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907B1 -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907B1
KR100958907B1 KR1020080047344A KR20080047344A KR100958907B1 KR 100958907 B1 KR100958907 B1 KR 100958907B1 KR 1020080047344 A KR1020080047344 A KR 1020080047344A KR 20080047344 A KR20080047344 A KR 20080047344A KR 100958907 B1 KR100958907 B1 KR 10095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line
axis
axis reference
lin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437A (ko
Inventor
성배환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9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02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wood
    • B63B5/06Decks; Shel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확인하기 위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작 완성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사이즈를 줄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쉬운 핸들링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고, 원자재를 절단하고 남은 폐자재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등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재할 수 있는 선박용 외판 3차원 곡면을 확인하기 위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복수 개 추출한 다음,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직교하는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을 그린 후, 상기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기초로, 다수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마다 상기 복수의 곡선들이 한개씩 형성되도록 절단한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여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바닥면에 투명지를 올려놓은 후, 상기 투명지위에 상기 바닥면의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상기 복수의 곡선들을 다시 옮겨 그리는 단계와;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X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X축 연결점 사이의 X축 기준선상에 제1 기준점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Y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Y축 연결점 사이의 Y축 기준선상에 제2 기준점을 상기 투명 지에 형성한 후, 상기 제1 기준점과 제2 기준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투명지의 X축 연결점과 제1 기준점과 Y축 연결점 및 제2 기준점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상기 원자재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을 형성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자재에 형성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가공 판재를 형성한 후,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외판, 템플레이트

Description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emplate}
본 발명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확인하기 위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작 완성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사이즈를 줄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쉬운 핸들링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고, 원자재를 절단하고 남은 폐자재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등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재할 수 있는 선박용 외판 3차원 곡면을 확인하기 위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제조 공정에 있어 외판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소정 두께의 철판을 작업자가 가열 토치를 들고 정해진 작업 방향으로 가열함과 아울러 또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가열 토치에 의해 가열된 부위를 따라가면서 냉각수를 뿌려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형상으로 3차원 곡면이 되게 가공하는 것이다. 이후, 필요한 형상으로 가공된 철판의 3차원 곡면을 확인하기 위해 작업자가 미리 제작된 나무 측정자인 템플레이트(Template)를 이용하여 곡을 측정하며, 제작된 철판이 템플레이트와 완전히 접촉하면 원하는 3차원 곡면이 제작된 것으로 인정한다. 이렇게 3차원 곡면 형상으로 된 외판들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하나의 선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템플레이트의 제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면(1)에 서로 직교하는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을 그린 후,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4,5,6,7)을 복수 개 추출한 다음, 이 곡선(4,5,6,7)을 작업장의 바닥면(1)에 그려진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형성한다.
도 1의 도면상에는 곡선(4,5,6,7)을 4개로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후, 4장의 투명지(8)를 마련하여, 작업장의 바닥면(1)에 작도된 X축, Y축 기준선(2)(3) 위에 투명지(8;도 2참조)를 올려놓은 후, 이 각각의 투명지(8)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1,2,3,4곡선(4)(5)(6)(7)을 다시 옮겨 그린다. 즉, 곡선(4,5,6,7)의 개수에 맞게 4장의 투명지(8)에 개별적으로 제1,2,3,4곡선(4)(5)(6)(7)을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과 함께 다시 옮겨 그린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장의 투명지(8)에 그려진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1 곡선(4)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2 곡선(5)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3 곡선(6)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4 곡선(7)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잘라낸다. 이렇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가공 판재를 형성할 베이 스 모형(8a)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일정 크기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를 4장 준비한다.
