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44B1 -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44B1
KR100957844B1 KR1020090051646A KR20090051646A KR100957844B1 KR 100957844 B1 KR100957844 B1 KR 100957844B1 KR 1020090051646 A KR1020090051646 A KR 1020090051646A KR 20090051646 A KR20090051646 A KR 20090051646A KR 100957844 B1 KR100957844 B1 KR 10095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irror
decorative
reflective film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래윤
Original Assignee
허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래윤 filed Critical 허래윤
Priority to KR102009005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7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반사하는 반사부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울을 준비하는 거울 준비단계; 거울의 전면에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 장식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의 점착필름을 제거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 점착필름이 제거된 부분의 반사막을 에칭하여 반사막을 제거하는 반사막 에칭단계; 거울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필름을 전부 제거하는 제2 필름 제거단계; 반사막이 제거된 부분에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 상기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이미지 인쇄단계; 상기 프린팅된 하도제 위에 상도제를 도포하는 상도제 도포단계를 포함한다.
장식거울, 반사부, 장식부

Description

장식거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 mirror}
본 발명은 다채로운 외장의 미를 추구할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울(mirror)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像)을 맺는, 즉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이다. 표면이 편평한 유리판 뒷면에 수은(水銀)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기 위하여 연단(鉛丹)을 칠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거울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먼저 비교적 기포가 없는 유리를 선택한 후, 거울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형상이 굴절되지 않도록 평탄성을 갖도록 가공하고, 그 가공된 유리를 소다물 등에서 깨끗이 세정한다.
세정된 유리의 일면에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즉 질산은으로 일정한 농도를 가지는 용액을 조제하고 거기에 적당한 양의 암모니아수를 넣은 후 환원제(포름알 데히드 또는 포도당)를 적당히 넣은 다음 그 제조된 용액을 유리 위에 부어 놓으면 질산은이 환원되면서 유리의 일면으로 은이 증착되어 반사막이 형성됨에 따라 그 속에 맺힌 상을 볼 수 있는 상태의 거울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반사막의 표면에는 그 반사막이 검게 오염되거나 벗겨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그 반사막의 표면으로 페인트를 칠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일련의 완성된 거울로서의 모든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종래의 거울은 단순하게 거울을 보는 용도로만 사용되었을 뿐, 별도의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다가 최근에 들어서는 거울을 단순히 보기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식 용도로도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이르게 되었고, 그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장식용 거울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단순하고 밋밋한 평면 형태의 거울에서 벗어나 그 외장에 화려한 장식을 부여함으로써 단순하게 피사체를 비추는 본연의 기능에서 탈피하여 거울 그 자체가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위, 장식거울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거울의 테두리를 따라 금박이나 은박의 장식물을 접착한다든지 혹은 거울 그 자체의 면에 모자이크 방식의 패턴(pattern)을 부가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식거울이 속속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경우 일반적이고 단순한 거울보다는 장식거울을 구매하는 경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널리 알려진 장식거울의 대부분은 거울의 표면에 단순하게 장식물을 붙이거나 혹은 도색한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장식거울로서의 가치를 높이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즉, 화려한 장식거울을 제조하기에는 다소 한계 가 따른다.
한편, 유리(glass)는 규사,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을 고온으로 녹인 후 냉각하면 생기는 투명도가 높은 물체로 초자(硝子)라고도 한다. 종래에는 규산을 주체로 한 규산염유리가 대표적이었지만 현재는 붕산염유리, 인산염유리 등의 산화물 유리가 실용화되었으며, 황화물, 셀렌화물 등의 유리도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물질 구조상으로 보면, 겉보기는 고체이지만 고체 특유의 결정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일정한 녹는점도 가지고 있지 않다.
실질적으로 거울과 유리는 서로 상이한 물건이기는 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장식거울은 유리, 혹은 장식유리를 포함하는 용어라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려한 외장의 미를 추구할 수 있기에 실질적으로 자연스러우면서도 화려함을 지닌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를 반사하는 반사부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에 있어서, 거울을 준비하는 거울 준비단계; 거울의 전면에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 장식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의 점착필름을 제거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 점착필름이 제거된 부분의 반사막을 에칭하여 반사막을 제거하는 반사막 에칭단계; 거울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필름을 전부 제거하는 제2 필름 제거단계; 반사막이 제거된 부분에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 상기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이미지 인쇄단계; 상기 프린팅된 하도제 위에 상도제를 도포하는 상도제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피사체를 반사하는 반사부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에 있어서, 투명유리를 준비하는 유리 준비단계; 상기 투명유리의 전면에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 상기 투명유리에서 반사막 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만 점착필름을 재단하여 커팅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 상기 점착필름이 제거된 부위에 반사막을 형성하는 반사막 형성단계; 상기 투명유리의 점착필름을 모두 벗겨내는 제2 필름 제거단계; 상기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장식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 상기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이미지 인쇄단계; 상기 프린팅된 하도제 위에 상도제를 도포하는 상도제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울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표출되도록 