형 방지홈(34)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열변형 방지홈(34)은 플레이트 모서리에서 일부분 절개되어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만약 플레이트가 열에 의하여 팽창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여 열변형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열변형 방지홈(34)은 플레이트 내부로 신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1)에서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은,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수직 플레이트(16)상에 수평 고정되는 수평 플레이트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평 플레이트는 도 9와 같이 연통(130)의 중앙부분에 수 평하게 위치되어 연통(130)을 통과하는 순환가스를 편류없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제2의 순환가스 유도플레이트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인 수직 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 기능도 제공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의 수평 플레이트에는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수직 플레이트에 돌출 구비된 조립판(36)이 삽입 돌출되고, 상기 조립판(36)에 형성된 체결홈(36a)에 체결되는 고정핀(38)으로 체결되는 조립판 체결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조립판 체결개구(52)는 상기 조립판(36)이 끼워져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한 슬릿형태가 바람직하고, 이는 플레이트들의 조립시 조립 공차를 갖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인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에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4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B) 즉,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54a)이 형성된 조립판(54)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 조립을 정리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쳄버측 연와(120a)의 구멍(120a')에 연와 고정수단(10)의 연와고정핀(12)이 장착되고, 고정수단의 하부플레이트(16)에 구비된 조립판(14)의 체결홈(14a)과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인 수직 플레이트의 체결홈(32)에 체결수단(B)인 볼트가 체결되어 와셔(W)와 너트(N)로서 체결 고정된다.
다음,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40)에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인 수평 플레이트에 구비된 조립판(54)의 체결홈(54a)에 체결수단(B)인 볼트가 와 셔(W)와 너트(N)로 체결되고, 동시에 수직 플레이트상의 돌출 조립판(36)은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인 수평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개구(52)를 통과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조립판의 체결홈(36a)에 고정핀(38)이 끼워져 조립된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구성부품들이 모두 볼트 체결 구조로 필요시 언제든지 쉽게 분해하여, 부품들을 교체하고 재 조립하여 재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종래 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도 4의 200)를 구성하는 소재(플레이트)의 성분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분 C Si Mn Cr Ni Mo N 비고(결과)
함유량(%) 0.01 0.49 1.25 24.06 19.49 0.06 0.025
한편, 통상 CDQ(100)에서 적열코크스(C)의 소화 및 냉각시 발생하는 가스에는 Co, N, S 등의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가스의 온도가 1,000 ℃ 이상의 고온이기 때문에, 종래 순환가스 유도장치(도 4의 200 참조) 표면에 탄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이 생성되어 장치 플레이트들의 표면조직을 경한 조직으로 변화시키어 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부재들의 부식이 증대되어 쉽게 마모 및 탈락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반응물 생성에 더하여, 반응층 하부에 미세 균열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미세 균열 사이로 질소가스의 질소(N)가 침투하여 장치 플레이트 부재(강재)에 함유되어 있는 니켈(Ni)성분을 손실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플레이트)로 장치를 제작한다.
구분 C Si Mn Cr Ni Nb Mo W 기타
(Al,Ti,Zr)
Bicc-SMo2 0.2~0.7 1~5 ≥2 30~35 20~30 2≥ 0.5~3 0.5~5 5 이하
한편, 참고로 상기 표 2의 각 성분의 효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첨가물의 효과
C 내마모 및 Co에서의 밸런스
Si 산화피막 및 내침탄성 향상
Cr 내산화성 및 내침탄성 향상,고온강도 증가
Ti 2차 탄화물 조대화 방지, 고온 CRS 증가
Zr 모재내 고용 경화되어 CRS 증가
W 입계에서 석출 경화되어 CRS 증가
Nb 입계내 MC형 탄화물 형성, CRS 증가
MO 내부식성(S)향상,
Ni 내부식성향상, 내열성 향상
즉, 상기 표2,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코크스 건식소화 및 냉각공정에서 발생하고 Co, N, S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순환가스(G)에 의한 소재 표면상에의 탄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의 화합물을 생성을 억제하고, 궁극적으로 소재 내부식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Mo,W 성분을 더 포함하고,기타 C,Si,Nn,Cr,Ni,Nb의 성분 비율을 조정하여 궁극적으로 고온화학반응에 강하고, 내산화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알려진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인 CDQ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CDQ 연통에서의 순환가스 유속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의 CDQ 연통에 인접한 코크스 이동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종래 CDQ 연통에 설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연통의 기둥연와사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종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조립사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본 발명 장치의 연와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10.... 쳄버연와 고정수단 12.... 연와고정핀
14,36,54.... 조립판 16.... 하부 플레이트
30.... 순환가스 유도수단 32,40.... 체결홈
34.... 열변형 방지홈 38.... 고정핀
50....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 52.... 체결개구
100....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 120.... 냉각쳄버
120a.... 냉각쳄버측 연와 130.... 연통
140.... 덕트 B.... 체결수단
C.... 적열 코크스

