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96B1 -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96B1
KR100958796B1 KR1020070135196A KR20070135196A KR100958796B1 KR 100958796 B1 KR100958796 B1 KR 100958796B1 KR 1020070135196 A KR1020070135196 A KR 1020070135196A KR 20070135196 A KR20070135196 A KR 20070135196A KR 100958796 B1 KR100958796 B1 KR 10095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llecting
collecting device
delivery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514A (ko
Inventor
이정렬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사고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류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이를 포집하여 제거 또는 수거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와, 그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그 유류 제거장치는 유출되는 유류(O)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포집장치(2)와,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를 해양에 부유시키기 위해 상기 포집장치(2)의 전 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는 부유체(3)를 구비하는 오일 휀스(1); 및 상기 오일 휀스(1)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4)로 구성된다. 그 유류 제거장치는 송출장치(4)의 개폐밸브(47) 및 액튜에이터(49)의 작동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5)를 포함할 수 있다.
해양사고, 유류, 오일 휀스, 송출장치, 수집탱크

Description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moving oi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조선 또는 선박의 해양사고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류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유류와 해수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류를 포집하여 제거 또는 수거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와, 그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유는 대부분 유조선을 이용하여 해양을 통해 운반되고 있으며, 또한 대형 화물선 또는 여객선은 다량의 연료를 적재 또는 충전하고 있어, 이들이 해양에서 불의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유류가 누출되어 심각한 해양 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엑슨 모빌사의 유조선 좌초, 여수 앞바다의 시프린스호 좌초, 태안 앞바다에서의 유조선과 바지선의 충돌 사고 등과 같이 사고로 인해 해양이 오염됨은 물론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피해는 오랜 시간이 지나도 완전한 복구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고시 해양으로 유출되는 유류를 신속히 제거하거나 방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방제기술 수준으로는 그 방제효과를 만족스럽게 보장받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거의 인력에 의존하거나 오일휀스를 이용하여 유류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에 있다.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개발된 방제기술 또는 오일 휀스로는 특허공개 제11995-27108호, 제1999-30682호, 제2000-2136호, 제1998-25590호 등과, 실용공개 제1995-25163호, 제1998-3115호, 제1998-55930호, 제2000-2185호 등과, 미국특허 제40804380호, 제4320990호, 제4425053호 등과, 일본특허공고 소58-153808호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단순하게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휀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예로서 실용신안공고 제1997-1829호가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공고 제1997-1829호의 흡입관이 형성된 오일 휀스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서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 뜨개의 앞면에 유입로를 하방으로 요입되게 형성하고 유입로의 일정한 간격마다 커버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판을 뜨개의 두께 범위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뜨개의 하부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오일의 흡입관을 뜨개와 상하로 방수성 커버의 내부에 결합하여 휀스를 형성하고 휀스의 앞면에는 망지가 장착된 유입구를 유입로와 연통되게 형성하며 휀스의 하단부에 소정의 무게를 가진 추가 매어 달린 공지의 스커트를 현수 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기본적으로 오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휀스에 포집된 오일을 흡입하여 제거하거나 방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흡입관이 형성된 오일 휀스는 다소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제로 해양에 오일 휀스를 설치한 경우 파도에 의해 유류만이 오일 휀스내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바, 이 경우 유류와 해수는 층을 이루어 상부에는 유류가 하부에는 해수가 존재됨에도 불구하고, 흡입관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존재하게 되어 실제적인 유류의 포집, 흡입 및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류를 신속하게 제거하지 못함으로 인해 높은 파도가 치는 경우 궁극적으로 유류가 휀스를 넘어 방제할 영역의 해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에 유류가 누출된 경우 기본적으로 유류의 확산을 차단하고, 자체적으로 유류를 포집하여 유류만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류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류와 해수를 상호간의 비중차 및 공기 제거방식을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분리시켜 유류만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유류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는, 유조선 또는 선박의 해양 사고시 누출되는 각종 유류를 포집 및 제거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에 있어서, 유출되는 유류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유류를 