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48B1 -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48B1
KR100957848B1 KR1020090088567A KR20090088567A KR100957848B1 KR 100957848 B1 KR100957848 B1 KR 100957848B1 KR 1020090088567 A KR1020090088567 A KR 1020090088567A KR 20090088567 A KR20090088567 A KR 20090088567A KR 100957848 B1 KR100957848 B1 KR 10095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lm
roller
repair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은길관
은선현
Original Assignee
(주)월암
봉화토건 합자회사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암, 봉화토건 합자회사,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filed Critical (주)월암
Priority to KR102009008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29C66/8362Rollers, cylinders or drums 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관보수용 원단이 감기는 원단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필름이 감기는 필름 롤러와, 상기 원단 롤러와 필름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에 각각 장착되고 일측 끝단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기어나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장착되는 원단 회전롤러 및 필름 회전롤러로 구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필름 롤러와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구김 방지와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수평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접합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원단 롤러에서 공급되는 배관보수용 원단과 필름 롤러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접합장치의 일측 또는 내부에는 상기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접합부에 열 또는 열풍(熱風)을 전달하여 상기 필름과 배관보수용 원단이 접합될 수 있도록 히팅장치를 장착하며, 상기 접합장치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과 일체로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필름 회전롤러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풍(熱風)이 가장자리를 통해 유입되어 중앙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보수용 원단과 필름을 손쉽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름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접합장치, 히팅장치, 보관장치, 간격조절수단.

Description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Piping repair fabric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보수용 원단과 필름을 손쉽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름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로 짜지 않고 포로 만들어진 부직포(不織布) 등과 같은 원단은 합성섬유(viscos rayon) 또는 화학섬유(PET, PP Nylon 등) 등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원단은 의류용, 산업자재용, 토목건설용, 농업용, 의료용, 화장품용, 전선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적용되는 분야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원단은 부직포의 경우 일측면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등을 코팅 처리하여 내구성, 방수성, 열 접착 등이 우수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원단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조되 는데, 필요에 따라 이들 원단의 표면으로 목적에 따라 필름을 접합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단에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가공이 완료된 원단과 필름을 접착제가 구비되는 이중롤러 사이에 통과시킨 후 접합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방법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원단과 필름이 접착상태가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단에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완성된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상부에 필름을 접착하여 이중롤러 사이에 통과시켜 접합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방법은 필름과 원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합제에 따른 표면이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표면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이중롤러의 구조를 가지고 필름을 회전작동시키는 필름 회전롤러에만 열을 공급하여 이송시킴으로써 원단과 필름을 손쉽게 접합시키면서도 일정한 표면을 가지는 배관보수용 원단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름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보관장치를 이용해서 적층 또는 롤러를 통해서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관보수용 원단이 감기는 원단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필름이 감기는 필름 롤러와, 상기 원단 롤러와 필름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에 각각 장착되고 일측 끝단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기어나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장착되는 원단 회전롤러 및 필름 회전롤러로 구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필름 롤러와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구김 방지와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수평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접합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원단 롤러에서 공급되는 배관보수용 원단과 필름 롤러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접합장치의 일측 또는 내부에는 상기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접합부에 열 또는 열풍(熱風)을 전달하여 상기 필름과 배관보수용 원단이 접합될 수 있도록 히팅장치를 장착하며, 상기 접합장치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과 일체로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필름 회전롤러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풍(熱風)이 가장자리를 통해 유입되어 중앙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롤러의 구조를 가지고 필름을 회전작동시키는 필름 회전롤러에만 열을 공급하여 이송시킴으로써 원단과 필름을 손쉽게 접합시키면서도 일정한 표면을 가지는 배관보수용 원단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을 보관장치를 이용해서 적층 또는 롤러를 통해서 손쉽게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접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를 구성하는 필름 회전롤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보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커팅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10)는 원단 롤러(23)에서 공급되는 배관보수용 원단(3)과 필름 롤러(24)에서 공급되는 필름(5)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접합장치(20)와, 상기 접합장치(20)의 일측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5)과 배관보수용 원단(3)이 접합될 수 있도록 열 또는 열풍(熱風)을 공급하는 히팅장 치(30)와, 상기 접합장치(20)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5)과 일체로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관하는 보관장치(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장치(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원단 롤러(23) 및 필름 롤러(24)와, 상기 원단롤러(23)와 필름 롤러(24) 사이에 장착되는 접합부(25)와, 상기 필름 롤러(24)와 접합부(25)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가이드 롤러(29)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1)은 소정의 높이와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고 배면에는 후설 할 간격조절수단(50)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원단(3)이 감긴 원단 롤러(23)와 필름(5)이 감긴 필름 롤러(24)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원단롤러(23)와 필름 롤러(24) 사이에 장착되는 접합부(25)는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로 구성되되, 상기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는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의 동일수평선상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22a)와 하부 연결부재(22b)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와 하부 연결부재(22b)는 사각형 형상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의 중앙 부분에 관통공(22a-1, 22b-1)을 형성하여 상기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를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의 일측이나 양측 끝단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28)나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장착된다.