이후, 작업자는 4장의 원자재(9) 각각의 위에 투명지(8)에서 잘려진 베이스 모형(8a)을 올려놓은 후, 베이스 모형(8a)의 외각선을 따라 원자재위에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1,2,3,4 곡선(4,5,6,7)의 궤적이 마킹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장의 원자재(9) 각각에는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과 함께 제1 곡선(4), 제2 곡선(5), 제3 곡선(6), 제4 곡선(7)의 궤적이 개별적으로 마킹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첫 번째 원자재(9)에 형성된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1 곡선(4)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두 번째 원자재(9)에 형성된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2 곡선(5)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등의 절단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며, 세 번째 원자재(9)에 형성된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3 곡선(6)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절단하며, 네 번째 원자재(9)에 형성된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제4 곡선(7)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 등의 절단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공 판재(9a)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4장의 가공 판재를 연결 보강대(10)를 매개로 하여 조립하여 입체형 템플레이트로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4장의 가공 판재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제4 곡선(4,5,6,7)들이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방향이 되도록 4장의 가공 판재(9a)를 연결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의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원자재를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각 곡선(4,5,6,7)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절단한 후 각각의 가공 판재를 조립하여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 완료된 입체형 템플레이트는 외판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그 외형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자체 중량이 많이 나가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힘든 핸들링의 단점이 있었으며, 작업자의 운반시 외형 사이즈의 증가 및 무거운 중량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제작 완성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사이즈를 줄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쉬운 핸들링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고, 원자재를 절단하고 남은 폐자재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등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재할 수 있는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복수 개 추출한 다음,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직교하는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을 그린 후, 상기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기초로, 다수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마다 상기 복수의 곡선들이 한개씩 형성되도록 절단한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여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바닥면에 투명지를 올려놓은 후, 상기 투명지위에 상기 바닥면의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상기 복수의 곡선들을 다시 옮겨 그리는 단계와;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X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X축 연결점 사이의 X축 기준선상에 제1 기준점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Y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Y축 연결점 사이의 Y축 기준선상에 제2 기준점을 상기 투명 지에 형성한 후, 상기 제1 기준점과 제2 기준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투명지의 X축 연결점과 제1 기준점과 Y축 연결점 및 제2 기준점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상기 원자재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을 형성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자재에 형성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가공 판재를 형성한 후,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제작 완성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사이즈를 줄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쉬운 핸들링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고, 원자재를 절단하고 남은 폐자재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등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도면이고,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계획도면을 각각의 투명지위에 옮겨 다시 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각각의 투명지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 모형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원자재 각각에 도 7(b)에 도시된 베이스 모형을 이용하여 4장의 원자재 각각에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과 함께 제1 곡선, 제2 곡선, 제3 곡선, 제4 곡선의 궤적이 개별적으로 마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원자재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종래의 가공 판재를 형성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공 판재들을 연결 보강대를 매개로 연결 조립하여 본 발명의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완성한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4,5,6,7)을 복수 개 추출한 다음, 작업장의 바닥면(1)에 서로 직교하는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을 그린 후, 복수의 곡선(4,5,6,7)을 작업장의 바닥면(1)에 그려진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기초로(도 6 참조), 다수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마다 복수의 곡선(4,5,6,7)들이 한개씩 형성되도록 절단한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여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작업장의 바닥면(1)에 투명지(81)를 올려놓은 후, 4장의 투명지(81)위에 상기 바닥면(1)의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과 함께 상기 복수의 곡선(4,5,6,7)들을 개별적으로 다시 옮겨 그리는 제1 단계를 진행한다.(도 7(a) 참조)
그리고, 상기 제1 단계를 진행하고 나서,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의 교차점(P1)으로부터 X축 기준선(2)과 곡선(4,5,6,7)간의 X축 연결점(P2) 사이의 X 축 기준선(2)상에 제1 기준점(P3)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의 교차점(P1)으로부터 Y축 기준선(3)과 곡선(4,5,6,7)간의 Y축 연결점(P4) 사이의 Y축 기준선(3)상에 제2 기준점(P5)을 상기 투명지(81)에 형성한 후, 상기 제1 기준점(P3)과 제2 기준점(P5)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L1)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진행한다.(도 7(a) 참조)
여기서, 제1 기준점(P3)의 형성 위치를 교차점(P1)과 X축 연결점(P2) 사이의 중간에 형성하고, 제2 기준점(P5)의 형성 위치를 교차점(P1)과 Y축 연결점(P4) 사이의 중간에 형성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외관 사이즈와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기준점(P3)과 제2 기준점(P5)의 형성 위치를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에 형성하는 실시예 이외에 각각 X축 연결점(P2)과 Y축 연결점(P4)으로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할수록 전체적으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외관 사이즈와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2 단계를 진행하고 나서, 투명지(81)의 X축 연결점(P2)과 제1 기준점(P3)과 Y축 연결점(P4) 및 제2 기준점(P5)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상기 원자재(91)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을 형성을 형성하는 제3 단계를 진행한다.(도 8 참조)
여기서, 도 7(a)에서 4장의 투명지(81) 각각에 그려진 X축 연결점(P2)과 제1 기준점(P3)과 Y축 연결점(P4) 및 제2 기준점(P5)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따라 잘라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가공 판 재(91a)를 형성할 베이스 모형(81a)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일정 크기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9)를 4장 준비한다.