포집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포집장치와, 각각의 포집장치를 해양에 부유시키기 위해 포집장치의 전 후방에 일체로 구비되는 부유체를 구비하는 오일 휀스; 및 그 오일 휀스에 연결되며, 각각의 포집장치에 포집된 유류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는, 유조선 또는 선박의 해양 사고시 누출되는 각종 유류를 포집 및 제거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에 있어서, 유출되는 유류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유류를 포집하기 위해 복수의 포집장치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 오일 휀스; 그 오일 휀스에 연결되며, 각각의 포집장치에 포집된 유류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 및 그 송출장치에 연결되며, 송출장치에 의해 흡입되어 송출되는 유류를 수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수집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유류 제거방법에 있어서, 유류의 확산영역을 예측하여 방제영역 및 길이를 결정한 후, 오일 휀스의 길이를 결정하고 그 길이에 해당하는 포집장치의 개수를 결정하여 각각의 포집장치를 상호 연결하여 오일 휀스를 형성하는 단계; 오일 휀스가 형성되는 영역에 각각의 포집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정면부가 유류를 향하도록 오일 휀스를 설치하는 단계; 오일 휀스의 각각의 포집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송출구에 송출장치의 송출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연결관을 결합하여 송출장치를 오일 휀스에 연결하는 단계; 송출장치의 송출관에 설치된 액튜에이터 이후의 송출관에 수집탱크를 연결하는 단계; 해양에 누출되거나 확산된 유류를, 포집장치의 정면부에 형성된 유입구 및 개구부를 통해 포집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포집하는 단계; 각각의 포집장치의 송출관에 구비된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송출장치의 액튜에이터를 작동시켜 포집부재내에 형 성된 수용공간에 존재하는 유류를 흡입하여 유류를 수집탱크로 송출하여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탱크에 설치된 인덱스부를 통해 유류의 양, 유류 상태 및 해수 유입량을 확인한 후 이를 폐기하거나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선박의 사고시 기본적으로 해양으로 유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류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유류를 포집하여 해수와 유류의 비중차와 공기 제거를 이용하여 순수 유류만을 신속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류에 의한 해양 오염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류 제거장치의 포집장치 및 송출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류 제거장치에서의 유류의 제거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류 제거장치의 포집장치 및 송출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유류 제거장치에서의 유류의 제거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을 보여주 는 순서도 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제1실시예는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류(O)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두꺼운 누유(spilled oil) 층과 파랑 작용으로 인하여 대규모로 확산되는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한 오일 휀스(1) 및 포집장치(2)를 구비한다. 그 오일 휀스(1)는 2개 이상의 유류 포집장치(2)를 상호 연결하여 울타리 또는 휀스 형태로 구성하여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유류 포집장치(2)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재(21)를 구비한다. 그 포집부재(21)의 하부에는 유류(O)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23)가 형성된다. 물론, 그 포집부재(21)는 내부에 유류(O)를 포집 또는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3)와 연통하는 수용공간(25)을 구비한다. 그 포집부재(21)는 내부의 개구부(23)가 해수(W)에 의해 침수되며, 유류(O)가 그 개구부(23)를 통해 유입되어 해수(W)보다 작은 비중으로 인해 그 해수(W)상에 띄워져 수용공간(25)에 고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포집부재(21)의 내부 또는 수용공간(25)은 공기가 배제되도록 정방형 또는 장방형 입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포집부재(21)는 해수에 부유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장치(2)의 양 측부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7)가 구비된다. 그 연결부재(27)는 각각의 포집장치(2)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포집장치(2)가 파고에 대응하게 일정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포집장치(2)의 일측에 볼트형의 숫 연결편(271)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게 타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포집장치의 숫 연결편(271)이 삽입되는 암 연결편(272)을 설치하였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연결편(271;272)간의 상호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숫 연결편(271)을 상기 암 연결편(273)에 삽입한 후 상기 숫 연결편(271)에 너트(273)를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집장치(2)의 상부 중앙에는 그 포집장치(2)의 수용공간(25)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해내기 위한 송출구(29)가 구비된다. 그 송출구(29)는 포집장치(2)의 수용공간(25)과 연통한다. 또한, 송출구(29)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송출장치의 송출관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접속부(29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집장치(2)의 전, 후방에는 그 포집장치(2)의 안정적인 부유는 물론 파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부유체(3)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각의 부유체(3)는 일정깊이로 해수면에 침수되어 유류(O)의 통과를 차단함은 물론 파도의 강도에 대응하도록 일정 무게를 지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부유체(3)의 체적은, 포집장치(2)내의 수용공간(25)의 공기를 배제시킬 수 있도록 포집장치(3)의 체적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휀스(11)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4)가 연결된다.