상기 필름 롤러(24)와 접합부(25)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가이드 롤러(29)는 상기 필름 롤러(24)에서 공급되는 필름(5)을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에 구김 없이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합부(25)가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1)의 장착공간(21a) 양측에는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5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유·공압실린더(51)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의 하부에 장착되는 간격부재(53)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경사부재(55)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후방에 장착되는 작동부재(56)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유·공압실린더(51)는 로드(51a)가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2)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의 하부에 장착되는 간격부재(53)는 저면 중앙부분이 돌출형성되면서 중앙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베어링(54)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경사부재(55)는 상면(55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54)에 밀착된다.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후방에 장착되는 작동부재(56)는 회전손잡이(57) 작동에 따라 스크류(58)가 회전작동하여 상기 경사부재(55)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접합장치(20)의 일측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5)과 배관보수용 원단(3)이 접합될 수 있도록 열 또는 열풍(熱風)을 공급하는 히팅장치(30)는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면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열선(30a)이나, 기름 또는 열선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송풍기 등을 이용해서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부에 공급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팅장치(30)에서 공급되는 매체는 열, 열풍 뿐만 아니라 따뜻한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히팅장치(30)를 통해 열을 공급받는 상기 필름 회전롤러(27)는 도시된 4(a) 및 4(b)와 같이 형성되는데 즉, 도시된 도 4(a)는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풍(熱風)이 가장자리를 통해 유입되어 중앙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27a)가 형성된 것이고, 도 4(b)는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부 가장자리 둘레에 열선(30a)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접합장치(20)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5)과 일체로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관하는 보관장치(40)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안내롤러(44)와,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이송시키는 회전구동부(45)와,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감아서 보관하거나 적층보관하는 경사안내부(46)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41)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베이스 판(42)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부(43)를 장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1)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안내롤러(44)는 상기 몸체(41)의 전방 양측에 장착되는 브라켓(44a)에 자체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수평안내롤러(44)는 브라켓(44a)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베어링(미도시)을 장착하여 상기 수평안내롤러(44)가 배관보수용 원단(3)의 이동시 진행방향으로 회전작동하여 배관보수용 원단(3)을 부하 없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이송시키는 회전구동부(45)는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동부(45)의 구성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거치대(45a)와, 상기 몸체(41)에 장착되는 동력원(45b)과, 상기 동력원(45b) 사이에 장착되는 이송롤러(45c)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구동부(45)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원(45b)이 회전작동시 이송롤러(45c)를 회전작동시켜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레일(43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45)의 거치대(45a)가 상기 가이드 레일(43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음을 밝힌다.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감아서 보관하거나 적층보관하는 경사안내부(46)는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양측 끝단에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끝단에 부분에는 상기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롤러(47a)이나 적층보관이 가능하도록 수납케이스(47b)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몸체(41)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안내부(4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유·공압 실린더(48)가 장착되는데 즉, 상기 각도조절 유·공압 실린더(48)는 일측이 몸체(41)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반대 측이 경사안내부(46)와 접촉되어 전·후 또는 회전작동을 통해서 경사안내부(46)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양측으로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팅수단(60)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기 커팅수단(60)은 절단칼(62)과 상기 절단칼(6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64)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부(43)에 장착되어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별도의 절단작업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재(64)는 유·공압 실린더, 랙과 피니언, 볼 스크류 과 기타 여러 부재 중 택일하여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관보수용 원단(3)이 감기는 원단 롤러(23)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필름(5)이 감기는 필름 롤러(24)와, 상기 원단 롤러(23)와 필름 롤러(2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1)과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22a)와 하부 연결부재(22b)에 각각 장착되고 일측 끝단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기어(28)나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장착되는 원단 회전롤러(26) 및 필름 회전롤러(27)로 구성되는 접합부(25)와, 상기 필름 롤러(24)와 