이후, 작업자는 4장의 원자재(91) 각각의 위에 투명지(81)에서 잘려진 베이스 모형(81a)을 올려놓은 후, 베이스 모형(81a)의 외각선을 따라 원자재(91)위에 마킹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91)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점선으로 표시)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 단계를 진행하고 나서, 원자재(91)에 형성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장의 가공 판재(91a)를 형성한 후, 가공 판재(91a)들을 별도의 연결 보강대(10)조립하는 제4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완성되는 입체형 템플레이트는, 투명지(81)의 X축 연결점과 제1 기준점과 Y축 연결점 및 제2 기준점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상기 원자재(91)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을 형성을 형성하는 제3 단계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원자재를 사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되고 남은 폐자재의 발생량이 종래의 도면 도 3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도면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91) 사이즈 및 면적 자체를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원자재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장의 원자재(91)를 마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크기가 큰 한 장의 원자재에 투명지에서 절단된 다수의 베이스 모형(81a) 각각의 외곽선을 모두 형성하더라도 점유 면적이 종래보다 축소됨으로 인해 원자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X축 기준선(2)과 Y축 기준선(3) 및 곡선(4)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방식이 아닌 X축 연결점과 제1 기준점과 Y축 연결점 및 제2 기준점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따라 절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작 완성된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사이즈와 중량이 종래 보다 감소되어, 작업자가 들고 운반하기 쉬운 핸들링의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도시한 종래 기술의 도면.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계획도면을 각각의 투명지위에 옮겨 다시 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각각의 투명지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종래 기술의 베이스 모형의 평면도.
도 3은 원자재 각각에 도 2(b)에 도시된 베이스 모형을 이용하여 4장의 원자재 각각에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과 함께 제1 곡선, 제2 곡선, 제3 곡선, 제4 곡선의 궤적이 개별적으로 마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원자재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종래의 가공 판재를 형성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공 판재들을 연결 보강대를 매개로 연결 조립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완성한 외관 사시도.
도 6은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도면.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계획도면을 각각의 투명지위에 옮겨 다시 그린 상 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각각의 투명지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 모형의 평면도.
도 8은 원자재 각각에 도 7(b)에 도시된 베이스 모형을 이용하여 4장의 원자재 각각에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과 함께 제1 곡선, 제2 곡선, 제3 곡선, 제4 곡선의 궤적이 개별적으로 마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원자재를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곡선에 의해 형성된 라인을 따라 띠톱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종래의 가공 판재를 형성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공 판재들을 연결 보강대를 매개로 연결 조립하여 본 발명의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완성한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X축 기준선
3 : Y축 기준선
4,5,6,7 : 곡선
81 : 원자재
91 : 가공 판재

Claims (1)

  1.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을 이루는 곡률을 해석하여, 3차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선을 복수 개 추출한 다음,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직교하는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을 그린 후, 상기 곡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에 그려진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사이에 이와 만나도록 작도한 계획도면을 기초로, 다수의 목재 재질의 판상으로 된 원자재에 상기 복수의 곡선들이 한 개씩 형성되도록 절단한 다수의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여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바닥면에 투명지를 올려놓은 후, 상기 투명지위에 상기 바닥면의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 및 상기 복수의 곡선들을 다시 옮겨 그리는 단계와;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X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X축 연결점 사이의 X축 기준선상에 제1 기준점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X축 기준선과 Y축 기준선의 교차점으로부터 Y축 기준선과 곡선간의 Y축 연결점 사이의 Y축 기준선상에 제2 기준점을 상기 투명지에 형성한 후, 상기 제1 기준점과 제2 기준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지의 X축 연결점과 제1 기준점과 Y축 연결점 및 제2 기준점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선을 상기 원자재위에 마킹하여 절단선을 형성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자재에 형성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가공 판재를 형성한 후, 가공 판재들을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 제작방법.
