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591B1 -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91B1
KR100960591B1 KR20080050772A KR20080050772A KR100960591B1 KR 100960591 B1 KR100960591 B1 KR 100960591B1 KR 20080050772 A KR20080050772 A KR 20080050772A KR 20080050772 A KR20080050772 A KR 20080050772A KR 100960591 B1 KR100960591 B1 KR 10096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report
terminal device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23A (ko
Inventor
석 영 정
정영철
Original Assignee
서울텔엔지니어링(주)
석 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텔엔지니어링(주), 석 영 정 filed Critical 서울텔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08005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선이 어획보고 등을 적극적으로 이행토록 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국 서버에서 제공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단말장치가 다운로드 받아서 그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종 및 어획 수량을 입력하고 전송하는 등의 새로운 어선 편의성을 제공하되, 그 통신망 자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료 보고하는 수준의 등급에 따라 연동되는 음성통신망에서의 서비스가 차등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선 편의성과는 별도로 통신망 자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료 보고하는 수준의 등급에 따라 차등 제공하는 상기 구성만을 선택적으로 취하는 구성 내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선이 현장에서 보고를 편하게 하면서도 정확한 보고자료가 육상 관리기관에 도달되고 또한 어선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익한 정보혜택, 다른 이용자와 연결하는 기능 내지 각종 지원금 혜택을 받기기 위하여는 자발적으로 각종 보고에 참여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제까지 실질적으로 현장의 어획량을 제대로 수집할 수 없었던 기능을 서비스통제에 의한 제도 및 어획관리 분산작업이라는 명제를 통하여 혁신하는 전기를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위치보고 미이행 어선에 대하여 일일이 음 성통신으로 인근 어선에 수배하던 업무가 대폭 줄어드는 효과도 볼 수 있다.
1 : 해안국, 1-1 : DB서버, 1-2 :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 1-3 : 데이터송수신부, 1-4 : 안테나, 1-5 : 통신망서버, 1-6 : 음성네트웍스위치, 1-7 : 음성송수신부, 1-8 : 게이트웨이, 1-9 : 그룹제어부 등, 1-10 : 서비스등급제어부, 1-11 : 네트웍제어부, 1-12 : 유관기관 그룹, 1-13 : 운용콘솔 그룹, 1-1-1 : 어선별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의 일례, 1-1-2 : 어획량보고결과 화면의 일례, 2a....2n : 단말장치(단말국), 2-1 : 중앙처리장치(CPU), 2-2 : 키조작부, 2-3 : 표시부, 2-4 : 입출력부, 2-5 : 스피커, 2-6 : 마이크, 2-7 : 송수신부, 2-8 : 안테나, 2-10 : 어종별 리스트 표시프로그램 및 미이행 메시지 표시프로그램, 2-11 :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선택 조작 프로그램 등, 기타 : TRS, 휴대폰, SSB, VHF, 어종별 어획량, 위치보고, 데이터통신망, 서비스 등급 등

Description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 방법{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telecommunication service method for leading participate in a reporting on the ship }
본 발명은 어선이 어획보고 등을 적극적으로 이행토록 하기 위한 통신망 제어장치 및 그 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바다에서 어선이 조업한 어획실적은 수산자원관리 및 어군탐색정보로 재생산할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하다. 즉 재생산된 어군탐색정보는 출어과정에서 경비를 절감하면서 효율적 어군을 탐색하는 보조수단일 뿐만 아니라 국가 간 어업협정의 대상이 되는 정책수립 정보로서 극히 중요한 것이다.
일본과 같은 수산 선진국에서는 개별 어선마다의 어군탐색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강력한 탐색능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전 해역의 어군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어군탐색정보(계절별 어종별 어획분포도), 어황예보(수온분포도, 플랑크톤분포도, 영양염류분포도, 어업기상) 등 어업정보로 일반 국민에게 전파하여 어업생산력과 어업협상능력을 높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그와 비슷한 자료를 수집하여 가공 후 어선을 비롯한 각 부문에 정책정보 등으로 제공하 고 있다.
예전에는 시험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수온·영양염류·플랑크톤 등의 어군 서식환경과 시험조업을 실시해 왔지만, 정보처리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발전된 현대에는 가일층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해황탐사용 NOAA 등에서 탐사한 정보를 여기에 더하여 합성 가공하고, 아울러 어선이 귀항했을 때 어디서 얼마만큼 잡았는지를 조사하는 옵저버의 조사결과를 더 부가하여 가장 실증적인 근사치의 어군탐색정보를 생산한다.
시험선의 실험은 장기간에 거쳐 현장의 어류 서식환경을 국지적 표본 조사하는 것이고 인공위성 탐사는 넓은 범위를 순식간에 조사하는 것이므로 이를 합성할 경우 시험선으로부터의 깊은 수심 정보를 인공위성으로부터의 넓은 범위 해수표면조사에 대입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입항하는 어선을 대상으로 옵저버가 전수조사한 자료는 넓은 범위의 깊은 수심 어획자료를 직접 수집한 결과이기도 하므로 옵저버 자료는 보다 실증적 데이터로서 신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즉, 옵저버는 모든 업종의 어선이 드넓은 현장에서 조업한 실적으로서의 각각의 시험선 조업실적에 상당한 자료이기도 하므로 일본은 오래전부터 옵저버를 중요시해 왔고, 최근 우리나라 예전의 해양수산부도 많은 인원의 옵저버를 전국 육상 항포구에 배치하여 입항하는 어선마다 그 실적을 탐문조사토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옵저버의 전수조사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어선이 현장에서 조업한 실적을 위치, 어종 및 어획 수량별로 세세히 기록하여 어선이 육상에 입항하였을 때 옵저버에게 이를 알려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 어선 종사자의 조 업일지 기록문화는 일본 어선의 상세성 및 정확성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고 이러한 후진성은 어업협상능력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를 감안하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바람직한 전수조사는 어선이 조업한 때마다 즉시 현장에서 바로바로 보고토록 하는 것이나 여기에는 어선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 여부가 관건으로 대두된다. 한편 일률적으로 강제화하는 방법도 국가에서 검토해 왔으나 이 경우 자칫하면 범법자를 양산하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그러한 고려는 불가능하다고 종결지었다.
우리나라 어업통신(어업용 해안국)은 예로부터 장거리 통신망인 SSB(Single Side Band; 단측파대억압반송파통신방식)를 이용하여 음성통신으로 수행해 온 바 음성통신으로 보고하는 어획정보가 통신망에서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던 관행상 실제적으로 그와 같이 어획보고에 참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최근 발전된 개인통신(휴대폰, TRS 등)이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시 그러한 인식은 개선되지 않고 있어 무엇인가 의식전환도 절실한 실정이다(본 발명에서 휴대폰이나 TRS는 중계기능을 포함하는 고출력 고정형과 중계기능 없는 저출력 휴대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어선 위치보고는 조난시의 신속한 구조 및 인접국 EEZ수역(배타적경제수역)에서 조업위치분쟁 발생시의 증빙자료로서 중요하고 또한 어획량보고는 위와 같은 수산자원관리 및 어업협상에서 중요하나, 이는 어디까지 서비스기관인 국가기관 내지 어업용 해안통신망을 관리하는 입장에서 중요할 뿐 어선은 반대급부를 느낄 수 없이 단지 '고양이 목에 방울 달듯이 다른 사람에게만 정보를 노출하는 것'으로만 인식하고 있으므로, 육상의 관리기관이 많은 비용과 노력으로 홍보와 계도를 지속하고 있음에도 실질적으로 정보의 효용가치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자원관리자료 획득은 어려웠으며,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감사원마저도 오랫동안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익히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휴대폰(CDMA, TDMA, FDMA)이나 위성통신이나 주파수공용통신(TRS) 등으로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건에서 보다 쉬운 조작으로 어획량보고 또는 위치보고가 가능토록 하는 한편으로 그 자료 보고의 참여 정도에 따라 서비스를 연동 제어토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위치보고 내지 어획량보고를 유도하는 기술, 즉 Give and Take를 촉발하는 기술을 착안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나라 어업통신(어업용 해안국)에서는 그 트래픽 소통능력상 5톤 이상 어선(11,000척)에 한정하여 위치보고와 어획량보고를 받고 있는데, 국가적으로는 5톤 이하의 어선(25,000척)에 대하여도 그 안전관리나 서비스 제고의 측면에서 공백이 발생된데 대하여 해결책이 없어 오랜 기간 고심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해법도 아울러 검토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초소형화 된 휴대폰이나 TRS(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가 어선용으로 보급될 수 있는 여건에서 비교적 나이 많은 어선 사용자가 그 작은 문자키 내지 숫자키를 이용하여 일일이 현장에서 어종과 어획위치 등을 입력하기가 어려움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출원인이 같은 날짜로 출원하는 "어선 현장에서 보고가 용이한 어획량 등 보고(또는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에 일부 구성을 부가한 발명이 어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는 기본구성 및 서비스방법에 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실태를 알고자 하는 당업자는 이미 공지된 기술 내지 기타 문헌은 물론 상기 "어선 현장에서 보고가 용이한 어획량 등 보고(또는 수집) 장치 및 그 방법"의 명세서 게시( 및 그 명세서에 게시된 선행기술 포함)를 추가적으로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통신망으로 어선이 능동적으로 위치보고, 어획량보고 등을 이행토록 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어선이 현장에서 쉽고 정확한 조작으로 어획량보고 등을 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 육상에서 수행하던 어선마다의 입력작업을 각 어선에 분산함으로써 더욱 더 상세한 어획량보고에 불구하고 어업용 해안국에서는 운용인력이 팽창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정해진 보고의무를 다할 경우 모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고 정해진 보고의무 내지 질적수준에 미달될 경우 서비스 일부를 제한함으로써, 보고 자료의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서비스 등급 제한에 의하여 어선과 해안국간 Give and Take 문화를 정착시키는 기술적기반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현재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정확한 어획량보고를 혁신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고 어선 관리기관의 긍지 와 정체성을 강화하면서도 국가기관의 지원정책이 실질적으로 어업인의 피부에 닿아 어업인의 입장에서 상호 Win-Win을 느끼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제도적 강제화에서 빚어지는 범법자 양산의 우려를 해소하면서 당근과 채찍을 병행하여 어업인 인식제고, 어업인 혜택부여 및 국가적 이익을 달성하는 서비스방법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기존 어업통신 운영기관(해안국)의 가입자 수용능력을 향상시켜 이제까지 국가적 관리 공백으로 되어 있던 5톤 이하의 선박까지 아울러 관리토록 대폭 확장하는 기술적 여건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해안국 서버에서 제공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단말장치가 다운로드 받아서 그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종과 어획수량을 입력함과 아울러, 단말장치 또는 DB서버에 시간별 위치로 저장되는 항적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서는 '항적에 연동되는 어획시간 또는 당해 항적의 위치를 검색 입력하는 조작'으로 보고토록 하는 등의 새로운 어선 편의성을 제공하며, 나아가 그 통신망 자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료 보고하는 수준에 따라 최소 기본서비스로부터 최대부가서비스까지 