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03B1 -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03B1
KR100960903B1 KR1020090124048A KR20090124048A KR100960903B1 KR 100960903 B1 KR100960903 B1 KR 100960903B1 KR 1020090124048 A KR1020090124048 A KR 1020090124048A KR 20090124048 A KR20090124048 A KR 20090124048A KR 100960903 B1 KR100960903 B1 KR 10096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hamber
molding
insulation materia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교식
Original Assignee
엔알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알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알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5Hot pressing, e.g. of ceram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베이스(4)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대응하는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를 구비 설치하되, 상부 진공챔버(6)는 양측 브라켓(16)을 통해 성형베이스(4)상의 수직 가이드대(20)에 축 결합하여 유압실린더(22)를 통해 승강 작동되게하면서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내에 원적외선의 히터판(54)이 내장된 상부 성형틀(26)과 하부 성형틀(28)을 각각 장착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성형틀(26)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에 갖는 별도의 실린더(30)와 연결되어 승강 작동케하며 하부 성형틀(28)을 갖는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는 진공펌프(12)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공(44)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진공챔버(6)(8)내의 일측에는 열융착을 위한 실링장치부(10)가 내설되게 구성함으로써 진공판넬단열재를 얻도록 한 것이다.
진공판넬단열재, 진공챔버, 진공펌프, 히터판, 실리카분말

Description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FORMING APPARATUS OF VACUUM INSULATING MATERIAL PANEL}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단열재의 진공도를 높여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재료비 절감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토록 한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내외부간의 온도차가 최대한 그대로 유지되도록 열 흐름을 차단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암면, 유리섬유, 우레탄폼, 스치로폼 등을 언급할 수 있고, 많은 단열재중 가장 우수한 단열재로는 내부 진공상태를 갖는 진공단열재이다.
진공 단열재는 다공성 충진물과 이를 싸고 있는 차단성 외피로 구성되는데, 외피 내부의 기체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체의 열전도계수가 거의 0이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성능을 갖고 있으며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낮은 에너지 소비율을 갖고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단열재 경우, 다공성 충진물로는 미세 다공성 무기질섬유 로 우레탄폼이나 유리섬유를 사용하며 차단성 외피로는 스테인레스 극박판(STS)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이를 프레스에서 진공 감압하여 성형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는 일반적인 단열재 보다는 단열성능이 좋은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며, 스테인레스 극박판의 접합부에 용접의 불량이 많고 외관을 단순한 판형상으로만 성형이 가능하므로 요철부나 절곡부 또는 단턱부 등의 형상 모양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가 없는 것이며, 스테인레스 극박판이 절곡되면 쉽게 진공파괴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진공단열재 진공성형장치를 보면, 상부 진공성형판과 하부진공 성형판 사이로 다공성 충진물이 충진된 밀폐봉지를 넣어 이를 단순히 진공 감압으로서 부피를 줄이도록 하고 있어 진공단열재의 내부의 진공도가 낮아 단열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진공 감압시의 내부 기체를 제거함에 있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가압으로서 진공판넬의 제조시 진공효율을 향상시켜 단열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높이도록 한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의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는, 성형베이스(4)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대응하는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를 구비 설치하되, 상부 진공챔버(6)는 양측 브라켓(16)을 통해 성형베이스(4)상의 수직 가이드대(20)에 축 결합하여 유압실린더(22)를 통해 승강 작동되게하면서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내에 원적외선의 히터판(54)이 내장된 상부 성형틀(26)과 하부 성형틀(28)을 각각 장착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성형틀(26)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에 갖는 별도의 실린더(30)와 연결되어 승강 작동케하며 하부 성형틀(28)을 갖는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는 진공펌프(12)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공(44)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진공챔버(6)(8)내의 일측에는 열융착을 위한 실링장치부(10)가 내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를 알루미늄박판의 밀폐봉지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저가의 실리카분말을 사용하여 이를 가열에 의한 진공 감압시켜 얇고 가벼우며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진공효율을 상승시켜 제조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으며 건축단열재나 냉장고 단열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완성된 진공판넬단열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진공판넬단열재(A)를 얻기 위해서 먼저 외피재로 알루미늄박판의 밀폐봉지(100)를 제조하며, 내부 심재의 재료로는 미세다공들을 갖는 실리카분말을 사용한다.