접합부(2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5)의 구김 방지와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수평가이드 롤러(29)로 이루어진 접합장치(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25)의 양측에는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5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로드(51a)와 연결된 고정브라켓(52)이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에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51)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의 하부에 장착되고 저면 중앙부분이 돌출형성되면서 중앙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베어링(54)이 장착되는 간격부재(53)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면서 상면(55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54)에 밀착되는 경사부재(55)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후방에 장착되고 회전손잡이(57) 작동에 따라 스크류(58)가 회전작동하여 상기 경사부재(55)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작동부재(56)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접합장치(20)의 일측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히팅장치(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장치(20)의 전방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베이스 판(42) 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부(43)가 장착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안내롤러(44)와,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거치대(45a)를 구비하여 장착되고 상기 몸체(41)에 장착되는 동력원(45b)으로 사이에 장착되는 이송롤러(45c)를 회전작동시켜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이송시키는 회전구동부(45)와,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양측에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끝단에 부분에는 보관롤러(47a)나 수납케이스(47b)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롤러(45c)와 몸체(41)의 상부를 거쳐 전달되는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감아서 보관하거나 적층보관하는 경사안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관장치(40)를 설치하면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10)의 조립 순서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10)를 이용해서 배관보수용 원단(3)과 필름(5)을 접합시키고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유·공압실린더(51)를 이용해서 간격부재(53)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작동부재(56)의 회전손잡이(57)의 작동을 통해서 상기 경사부재(55)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접합부(25)의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의 간격과 높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합장치(20)를 구성하는 원단 롤러(23)와 필름 롤러(24)에 배관보수용 원단(3)과 필름(5)을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접합부(25)의 필름 회전롤 러(27)에 히팅장치(30)를 이용해서 열풍(熱風)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보수용 원단(3)과 필름(5)을 접합부(25)의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에 접합하여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필름(5)은 수평가이드 롤러(29)를 통해서 구김 방지와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 이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풍(熱風)에 의하여 배관보수용 원단(3)과 접촉시 수월하게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필름(5)은 필림 회전롤러(27)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작동을 통한 일정한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보수용 원단(3)과 접합하게 됨으로써 표면이 균일하면서 접합이 수월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접합장치(20)를 거친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은 보관장치(40)의 전방에 위치하는 수평안내롤러(44)에 전달되는 동안 자연냉각이 이루어지고 수평안내롤러(44)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안내롤러(44)를 통과한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은 회전구동부(45)를 구성하는 이송롤러(45c)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베어링(49)을 통해 원활하게 상기 경사안내부(46)에 전달되어 보관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은 경사안내부(46)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팅수단(60)을 통해 필요한 크기로 절단됨으로써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접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를 구성하는 필름 회전롤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보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커팅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20 : 접합장치,
21 : 지지프레임, 23 : 원단 롤러,
24 : 필름 롤러, 25 : 접합부,
26 : 원단 회전롤러, 27 : 필름 회전롤러,
30 : 히팅장치, 40 : 보관장치,
41 : 몸체, 42 : 베이스판,
43 : 수직지지부, 44 : 수평안내롤러,
45 : 회전구동부, 46 : 경사안내부,
50 : 간격조절수단, 51 : 유·공압실린더,
52 : 고정브라켓, 53 : 간격부재,
54 : 베어링, 55 : 경사부재,
56 : 작동부재.

Claims (10)

  1.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관보수용 원단(3)이 감기는 원단 롤러(23)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필름(5)이 감기는 필름 롤러(24)와, 상기 원단 롤러(23)와 필름 롤러(2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1)과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22a)와 하부 연결부재(22b)에 각각 장착되고 일측 끝단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기어(28)나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장착되는 원단 회전롤러(26) 및 필름 회전롤러(27)로 구성되는 접합부(25)와, 상기 필름 롤러(24)와 접합부(2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5)의 구김 방지와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수평가이드 롤러(29)로 이루어진 접합장치(20)를 구성하여 상기 원단 롤러(23)에서 공급되는 배관보수용 원단(3)과 필름 롤러(24)에서 공급되는 필름(5)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접합장치(20)의 일측 또는 내부에는 상기 접합장치(20)를 구성하는 접합부(25)에 열 또는 열풍(熱風)을 전달하여 상기 필름(5)과 배관보수용 원단(3)이 접합될 수 있도록 히팅장치(30)를 장착하며,