그 송출장치(4)는 오일 휀스(1)의 각각의 포집장치(2)에 설치된 송출구(29)에 연결되는 송출관(41)을 구비한다. 그 송출관(41)은 설치의 용이성 및 파도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신축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송출관(41)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에 설치된 송출구(29)에 선택적으로 또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43)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연결관(43)에는 송출구(29)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그 송출구(29)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29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링 너트(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연결관(43)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내의 유류(O)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47) 또는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각각의 개폐밸브(47)는 작업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되는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는 전자식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출관(41)의 일측단에는 그 송출관(41)을 통해 포집장치(2)내의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하기 위한 액튜에이터(49)가 설치된다. 그 액튜에이터(49)는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할 수 있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류(O) 제거장치는 원격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5)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콘트롤러(5)는 오일 휀스(1)의 각각의 포집장치(2)에 연결되는 송출장치(4)의 연결관(43)에 설치된 각각의 개폐밸브(47)에 연결되어 이들 각각의 개폐밸브(47)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송출장치(4)의 액튜에이터(49) 에 연결되어 그 액튜에이터(49)의 작동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에 의하면, 그 유류 제거장치는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류(O)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그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한 오일 휀스(10)를 구비한다. 그 오일 휀스(10)는 2개 이상의 유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여 울타리 또는 휀스 형태로 구성하여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유류 포집장치(12)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재(122)를 구비한다. 그 포집부재(122)의 하부에는 유류(O)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124)가 형성된다. 물론, 그 포집부재(122)는 내부에 유류(O)를 포집 또는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24)와 연통하는 수용공간(126)을 구비한다. 그 포집부재(122)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입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포집부재(122)는 해수에 부유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포집부재(122)의 전방, 즉 오일 휀스(10)의 설치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된 유류(O)가 존재하는 지역을 향하는 정면부(128)에는 보조적으로 유류(O)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장치(12)의 양 측부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4)가 구비된다. 그 연결부재(14)는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포집장치(12)가 파고에 대응하게 일정 범위내에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포집장치(12)의 일측에는 볼트형의 숫 연결편(142)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게 타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포집장치의 숫 연결편(142)이 삽입되는 암 연결편(144)을 설치하였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연결편(142;144)간의 상호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숫 연결편(142)을 상기 암 연결편(144)에 삽입한 후 상기 숫 연결편(144)에 너트(146)를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집장치(12)의 상부 중앙에는 그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해내기 위한 송출구(16)가 구비된다. 그 송출구(16)는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과 연통한다. 또한, 송출구(16)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송출장치의 송출관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접속부(1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집장치(12)의 전, 후 하방에는 그 포집장치(12)의 안정적인 부유는 물론 파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부유체(18)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각의 부유체(18)는 일정깊이로 해수면에 침수되어 유류(O)의 통과를 차단함은 물론 파도의 강도에 대응하도록 일정 무게를 지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휀스(10)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20)가 연결된다.
그 송출장치(20)는 오일 휀스(10)의 각각의 포집장치(12)에 설치된 송출구(16)에 연결되는 송출관(22)을 구비한다. 그 송출관(22)은 설치의 용이성 및 파도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신축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 송출관(22)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에 설치된 송출구(16)에 선택적으로 또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24)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각각의 연결관(24)에는 송출구(16)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그 송출구(16)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16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링 너트(2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연결관(24)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내의 유류(O)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244) 또는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각각의 개폐밸브(244)는 작업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되는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는 전자식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출관(22)의 일측단에는 그 송출관(22)을 통해 포집장치(12)내의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하기 위한 액튜에이터(26)가 설치된다. 그 액튜에이터(26)는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할 수 있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송출장치(20)에는 그 송출장치(20)에 의해 흡입되어 송출되는 유류(O)를 수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수집탱크(30)가 연설된다. 그 수집탱크(30)는 일반 선박 또는 방제선박(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도가 완만한 경우에는 해양에 부유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 수집탱크(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그 수집탱크(30)에 저장되는 유류(O)의 양, 유류(O) 상태, 해수 유입량 등을 확인하기 위해 눈금이 새겨진 인덱스부(32)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류(O) 제거장치는 원격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40)를 구비한다.