KR1020080047344A 2008-05-22 2008-05-22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KR10095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344A KR100958907B1 (ko) 2008-05-22 2008-05-22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344A KR100958907B1 (ko) 2008-05-22 2008-05-22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437A KR20090121437A (ko) 2009-11-26
KR100958907B1 true KR100958907B1 (ko) 2010-05-19

Family

ID=4160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344A KR100958907B1 (ko) 2008-05-22 2008-05-22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403A (ja) 1983-09-12 1985-04-10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フオ−ムの曲面加工方法
JPS63252725A (ja) 1987-04-09 1988-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高次曲面複合材の素材形状決定方法
JP2002236940A (ja) 2001-02-09 2002-08-23 Nippon Yunishisu Kk テンプレートを用いた自由曲面の創成方法および装置
KR20040110948A (ko) * 2003-06-21 2004-12-31 박정웅 화상자동인식기법을 이용한 3차원 가조립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403A (ja) 1983-09-12 1985-04-10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フオ−ムの曲面加工方法
JPS63252725A (ja) 1987-04-09 1988-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高次曲面複合材の素材形状決定方法
JP2002236940A (ja) 2001-02-09 2002-08-23 Nippon Yunishisu Kk テンプレートを用いた自由曲面の創成方法および装置
KR20040110948A (ko) * 2003-06-21 2004-12-31 박정웅 화상자동인식기법을 이용한 3차원 가조립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437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14310A (zh) 一种基于bim的砌块标准化施工方法
CN101374620B (zh) 零件组集的切割方法
CN102335811B (zh) 一种钛合金锯齿形蒙皮零件的制造方法
JP2017019042A (ja) 機械加工装置及び機械加工方法
EP31069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chine cutting in sheet material
CN101722402A (zh) 集装箱用“工”字型梁的加工方法
US20190143456A1 (en) Laser cutting machine for the working of material presented in sheet and/or reel form
CN103465246A (zh) 铸件毛坯刻线标记方法及刻线标记装置
CN110321607A (zh) 一种分段式化铣样板制备方法
KR100958907B1 (ko) 선박용 외판의 3차원 곡면 확인용 입체형 템플레이트의제작방법
CN104307952A (zh) 曲面钢板成形方法和曲面钢板成形设备
CN104191652B (zh) 模切上刀模及其制作方法
US10239223B2 (en) Cutting table for cutting a fiber preform obtained by three-dimensional weaving, and a cutting method using such a table
CN103143892B (zh) 车头蒙皮成型方法
CN102922240B (zh) 一种铆压式斜槽铁芯的制造方法及铆压装置
CN101985184B (zh) 一种使用数控火焰切割机进行物料切割的方法
CN105479181A (zh) 带冲孔的金属管加工工艺
CN202151672U (zh) 一种拨叉成型模具
GB2364665A (en) Method of bending sheet material and an article produced by bending sheet material
CN208084571U (zh) 一种木工板燕尾榫接头加工辅助模具
CN105945652B (zh) 用于航空结构件加工切削参数的判定方法
CN102773617B (zh) 铝合金车体司机室前窗骨架组焊工艺方法
CN207695460U (zh) 转子接线铜排弯形模具
CN206296735U (zh) 一种用于圆弧面切割正确性检测的辅助工装
KR101620462B1 (ko) 선박의 곡 부재 열간 가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