차등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적 구성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선 편의성과는 별도로 통신망 자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자료 보고하는 수준에 따라 최소기본서비스로부터 최대부가서비스까지 차등 공급하는 구성만을 선택적으로 취하는 기술적 구성 내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업통신 운영기관은 DB서버에 입력될 자료만 한정적으로, 그것도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수집하면서 일상통신은 어선 사용자와 가족 내지 위판장 등 생업과 관련된 기관 간에 직접 통신토록 하는 수단을 통하여 어업정보 관리기관의 트래픽 처리능력(즉 업무수행 여력)을 대폭적으로 향상하는 기술적 여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최소서비스는 국가 기관 내지 관리기관이 필요 및 어선 사용자 가족 간 연락 등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로 정하고 상기 최대서비스는 그 외 다른 어선 간 연결 및 다른 외부 망과의 연결로 함과 동시 필요에 따라 어황예보, 어군탐색정보, 수온분포도 등 어군 서식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제공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최대 서비스에는 통신망 이용에서 발생하는 통신료를 상쇄하는 통신료 지원금이나 면세유 공급 제어 등 수단을 부가하면서 이를 시스템에 연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운용중인 시스템 또는 단말장치의 부가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해상 어선에 통신서비스가 미치는 교환통신망에서 간단한 부가적 조치만으로 어업용 어선자료 수집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각 어선마다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작성하고 또한 변동시 갱신하는 방법은 어선 종사자가 표준용어를 모르고 통상적인 속어로 알고 있더라도 단말의 화면에 나타나는 용어에 따라 바르게 어획량 자료를 입력 내지 수정하고 전송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 특히 어선 사용자가 복잡한 문자 자판을 사용하지 않고 도 문자화 된 자료를 정확히 입력함에 준하는 방법으로 빠른 조작, 빠른 속도 및 정확한 자료로 육상에 도달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한 옵저버가 육상에서 판매된 어종을 직접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작성할 경우 더욱 더 정확한 실제상황이 반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항적저장 기능을 통하여 어획위치를 전송하는 구성은 단말장치에서의 단순한 어획시간, 예를 들면 '12(시)'라는 2자리 숫자 입력만으로 23자리로 되는 복잡한 위도/경도의 문자 내지 숫자를 모두 입력하는 것에 준한 환산 또는 직접 항적위치를 선택하는 조작만으로도 복잡한 위도/경도를 간단하게 직접 입력하는 것이 되므로 더욱 더 편리하고 정확한 어획량 및 어획위치 보고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어선이 현장에서 보고를 편하게 하면서도 정확한 보고 자료가 육상 관리기관에 도달되고 또한 어선이 통신망을 이용하는 유익한 정보, 다른 이용자와 연결하는 기능 내지 각종 지원금 혜택을 받기 위하여는 자발적으로 각종 보고에 참여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제까지 실질적으로 현장의 위치와 어획량을 제대로 정확히 수집할 수 없었던 기능을 서비스통제(보고를 이행하지 않을수록 서비스항목을 통제하는 '서비스통제' 표현은, 보고를 이행할수록 서비스항목이 향상되는 '서비스향상'과도 같은 맥락이다)에 의한 제도 및 위치/어획 관리 분산작업이라는 명제를 통하여 혁신하는 전기를 마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도적 강제화의 부작용인 범법자 양산의 우려 없이 당근 과 채찍이 병행된 서비스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어업인 인식제고 및 국가적 이익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위치보고 미이행 어선에 대하여 일일이 음성통신으로 인근 어선에 수배하던 업무가 대폭 줄어드는 효과도 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어업통신 운영기관은 DB서버에 입력될 자료만 한정적으로, 그것도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수집하면서 일상통신은 어선 사용자와 가족 내지 위판장 등 생업과 관련된 기관 간에 직접 통신토록 함으로써 그 어선과의 직접 통신에 관한 업무부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가 있으므로, 이제까지 공백으로 있던 2톤 이상의 모든 어선으로 확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선행기술]
본 발명에 대비될 선행기술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본 발명 이전에도 휴대단말기에 특정한 양식 틀을 구비하여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자료교환)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일반 무선통신용 교환망에서도 과금에 따라 특정한 가입자를 서비스 제한하는 기술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자 한다.
먼저, EDI는 사용환경이 상이한 데이터단말 또는 단말과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표준화 된 양식을 사용한다. 이 표준은 미국의 데이터교환표준협회에 의해 처음 개발되어 ANSI X.12에 정의되어 있으며, 정해진 양식상에서 다만 사용자가 컴퓨터 문자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인터넷의 하이퍼텍스트를 확장 표현하기 위한 언어) 형태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양식은 사용환경에 따라 임의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표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XML 헤더 이후에는 사용자 임의의 문자가 전송되는 것이므로, '양식의 동기화' 및 그 양식 내 '데이터의 비동기화'로 요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데이터의 비동기화 그대로 '다양한 컴퓨터 문자판'을 통하여 대부분의 정보가 다루어진다. 이에 비하여 이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일례는 서버에서 통제하여(필요시 단말에서도 입력하여) 각 사용자의 표준양식을 필요시 임의로 변경하고 컴퓨터 문자판 없이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된 문자는 사용자 임의의 문자가 아니라 서버와 약속된 문자로 전송되는 점에서 대표적으로 상이하다. 즉 큰 범주에서 보더라도 본 발명은 '양식의 비동기화'와 양식 내 '데이터의 동기화'로 구성되면서 '문자판을 사용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대비하지 않더라도 서로 상이함이 명확하다.
다음으로, 과금으로 이루어지는 교환통신망에서의 특정한 가입자 서비스 제한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료 지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통신망 운용자가 통신망 접속기능 내지 발신기능을 차단하거나 요금이 지불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단순히 제한한다. 여기에서 오프라인 상에서 사람이 인위적으로 이를 조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통신망에서의 정보와 사용자 요금지불은 정보의 유형 및 프로세스 측면에서 서로 유사성이 없기 때문에 인력이 반드시 개입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처럼 자료 보고의 여부를 정보시스템 그 자체에서 내부 정보의 유형으로 바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 면서 필요시 정보시스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입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구성과는 전혀 상이하고 또한 서비스 등급도 다단계로 제한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른 한편으로 EDI와 과금으로 인한 서비스 제한은 특정한 어선을 위한 서비스로는 부적합하여 이로부터 고심하여 아무리 추고하려 하더라도 이것이 어선의 어획량보고 내지 위치보고에는 검토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용도에서부터 전혀 상이하여 이는 서비스방법에 대한 큰 차이점을 나타낸다. 용도에 관한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선의 위치보고 내지 어획량보고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선이 바다에 출항하는 것은 어군을 발견 및 포획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어군탐색정보는 이 과정에 직접 필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인접국가와의 어업협상에 활용되어 우리나라 어선이 생업으로 활동할 영역을 확보하는데 기여하므로, 이를 위한 계절별, 위치별, 어종별 통계 기초자료인 어획량보고는 실증 데이터로서 어선의 생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어선이 바다에 출항하면 매일 1회∼3회 정도의 위치보고를 하는데 그 위치보고는 "북위35도28분30초, 동경129도30분20초"등 위도/경도로서 육상의 정보시스템에 도달되어야 정확하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어선은 연근해를 사방 10마일(18.5Km) 범위의 바둑판 형태로 분할한 고유번호 예를 들면 "87-5, 항해중"이라고 위치보고를 하고 있으며, 이는 음성통신망 운용능력상 부득이 한 것이다. 또한 어선의 어획량보고는 "꽁치 50Kg, 멸치 100Kg, 기타 잡어 50Kg"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어종은 국내 약 500여종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 내지 정보는 EDI의 정보처리 내지 과금에 대응하여 사용료 지불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로 통신망을 통제하는 것과는 명백히 구분된다. 즉 EDI는 정해진 위도/경도가 아니고 또한 정해진 어종이 아니다. 따라서 EDI는 양식만 특정한 표준으로 정하고 있고, 양식 내에 들어가는 예를 들면 위도/경도 숫자 내지 어종에 대응되는 일상적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넣을 수 있도록 자유로운 바 당연히 이에 따른 문자자판도 필요하다. 또한 이제까지의 과금에 의한 조치는 이러한 경도/위도 내지 어종별 숫자가 들어 온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요금이 지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므로 이하에서 상술되듯이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정보시스템(DB) 내부에서 테이블의 데이터 유입여부로서 직접 판단하는 과정과는 전혀 다르게 서로 연관성이 없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가면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 실시일례는 본 발명이 포함하는 많은 실시 중 대표적인 것만을 도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이하에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바, 더욱 더 상세한 설계는 실시단계에서 다양한 태양으로 나타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해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국(2a....2n)과 육상의 무선통신 해안국(1)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중에서 단말장치(2a)는 휴대폰이나 주파수공용시스템(TRS)을 예로 들어서 도시한 블록다이어그 램이지만 그 외에도 어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성통신 등을 연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모든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수용한 통상적인 중앙처리장치(2-1)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하여 다이얼(또는 주파수 설정) 및 필요시 문자도 입력하도록 부가할 수도 있는 키조작부(2-2)와, 내부의 상태정보 및 사용자 입력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2-3)와, 필요시 외부신호를 연동하도록 부가할 수도 있는 입출력부(2-4)와,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신호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2-5)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2-6)와,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송수신부(2-7)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선박용 이동통신 단말장치(2a)를 포함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육상 해안국(1) 구성으로서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데이터송수신부(1-3)에 데이터통신망을 제어하는 데이터네트웍제어부(1-2)와 서버(1-1)를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음성송수신부(1-7)에 음성통신망을 제어하는 음성네트웍스위치부(1-6)와 각종 과금 및 망가입자 연결을 제어하는 통신망서버(1-5)를 연동하여 선박용 이동통신 단말장치(2a) 가입자간 호 연결설정 서비스가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5) 및 (2-8)은 송수신부(2-7) 내지 송수신부(1-3, 1-7)에 연동되는 안테나이고, (1-1)은 통신망을 통하여 수집된 위치 내지 어획량 자료를 인력으로 입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며, 해안국(1)과 단말국(2a)은 특정한 주파수그룹으로 되는 공간매체를 통하여 안테나(1-4)와 안테나(2-8)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 아래쪽 그림은 휴대폰이나 TRS로 단말장치가 구성되었을 때의 외형도이다.