그 콘트롤러(40)는 오일 휀스(10)의 각각의 포집장치(12)에 연결되는 송출장치(20)의 연결관(24)에 설치된 각각의 개폐밸브(244)에 연결되어 이들 각각의 개폐밸브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송출장치(20)의 액튜에이터(26)에 연결되어 그 액튜에이터(26)의 작동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에 대해 도 7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해양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일정 영역의 해양을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유류(O)의 확산영역을 예측하여 그 길이를 결정한 후, 오일 휀스의 길이를 결정하여 그 길이에 해당하는 포집장치(12)의 개수를 결정하여 이들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여 오일 휀스(10)를 형성한다(S100). 여기서, 각각의 이웃하는 포집장치(12)들은 그것들의 양측에 구비된 숫 연결편(142)과 암 연결편(144)을 상호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오일 휀스(10)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포집장치(12)간의 상호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숫 연결편(142)과 암 연결편(144)이 결합된 상태에서 숫 연결편(144)에 너트(146)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휀스(10)가 형성되면, 해당 영역에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유입구(130)가 형성된 정면부(128)가 전방, 즉 누출되거나 확산되는 유류(O)를 향하도록 오일 휀스(10)를 설치한다(S102).
다음으로, 해양에 설치된 오일 휀스(10)의 각각의 포집장치(12)에 구비된 각각의 송출구(16)에 송출장치(20)의 송출관(22)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연결관(24)을 결합하여 송출장치(20)를 오일 휀스(10)에 연결한다(S104). 여기서, 작업자는 송출관(22)의 각각의 연결관(24)에 구비된 아이들링 너트(242)를 해당 송출구(16)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162)에 결합함으로써, 송출구(16)와 연결관(24)간의 신속하고 안전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송출장치(20)의 송출관(22)의 단부, 즉 액튜에이터(26) 이후의 송출관(22)에 수집탱크(30)를 연결한다(S106). 여기서, 수집탱크(30)는 선박, 바지선 또는 방제선박에 설치하거나 해양에 부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양에 오일 휀스(10)를 설치하고, 송출장치(20)를 오일 휀스(10)에 연결하고, 그 송출장치(20)에 수집탱크(30)에 연결한 상태에서, 예컨대 유류(O)가 선박 또는 다른 영역으로부터 유출되어 확산되는 경우, 그 유류(O)는 포집장치(12)의 정면부(128)에 형성된 유입구(130) 및 개구부(124)를 통해 각각의 포집장치(12)의 포집부재(12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6)에 포집한다(S108).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에 포집된 유류(O)는 해수(W)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해수(W)의 상부에 적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수동 또는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송출관(22)에 구비된 개폐밸브(242)를 개방한 후, 자동으로 송출장치(20)의 액튜에이터(26)를 작동시키면, 그 액튜에이터(26)의 흡입력에 의해 포집부재(122)내에 형성된 수용공간(126)에 존재하는 유류(O)를 흡입하여 그 유류(O)를 저장탱크(30)로 송 출하여 수집한다(S110). 여기서, 작업자 또는 콘트롤러(40)는 각각의 포집장치(12)내에 포집되는 오일의 양에 따라 각각의 개폐밸브(2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오일을 흡입 및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30)에 유류(O)가 수집되면, 그 수집탱크(30)에 구비된 인덱스부(32)를 통해 그 내부에 수집된 유류(O)의 양, 유류(O) 상태, 해수 유입량 등을 확인한 후 이를 폐기하거나 처리한다(S112). 물론, 그 수집탱크(30)에 유류(O)가 충만되면, 다른 저장탱크로 교체하여 연속적으로 해양의 오일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양으로 누출되어 각종 유류는 오일 휀스의 기본적인 역활에 의해 확산이 차단되며, 그 오일은 오일 휀스에 의해 포집되어 신속하게 자동으로 수거됨으로서, 해양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유류 제거장치의 포집장치 및 송출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류 제거장치에서의 유류의 제거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유류 제거장치의 포집장치 및 송출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유류 제거장치에서의 유류의 제거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오일 휀스 4, 20: 송출장치
30: 수집 탱크 5, 40: 콘트롤러

Claims (21)

  1. 유조선 또는 선박의 해양 사고시 누출되는 각종 유류(O)를 해수(W)와의 비중치를 이용하여 포집 및 제거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에 있어서,
    유출되는 유류(O)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해 상호 연결되고, 하부에 유류(O)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23)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3)와 연통하고 상기 개구부(23)를 통해 유입되는 유류(O)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5)이 형성된 포집부재(21)를 구비하는 복수의 포집장치(2)와;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를 해양에 부유시키기 위해 상기 포집장치(2)의 전 후방에 일체로 구비되고, 해수(W)에 일정깊이로 침수되도록 일정무게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장치(2)의 체적보다 큰 체적을 갖는 부유체(3)를 구비하는 오일 휀스(1): 및
    상기 오일 휀스(1)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2)의 양 측부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7)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포집장치가 파고에 대응하게 일정 범위내에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포집장치(12)의 일측에는 볼트형의 숫 연결편(271)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게 타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포집장치의 숫 연결편(271)이 삽입되는 암 연결편(27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의 상부 중앙에는, 각각의 포집장치(2)의 수용공간(25)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해내기 위한 송출구(29)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송출구(29)는 포집장치(2)의 수용공간(25)과 연통하며, 상기 송출구(29)의 단부에는 상기 송출장치(4)에 연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접속부(29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4)는 상기 오일 휀스(1)의 각각의 포집장치(2)에 설치된 송출구(29)에 연결되는 송출관(41)을 구비하고;