즉 상기 진공판넬단열재(A)의 외피재로 사용될 밀폐봉지(100)를 얻기 위해서 알루미늄박판는 0.05~0.5mm두께이고 4면 외연을 따라 열가소성 접착수지가 도포된 알루미늄박판 두장을 서로 맞대어 겹친 후, 알루미늄박판의 3면 외연을 빙둘러 열접착 제조함으로써 일측에 개구부(100a)를 갖는 밀폐봉지(100)를 얻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박판으로 이루어진 밀폐봉지(100)는 알루미늄의 재질 특성상 다양한 형상의 모양으로 성형 가공하기가 쉽고 가벼워 취급하기가 용이하며 내식성이 우수하면서 기체투과를 차단할 수가 있어 다른 금속에 비해 외피재로서 쓰이기에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진공단열의 내부 충진물의 심재로 미세다공을 갖는 실리카분말(200)은 열전도성을 최소화시키는 낮은 밀도와 열전달을 막는 수십억개에 달하는 나노 포켓, 거울처럼 열을 반사하는 열에너지 반사 등의 특징과 경량의 고체구조를 갖는 분말로서, 진공단열재의 진공도를 높여서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알루미늄박판의 밀폐봉지(100)와 함께 판넬 성형시 외관에 요철부나 절곡부 또는 단턱부 등의 형상 모양의 변형을 줄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카분말(200)은 SiO 80%, SiC 15%, 기타 산화물 5%로 조성되며 그 밀도가 230㎏/㎥ 정도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실리카분말(20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불연재이므로 건축단열재나 냉장고 단열재 등으로 쓰이기에 매우 유리하며 종래의 단열재 심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우레탄폼, 스티로폼에 비해 성형성이 뛰어나고 단가가 저렴하여 단열재 심재로 쓰이기에 매우 유리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의 알루미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밀폐봉지(100)에 실리카분말(200)을 충진시켜 이를 진공 감압을 통해 진공판넬단열재(A)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판넬단열재를 제조하는 성형장치의 정면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판넬단연재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장치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상하부 성형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2)는, 이동 가능하도록 저부에 바퀴가 장착된 성형베이스(4)을 두고 상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대응하는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진공챔버(6)(8)내의 일측에는 열융착 수단을 갖는 실링장치부(10)를 내설하며 하부 진공챔버(8)에는 감압을 위한 진공펌프(12)가 연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부 진공챔버(8)를 성형베이스(4)상에 고정 설치하여 상부 진공챔버(6)가 승강에 따른 밀폐봉지(100)을 열가압 및 진공 감압으로 성형하도록 구성하되, 상부 진공챔버(6)의 저부를 요입 개방되게 형성하면서 외연에는 감압 진공시 차단을 위한 오링(14)이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부 진공챔버(6)의 외측에 갖는 브라켓(16)은 성형베이스(4)상의 양측 지지프레임(18)에 설치된 수직 가이드대(20)와 축 결합 지지되어 수직 가이드대(20)를 따라 상부 진공챔버(6)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진공챔버(6)는 수직 가이드대(20)에 지지하면서 성형베이스(4)로부터 고정 설치된 유압실린더(22)에 결합 연결되어 승강하도록 하면서 하강시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와의 접촉으로서 상하부 진공챔버(6)(8)의 내측을 밀폐하여 진공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하는 상부 진공챔버(6)를 두고 성형베이스(4)상의 양측 지지프레임(18)에는 실린더로부터 제어되는 스토퍼(24)를 장착하여 상부 진공챔버(6)의 오작동으로 인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기능을 갖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의 내측에는 각각 마주하여 하강시 압축 성형을 위한 상부 성형틀(26)과 하부 성형틀(28)을 장착토록하되, 상부 성형틀(26)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에 갖는 실린더(30)와 연결되는 승강판(32)의 양측 승강봉(34)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30)의 작동 제어에 의해 상부 진공챔버(6)내에서 별도로 상부 성형틀(26)이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성형틀(26)을 승강시키는 승강판(32)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36)에 축봉으로서 결합되게 함으로서 지지대(36)를 통해 승강판(32)이 상하 이동에 따른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하면서 승강판(32)의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8)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대(40)에 부착되어 상부 성형틀(26)의 하강시 압축 높낮이를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진공챔버(6)의 상면에는 외부에서 성형작업상태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42)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진공챔버(6)와 대응하여 진공 감압하는 하부 진공챔버(8)는 성형베이스(4)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하부 진공챔버(8)와는 이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 성형틀(28)을 하부 진공챔버(8)의 상부에 설치되게하고,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 다수의 배기공(44)을 형성하여 진공펌프(12)와 연통되게 구성하여 상부 진공챔버(6)와의 접촉된 상태에서의 그 내부를 진공 감압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진공챔버(8)에 갖는 배기공(44)들은 중앙에 주 배기공을 형성하면서 그 주위로 다수의 보조 배기공을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 배기공은 필요에 따라서는 각종 배선을 빼내는 배선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상하부 성형틀(26)(28)은 밀폐봉지(100)을 일정두께의 진공 판넬을 갖도록 압축 성형하는 것으로서,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 판체이면서 일측의 내면에 다수의 삽입홈(46)을 형성하면서 삽입홈(46)에는 전원선이나 센서선 등을 외부로 빼내도록 배선 안내로(48)가 형성된 가압판(50)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판(50)의 다수 삽입홈(46)에 원적외선 히터(52)가 내장된 히터판(54)을 내입되게 구성하여 가압판(50)이 히터판(54)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밀폐봉지(100)를 진공 판넬로 성형시 열가압 하도록 한다.
