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773B1 -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773B1
KR100959773B1 KR1020080010754A KR20080010754A KR100959773B1 KR 100959773 B1 KR100959773 B1 KR 100959773B1 KR 1020080010754 A KR1020080010754 A KR 1020080010754A KR 20080010754 A KR20080010754 A KR 20080010754A KR 100959773 B1 KR100959773 B1 KR 10095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low noise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526A (ko
Inventor
박재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to KR102008001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7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5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01Circuit elemen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37Di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성에서 송신한 위성신호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송신한 이동통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듀얼 안테나 장치; 듀얼 안테나 장치에서 수신한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의 증폭, 위성신호의 주파수 변환 등을 수행하여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한 통합 신호를 출력하는 저잡음 변환 장치 및 통합 신호를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로 분리하여, 위성신호는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이동통신신호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옥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설치의 비용 감소 및 편리함을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 이동통신 서비스,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Description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System, Dual Low Noise Block Apparatus and Set-Top-Repeater for Converging Satellite Broadcast Services And Mobile Services}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 기술에 대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이동통신 서비스 및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위성 안테나 및 위성 셋톱박스(Set-Top-Box)를 별도로 설치해야만 한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잘 도달하지 못하는 옥내에서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또는 리피터를 별도를 설치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도 별도로 설치해야만 사용자는 전파 수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서비스를 모두 이용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위성 안 테나, 위성 셋톱박스, 이동통신용 안테나 및 중계기를 별도를 설치해야만 한다. 또한 옥외에 있는 위성 안테나와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옥내에 있는 위성 셋톱박스와 중계기로 각각 연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케이블을 설치해야만 한다. 이러한 별도의 장비나 케이블의 설치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설치 비용을 부담하게 하며 설치의 불편함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설치의 비용 감소 및 편리함을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외부 안테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신호 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신호 수신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듀얼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신호의 저잡음 변환 기능 및 이동통신용 저잡음 변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위성 셋톱박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또는 리피터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 신호의 신호처리 기능 및 이동통신신호의 중계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가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만으로도 옥외에 있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와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설치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듀얼 안테나 장치;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로부터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신호는 주파수를 변환하고 신호 크기를 증폭하고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며,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로 출력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통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위성신호는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증폭한 후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 출력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한 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 입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 및 상기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출력된 위성신호 및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출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통합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제 2 이동통신신호 및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 2 바이어스 티; 상기 통합 신호에 포함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분리하는 제 2 다이플렉서;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위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위성 신호 처리부;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중계부;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 및 상기 제 2 바이어스 티로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는 내부 전원 공급부 및 내부 제어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설치의 비용 감소 및 편리함을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외부 안테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신호 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신호 수신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듀얼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신호의 저잡음 변환 기능 및 이동통신용 저잡음 변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위성 셋톱박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또는 리피터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위성신호의 신호처리 기능 및 이동통신신호의 중계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가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만으로도 옥외에 있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와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설치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옥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중계하는 인프라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별도로 가정 또는 사무실 안팎에 설치해야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인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통합 인프라인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은 위성에서 송신한 위성신호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송신한 이동통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안테나 장치(100)에서 수신한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의 증폭, 위성신호의 주파수 변환 등을 수행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실제로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성신호의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수신한 이동통신신호를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및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옥외에 설 치될 수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옥내에 설치되어 TV(40) 및 이동통신 단말기(5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위성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및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성(20)에서 송신한 위성신호는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순으로 전달되어 TV(40) 등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송신한 이동통신신호는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순으로 전달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중계되고, 역으로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한 이동통신신호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듀얼 안테나 장치(100) 순으로 전달되어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 중계된다.
즉,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은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송신한 전파가 잘 전달되지 않는 곳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50)로 전파를 중계하는 종래의 중계기 또는 리피터(Repeat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부터 송신된 이동통신신호를 제 1 이동통신신호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한 이동통신신호를 제 2 이동통신신호라 한다.
이상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아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위성(20)에서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해 송신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 출력한다.
또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송신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 출력한다.
또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되어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와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 송신한다.
전술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듀얼 안테나 장치(100)로부터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각 신호에 대하여 따로 처리를 해준다.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입력된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가 처리할 수 있을만한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입력된 위성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미약한 신호 레벨을 높이도록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출력한다.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송신되어 듀얼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출력한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되어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 송신하기 위해 듀얼 안테나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가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출력할 때,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로 출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의 결합을 위해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별도의 다이플렉서(Diplexer)를 구비한다.
이러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가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로 출력하는 점은 하나의 케이블만으로도 옥외에 있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와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설치를 편리하게 해준다.