    상기 접합장치(20)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5)과 일체로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장치(40)로 구성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필름 회전롤러(27)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풍(熱風)이 가장자리를 통해 유입되어 중앙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27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25)의 양측에는 원단 회전롤러(26)와 필름 회전롤러(27)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50)을 장착하되,
    상기 간격조절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로드(51a)와 연결된 고정브라켓(52)이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에 결합되는 유·공압실린더(51)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22a)의 하부에 장착되고 저면 중앙부분이 돌출형성되면서 중앙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베어링(54)이 장착되는 간격부재(53)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면서 상면(55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54)에 밀착되는 경사부재(55)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22b)의 후방에 장착되고 회전손잡이(57) 작동에 따라 스크류(58)가 회전작동하여 상기 경사부재(55)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작동부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 회전롤러(27)의 내부에는 둘레를 따라 열선(30a)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장치(4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베이스 판(42)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부(43)가 장착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안내롤러(44)와,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거치대(45a)를 구비하여 장착되고 상기 몸체(41)에 장착되는 동력원(45b)으로 사이에 장착되는 이송롤러(45c)를 회전작동시켜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이송시키는 회전구동부(45)와,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양측에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끝단에 부분 에는 보관롤러(47a)나 수납케이스(47b)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롤러(45c)와 몸체(41)의 상부를 거쳐 전달되는 필름(5)이 부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감아서 보관하거나 적층보관하는 경사안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41)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안내부(4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유·공압 실린더(4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레일(43a)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구동부(45)의 거치대(45a)가 상기 가이드 레일(43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43)의 양측으로 필름(5)이 접합된 배관보수용 원단(3)을 절 단할 수 있도록 커팅수단(60)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커팅수단(60)은 절단칼(62)과 상기 절단칼(6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64)는 유·공압 실린더, 랙과 피니언, 볼 스크류 중 택일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KR1020090088567A 2009-09-18 2009-09-18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KR10095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67A KR100957848B1 (ko) 2009-09-18 2009-09-18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67A KR100957848B1 (ko) 2009-09-18 2009-09-18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48B1 true KR100957848B1 (ko) 2010-05-14

Family

ID=4228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567A KR100957848B1 (ko) 2009-09-18 2009-09-18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765B1 (ko) 2012-08-08 2013-09-26 (주)한성 하나론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CN117123940A (zh) * 2023-10-23 2023-11-28 雄县路成纸塑包装有限公司 一种防静电塑料的激光切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52Y1 (ko) 1999-07-27 2000-02-15 서기원 방수지용 테이프 용착기의 냉풍분사구
KR20010107229A (ko) * 2000-05-26 2001-12-07 김현대 연속생산이 가능한 반사지 성형장치
KR20030027292A (ko) * 2001-09-28 2003-04-07 윤철기 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52Y1 (ko) 1999-07-27 2000-02-15 서기원 방수지용 테이프 용착기의 냉풍분사구
KR20010107229A (ko) * 2000-05-26 2001-12-07 김현대 연속생산이 가능한 반사지 성형장치
KR20030027292A (ko) * 2001-09-28 2003-04-07 윤철기 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765B1 (ko) 2012-08-08 2013-09-26 (주)한성 하나론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CN117123940A (zh) * 2023-10-23 2023-11-28 雄县路成纸塑包装有限公司 一种防静电塑料的激光切割装置
CN117123940B (zh) * 2023-10-23 2023-12-22 雄县路成纸塑包装有限公司 一种防静电塑料的激光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4083B (zh) 一种简易的宽幅超薄膜的平行展开覆膜装置与工艺
JPH09509107A (ja) 管状ライニングホー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11904534B2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US6904948B2 (en) Cellular shade materia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0957848B1 (ko)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US11007703B2 (en) Tape application device for helical application of a tape on a tube
CN110466237B (zh) 一种复合机
CN108673872A (zh) 一种防水卷材覆膜成型水冷设备
KR100948392B1 (ko)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US8342218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product
CN108582960A (zh) 一种防水卷材覆膜装置
KR20110002623A (ko) 라미네이트 장치
CN211334622U (zh) 一种热塑膜复合机
KR20130057053A (ko) 주입구를 갖는 아이스팩 제조장치
KR101656839B1 (ko) 직물 접합 장치
KR100757044B1 (ko) 장식용 시트지 접착제 도포장치
CN208469052U (zh) 一种防水卷材覆膜成型水冷设备
CN113334898A (zh) 用于加工硅胶床垫的胶点转移复合机
JP5838068B2 (ja) 補強材巻き付け装置
JPH0890692A (ja) 管状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装置
US1204342A (en) Machine for wrapping hose and similar articles.
CN113320137A (zh) 一种复合塑料管生产用编管机及其使用方法
CN110424144A (zh) 一种全自动多层布匹铺设裁床
CN111546699A (zh) 一种纸筒袋制筒机的纵向条胶机构
KR20030095629A (ko)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