상기 원적외선 히터(52)는 히터판(54)에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형성하면서 일측에 다수의 전원단자와 연결되게 형성하고, 히터판(54)의 중앙에는 온도감지센서(56)를 설치하도록 센서홀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설치된 온도감지센서(56)를 통해 원적외선 히터(52)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가압판(50)내에 다수의 히터판(54)을 내입 설치되게 한 후 전원선 이나 센서선 등을 배선 안내로(48)를 통해 외부로 빼내어 서로 연결하고, 가압판(50)의 타측에 덮개(58)를 결합되게 함으로서 상하부 성형틀(26)(28)을 조립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압판(50)의 바닥부를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가압판(50)의 바닥부를 굴곡 또는 요철지게 형성하여 압축 성형되는 진공 판넬의 외관을 굴곡 및 요철지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실링장치부(10)는 상하부 진공챔버(6)(8)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진공 감압된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열융착토록 하는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장치부(10)는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 일측에 다수의 실린더(60)를 고정설치하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실린더(60)는 승강하여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눌러 잡아주는 홀더(62)와 연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홀더(62)의 중앙에 삽입 안내되는 가압대(64)는 중앙에 갖는 각 실린더(60)와 연결 결합하여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62) 및 가압대(64)와 마주하는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는 열선 등이 내설된 가열부(66)를 갖는 실링다이(68)를 고정 설치하여 홀더(62)와 가압대(64)의 하강시에 서로 대응하여 맞닿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62)가 실린더(60)를 통해 먼저 하강하여 하부에 갖는 실링다이(68)와 접촉에 따른 밀봉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눌러 잡아주도록 하면서 이어 가압대(64)가 또 다른 실린더(60)에 의해 하강하여 실링다이(68)의 중앙에 갖 는 가열부(66)와 접촉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100a)를 열융착으로 밀봉되게 함으로서 개구부(100a)의 쭈그러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후 밀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 실린더(60)들이 동시에 작동하여 홀더(62)와 가압대(64)를 실링다이(68)로부터 접촉을 해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2)를 이용하여 진공단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리카분말(200)을 알루미늄박판으로 형성된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서 밀폐봉지(100)내에 충진하되 밀폐봉지(100)용적의 60~90부피%로 충진한다. 밀폐봉지(100)에 실리카분말(200)을 충진시키는 60~90부피%는 이후 성형장치를 통해 압축시 줄어드는 두께나 실리카분말(200)간의 조밀정도에 따라 60~90부피% 범위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미세다공을 갖는 실리카분말(200)을 밀폐봉지에 부분 충진시킨 후에는 두개로 분할되어 이격된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의 내부에 갖는 상하부 성형틀(26)(28) 사이에 밀폐봉지(100)를 삽입한다.
그 후에는 성형장치(2)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부 진공챔버(6)의 양측 브라켓(16)을 잡고 있던 스토퍼(24)가 해지되면서 유압실린더(22)가 상부 진공챔버(6)를 하강시켜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 안착되게 접촉시킨 후 외부와 차단에 따른 진공 감압준비 단계에 이루어지게 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44)과 연통하는 진공펌프(12)가 가동되면서 접촉된 상하부 진공챔버(6)(8)의 내부를 진공 감압시킴과 동시에 상부 진공챔버(6)의 내측에 갖는 상부 성형틀(26)이 실린더(30)와 연결된 승강판(32)에 의해 하강하면서 하부 성형틀(28)과의 상하 이격 간격을 좁히면서 개재된 밀폐봉지(100)를 압축시킨다.