전술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부터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두 신호가 결합된 통합 신호의 형태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통합 신호에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분리하는 별도의 다이플렉서(Diplexer)를 필요로 한다.
이렇게 통합 신호에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가 분리되고 나면,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분리된 위성신호를 튜닝(Tunning), 복조(Demodulation),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디코딩(Decoding) 등의 신호 처리(Process)하여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의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분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소정의 크기 만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에 의한 제 1 이동통신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소정의 크기만큼 증폭한 후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 출력한다.
전술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서로 케이블로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며, 그를 위해 각각의 장치는 입출력 포트를 가진다.
듀얼 안테나 장치(100)와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 및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와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성능 저하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소정의 임피던스 값(예를 들어, 75 옴(Ω)) 이하로 조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별도의 매칭 회로(Matching Circuit)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도 2, 도 3 및 도 4를 각각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각 장치(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에 대한 일시예도 함께 설명한다. 또한,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통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에 도시된 각 장치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각 장치의 출력 포트 및 입출력 포트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안테나 장치(10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위성신호 수신부(110) 및 수직편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를 포함하되, 위성신호 수신부(110)는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를 내장한다.
위성신호 수신부(110)는 파라볼릭 안테나(Parabolic Antenna) 구조일 수 있고,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는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 구조,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구조,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구조 및 헬리칼 안테나(Helical Antenna) 구조 등에서 하나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는 구현된 구조에 적합하도록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로 된 위성신호 수신부(110)의 파라볼라(Parabola) 반사판 또는 파라볼라 피더 선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위성신호 수신부(110)가 수신한 원형 편파의 위성신호를 출력하는 위성신호 출력포트(103)를 구비하고,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가 수신한 수직 편파의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구비한다.
위에서 언급한 듀얼 안테나 장치의 위성신호 출력포트(103)를 통해 출력된 위성신호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위성신호 입력포트(201)로 입력된다.
위에서 언급한 듀얼 안테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통해 출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 로 입력된다.
위에서 언급한 듀얼 안테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신호이다.
전술한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 및 위성신호 출력포트(103) 간의 임피던스는 소정의 임피던스 값(예를 들어, 75 옴(Ω)) 이하로 조절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듀얼 안테나 장치(100)의 일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의 위성신호 수신부(110)에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 구조,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구조,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구조 및 헬리칼 안테나(Helical Antenna) 구조 등에서 하나의 구조로 된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가 파라볼라 반사파 또는 파라볼라 피드 선에 내장되어 있는 일체형 안테나 구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듀얼 안테나 장치(100)는 위성신호(510)를 출력하는 듀얼 안테나 장치의 위성신호 출력포트(103) 및 이동통신신호(520)(제 1 이동통신신호,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출력하는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의 위성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위성신호(510)는 듀얼 안테나 장치의 위성신호 출력포트(103)를 통해 출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한 구조들 중에서 하나의 구조로 된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제 1 이동통신신호(520)는 듀얼 안테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 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를 통해 출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520)는 듀얼 안테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104)를 통해 입력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서의 연결 인터페이스 및 이를 통한 위성신호(510) 및 이동통신신호(520)의 흐름을 통해 확인이 된다. 도 8에서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에 포함된 듀얼 안테나 장치(1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 및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위해 각기 구비한 출력 또는 입출력 포트를 도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성신호, 제 1 이동통신신호, 제 2 이동통신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듀얼 안테나 장치(100)로부터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각 신호에 대하여 따로 처리를 해주며, 입력된 위성신호에 대해서는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가 처리할 수 있을만한 주파수대로 변환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미약한 신호 레벨을 높이도록 위성신호 크기를 증폭하고, 이동통신신호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기지국(30)에서 송신되어 듀얼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송신되어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기지국(30)으로 송신하기 위해 듀얼 안테나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러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 이동통 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 및 제 1 다이플렉서(23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와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바이어스 티(Bias Tee)(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위성신호 입력포트(201)로 입력받은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 1 다이플렉서(230)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제 1 다이플렉서(230)로 전달하고, 제 1 다이플렉서(230)로부터 전달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다이플렉서(230)는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에서 전달된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에서 전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바이어스 티(240)로 전달하고 다시 통합 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 신호는 바이어스 티(240)를 통해 제 1 다이플렉서(230)로 전달되고 다시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를 거쳐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202)로 출력된다.
전술한 것처럼,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제 1 다이플렉서(230)를 이용 하여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를 출력하는 데, 이러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서의 신호 결합 및 통합 신호 출력은 하나의 케이블만으로도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신호 전달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해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바이어스 티(240)는 잡음 변환 장치는 제 1 다이플렉서(230)에서 두 신호(위성신호와 제 1 이동통신신호)가 결합하여 전달된 통합 신호를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출력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입력되게 한다.