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뛰어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장식거울을 제작 및 보급함으로써 실수요자가 거울을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가구의 문짝이나 건축물의 문짝 등 여러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여 주거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거울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물체를 비추는 반사부(10)(10')와, 거울의 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미적 효과를 부여해 주는 장식부(20)(20')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때, 장식부(20)는 원형 또는 비원형 등 어떤 형태라도 형성 가능하며, 그 테두리에는 장식부(20)에 대한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패드(30)(30')가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거울은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통상의 거울이다. 즉,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거울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像)을 맺는, 즉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이다. 표면이 편평한 유리판 뒷면에 수은(水銀)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기 위하여 연단(鉛丹)을 칠하여 제조된다.
물론, 거울 대신에 유리가 사용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거울 및 유리에 상응하는 재료, 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이나 반사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장식거울 제조방법은 거울 준비단계(S11), 필름 부착단계(S12), 제1 필름 제거단계(S14), 반사막 에칭단계(S15), 제2 필름 제거단계(S16), 하도제 도포단계(S17), 이미지 인쇄단계(S18), 상도제 도포단계(S19)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우선, 증착공정을 통하여 유리의 일면에 반사막이 형성된 통상의 거울을 준비하는 거울 준비단계(S11) 이후, 반사막의 전면에 고무롤러를 이용하여 3.0㎜∼ 5.0㎜ 두께의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S12)를 진행한다.
그 후, 거울의 반사부(10)로 사용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장식부(20)를 형성하기 위해 그 부위의 점착필름을 제거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S14) 및 반사막을 제거하는 반사막 에칭단계(S15)를 진행한다. 즉, 반사막을 공지된 약품 등에 의해, 특히 질산 등을 사용하여 그 반사막을 제거하거나 공지된 식각이나 부식 또는 에칭이나 작업자가 직접 긁어서 반사막이 제거되어 제거된 부분은 일측과 타측이 투시되는 투명의 유리 자체만 남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재단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부분을 재단하고, 재단된 부분을 탈거할 수도 있다. 이때, 반사막 에칭단계(S15) 이전에 장식부(20)와 반사부(10) 간에 구별이 될 수 있도록 패드(30)를 부착하는 패드 부착단계(S13)가 더 포함되어 보다 세련된 장식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막이 제거된 부분 이외에 남아 있는 잔존 점착필름을 제거하는 제2 필름 제거단계(S16)를 진행하고,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S17)가 진행된다. 본 실시예의 하도제는 투명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UV 경화용 하도제가 도포되는 것이 공정 진행 속도에 이점을 부여한다. 예컨대, 하도제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가 적용될 수 있다. 하도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메탈등, 수은등이 구비된 대형 경화기기를 이용하여 하도제 경화 작업을 진행한다.
그 후,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인쇄하는 이미지 인쇄단계(S18)를 거치는데, 이때 잉크 역시 통상의 자외선 경화 잉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미지 인쇄단계(S18)가 완료되면, 이미지의 외측에 상도제를 도포하여 공정을 마감하는 상도제 도포단계(S19)를 진행한다.
상도제 역시 하도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경화용 상도제가 적용된다. 예컨대, 상도제는 혼합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프로폭시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가 적용된다. 이때, 상도제는 흰색이나 기타 여러 색상이 적용 가능하며, 이에 더해서 펄 등의 장식재가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상도제 도포작업이 완료되면 역시 경화기기를 이용하여 상도제 경화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공정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장식거울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장식거울은 평면 형태의 장식부(20) 내에 다양한 형상의 반사부(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으로써, 실내장식은 물론, 가구의 문짝 등에도 사용 가능하며, 단순히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거울의 기능을 뛰어 넘어 주변 공간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장식거울 제조방법은 유리 준비단계(S21), 필름 부착단계(S22), 패드 부착단계, 제1 필름 제거단계(S24), 반사막 형성단계(S25), 제2 필름 제거단 계(S26), 하도제 도포단계(S27), 이미지 인쇄단계(S28), 상도제 도포단계(S29)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우선, 통상의 투명유리를 준비하는 유리 준비단계(S21) 이후, 투명유리 전면에 고무롤러를 이용하여 3.0㎜∼5.0㎜ 두께의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S22)를 진행한다.
그 후, 거울용 반사부(10)를 형성하기 위해 그 부위(반사막 형성부분)의 점착필름을 레이저 재단기로 커팅한 후 제거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S24)를 진행하고, 그 이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 등으로 된 재경형도료를 도포하여서 진공방식으로 알루미늄 반사막을 처리함으로써 거울의 기능을 부여하는 반사막 형성단계(S25)를 진행한다.
이때, 반사막 형성단계(S25) 이전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식부(20)와 반사부(10) 간에 구별이 될 수 있도록 패드(30)를 부착하는 패드 부착단계(S23)가 더 포함되어 보다 세련된 장식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투명유리의 남아있는 필름을 모두 제거하는 제2 필름 제거단계(S26), 필름이 제거된 부분에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S27),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이미지 인쇄단계(S28) 및 프린팅된 이미지 위에 상도제를 도포하는 상도제 도포단계(S2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도제 및 상도제 도포단계는 그 조성 및 공정조건이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장식거울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장식거 울은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평면 형태의 반사부(10') 내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부(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게 되며, 이 역시 실내장식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공간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거울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거울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반사부 20,20' ; 장식부
30,30' ; 패드