이때 상기 상하부 성형틀(26)(28)이 좁혀지면서 진공 감압과정에서 상하부 성형틀(26)(28)에 각 설치된 히터판(54)이 가열되어 실리카분말(200)이 부분 충진된 밀폐봉지(100)내의 공기를 데워주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밀폐봉지(100)내의 데워진 공기에 의해서 내부 진공 감압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내부 진공도가 훨씬 높아져 제품완성후의 단열성능을 더 좋게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진공도는 1~200Pa가 바람직하며, 내부의 온도는 60℃~100℃로서 바람직하며 이는 성형되는 제품의 크기에 따른 범위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 가압성형과 내부 진공 감압에 의해서 밀폐봉지(100)내의 실리카분말(200)이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만충진되어지고 밀폐봉지(100)의 두께는 매우 많이 감소되어 성형된다. 이때 밀봉봉지의 두께는 상하부 진공챔버(6)(8)로 가압전 두께의 1/5~1/15두께로 압착되므로 그 두께가 제조자가 원하는 판넬두께만큼이나 얇아진다.
상기 얇아지게 성형된 밀폐봉지(100)를 두고 내부의 일측에 갖는 실링장치부(10)가 개구부(100a)를 막은 후 진공 감압작동을 중지하고 열가소성접착제가 내면 형성된 개구부(100a)를 열융착하여서 밀봉처리를 수행하므로 밀폐봉지내(100)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실링장치부(10)의 홀더(62)와 연결돤 실 린더(60)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실링다이(68)에 안착된 개구부(100a)를 눌러 잡아주도록 한 후, 상기 홀더(62)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된 가압대(64)와 연결된 또 다른 실린더(62)에 의해 실링다이(68)에 갖는 가열부(66)에 가압대(64)가 하강하여 개구부(100a)를 열융착으로 밀봉처리하도록 함으로서 개구부(100a)의 열융착 부분이 쭈그러짐이 없이 깔끔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질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성형된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를 밀봉하고 난후 실링장치부(10)의 작동을 해지하고 상부 진공챔버(6)를 올리고 그 안의 진공 감압 성형된 밀폐봉지(100)를 취출해되면 도 13과 같은 외형과 도 14와 같은 단면을 갖는 진공판넬단열재(A)가 얻어진다.
이러한 진공판넬단열재(A)는 알루미늄박판의 외피재이면서 실리카분말(200)이 심재로 들어간 그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밀봉처리한 것이므로, 기체의 열전도계수가 거의 0이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성을 가질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진공판넬단열재(A)를 건축용 단열재 및 냉장고 단열재 등에 사용시에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단열재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내부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진공판넬단열재는 건축단열재 또는 냉장고 등의 단열재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판넬단열재를 제조하는 성형장치의 정면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판넬단연재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장치부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상하부 성형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완성된 진공판넬단열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4)-- 성형베이스
(6)-- 상부 진공챔버 (8)-- 하부 진공챔버
(10)-- 실링장치부 (12)-- 진공펌프
(14)-- 오링 (16)-- 브라켓
(18)-- 지지프레임 (20)-- 수직 가이드대
(22)-- 유압실린더 (24)-- 스토퍼
(26)-- 상부 성형틀 (28)-- 하부 성형틀
(30)-- 실린더 (32)-- 승강판
(34)-- 승강봉 (36)-- 지지대
(38)-- 위치센서 (40)-- 수직대
(42)-- 투시창 (44)-- 배기공
(46)-- 삽입홈 (48)-- 배선 안내로
(50)-- 가압판 (52)-- 원적외선 히터
(54)-- 히터판 (56)-- 온도 감지센서
(58)-- 덮개 (60)-- 실린더
(62)-- 홀더 (64)-- 가압대
(66)-- 가열부 (68)-- 실링다이
(100)-- 밀폐봉지 (100a)-- 개구부
(200)-- 실리카분말

Claims (8)

  1. 진공단열재의 성형장치(2)를 구성함에 있어,
    성형베이스(4)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대응하는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를 구비 설치하되, 상부 진공챔버(6)는 양측 브라켓(16)을 통해 성형베이스(4)상의 수직 가이드대(20)에 축 결합하여 유압실린더(22)를 통해 승강 작동되게하면서 상부 진공챔버(6)와 하부 진공챔버(8)내에 원적외선의 히터판(54)이 내장된 상부 성형틀(26)과 하부 성형틀(28)을 각각 장착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성형틀(26)은 상부 진공챔버(6)의 상부에 갖는 별도의 실린더(30)와 연결되어 승강 작동케하며 하부 성형틀(28)을 갖는 하부 진공챔버(8)의 바닥부에는 진공펌프(12)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공(44)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진공챔버(6)(8)내의 일측에는 열융착을 위한 실링장치부(10)가 내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 성형틀(26)(28)은 일측 내면에 다수의 삽입홈(46)과 배선 안내로(48)가 형성된 가압판(50)을 형성하되 가압판(50)의 삽입홈(46)에 원적외선 히터(52)가 내설된 히터판(54)을 내입되게 하면서 타측에 덮개(58)를 결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히터판(54)의 내부에 온도 감지센서(56)를 고정설치하여 밀폐봉지(100)을 상하 성형틀(26)(28)에 의해 열 가압시에 원적외선 히터(52)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링장치부(10)는 하부 진공챔버(8)내의 일측에 