또한, 제 1 바이어스 티(240)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부터 출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입력받아 제 1 다이플렉서(230)로 전달한다. 이때, 제 1 바이어스 티(24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을 때 직류 전원도 함께 전달받을 수 있는데, 이때 제 2 이동통신신호와 직류 전원이 결합된 신호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제 1 바이어스 티(24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신호 출력포트(203)를 통해 제 2 이동통신신호와 직류 전원이 결합된 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를 제 2 이동통신신호와 직류 전원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직류 전원은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 및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220)로 공급하고 분리된 제 2 이동통신신호는 제 1 다이플렉서(230)로 전달한다.
전술한 것처럼, 옥외에 설치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가 제 1 바이어 스 티(240)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자체 전원 공급원을 가지지 않더라도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될 수가 있다.
전술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대한 일시예는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위성신호는 4~8 GHz의 C 밴드 대역, 12~18 GHz의 Ku 밴드 대역 등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는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는 이러한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가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950~2150 MHz의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다.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는 이러한 주파수 변환을 위해 믹서(610)와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620)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는 위성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면서도 미약한 신호 레벨을 높이기 위해 신호 크기를 증폭하는 증폭기(630, 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이동통신 저잡음 변환부(220)는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크기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650, 660)를 구비하고, 송신용 이동통신신호(제 1 이동통신신호)와 수신용 이동통신신호(제 2 이동통신신호)를 구분하여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Duplexer)(670, 68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210)는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라고도 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듀얼 안테나 장치(100)에서의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를 가지는 위성신호 수신부(110)의 피더 혼(Feed Horn)에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피더 혼이란 파라볼라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온 위성신호가 한점에서 모이는 지점에 달린 부분을 말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 포함된 이동통신 저잡음 변환부(220)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합 융합 장치(30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서 위성신호와 제 1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통합신호를 입력받아 다시 분리하는 제 2 다이플렉서(320),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분리된 위성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위성신호 처리부(330) 및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분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50)로 중계(전달)하고 이동단말기(50)에서 송신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30)로 중계(전달)하는 이동통신 중계부(340) 등을 포함한다. 즉, 위성신호 처리부(330)는 종래의 위성 셋톱박스(Set-Top-Box: STB) 역할을 하고, 이동통신 중계부(340)는 종래의 중계기 또는 리피터(Repeater)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통합 STR(Convergence Set-Top-Repeater):라고도 한다.
하지만, 제 2 다이플렉서(320)에서 위성신호와 제 1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통합신호를 다시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측면에서 종래의 위성 셋톱박스와 종래의 중계기(또는 리피터)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위성 셋톱박스와 종래의 중계기(또는 리피터)는 내부 전원 공급부 및 내부 제어부를 따로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위성신호 처리부(330)와 이동통신 중계부(340)는 내부 전원 공급부 및 내부 제어부를 따로 가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중앙 전원 공급부(350) 및 중앙 제어부(3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중앙 전원 공급부(35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을 전달받아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 공급하는 제 2 바이어스 티(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바이어스 티(310)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에서 출력된 통합 신호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의 통합 신호 입력포트(301)를 통해 입력받아 제 2 다이플렉서(320)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바이어스 티(310)는 중앙 전원 공급부(35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 및 제 2 다이플렉서(340)로부터 출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의 통합 신호 입력포트(301)를 통해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의 통합 신호 출력 포트(203)을 통해 출력한다.
전술한 제 2 다이플렉서(320)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의 통합 신호 입력포트(301)로 입력되어 제 2 바이어스 티(310)에 의해 전달된 통합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위성신호 및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위성신호 처리부(330) 및 이동통신 중계부(340)로 각각 전달한다.
또한, 제 2 다이플렉서(320)는 서비스 안테나 및 보조포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입출력단(304)을 통해 수신하여 이동통신 중계부(340)를 거쳐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방송통신 융합 장치의 통합 신호 입력포트(301)를 통해 출력한다.
전술한 위성신호 처리부(330)는 제 2 다이플렉서(320)에서 분리되어 전달된 위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을 위한 출력포트(303)를 통해 TV(40) 등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위성신호 처리부(330)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합 융합 장치(300)의 일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성신호 처리부(330)는 위성신호를 튜닝, 복조,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및 비디오 프로세싱 등을 통해 신호 처리하여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을 위한 출력포트(30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연결된 TV(40) 등을 통해 사용자가 위성 디지털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 중계부(340)는 제 2 다이플렉서(320)에서 전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 및 보조포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입출력단(304)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보조포트는 방송통합 융합 장치(300)가 가구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통신신호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에 서비스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트이다.