한편 통신망서버(1-5)는 이동통신 단말장치(2a)와 다른 단말장치(2n) 간 또는 외부 다른 사업자 내지 유선통신망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1-8)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호(call) 설정, 즉 망내(해안국 음성통신교환망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군을 말한다. 이하 같다) 단말장치(2a....2n)와 망외(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연결될 다른 사업자망의 가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사용자간 호(Call)를 연동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통신망서버(1-5)는 통상적으로 음성네트웍스위치부(1-6)에 연결되어 각 호(Call)에 따라 연결점을 제어하게 되는데, 특히 TRS(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의 경우는 각 망내 단말장치들(2a....2n)을 특정한 그룹으로 동적 그룹핑을 설정하여 그 그룹 내에서는 동시통화, 방송 내지 서로 다른 요금으로 통화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 즉 TRS와 같은 데서는 이미 사용자 인력 설정에 따른 등급으로서 서로 다른 접속기준과 서로 다른 요금기준을 차등 적용토록 하는 기술은 있을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서 그대로 나타나 있듯이 DB서버(1-1)와 통신망서버(1-5) 간에 직접 연동 제어되는 인과관계는 없다. 즉 데이터통신운용(1-2)을 포함하는 DB서버(1-1)는 음성 이외의 문자·그래픽 정보를 저장, 검색, 갱신하여 운용자에게 정보 제공 및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인터넷 등 다른 외부 운용자와 연동하여 정보를 교환·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음성통신용 통신망서버(1-5)는 망내 및 망외 호를 인식하여 단말장치(2a....2n)와의 연결을 설정하면서 기타 음성 통신망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각종 부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므로, 서로 연결될 인과관계는 없다. 즉 음성과 데이터는 정보로 최종 도출되는 한 서로 연동되지 않는 별개의 정보로 되는 것이 종래기술이었다.
현재 보급되어져 있지는 않지만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어선에서 위치보고 자동화를 할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 생략된 단말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GPS(위성측위시스템)로부터 측위된 어선의 위치는 예를 들어 입출력부(2-4)로서 중앙처리장치(2-1)에 입력되고, 이 위치를 기반으로 단말장치(2a)는 정해진 위치보고 시간에 달하거나 특정한 시간간격에 달하면 육상 기지국(1)을 호출하여 그 정보를 패킷데이터로 하여서 데이터송수신부(1-3)→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DB서버(1-1)의 경로로 DB서버(1-1)에 저장된다. 이때 (D1)....(Dn)은 복수의 단말장치(2a....2n)가 동시 내지 시차적으로 자동분배 접속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송된 정보는 DB서버(1-1)에서 각 어선마다의 위치테이블에 저장되는데, DB서버는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선과 미리 설정된 것에 근거하여 정해진 위치보고시간 내지 정해진 시간간격 내에 위치보고 하지 않았을 때 운용자에게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DB서버는 저장된 각종 어군탐색정보 내지 어업정보(수온분포도, 기상도 등)를 정해진 간격으로 각 단말장치(2a....2n)로 방송 내지 전송할 수도 있는 바, 구체적인 구성 내지 작용에 만약 이해가 부족하면 앞서 논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은 날짜 출원되는 또 다른 발명의 명세서 및 그 명세서에 게시된 선행기술을 참작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단말장치와 DB서버는 무선데이터통신으로 어획량보고를 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어종이 표준용어와 일치한다면 DB서버는 위치테이블과 같은 원리로 어획량테이블에 저장된다. 다만 구체적인 단말장치에서의 전송은 아직 선행기술에 나타난 것이 없으므로 어선에서 보고가 용이토록 DB서버에 어획량테이블이 구비될 수 있는 원리 외의 전송 내지 단말장치에서의 자료입력 등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단말장치(2a)로서는 어선 사용자가 망내의 다른 단말장치(2n) 또는 망외(1-8)의 특정한 상대방을 다이얼하여 호를 요구할 수 있고 이 호 요구신호를 통신망서버(1-5)가 받아서 음성네트웍스위치부(1-6)를 연결 제어함으로써 단말장치(2a)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바, 단말장치(2a)에서 다른 단말장치(2n) 등으로 연결하고자 호를 요구하는 것을 도 7에서는 outgoing 이라 표현하고 다른 단말장치(2n) 등에서 단말장치(2a)로 호가 연결되어 온 것을 도 7에서는 incoming 이라고 정의하였다.
통신망서버(1-5)로서 망내 각 어선 단말장치(2a...2n)를 그룹으로 지정하거나 각 단말장치마다 간단한 연결 서비스를 제한하는 기술은 있을 수 있다.
도 2는 앞서 도 1의 구성에 부가적으로 실시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모든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수용한 통상적인 중앙처리장치(2-1)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하여 다이얼(또는 주파수 설정) 및 필요시 문자도 입력하도록 부가할 수도 있는 키조작부(2-2)와, 내부의 상태정보 및 사용자 입력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2-3)와, 필요시 외부신호를 연동하도록 부가할 수도 있는 입출력부(2-4)와,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신호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2-5)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2-6)와,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송수신부(2-7)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선박용 이동통신 단말장치(2a)를 포함하는 한편, 그에 대응되는 육상 기지국 구성으로서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데이터송수신부(1-3)에 데이터통신망을 제어하는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와 DB서버(1-1)를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무선통신망에 연동되는 음성송수신부(1-7)에 음성통신망을 제어하는 음성네트웍스위치부(1-6)와 각종 과금 및/또는 망가입자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망서버(1-5)를 연동하여 선박용 이동통신 단말장치(2a)의 가입자간 연결설정이 가능토록 구성된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새로운 구성을 접목한 실시 일례이다.
즉, 도 2는 도 1의 해안국(1) DB서버(1-1)와 통신망서버(1-5)를 정보시스템간을 연계하는 네트웍제어부(1-11)로 연동하여서 DB서버(1-1)에 도달되는 데이터정보의 수집결과 분석에 근거하여 통신망서버(1-5)로 서비스가 제한되도록 연동함과 아울러 DB서버(1-1)에는 DB의 어획량관리테이블에서 표준용어로 설정된 많은 어종(예컨대 500여종) 중 해당 어선별로 일부만 발췌하여서 이를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 도 3 참조)로 설정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어선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어선에서 요구시 이를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단말장치(2a...2n)에는 표시부(2-3)에 그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2-10)가 나타나도록 하고 또 키조작부(2-2)로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2-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2-1)에 프로그램을 부가함으로써 해안국(1)에서 전송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반으로 단말국 (2a)에서 입력한 어종별 어획수량이 통신망을 통하여 DB서버(1-1)의 어획량테이블(1-1-2; 도 4참조) 등에 보고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의 표시부(2-3)에는 서비스를 제한 한 결과의 메시지(2-10)가 나타나도록 하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작용을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서 해안국 운용자는 DB서버(1-1)를 조작하여 어종별 리스트(1-1-1)를 작성하며, 예를 들면 가입 어선인 801강원호가 유자망 업종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유자망으로 어획할 수 있는 어종을 미리 입력하는 바, 그 어종은 DB의 통계자료에서 활용될 표준용어로 입력한다. 다시 말하면 가장 바람직한 것은 입력작업을 수행할 때부터 DB테이블에 등록된 어종을 불러와서 정확히 표준용어에 일치되도록 작성하는 것이다. 물론 801강원호가 최근 자주 어획한 어종만을 DB에서 불러오고 이로써 한정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요컨대 이러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는 단말장치(2a)에서 문자판을 통하여 입력하여야 할 어종을 육상의 DB서버(1-1)에서 입력하여 단말장치(2a)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보고 당시에는 문자판 조작이 필요 없도록 하는 것이다.