    상기 송출관(41)은 파도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신축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출관(41)에는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2)에 설치된 송출구(29)에 선택 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43)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관(43)에는 상기 송출구(29)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송출구(29)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291)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링 너트(4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3)에는 상기 포집장치(2)내의 유류(O)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47)가 설치되며;
    상기 송출관(41)의 일측단에는 상기 송출관(41)을 통해 포집장치(2)내의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하기 위한 액튜에이터(4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47) 및 상기 송출장치(4)의 액튜에이터(49)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47) 및 액튜에이터(49)의 작동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8. 유조선 또는 선박의 해양 사고시 누출되는 각종 유류(O)를 포집 및 제거하여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유류 제거장치에 있어서,
    유출되는 유류(O)의 확산을 방지하고 그 유류(O)를 포집하기 위해, 유류(O)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124)와, 상기 개구부(124)와 연통하며 상기 개구부(124)를 통해 유입되는 유류(O)를 수용하여 해수(W)와의 비중차에 의해 상기 유류(O)가 상부에 적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수용공간(126)과, 유류(O)가 부유되는 해양을 향해 개방되어 그 유류(O)를 보조적으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30)가 형성되는 정면부(128)로 이루어진 포집부재(122)를 구비하는 복수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 오일 휀스(10);
    상기 오일 휀스(10)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장치(20); 및
    상기 송출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송출장치(20)에 의해 흡입되어 송출되는 유류(O)를 수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수집탱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12)의 양 측부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포집장치가 파고에 대응하게 일정 범위내에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포집장치(12)의 일측에는 볼트형의 숫 연결편(142)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게 타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포집장치의 숫 연결편(142)이 삽입되는 암 연결편(1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상부 중앙에는,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에 포집된 유류(O)를 송출해내기 위한 송출구(16)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송출구(16)는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과 연통하며, 상기 송출구(16)의 단부에는 상기 송출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 접속부(1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전, 후 하방에는, 상기 포집장치(12)의 부유 및 파도에 대한 대응을 위해 부유체(18)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부유체(18)는 일부가 해수면에 침수되어 유류(O)의 통과를 차단하고 파도의 강도에 대응하도록 무게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20)는 상기 오일 휀스(10)의 각각의 포집장치(12)에 설치된 송출구(16)에 연결되는 송출관(22)을 구비하고;
    상기 송출관(22)은 파도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신축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출관(22)에는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에 설치된 송출구(16)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24)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관(24)에는 상기 송출구(16)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송출구(16)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16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링 너트(2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에는 상기 포집장치(12)내의 유류(O)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244)가 설치되며;
    상기 송출관(22)의 일측단에는 상기 송출관(22)을 통해 포집장치(12)내의 유류(O)를 흡입하여 송출하기 위한 액튜에이터(2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탱크(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수집탱크(30)에 저장되는 유류(O)의 양, 유류(O) 상태 및 해수 유입량 등을 확인하기 위해 눈금이 새겨진 인덱스부(32)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244) 및 상기 송출장치(20)의 액튜에이터(26)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244) 및 액튜에이터(26)의 작동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장치.