즉, 서비스 안테나는 방송통합 융합 장치(300)에 내장되거나 보조포트를 이 용하여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외장 될 수도 있다. .
또한, 이동통신 중계부(340)는 이동통신 입출력단(서비스 안테나 또는 보조포트)(304)를 통해 수신한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제 2 다이플렉서(320)로 전달한다.
전술한 이동통신 중계부(340)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합 융합 장치(300)의 일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통신 중계부(340)는 송신용 이동통신신호(제 1 이동통신신호)와 수신용 이동통신신호(제 2 이동통신신호)를 구분하고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이다.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외부 안테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에 포함된 하나의 듀얼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저잡음 변환 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에 포함된 하나의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로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위성 셋톱박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또는 리피터를 각각 설치할 필요없이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10)에 포함된 하나의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가 위성신호와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로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만으로도 옥외에 있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200)와 옥내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설치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9는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를 별도를 입력받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90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앞서 도 4에 도시된 방송통신 융합 장치(300)는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통합 신호의 형태로 입력받는 것이 비해, 도 9에 도시된 방송통신 융합 장치(900)는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제 1이동통신신호)를 별도의 입력포트를 통해서 입력받는다.
도 9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융합 장치(900)는 바이어스 티(910), 위성 신호 처리부(930), 이동통신 중계부(940), 중앙 전원 공급부(950) 및 중앙 제어부(960)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티(910)는 위성 안테나에 구비된 위성 저잡음 변환 장치와 연결된 901 포트를 통해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위성신호 처리부(930)로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성 신호 처리부(930)는 바이어스 티(910)에서 출력된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여 903 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중계부(940)는 이동통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902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904)를 통해 출 력하고, 서비스 안테나(904)를 통해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902 포트를 통해 이동통신 안테나로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앙 전원 공급부(950)는 위성 신호 처리부(930), 이동통신 중계부(940) 및 바이어스 티(91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960)는 위성 신호 처리부(930) 및 이동통신 중계부(9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위성 신호 처리부(930) 및 이동통신 중계부(940)는 내부 전원 공급부 및 내부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중앙 전원 공급부(950) 및 하나의 중앙 제어부(960)로 위성 신호 처리부(930) 및 이동통신 중계부(940)에 대한 직류 전원 공급 기능과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안테나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합 융합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안테나 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합 융합 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 및 이를 통한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신호를 별도를 입력받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00: 듀얼 안테나 장치
110: 위성신호 수신부 120: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
200: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230: 제 1 다이플렉서
300: 방송통신 융합 장치 320: 제 2 다이플렉서
330: 위성신호 처리부 340: 이동통신 중계부
304: 서비스 안테나

Claims (19)

  1. 위성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위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듀얼 안테나 장치;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로부터 상기 출력된 위성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신호는 주파수를 변환하고 신호 크기를 증폭하고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며, 상기 주파수가 변환되고 상기 신호 크기가 증폭된 위성신호 및 상기 신호 크기가 증폭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얻어진 통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로 출력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통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위성신호를 텔레비전으로 출력하고 상기 분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는 신호 크기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증폭한 후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 출력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는,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위성신호 수신부; 및
    수직 편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위성신호 수신부는 상기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신호 수신부는,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는,
    패치 안테나 구조, 모노폴 안테나 구조, 다이폴 안테나 구조 및 헬리칼 안테나 구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파라볼릭 안테나 구조로 된 상기 위성신호 수신부의 파라볼라 반사판 또는 파라볼라 피더 선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 및
    상기 위성신호를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 출력하는 위성신호 출력포트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신호 입출력포트 및 상기 위성신호 출력포트 간의 임피던스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구현시 기정의된 임피던스 값 이하가 되도록 조절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는,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 및
    상기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전달된 위성신호 및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전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얻어진 상기 통합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로 전달하는 제 1 다이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는,
    상기 제 1 다이플렉서에서 상기 전달된 통합 신호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 1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는 제 1 바이어스 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티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로부터 직류전원 및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신호를 입력받아 분리하여,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 및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는 상기 제 1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는,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통합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다이플렉서;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전달된 위성신호에 대하여 튜닝, 복조,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및 비디오 프로세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신호 처리의 수행결과로서 얻어진 위성신호를 상기 텔레비전으로 출력하는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전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는,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 및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는,