DB서버(1-1)에서 해안국(1) 운용자가 설정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는 해당되는 어선 식별자(ID)를 기준으로 예컨대 어선 단말장치(2a)로 개별 전송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룹 내지 당해 업종의 모든 어선에 일괄 방송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송에 의하여 단말장치(2a)의 마이크로프로세서(2-1)는 어선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부(2-10, 2-10-1)에 업로드 하고, 이후 보고 대상 어종 리스트(1-1-1)로서 단말장치 표시부(2-10, 2-10-1)에 나타나는 어종 중 어선이 현재 어획한 어종만을 선택하여 추가적인 수량을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어획보고할 자료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의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는 어선 사용자가 숫자 키만으로 ( ) 내의 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어종별 선택번호를 부가하였으나 이를 삭제하여 단말장치에서는 방향키로서 어종을 선택토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일례를 외형도에 도시하였다. 즉 도 3에서의 외형도에 의하면 육상으로부터 다운로드 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가 단말장치(2a)의 화면(2-10-1)에 나타나 있는 바 사용자가 메뉴(2-11-1), 방향키(2-11-2) 내지 숫자키(2-11-3)로서 어종을 선택하고 숫자키(2-11-3)로 숫자를 입력하는 등 정보를 완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메뉴와 방향키는 마우스와 터치스크린 조작으로 대체 또는 부가할 수 있고, 키를 사용하는 구성은 펜으로 필기하는 구성으로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2-4)를 통해 별도의 부가장치를 연결함으로써 보다 큰 화면에서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펜으로 단말의 화면상에서 쓰는 구조는 특정한 어획보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수로 나타나는 해양조사 결과(풍향, 풍속, 파고, 수온 등)의 입력에도 유효한 것이다.
한편,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는 육상의 DB서버(1-1)에서 또는 별도의 사무용 컴퓨터로 작업한 후 단말장치의 입출력부(2-4)를 연결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하지 않는 직결 구조로서 단말장치로 다운로드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단 이때 별도의 사무용 컴퓨터로 작성한 것은 본 발명에서 DB서버(1-1)에서 작성한 것에 포함되는 것으로 용어 정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해안국의 운용자 내지 어선 사용자가 직접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키조작부(2-11)로서 작성하여 미리 설정할 수도 있는데, 어느 경우라도 단말장치(2)의 표시부(2-10)에 도 3과 같은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의 기본테이블이 표시되어 키조작부(2-11)로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한편 보고당시에는 자동적으로 헤더가 부가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프로그램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 헤더의 자동 생성 부분은 컴퓨터프로그램 코딩분야에서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더 이상 설명은 생략한다.
요약하면 도 3의 작용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획량보고를 할 당시에는 문자판을 조작하지 않으면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숫자 입력만으로도 정확한 표준화 어종명칭으로 어획량보고 자료를 완성하며, 이러한 완성된 어획량자료가 육상에 도달되면 도 4와 같은 어획보고테이블(1-1-2) 입력 자료로 인식하여 DB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어획당시의 위치를 별도로 입력하거나 GPS측정위치로 함께 전송토록 하는 것은 앞서 패킷 프레임 등으로 설명한 원리와 같으나,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로서 어종과 수량을 입력한 때가 어획장소로부터 장시간 항해하여 어획장소와 어획량보고 시점의 장소가 상이하게 된 경우(심한 경우 어획량보고는 항구에 입항한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이 어획량보고 당시의 GPS측정위치를 단순히 포함하여서 전송하면 어획위치와 보고위치가 전혀 다르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연구도 필요하게 된다.
즉 이때는 단말장치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위치를 저장하는 항적(GPS로서 측위된 시간별 복수의 위치를 일정한 간격, 일정기간동안 연속 저장하는 항적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의 항적 정의는 이와 같음) 기록 프로그램수단을 구비토록 하면, 사용자의 보고시점이 예를 들어 18:00라 하더라도 그 어획시간을 예를 들어 06:00라고 지정함에 의하여 06:00에 처하였던 GPS측정위치를 소급 전송토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단말장치에서 복잡한 위도/경도의 어획위치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고, 한 번의 어획량보고에서 다수 회 어획한 실적을 위치별/어획어종별/수량/노력량(투망횟수)으로 나누어서 상세히 보고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물론 항적은 단말에 저장하지 않고 위치보고 되었던 서버(1-1)의 저장 결과 중 가장 근접된 시간대의 위치로 불러들여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단말에서 어획시간으로 입력하는 구성은 이미 저장된 항적기록 그 자체를 불러들여 선택키로서 해당되는 항적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상적으로 어획량은 1일 1회 정도, 위치보고는 1일 수회로서 많게는 수십 회 이상이므로, 육상 서버에 저장된 보고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항적으로 저장한 후 보고되는 어획시간을 이에 대입하여 그 어획장소를 환산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나아가 상세한 항적은 GPS로부터 측위된 위치를, 예를 들면 10분 단위 간격으로 단말장치에 연속 저장함과 아울러 그 저장된 항적을 서버에 전송하여 상호 같은 항적으로 유지토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에 관하여는 본 발명자가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25540호(2004.04.13. 출원)에 게시되어 있으므로 필요시에는 이를 참작하기 바란다.
미 설명부호 (1-12) 및 (1-13)은 무선망에서의 단말장치(2a...2n)의 일부 또 는 별도의 유선망 등으로서 주로 관리기관에서 운용하는 것을 서비스등급수준으로 이해하도록 물리적으로 구분 표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12)는 어선의 생업과 직결된 육상의 위판장 내지 공판장, 수산업협동조합, 입출항신고소, 해양경찰청, 구조본부 등 사용요금을 부과하지 않을 대상을 별도의 호 처리로서 구분되도록 표시한 것으로 이후 흐름도 설명에서는 이를 망내 육상 Call로서 다룬다.
또한 (1-13)은 어업용 해안국 자체용으로 구비하는 망내 육상 단말장치이며, 어선을 관리하기 위하여 서비스등급과 무관하게 어떠한 경우에도 상시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13)을 무선 단말장치로 구성한다면 해안국 운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통신망 자체를 운용 관리할 수도 있어 재택근무도 가능한 또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육상 DB서버(1-1)로부터 어종별 리스트(1-1-1)를 전송하여 각 어선 사용자가 용이하게 어획량보고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음(또한 바람직하게는 망내 전화사용료를 면제 내지 망외 연동 사용료도 일부 지원하고, 위판수수료도 일부 경감하는 것이다)에도 불구하고 DB서버에서 설정된 조건(기간, 시간 또는 내용의 충실도)에 준한 어획량보고(1-1-2)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도 4에서 DB서버가 각 어선별로 어느 어선이 보고하지 않은지를 검색하여 그 해당되는 어선을 네트웍제어부(1-11)를 통하여 음성통신망에서 제어함으로써 서비스등급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구체적인 서비스등급 제한은 이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나, 도 4에서는 그러한 give and take가 일어나지 않은 불균형에서 네트웍제어부(1-11)가 작동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등 급이 변경된 결과는 역으로 네트웍제어부(1-11)와 DB서버(1-1)와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와 데이터송신부(1-3)를 통하여 단말장치(2a)의 표시창에 미이행 메시지(2-10)로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시지 내지 서비스 제한은 위치보고 미이행에도 적용된다.
이상과 같은 도 2의 구성에 따른 도 3, 4의 작용은 다음에 설명하는 각 흐름도에서 보충 내지 체계적으로 설명된다.
도 5는 앞서 도 3, 4에서 작용되는 흐름도이다. 즉 앞서 도 3에서 DB서버(1-1)를 조작하여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를 작성한 것은 도 5에서 (118)로 나타나 있고, 이를 수신한 도 3에서의 화면 (2-10, 2-10-1)과 사용자의 키조작 수단(2-11-1, 2-11-2, 2-11-3)은 도 5에서 (108)로 나타나 있다.
도 5에서의 위치보고시(101)에는 GPS로 측정된 데이터를 업로드 하여 송신하며(102, 103), 이를 수신(104)한 해안국(1) DB서버(1-1)는 위치테이블에 그 위치자료(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한다(105, 106). 인력으로 어선이 통신망에 대기하여 조작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어느 때라도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만의 특징인 것이다. 여기에서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는 예를 들면 『단말장치(2a)에 미리 설정된 식별기호(ID)로서 자동적으로 만들어진 선박명(801강원호), GPS로부터 자동적으로 받아들여진 위도/경도 위치(N0352340/E1293025)』로 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해안국(1)의 DB서버(1-1)는 어선에서 전송된 패킷 프레임을 해석하여 앞서 도 4에서의 어획량테이블(1-1-2)과 같은 원리의 위치테이블을 통하여 DB서버(1-1)에 자료를 입력하게 된다.
도 5에 있어서, 단말장치는 DB서버에서 작성 전송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또는 단말장치에 입력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본테이블로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18, 117, 116, 115, 114).
이 과정에서는 각 어선의 업종에 해당하는 어종별 리스트를 새롭게 작성하거나 최근 수년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계절별 어획 가능성이 높은 어종만을 한정적으로 발췌하여 작성 및 갱신하게 된다. 어종별 리스트를 작성/갱신하는 목적은 500여종이나 되는 어종 중 당해 어선의 업종에서 불필요한 어종은 제외하여 예들 들면 1∼10종 중 적정한 정도로 간단하게 작성함으로써 어선의 보고작업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 표준용어로서 어선과 서버를 상호 연동시켜 어선에 문자자판이 없더라도 간단하게 색인하여 어종을 입력할 수 있고 나아가 정확한 DB의 키 값으로 입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는 DB서버가 어선 단말장치로 주기적 또는 어선 단말장치가 DB서버에 요구함에 의하여 다운로드 방식으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단말장치에서 휴대폰 문자입력 내지 화면상에서 쓰기 방식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하듯이 해당 어종을 직접 입력하거나 단말장치에 저장된 모든 어종 중 임의의 어종을 불러와 어획자료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모든 기능은 단말장치의 중앙처리장치 등에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보관 및 표현할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취사선택하는 수단을 일컬어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테이블 구성수단'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서버에서 무선 또는 직접 전송하는 구성에서는 기본테이블마저 함께 전 송토록 할 수도 있는 바 이것은 당연히 상기 정의된 개념에 포함된다.