Claims (7)

  1. 냉각쳄버(120)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연통(130)에 배치되는 순환가스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쳄버측 연와에 고정되는 쳄버연와 고정수단(10); 및,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상에 구비되는 순환가스 유도수단(30);
    을 포함하되 상기 수단들이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은,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에 포함된 하부 플레이트(16)에 수직하게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상부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을 상부에 고정하면서 순환가스를 유도하는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10)은, 상기 냉각쳄버측 연와(120a)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와 고정핀(12)을 포함하고, 상기 쳄버연와 고정수단에 포함되는 하부 플레이트(16)는, 상기 연와 고정핀(12)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조립판(14)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6)의 조립판(14)에 체결되는 체결수단(B)이 체결되는 체결홈(32)을 구비하여 수직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는 고온 가스에 의한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토록 일체로 형성된 열변형 방지홈(3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은,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수직 플레이트상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가스 유도수단(50)의 수평 플레이트에는 상기 순환가스 유도수단(30)의 수직 플레이트에 돌출 구비되고 고정핀(38)이 체결되는조립판(36)이 삽입 돌출되는 조립판 체결개구(52)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4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B)이 체결되는 조립판(54)을 포함하여 수평 플레이트는 수직 플레이트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KR1020080081986A 2008-08-21 2008-08-2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KR10096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86A KR100961346B1 (ko) 2008-08-21 2008-08-2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86A KR100961346B1 (ko) 2008-08-21 2008-08-2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99A KR20100023299A (ko) 2010-03-04
KR100961346B1 true KR100961346B1 (ko) 2010-06-04

Family

ID=4217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986A KR100961346B1 (ko) 2008-08-21 2008-08-2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665A (ja) 2003-03-19 2004-10-07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KR100820183B1 (ko) 2007-07-19 2008-04-08 (주)성진씨앤씨 씨디큐용 편류 방지판
KR200440281Y1 (ko) * 2007-06-19 2008-06-09 (주)성진씨앤씨 제철소에서의 씨디큐 보일러 설비용 편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665A (ja) 2003-03-19 2004-10-07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KR200440281Y1 (ko) * 2007-06-19 2008-06-09 (주)성진씨앤씨 제철소에서의 씨디큐 보일러 설비용 편류방지장치
KR100820183B1 (ko) 2007-07-19 2008-04-08 (주)성진씨앤씨 씨디큐용 편류 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99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320B1 (en) Heat exchanger system used in steel making
CN1818527B (zh) 热屏
EP0411336B1 (de) Flüssigkeitsdurchströmtes Kühlelement für Schachtöfen
KR100961346B1 (ko)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순환가스 유도장치
US6890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l making
US6221312B1 (en) Refractory wall, metallurgical vessel comprising such a refractory wall and method in which such a refractory wall is applied
EP1250555A2 (de) Hitzeschildanordnung für eine heissgas führende komponente, insbesondere für strukturteile von gasturbinen
CN215103015U (zh) 具有可快速更换的耐磨板的排焦溜槽
CN113188326B (zh) 一种抗冲击熔铜竖炉
DE10361753A1 (de) Aufnahmevorrichtung für Injektoren
JP2023540142A (ja) 焼却炉用水冷式格子ブロック
KR100833001B1 (ko) 코크스 장입 및 불출용 버켓장치
EP0196432B1 (de) Lichtbogenofen
KR100341279B1 (ko) 소결설비에 있어서의 팰릿 트럭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US6824736B1 (en) Pusher furnace rails with plate-shaped sliding supports and sliding shoes
EP3999452A1 (de) Fördern eines förderguts
US4574035A (en) Warp-resistant self-sealing coke oven door
KR102515767B1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 장치
DE102004032026A1 (de) Kühlkörper, insbesondere für die Wände des Oberofens eines Lichtbogenofens oder eines Schachtofens
DE19860553C2 (de) Flüssigkeitsgekühlter Verbrennungsrost
KR20120139441A (ko) 원료 버켓 장치
AT501344B1 (de) Pelletkessel
EP4102133A1 (en) Liquid-cooled grate in a solid-fuel burner
KR200440281Y1 (ko) 제철소에서의 씨디큐 보일러 설비용 편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