    상기 중앙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직류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로 공급하는 제 2 바이어스 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이어스 티는,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통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다이플렉서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직류 전원 및 상기 제 2 다이플렉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 1 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안테나 장치와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 및 상기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와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에서의 임피던스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구현시 기정의된 임피던스 값 이하가 되도록 조절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15. 입력된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
    이동통신 기지국 신호인 입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
    상기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출력된 위성신호 및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에서 출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다이플렉서; 및
    상기 제 1 다이플렉서에서 출력된 통합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직류 전원 및 이동통신 단말기 신호인 제 2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신호를 입력받아 분리하여,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위성신호 저잡음 변환부 및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는 상기 제 1 다이플렉서로 출력하는 바이어스 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이플렉서로 출력된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신호 저잡음 변환부로 입력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16. 삭제
  17. 위성신호 및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제공된 제 1 이동통신신호가 결합된 통합 신호를 통합신호 입력포트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고, 제 2 다이플렉서로부터 입력된 제 2 이동통신신호 및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 2 바이어스 티;
    상기 출력된 통합 신호로부터 상기 위성신호 및 상기 제 1 이동통신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이동통신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 2 바이어스 티로 입력하는 상기 제 2 다이플렉서;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위성신호에 대하여 튜닝, 복조,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및 비디오 프로세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텔레비전으로 출력하는 위성 신호 처리부;
    상기 제 2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상기 제 2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는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 및 상기 제 2 바이어스 티로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에서 상기 출력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로 입력하는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안테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장치에 내장되거나 보조포트를 이용하여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
  19. 위성 안테나에 구비된 위성 저잡음 변환 장치를 통해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바이어스 티;
    상기 출력된 위성신호에 대하여 튜닝, 복조,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및 비디오 프로세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텔레비전으로 출력하는 위성 신호 처리부;
    이동통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제 1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제 2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상기 이동통신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이동통신 중계부;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 및 상기 바이어스 티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위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 중계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장치.
KR1020080010754A 2008-02-01 2008-02-01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KR10095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54A KR100959773B1 (ko) 2008-02-01 2008-02-01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54A KR100959773B1 (ko) 2008-02-01 2008-02-01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526A KR20090084526A (ko) 2009-08-05
KR100959773B1 true KR100959773B1 (ko) 2010-05-27

Family

ID=4120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754A KR100959773B1 (ko) 2008-02-01 2008-02-01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7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57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인텔링스 지피에스 신호 중계기를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50059392A (ko) * 2003-12-12 2005-06-2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통합형 듀플렉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
KR20050103080A (ko) * 2004-04-24 2005-10-27 주식회사 엠티아이 다중대역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20070023948A (ko) * 2005-08-2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57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인텔링스 지피에스 신호 중계기를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50059392A (ko) * 2003-12-12 2005-06-2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통합형 듀플렉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
KR20050103080A (ko) * 2004-04-24 2005-10-27 주식회사 엠티아이 다중대역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20070023948A (ko) * 2005-08-2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526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8609B2 (en) Glass-mountable antenna system with DC and RF coupling
EP1863193A2 (en) Digital satellite receiver and method for switching among multiple receiver antennas using diversity circuitry
US20120225626A1 (en) Reuse of a switch ic as a step attenuator
CN101682437B (zh) 集成多卫星lnb和频率变换模块
EP2517378B1 (en) Installation for emission/reception of satellite signals
US5999137A (en) Integrated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terrestrial television reception
JP3865715B2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の伝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959773B1 (ko)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듀얼 저잡음 변환 장치 및 방송통신융합 장치
KR100431930B1 (ko) 위성방송 지상 중계 시스템
JP2008066803A (ja) 再送信システム並びに再送信装置
JP4181392B2 (ja) 放送波受信と無線lanまたは無線アクセス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接続サービスの送受信とを両立させたアンテナ装置
KR100690327B1 (ko) 건물내 지상파 수신 중계장치
KR200404167Y1 (ko) 텔레비전 동축 분배망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인빌딩 초소형 중계장치
JPH102824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70202804A1 (en) Satellite signal relay and receiver
KR200419434Y1 (ko) 공청망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3999691B2 (ja) 衛星信号受信伝送システム及び衛星信号再送信装置
KR100667191B1 (ko)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이용한 지상파 dmb 중계기
JP3119745U (ja) 地上デジタル放送チューナ
KR200265685Y1 (ko) 위성방송 지상 중계 장치시스템
KR200265684Y1 (ko) 위성방송 지상 중계 시스템의 가입자 수신기
JP5368145B2 (ja) 変換システム、変換装置
KR200237127Y1 (ko) 위성공청 입력 혼합 분리형 증폭기
KR100847001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엘엔비 인덱스를 이용한 수신 설정 방법
JP2019220808A (ja) 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