DB서버에서 무선망 등을 통해 어선 단말장치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전송할 때는 선박식별기호(ID)를 대상으로 전송하고 그 내용은 어획테이블 및/또는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갱신데이터가 될 것이며, 단말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 및 조작토록 된다. 사용자의 화면 확인 및 조작은 도 3에서 연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다음으로, 단말장치는 저장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기본테이블을 불러들여 사용자가 어종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종에서 수량을 입력 및 GPS데이터 내지 '항적위치 또는 어획시간 자료'를 더불어 입력하고 전송하는 어획량보고 과정을 수행한다(107, 108, 109, 110).
이 과정에서 핵심은 어획량을 보고할 당시(107) 표준용어 또는 적어도 표준용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도의 명칭으로 입력된 어종을 대상으로 하여서 보고 대상 어종을 선택하고 간단한 숫자로만 어획자료{어종, 수량 및 필요시의 조업일자, 조업회수(노력량), 조업위치 등}를 작성함으로써 어선 사용자의 보고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있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어획량보고 화면(2-10, 2-10-1)을 업로드(upload, 2-11-1) 한 상태에서 방향키(2-11-2) 내지 숫자키(2-11-3)로 가로 세로로 움직이면서 각 어종 및 수량 항목에서 어획보고 자료를 입력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자동적으로 산출되는 합계물량까지 확인한 후 전송조작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 바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앞서 위치데이터와 합쳐질 경우 예를 들면 『단말장치(2)에 미리 설정된 식별기호(ID)로서 자동적으로 만들어진 선박명(801강원호), GPS로부터 자동적으로 받아들여진 위도/경도 위치(N0352340/E1293025), 사용자가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반으로 작성하여 이것에 헤더가 부가된 어종/수량(X001/Q100, X002/Q50, X005/Q150)』으로 된 패킷데이터가 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전송조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어획쿼터 대비 이제까지 보고된 어획량(소진율)을 서버로부터 자동적으로 리턴(return) 받을 수도 있으며, 그 한 예는 "쿼터량 : 오징어100,000Kg/한치100,000Kg, 소진량 : 오징어30,000Kg/한치10,000Kg, 잔량 : 오징어70,000Kg/한치90,000Kg"이 될 것이다. 어획량보고와 어획쿼터의 소진율 관리는 주변국 어업협정에서 중점 관리대상이기도 하므로 육상의 해안국(1) 뿐만 아니라 당해 어선(2)에서 상세히 알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도 5의 실시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방향키와 병행 조작되는 숫자버튼 또는 화면상의 필기 조작으로서 보고될 어획자료를 완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어획량보고를 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에 화면이 제공되고 여기에서 기본적인 컴퓨터 문자판 조작 없이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조작하여 어획량보고가 가능하면서 출원일 현재까지 공지 내지 공연히 실시되지 않은 목적(효과) 대비 구성은 이를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 것으로 봄이 당연하다.
다음으로, 어획량자료를 수신한 해안국(1)의 DB서버(1-1)는 해당 어선의 어획테이블에 그 어획량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11, 112, 113).
이 과정에서는 DB서버에서 전송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상의 어느 하나 이상의 어종과 어선으로부터 수신된 어종이 표준용어 내지 표준코드로서 일치할 경우에는 분류(수정) 작업이 필요 없도록 직접 DB에 저장되고 필요시 그 저장된 상황을 알릴 수 있으나, 만약 일치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전송도중 에러 또는 사용자가 단말장치에서 직접 입력하면서 표준용어 또는 코드체계가 맞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그 상황을 분류하여 메시지로 표시하면서 해안국 운용자가 수정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2개의 과정 중 어느 하나에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대로 간단한 어획시간 또는 항적위치의 선택 입력으로 단말장치에 저장된 항적을 소급 전송하거나 육상 서버에 저장된 항적을 불러들여 대입함으로써 어획당시의 위치를 소급 유추토록 한다.
도 6은 앞서 도 5에 이어서 일어나는 것으로서 도 5에서의 어획량보고 여부를 검색한 결과 미이행 어선 발생시 해당 어선에 한하여 서비스등급을 제한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은 서비스 등급을 예로 들어서 묘사한 것이다.
먼저 도 6에서 위치보고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서 단말장치(2a)가 위치보고를 행하면(201) 해안국(1)은 이를 위치테이블에 저장하는데(202) 이 과정은 앞서 도 5에서 (101∼106) 과정이 도 6에 요약된 것으로서 GPS로 측정된 데이터를 업로드 하여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해안국 DB서버는 위치테이블에 그 위치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것인 바, 인력으로 어선 이 통신망에 대기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어느 때라도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만의 특장점이 도 6에도 적용된다.
다음으로 해안국(1)은 위치보고를 미이행한 어선이 있는지를 DB서버(1-1)에서 검색하여(203) 만약 미이행한 어선이 없으면 모든 어선을 최대한의 서비스로 유지하고, 만약 위치보고를 미이행한 어선이 있다면 해당 어선을 그 미이행 단계에 따라 서비스 등급을 차등 제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04-0→210-0, 204-1→210-1, 204-2→210-2, 204-n→210-n).
즉, 이 과정에서 모든 어선이 정상적으로 위치보고, 예를 들면 4시간에 한 번씩 위치보고토록 되어 있는 제도에서는 직전에 위치보고 한 것보다 4시간 정도 후 다시금 위치보고가 된 때(또는 설정된 시간 내지 횟수 내에 보고된 때) 이를 정상적인 위치보고 이행으로 보아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시각을 정해 놓고 그 시각에 위치보고 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으나, 정부에서 위치보고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의도에는 보다 정확한 어선위치를 수집하기 위하여 매 수 분 내지 매 수십 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으로 비교적 조밀하게 위치를 수집코자 하고 있는 바, 정상적인지의 여부는 어느 특정한 시간간격이나 시각에 한정되지 않고 그와 같은 포괄적(취사선택적) 제도 하에서 정해진 시각 또는 간격으로 어선이 위치보고 의무를 이행하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다.
도 6에서 서비스 등급0(210-0)으로 묘사된 모든 서비스라 함은 예를 들어 도 7에서 서비스 등급0(210-0)으로 비교적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 어선(210-0-0)이 해안국 운용자와 자신의 가족 전화와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210-0-a) 와, 해상에서 단말장치를 통하여 해안국에서 제공되는 모든 어업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210-0-b)와, 예컨대 TRS 등 통신망 내부의 가입자로서 해상에서 조업 중인 모든 어선과 무선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210-0-c)와, 또한 그 망내의 가입자로서 육상에 있는 가입자와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210-0-d)와, 망외 유선전화와의 로밍 등으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210-0-e) 등 모든 서비스를 차별없이 또는 약정된 바의 선별 설정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와 같은 서비스는 대표적인 일례를 들어서 도시한 도 7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면서 이하 서비스를 등급(1, 2, 3 .... n)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더욱 더 세분될 수는 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데이터통신을 통한 위치보고 여부를 검색하여 이질적인 음성통신교환망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음성통신으로 위치보고를 받은 후 이를 인력으로 DB서버에 입력함으로써 이후 DB서버가 검색하여 동일하게 음성통신교환망을 통제토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수단으로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는 DB서버(10-1)에서 검색한 결과로서 통신망서버(10-5)가 서비스를 제한하도록 하는 물리적인 구성은 네트웍제어부(10-11)가 작동토록 하는 것에 준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이 과정의 상세한 서비스 등급제한으로서 만약 위치테이블 검색결과(203) 미이행 어선이 있고(204-0) 그 미이행 단계가 1단계에 달하였다면(208-1) 해안국 교환시스템은 서비스 등급을 등급A(210-1)로 제한하는데, 그 결과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등급A(210-1)와 같이 어업정보 중 일부만 제한하여 서비스 되도록 함(210-1-b→210-1-0; 즉 수온분포도, 기상도 중에서 기상도만 어선으로 제공하는 등의 제한 조치)과 동시 음성통신교환망을 통제하여 망외 일반전화와는 거는 전화는 차단하고 받는 전화만 가능토록 제한(210-1-e→210-1-0)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단계 서비스 등급 제한은 특정한 수역에 입어하는 경우 어선은 부득이 잠시 위치보고를 꺼두는 속성(즉 1회 내지 2회의 위치보고 미이행)이 있음을 감안하기 위한 여유적인 서비스 제한 조치로서 어선에 경각심을 심어 줄 정도로 최고수준의 서비스만 제한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상세한 서비스 등급의 제한은 같은 원리로 보다 강화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도 7의 서비스 등급B(210-2), 등급C(210-3) ..... 등급n(210-n)과 같이 미 이행 정도에 따라 점차 강화하여 최종적으로는 통신망을 관리하는 센터와 어선원 가족만이 연락 가능하고 나머지는 단계적으로 모두 차단하는 서비스 제한을 시행할 수 있다. 한편 이때는 다른 어선에 그 특정한 어선이 위치보고를 미 이행하였다는 것을 전탐메시지(215)로 알려 수색에 공조하도록 함과 동시 그 서비스 등급이 제한된 사실을 미 보고대상선박에게 메시지로 알려(212, 213, 214) 가능한 빨리 정상보고를 이행토록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어선이 위치보고 기능을 일시 차단한 채 잊고 방치하였거나 어선이 고의적으로 위치보고를 회피하는 경우이거나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각 단계는 예를 들어서 1회 내지 2회의 간단한 위치보고 미 이행을 서비스등급제한 제1단계로 하고 3회 내지 4회 미 이행에서 서비스등급 제2단계, 그 이상 예컨대 1일 이상 위치보고를 미 이행한 때 이를 서비스등급 제n단계로 하여서 각각의 서비스를 세분하여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 어획량보고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획량보고는 앞서 도 5의 (107) 내지 (118)의 과정으로 수행되는데, 그 결과는 도 6에서 (205, 206)으로 나타나 있다. 즉 어획량보고는 해안국 DB서버와 같은 표준용어로 어선 단말장치에 저장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기준으로 하여서 매 어선이 어획량을 입력하고 취사선택적으로 어선위치를 포함하여 전송하면 해안국 DB서버는 어획량테이블에 매 어선마다의 어획량을 어종별 수량으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앞서 설명한대로 어선위치를 전송하는 대신 간단한 어획시간 입력 또는 항적위치를 불러놓고 선택 입력함으로써 단말장치에 저장된 항적을 소급 전송하거나 육상 서버에 저장된 항적을 불러들여 소급 유추토록 대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DB서버는 특정한 시간 내지 주기적으로 어획테이블을 검색하여 매 어선마다 어획량보고가 제때에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207) 후 정상적인 보고를 이행하였다면(208-0) 모든 어선을 서비스 등급0(210-0)으로 유지한다. 서비스 등급0(210-0)이라 함은 앞서 위치보고 여부에 의한 서비스제한 원리를 설명하면서 도 7에서의 (210-0-0, 210-0-a, 210-0-b, 210-0-c, 210-0-d, 210-0-e)의 서비스 등급0의 내용과 같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함을 말한다.