  17. 제8항,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류 제거장치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에 있어서,
    유류(O)의 확산영역을 예측하여 방제영역 및 길이를 결정한 후, 오일 휀스의 길이를 결정하고 그 길이에 해당하는 포집장치(12)의 개수를 결정하여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이웃하는 포집장치(12)들의 양측에 구비된 숫 연결편(142)과 암 연결편(144)을 상호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숫 연결편(142)과 암 연결편(144)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숫 연결편(144)에 너트(146)를 체결하여여 오일 휀스(10)를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오일 휀스(10)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유입구(130)가 형성된 정면부(128)가 유류(O)를 향하도록 오일 휀스(10)를 설치하는 단계(S102);
    상기 오일 휀스(10)의 각각의 포집장치(12)에 구비된 각각의 송출구(16)에 상기 송출장치(20)의 송출관(22)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연결관(24)을 결합하고, 상기 송출관(22)의 각각의 연결관(24)에 구비된 아이들링 너트(242)를 상기 해당 송출구(16)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부(162)에 결합하여 송출장치(20)를 오일 휀스(10)에 연결하는 단계(S104);
    상기 송출장치(20)의 송출관(22)에 설치된 액튜에이터(26) 이후의 송출관(22)에 수집탱크(30)를 연결하는 단계(S106);
    해양에 누출되거나 확산된 유류(O)를, 상기 포집장치(12)의 수용공간(126)에 포집된 유류(O)의 비중을 이용하여 상기 해수(W)의 상부에 적층시키고, 상기 포집장치(12)의 정면부(128)에 형성된 유입구(130) 및 개구부(124)를 통해 포집부재(12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6)에 포집하는 단계(S108);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의 송출관(22)에 구비된 개폐밸브(242)를 개방하고, 상기 송출장치(20)의 액튜에이터(26)를 작동시켜 상기 포집부재(122)내에 형성된 수용공간(126)에 존재하는 유류(O)를 흡입하여 유류(O)를 수집탱크(30)로 송출하여 수집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수집탱크(30)에 설치된 인덱스부(32)를 통해 유류(O)의 양, 유류(O) 상태 및 해수 유입량을 확인한 후, 상기 각각의 포집장치(12)내에 포집되는 오일의 양에 따라 상기 각각의 개폐밸브(2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오일을 흡입 및 송출하여 폐기하거나 수거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제거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70135196A 2007-12-21 2007-12-21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196A KR100958796B1 (ko) 2007-12-21 2007-12-21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196A KR100958796B1 (ko) 2007-12-21 2007-12-21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514A KR20090067514A (ko) 2009-06-25
KR100958796B1 true KR100958796B1 (ko) 2010-05-18

Family

ID=4099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196A KR100958796B1 (ko) 2007-12-21 2007-12-21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105B1 (ko) * 2013-01-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오일제거장치
KR101470743B1 (ko) * 2013-06-24 2014-1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CN109056676B (zh) * 2018-09-04 2024-05-17 陈大海 一种利用海浪浮动的收集装置及其海上围栏和收集方法
KR102107205B1 (ko) * 2019-10-24 2020-05-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해물질 처리 및 확산 방지를 위한 이동식 보 및 이를 이용한 유해물질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091A (ko) * 2005-03-14 2005-04-06 (주)씨에스티개발 환경보호를 위한 오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091A (ko) * 2005-03-14 2005-04-06 (주)씨에스티개발 환경보호를 위한 오일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514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7608A1 (en) Crouse big mouth barge skimmer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US5204000A (en) Tank for separating water and hydrocarbon fuels from contaminated water
US3615017A (en) Oil entrapment and containment watercraft
US37451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claiming oil-slick from water
US4554070A (en) Weir-type skimmer employing a wave diffuser
KR100958796B1 (ko) 유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NO328362B1 (no)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oppsamling av olje som flyter pa en vannoverflate
US8672639B2 (en) Bilge pump and method
US4588501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 immiscible liquid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higher density liquid
US20180326325A1 (en) Mixed Density Fluid Separator
US52924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spill
US5785865A (en)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084306B1 (ko) 매설용 시료수 채수장치
CN111410265A (zh) 一种根据浮油液位可自动开关的隔油池
EP0682553B1 (en) An apparatus for drainage of oil and water from a surface, especially from the deck of a tanker
US5216974A (en) Vessel for collecting and separating oil/water in a marine environment using submerged internal collection and separation
US202401752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 substance from a liquid surface
KR101860121B1 (ko) 유수분리기
KR20090080665A (ko) 오일 펜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오일 펜스
KR100939107B1 (ko) 오일회수장치
CN113800596A (zh) 一种海上浮油收集装置
EP1578661B1 (fr) Installation pour la recuperation d' un fluide polluant contenu dans au moins une tranche de cuves transversale d' un navire coule
US5533832A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recovery system
CN105239546A (zh) 回流阻隔式水面薄油膜回收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