가열부(66)를 갖는 실링다이(68)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실링다이(68)와 마주하도록 상부 진공챔버(6)의 내측에는 각 실린더(60)로부터 승강하는 홀더(62)와 가압대(64)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62)의 중앙에 가압대(64)가 위치하도록 내설 구성되어 홀더(62)가 하강하여 밀폐봉지(100)의 개구부(100a) 눌러 잡아주도록 한 후 가압대(64)의 하강에 의해 가열부(66)에 위치하는 개구부(100a)을 열접착으로 밀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진공챔버(6)의 상면에 성형상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창(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 성형틀(26)(28)의 가압판(50)의 바닥부를 굴곡 또는 요철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진공챔버(6) 상부에 상부 성형틀(26)의 승강 높낮이를 제어하는 위치센서(38)가 지지대(36)상에 결합되어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8. 삭제
KR1020090124048A 2009-12-14 2009-12-14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KR10096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48A KR100960903B1 (ko) 2009-12-14 2009-12-14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48A KR100960903B1 (ko) 2009-12-14 2009-12-14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903B1 true KR100960903B1 (ko) 2010-06-04

Family

ID=4236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48A KR100960903B1 (ko) 2009-12-14 2009-12-14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9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254A (zh) * 2011-11-18 2012-06-13 黄宜昌 一种外墙防火保温板成型机
KR101340375B1 (ko) * 2011-11-22 2013-12-11 동일자동화(주)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CN106696280A (zh) * 2016-12-29 2017-05-24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KR101751814B1 (ko)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KR20180043677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진공단열판넬 마감 테이핑기
CN111438974A (zh) * 2020-04-01 2020-07-24 洛阳广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移出式自升降多层负压制板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254A (zh) * 2011-11-18 2012-06-13 黄宜昌 一种外墙防火保温板成型机
CN102490254B (zh) * 2011-11-18 2014-01-29 黄宜昌 一种外墙防火保温板成型机
KR101340375B1 (ko) * 2011-11-22 2013-12-11 동일자동화(주)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KR20180043677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진공단열판넬 마감 테이핑기
KR101751814B1 (ko)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CN106696280A (zh) * 2016-12-29 2017-05-24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CN106696280B (zh) * 2016-12-29 2023-08-29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CN111438974A (zh) * 2020-04-01 2020-07-24 洛阳广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移出式自升降多层负压制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903B1 (ko)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KR101012664B1 (ko) 진공판넬단열재의 제조방법
CN103570257A (zh) 一种夹胶真空玻璃生产工艺
JP2002067137A (ja) 真空成型装置
CN209918599U (zh) 一种电子产品生产用外壳压平装置
EP0686367B1 (en) Heat-insulating electrical po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ot
CN209599826U (zh) 一种亚克力浴缸成型系统
KR20130037640A (ko)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10117673A (ko) 탄성 쿠션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공기 충전 셀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204021331U (zh) 一种包装袋热压封口机
CN205853233U (zh) 一种热压真空成型机
CN102951801B (zh) 玻璃焊接的凸面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CN108146729B (zh) 一种液压驱动下压的食品包装用封口装置
CN205416316U (zh) 一种粽子包装机的包装盒成型机构
JP2012082001A (ja) 真空封止装置
KR101013754B1 (ko) 건축용 진공판넬단열재 및 제조방법
CN201184479Y (zh) 一种生产气凝胶真空绝热板的成型模具
KR101414515B1 (ko) 유리섬유 성형체를 단열심재로 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636125A (zh) 一种工厂用枕头排气密封包装设备
CN215849247U (zh) 一种自带发热结构的冰箱发泡模具
CN113323549A (zh) 一种节能玻璃
JP3778250B2 (ja) 石英ガラスの成形方法
CN112366248A (zh) 一种光伏组件生产用层压机
CN218804637U (zh) 一种泡沫包装成型装置
CN213997499U (zh) 一种w型铜止水件的碾压成型模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