여기에서 매 어선마다 어획량보고가 제때에 이루어졌는지의 검사 수단으로는 앞서 위치보고 때의 시각 내지 시간 간격으로 검사하는 것보다는 어선의 조업행정에 유추하여 검사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어선이 출항한 후 입항하기까지 어획량보고를 한 번도 하지 않은 어선을 검색하여 운용자에게 메시지 등으로 인지시키면 운용자가 실제로 조업한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이를 서비스 제한 대상 및 지정된 등급으로 조치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위치보고와 연계하여 출항 후 특정한 장소에 장시간 머물러 조업한 것으로 유추되면서도 어획량보고를 하지 않은 경우 또는 출항 후 특정한 장소에 설정된 기간 진입/진출하여 머물렀으면서도 어획량보고를 하지 않은 경우 등을 자동적으로 검색하는 등의 조건을 통하여 다양하게 검색 및 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획량보고 미 이행의 검색은 어선의 업종별 조업형태를 감안하여서 업종별 다양한 변수로 미리 설정하여 검색토록 하는 것으로 이에 미달되었을 때를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수준의 자료 보고 미 이행'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만약 특정한 어선이 어획량보고를 이행하지 않으면서 그 미 이행의 정도가 제1단계(208-1) 정도로 약하다면 앞서 위치보고에서의 원리와 같이 그 특정한 어선의 서비스 등급을 A(210-1)로 제한하고, 나아가 미 이행의 정도가 심하다면 그 단계에 따라 서비스등급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며(208-2, 208-n), 그 강화된 때(212)에 미 이행 선박(213)을 대상으로 서비스등급이 제한된 사실과 어획량보고를 이행하면 다시금 서비스 등급이 회복된다는 등의 안내 메시지를 어선에 전송할 수 있다(214).
그 미 이행의 정도는 앞서 위치보고 때와 같이 1회, 2회 등 연속적으로 미 이행하거나 또는 설정된 1개월의 기간 동안 몇 회나 미 이행했는지의 정도로서 단계를 구성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요컨대, 이 과정에서 어선 단말장치(2a)는 앞서 도 2에서 외형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다이얼 등으로 통상적인 음성통화를 사용할 수 있되(209), 만약 어획량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해안국의 DB서버(1-1)가 인지하여 그 결과로 통신망서버에서의 네트웍스위칭 통제가 일어나면(211) 그 단계별 서비스 등급 제한(0, A, B .... n)에 따라 음성통신망에서의 어선편의를 제한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에서의 결과를 음성통신교환망에 피드백시켜 데이터통신에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어선만을 한정적으로 추출하고 또 그 의무 이행 불성실의 정도에 따라 음성통신교환망의 스위칭제어수단을 통제함으로써 어선에 경각심을 고취하고 궁극적으로는 어선 보고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등급을 제한하기 위한 음성네트웍스위칭 통제에는 상기와 같은 네트웍스위치의 (210-0-0, 210-0-a, 210-0-b, 210-0-c, 210-0-d, 210-0-e) 중 어느 하나이상인 연결점 제어뿐만 아니라 각 연결점은 그대로 두고 그 통화시간을 1분, 2분, 3분,..... 등으로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서비스통제란 이와 같이 공간적/시간적 통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서비스등급을 제한하기 위한 하나의 설계안을 예시하자면 운용관리자가 TRS 통신망서버에서 가입자를 등록할 때 가장 기초적인 등급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0-n)로 한 후 보고참여의 수준에 따라 (210-3, 210-2, 210-1, 210-0)로 확장되는 방안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확장되는 등급은 도 7에서와 같이 특정 한 기준으로 일괄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가입자의 의향을 물어가면서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서비스 제한이라는 의미는 이와 같은 역발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어선에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등급제한 메시지(214)는 어선에 시스템 감시의 상호 인지수단으로도 작용하므로 어선이 조기에 보고를 이행하도록 이끄는 효과도 얻는다.
도 8은 도 6의 흐름도를 간략히 요약한 전체적인 체계도로서, 서버에서 작성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에 기반하여 어획자료가 되돌아오고 그 되돌아 온 결과를 분석하여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원리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묘사한 흐름도이다.
상기 게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많은 구성중 하나를 들어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4, 5에서 나타난 단말장치에 어종을 입력하는 구성은 상기 설명과 같이 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다운시키거나, 사용자 요구시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하거나, 단말을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단말에서 키조작부를 통하여 직접 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 공장 출하시 모든 어종을 미리 입력한 후 사용자의 방향키, 숫자키 내지 필기도구의 조작으로 이를 불러들여 한정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로서 작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 4, 5, 8 등의 구성은 다양한 어종을 상세히 보고하기를 요구하는 국내 국립수산과학원 등 정부기관의 정책에 부합되는 한편, 이를 위하여 어선에서 복수의 어종별 어획량을 보고함에 있어서도 표준용어 내지 표준코드로 직접 DB에 저장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어획량보고에 있어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간결한 용어로 기재된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설명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주요 용어를 정의하는 바, 다른 일반적인 용어의 해석은 이와 같은 명세서의 용어정의에 부수적으로 참작될 수 있을 뿐 이하 기본적 개념의 용어정의에 우선하지 못함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중앙처리장치(2-1)란 단말장치의 모든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수용한 통상적인 중앙처리장치(CPU)를 말한다.
키조작부(2-2)란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하여 다이얼 또는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취사선택에 따라서는 문자도 입력하도록 부가하는 통상적인 키조작 수단을 말한다. 키조작부에는 필요시 필기도구로서 단말의 화면상에서 문자로 입력하는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란 단말장치에서 내부의 상태정보 및 사용자 입력상태를 나타내는 통상적인 표시수단을 말한다.
입출력부(2-4)란 단말장치에 취사선택적으로 부가하는 구성으로서 내부 혹은 외부 신호를 연동하도록 구비되는 통상적인 입출력수단을 말하며, 예를 들면 외부의 경우 RS-232, USB port, 브루투스 등으로 구성된다.
스피커(2-5)란 단말장치에서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신호 등을 출력하는 통상적인 가청주파수 출력 수단을 말한다.
마이크(2-6)란 단말장치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통상적인 음성입력 수단을 말한다.
송수신부(2-7)란 단말장치에서 무선통신망에 연동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송수신부를 말하며, 여기에서의 단말장치는 SSB, VHF, 휴대폰, TRS, 위성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상적인 단말장치 수단을 말한다.
데이터송수신부(1-3)란 해안국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데이터통신용 무선통신 기지국으로 안테나를 포함한 구성이며, 역시 SSB, VHF, 휴대폰, TRS, 위성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상적인 중계국 내지 운용국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음성송수신부(1-7)란 해안국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음성통신용 무선통신 기지국으로 안테나를 포함한 구성이며, VHF, 휴대폰, TRS, 위성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상적인 중계국 내지 운용국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DB서버(1-1)란 상기 송수신부(1-3)로부터 수집되는 어선의 데이터통신 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문자·기호·숫자 등의 데이터신호로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을 말하고 그 기능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 컴퓨터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일체화 연동할 수도 있다. 특히 서버를 중앙집중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각 지방에 연동되는 클라이언트는 사실상 서버에 간주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여 이를 DB서버라 정의한다. 한편 DB서버(1-1)는 무선통신용 해안국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중앙집중방식으로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B서버에 수집되는 자료는 앞서 송수신부(1-3)의 입출력경로에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를 연동하여 DB서버와 직결함으로써 어선으로부터의 보고 자료 입력 및 어선으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와 어업정보 등을 전송토록 할 수 있으나, 도 2에서 의 운용콘솔(1-13)로서 음성으로 인지된 자료를 인력으로 저장하는 수단도 포함된다.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란 앞서 상세히 설명 및 정의한 바와 같이 서버에서 각 어선마다 자주 어획하는 어종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작성하는 수단(1-1-1) 또는 공장 내지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작성하는 등의 수단을 말하며, 작성된 이후에는 자동적인 헤더 부착으로 서버와 단말장치 간 정보 연동이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사용하여 DB서버에 어획량보고 자료(1-1-2)로서 도달되도록 하는 수단을 말한다.
미이행 메시지란 서비스 등급이 변동된 사실, 위치보고 또는 어획량보고가 미 이행된 사실을 당해 어선에 알리는 수단으로 단말장치 화면에 나타나도록 단말장치의 중앙처리장치와 표시부에 나타내는 수단을 말하며, 여기에는 다른 어선이 위치보고를 하지 않아 수배중인 사실 즉 전탐메시지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란 여러 단말장치(2a....2n)를 서로 신호 충돌 없이 단일 내지 복수의 채널에서 통제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아 DB서버에 저장 내지 DB서버로부터 어선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내지 경로 수단을 말한다.
음성네트웍스위치(1-6)이란 음성송수신부(1-7)로부터의 음성통신을 가입자간 연결하는 통상적인 음성통신망의 교환장치를 말하며, 호 처리와 통신경로 연결·해지를 수행한다.
통신망서버(1-5)란 음성네트웍스위치(1-6)를 그룹, 일제지령 등 동적 그룹을 할당함과 아울러 통상적인 음성통신망 연결을 제어하는 수단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음성네트웍스위치(1-6)에 연동 내지 일체화되어 서비스 등급 조건에 따라 연결 제어하는 서비스등급제어부(1-10)를 취사선택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게이트웨이(1-8)란 망외의 외부 망, 즉 유선통신망이나, 다른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등을 연동하는 수단을 말한다. 통상적인 로밍이나, outgoing, incoming은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경유한다고 생각하면 무방하다.
네트웍제어부(1-11)란 DB서버에서 위치보고 내지 어획량보고 여부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결과로서 통신망서버에서의 서비스 등급을 연동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따라서 네트웍제어부는 특정한 물리적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DB서버 또는 통신망서버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이다. 만약 네트웍제어부(1-11)가 없다면 당업자가 본 발명과 같은 기술을 추고했다 하더라도 일일이 각 어선마다 검색하고 또한 일일이 그 결과로서 통신망서버에서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조치를 수작업으로 개별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네트웍제어부는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유관기관(1-12)이란 해안국(1)에서 관장하는 망의 일부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기관을 말하며, 어선의 생산활동, 입출항관리, 조난구조 등을 지원하는 기관을 말하며, 이것은 서비스 등급의 차별을 나타내기 위하여 묘사된 것이다. 즉 단말장치(2n)와 게이트웨이(1-8)와 유관기관(1-12)은 서비스의 등급에 따라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될 수 없음을 뜻하는 구분이다.
운용콘솔(1-13)은 해안국 운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내지 유선 단말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등급에 불구하고 항상 어선 단말장치와 연결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은 어선이 유사시 육상과 연락해야 할 최소한의 연락망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해안국(1)은 이러한 비상연락망을 가지고 있음으로서 새로운 TRS 등 이동통신망을 도입하면서도 그 어선지원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것이다. 운용콘솔(1-13)은 무선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이치상 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육상의 114 안내전화와 같은 기능으로 재택근무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특히 돋보이는 것은 무선 기능을 통해 통신망이 미치는 구역에서는 어디에서든지 해안국 운용장치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유사시 비상근무 인원을 유연하게 확장 내지 축소 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용어에 있어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와 그 부속설비'라 함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고 상기 용어로 정의된 바를 기초로 하여서 '중앙처리장치(2-1)를 중심으로 상기 키조작부(2-2)와 표시부(2-3)와 입출력부(2-4)와 송수신부(2-7)와 안테나(2-8)와 스피커(2-5)와 마이크(2-6)가 모두 결합 내지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적으로 연동되어서 해안국통신시스템과 데이터통신 및/또는 음성통신을 수행토록 된 통상적인 구성'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용어에 있어서, '해안국통신시스템(1)과 그 데이터네트웍설비'라 함은 도 1 및 도2에 나타내고 상기 용어로 정의된 바를 기초로 하여서 'DB서버(1-1)를 중심으로 데이터망제어부및인터페이스(1-2)와 데이터송수신부(1-3)와 안테나(1-4)가 모두 결합 내지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적으로 연동됨으로써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토록 된 통상적인 구성'을 말하고, '해안국통신시스템(1)과 그 음성네트웍설비'라 함은 '음성네트웍스위치(1-6)를 중심으로 통신망서버(1-5)와 음성송수신부(1-7)와 안테나(1-4)와 게이트웨이(1-8)와 운용콘솔(1-13) 등이 모두 결합 내지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적으로 연동되어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에게 음성통신 호 설정·해지가 가능토록 된 통상적인 구성'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용어에 있어서, '어업정보'라 함은 외부 망과의 연동 내지 자체적 프로그램으로 통계데이터를 생성함에 의하여 '상기 DB서버(1-1)에서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는 수온분포도와, 어획량보고 및 어종별 계절별 어군분포도, 인공위성 또는 시험선으로부터 조사된 영양염류 내지 플랑크톤 분포도, 인공위성관측 내지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어업기상(문자, 그림, 동영상 포함), 산지위판장으로부터 판매한 어종별 어가 시세 등을 모두 내지 취사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어업생산 및 어선의 안전을 강화하는 정보'를 말하며, 여기에도 앞서 서비스 등급이 0, A, B, .... n로 단계별 제한되는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용어에 있어서, '전탐메시지'라 함은 위치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어선에 대하여 DB서버가 검색하여 해안국 운용자에게 메시지로서 인지토록 함(또는 경유함)과 아울러 인근의 어선이 수색할 수 있는 정보로서 해상의 선박에게 방송(문자, 음성을 포함한다)하는 수단'을 말한다. 여기에서 데이터통신으로 그 전탐메시지를 알릴 수 있음은 위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인지하였을 것이나, 음성으로 이를 알리는 것에는 상기 DB서버(1-1)의 출력단에 TTS(Text To Speech; 문자음성자동변환장치)를 개재하여 음성네트웍스위치부(1-6)에 연동함과 아울러 음성네트웍스위칭부는 모든 선박에 알릴 수 있는 그룹으로 방송하는 절차 등을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용어 중 제한된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등급0이 등급A, B 또는 등급n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DB서버에서 설정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단말장치에 다운로드하여 보고 자료를 입력하는 구성은 단말에서 DB서버를 온라인 방식으로 접속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예컨대 인터넷 연동방식을 포함한다.
TRS는 인간의 음성이 음절에 따라 쉬는 공백이 발생하는데 그때마다 다른 사람에게 채널을 할당하면 동일채널 내에서 트래픽 처리능력이 우수하게 된다는 이론에서 출발하게 된 통신방식으로 구체적인 것은 당업자라면 익히 알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현대의 대부분 디지털 TRS는 TDMA(시분할다중접속) 또는 FHMA(주파수 호핑방식) 등을 사용하여 다중화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중 GPS는 위성측위시스템을 말하며,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물론 기타 위치기반서비스인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에서 옵저버가 육상에서 판매된 어종을 직접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작성할 경우 더욱 더 정확한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구성으로 현장의 어선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직접 보고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앞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로 다운로드된 정보에 기반하여 어획량(및/또는 어획시간 등)을 입력 한 후 육상에 입항하여 직접 서버 계통에 연결하여 보고토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자료 입력 및 보고'라 함은 그와 같은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이제까지 본 발명의 설명은 선박에서 위치보고 내지 어획량 자료를 미 보고한 것을 주로 다루었으나, 그와 같은 보고 미 이행은 물론 정해진 어종 또는 정해진 수량을 과초과/과미달로 보고하거나 등록된 업종으로는 도저히 어획할 수 없는 엉뚱한 자료로 입력되는 미흡한 자료보고도 역시 미 보고로 준하여 취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앞서 설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취사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제까지 위치보고와 어획량보고에 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보고의 미 이행시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원리는 현장의 수온, 풍향, 풍속 등을 조사하는 업무를 외주로 주어 정기적으로 이를 보고토록 하였을 때 그 이행하는 정도에 따라 서비스를 증가 내지 축소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용어인 Give and Take에 있어서, Give를 해안국측면에서 보면 먼저 해안국이 모든 서비스를 시행한 후 미이행 정도에 따라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통제하는 서비스통제 표현이 되고, Give를 어선측면에서 보면 해안국이 최소의 서비스를 시행한 후 보고를 이행할수록 서비스 받는 혜택이 단계적으로 늘어나는 서비스확장 표현이 되는 것이 되므로, 기본서비스의 개시만 다를 뿐 본 발명은 당연히 그 중 어느 방법으로 취사선택 되는 것으로, 즉 최고수준으로부터 서비스 제한한다는 의미는 곧 역으로 보아서 최저수준으로부터 서비스를 확장한다는 것과 같은 의 미이다.
본 발명은 해상의 어획량 관리 내지 보고를 필요로 하는 분야, 즉 육상의 시스템, 해상의 단말장치 및 통신망을 운용하는 서비스 부문에 폭넓게 활용되어 업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어종 테이블은 물론, 육상의 해안국에서 단말장치로 표준용어 내지 표준코드의 어종명칭을 전송하여 단말장치 사용에서 생력화를 도모하면서 또한 어선에서 보고 미 이행시 서비스를 제한하는 서비스방법은, 현재 실질적으로 정확한 어획량보고가 이루어질 수 없는 점에 비추어 국가, 관리기관 및 어선 사용자 개개에게 파급이 미치는 지대한 효과가 있고, 나아가 어선 관리기관의 정체성 확보로 보다 안정된 운영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산업에 이용되는 측면의 검토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장치 그 자체를 제조 내지 시공하는 업으로서 산업에 미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장치나 서비스 방법이 있음에 따라 제대로 된 어획량자료가 획득되고 위치보고 미 이행시 자동적으로 전탐메시지가 방송되어서 어선수색이 용이한 등의 부가가치로 관리기관의 브랜드가치가 올라간다는 점을 주시해야 하며, 또한 기존 어업용 해안국에서 인력팽창 없이 가입자를 대폭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부가가치로 그 산업상 이용성도 나타난다.
특히, 상기 TRS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예컨대 어선용 TRS 또는 어업용 TRS라고 명명되는 바와 같이 해상의 어업분야에서 탁월한 산업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본 발명은 어선에서 데이터통신으로 보고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성통신으로 보고해야 하는 자료도 인력이 보조적으로 중간에 개입하여 작동하도록 응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고해야 할 업무를 아웃소싱한 때에 그 의무의 이행 여부에 따라 여타 편이로 전화망을 서비스 제한하는 등의 목적으로도 예컨대 재난통신망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어선에 있어서도 일정한 통신요금을 납부하지 않은 때에 인력으로 이를 정보시스템에 인식시켜서 자동으로 서비스 등급을 제한하는 서비스방법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국(2a....2n)과 육상의 무선통신 해안국(1)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시스템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부가적으로 실시한 본 발명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과 도 4는 도 2의 작용을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3, 4에서 작용되는 각종 보고의 흐름도.
도 6은 도 5에 이어서 일어나는 보고 미 이행시의 서비스 등급 제한 흐름도
도 7은 서비스 등급의 내용을 구체화 한 일례.
도 8은 도 6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총괄흐름도.

Claims (14)

  1. 'DB서버(1-1)와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 및 음성네트웍스위치(1-6)와 상기 음성네트웍스위치(1-6)의 음성네트웍설비로 결합된 해안국통신시스템(1)'으로서,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로 결합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 간에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이 가능한 한편;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와 음성네트웍스위치(1-6) 사이에는 데이터통신의 결과에 따라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을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웍제어부(1-11)를 개재함으로써; 선박의 데이터통신을 통한 설정 수준의 자료보고 이행여부에 따라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이 변경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에는 단말장치(2a) 사용자가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를 이용하여 어획자료를 입력 및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2)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2) 설정 수단'으로부터 설정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단말장치의 요구시 또는 DB서버(1-1)에서 임의 내지 주기적으로 단말장치(2a)로 다운로드 한 후;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에 기반한 단말장치(2a) 사용자의 어획자료를 보고받아 DB서버(1-1)에 저장함으로써; 선박의 자료보고 편의를 제공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에는 어선으로부터 위치보고 된 복수의 위치를 항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고; 단말장치(2a)에서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에 기반하여 자료를 입력하면서 어획시간을 추가적으로 입력하고 보고함을 근거로; DB서버(1-1)가 상기 어획시간에 근접한 항적을 불러들여 이를 어획위치로 환산 저장토록 연동됨으로써; 선박의 자료보고 편의 및 정확성을 높이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음성통신망의 서비스 등급이 변경된 때 이를 당해 단말장치(2a)로 메시지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5. 'DB서버(1-1)와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로 결합된 해안국통신시스템(1)'으로서,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로 결합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 간의 데이터통신으로 자료 수집 및 어업정보 제공이 가능한 한편;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는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로부터 보고되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설정된 조건으로 검색 및 제어함으로써;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의 설정된 수준 자료보고 이행여부에 따라 DB서버(1-1)로부터의 어업정보 서비스 등급이 변경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6. 'DB서버(1-1)와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로 결합된 해안국통신시스템(1)'으로서,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로 결합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 간의 데이터통신으로 자료 수집 및 정보 제공이 가능한 한편;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는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로부터 보고되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설정된 조건으로 검색 및 제어함으로써; 위치보고를 위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가 설정된 수준의 위치보고를 미 이행하는 때에 DB서버(1-1)로부터 당해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를 탑재한 선박의 전탐메시지가 복수의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n)로 방송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7.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로 결합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로서, 'DB서버(1-1)와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 및 음성네트웍스위치(1-6)와 상기 음성네트웍스위치(1-6)의 음성네트웍설비로 결합된 해안국통신시스템(1)' 간에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이 가능한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2-1)에는 단말장치(2a)에서 보고되는 어종이 상기 DB서버(1-1)의 어획테이블 어종과 일치될 것을 전제로, 단말장치(2a)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어종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장치(2a)에 복수의 어종으로 미리 입력된 자료 중 사용시 임의의 어종을 불러와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를 설정할 수 있는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 테이블 구성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해안국통신시스템(1)에서의 서비스 등급 변경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에 포함된 키조작부 또는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에 기반한 어획자료를 입력 및 보고하고 또한 상기 서비스 등급 변경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해안국통신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등급 변경 사실을 모니터하도록 된 단말장치(2a)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의 중앙처리장치(2-1)에는 복수의 위치를 항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이 더 포함됨에 따라; 단말장치(2a)에서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에 기반하여 어획자료를 입력하면서 어획시간 입력 또는 항적을 추가적으로 지정하면; 단말장치(2a)의 중앙처리장치(2-1)가 상기 어획시간 또는 항적을 어획위치로 환산 보고토록 된 단말장치(2a)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 또는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에 "어선으로부터 위치보고 된 '복수의 위치'를 항적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어선으로부터의 어획시간을 상기 항적에 대입하여 근접한 어획위치로 환산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의 구비를 전제로; 단말장치(2a)에서 상기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1-1-1)에 기반하여 어획자료를 입력할 때 어획시간을 추가적으로 입력 및 보고하도록 된 단말장치(2a)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10. 해안국통신시스템(1)에서 복수의 단말장치(2a....2n)와 통신을 수행하여 결과를 DB서버(1-1)에 저장함과 아울러 음성통신교환망 서비스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이 단말장치(2a....2n)로부터 전송된 위치 또는 어획 보고 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DB서버(1-1)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된 DB서버(1-1)의 자료를 검색하여 설정된 수준의 보고를 이행한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결과로서 설정된 수준의 보고에 미달된 단말장치(2a)가 발생한 때에 당해 단말장치(2a)를 대상으로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을 변경하는 제3단계;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는 단말장치(2a)에서 어획 자료 입력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안국통신시스템(1)에서 보고대상 어종 리스트를 단말장치(2a....2n)로 전송하는 전치단계;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서비스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음성통신 서비스 등급이 변경된 때 당해 단말장치(2a)로 메시지 전송하는 제4단계;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서비스 방법.
  13. 해안국통신시스템(1)에서 복수의 단말장치(2a....2n)와 통신을 수행하여 결과를 DB서버(1-1)에 저장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이 단말장치(2a....2n)로부터 전송된 위치 보고 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DB서버(1-1)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된 DB서버(1-1)의 자료를 검색하여 설정된 수준의 보고를 이행한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결과로서 설정된 수준의 보고에 미달된 단말장치(2a)가 발생한 때에 해안국통신시스템(1)이 복수의 단말장치(2n)를 대상으로 당해 단말장치(2a)가 탑재된 선박의 전탐메시지를 방송하는 제3단계;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서비스 방법.
  14. '중앙처리장치(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부속설비로 결합된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로서, 'DB서버(1-1)와 상기 DB서버(1-1)의 데이터네트웍설비로 결합된 해안국통신시스템(1)' 간의 데이터통신으로 위치보고가 가능한 한편;
    상기 해안국통신시스템(1)의 DB서버(1-1)로부터 '위치보고 미 이행 발생으로 인한 전탐메시지'가 방송될 때 이를 수신하여 모니터할 수 있는 선박용이동통신단말장치(2a)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KR20080050772A 2008-04-24 2008-05-30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KR10096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0772A KR100960591B1 (ko) 2008-04-24 2008-05-30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056 2008-04-24
KR20080050772A KR100960591B1 (ko) 2008-04-24 2008-05-30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23A KR20090112523A (ko) 2009-10-28
KR100960591B1 true KR100960591B1 (ko) 2010-06-08

Family

ID=4155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0772A KR100960591B1 (ko) 2008-04-24 2008-05-30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204B (zh) * 2018-11-13 2021-08-27 青岛恒天翼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模通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32B1 (ko) 1998-10-16 2006-04-28 석 영 정 어군탐색정보생산/제공/사용방법및어업정보시스템
KR100805894B1 (ko) 2007-01-19 2008-0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32B1 (ko) 1998-10-16 2006-04-28 석 영 정 어군탐색정보생산/제공/사용방법및어업정보시스템
KR100805894B1 (ko) 2007-01-19 2008-0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23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2384B1 (en) Dual position display
US8571487B2 (en) Network status
US9867023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CN104854884B (zh) 基于联系人信息来标注被访问的位置的方法和系统
Steinmetz et al. Tsunami early warning and decision support
CN105191261B (zh) 对等系统中的内容管理
CN101895814B (zh) 基于地理位置信息的通信方法及通信系统
JP2003228532A (ja) 携帯情報端末、情報取得方法、情報取得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取得システム
CN111368221A (zh) 信息提供方法、信息获取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1902687B (zh) 使用位置上下文信息来进行位置通知的方法和装置
JP4627719B2 (ja) 防災情報共有システム
CN102509180B (zh) 服务器、活动方案管理方法和活动方案管理系统
CN102711058B (zh) 多元式紧急讯息通报系统
CN106714228A (zh) 自动采集网络投诉信息的客户端、方法和处理、分析系统
CN106850106A (zh) 基于移动群智感知的无线电环境地图数据收集系统及方法
KR20090112524A (ko) 단말의 해상위치에 따라 적합한 통신장치 또는 통신정보로자동 전환하는 통신제어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 방법
CN109327887A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CN105871826A (zh) 一种终端间共享地理位置的方法及装置
KR100960591B1 (ko) 선박의 보고참여를 이끄는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서비스방법
CN102571389A (zh) 通信盲点确定方法及gis系统
CN104160675A (zh) 过滤应用的方法
KR101770294B1 (ko) 해상풍력단지 설비를 이용한 낚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낚시정보 제공 방법
Zhang et al. Community‐based population monitoring for large baleen whales: The case study of Bryde's whale in Beibu Gulf of China
KR20090112525A (ko) 어선 현장에서 어획량 등 보고(또는 수집)가 용이한통신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102301465B1 (ko)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