Claims (3)

  1. 삭제
  2. 피사체를 반사하는 반사부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유리를 준비하는 유리 준비단계;
    상기 투명유리의 전면에 3.0~5.0mm 두께의 점착필름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단계;
    상기 투명유리에서 반사막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만 레이저 재단기로 상기 점착필름을 재단하여 커팅하는 제1 필름 제거단계;
    상기 점착필름이 제거된 부위에 진공방식으로 알루미늄 반사막을 형성하는 반사막 형성단계;
    상기 투명유리의 나머지 점착필름을 모두 벗겨내는 제2 필름 제거단계;
    상기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장식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도제를 도포하는 하도제 도포단계;
    상기 하도제 위에 컴퓨터 도안을 통해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이미지 인쇄단계;
    상기 프린팅된 하도제 위에 상도제를 도포하는 상도제 도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 부착단계 이후 장식부가 형성될 부위에 패드를 부착하는 패드 부착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090051646A 2009-06-10 2009-06-10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KR10095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46A KR100957844B1 (ko) 2009-06-10 2009-06-10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46A KR100957844B1 (ko) 2009-06-10 2009-06-10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44B1 true KR100957844B1 (ko) 2010-05-14

Family

ID=4228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646A KR100957844B1 (ko) 2009-06-10 2009-06-10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21B1 (ko) * 2019-06-27 2019-11-27 주식회사 휴먼스 양면 거울을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125A (ko) * 2000-08-29 2002-03-07 방갑순 경대용 거울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882Y1 (ko) * 2002-07-10 2002-11-04 박용일 거울
KR100700682B1 (ko) * 2001-09-05 2007-03-27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디지털 방식으로 인쇄된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70096A (ko) * 2007-01-25 2008-07-30 허래윤 유리 인쇄용 프라이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125A (ko) * 2000-08-29 2002-03-07 방갑순 경대용 거울 및 그 제조방법
KR100700682B1 (ko) * 2001-09-05 2007-03-27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디지털 방식으로 인쇄된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293882Y1 (ko) * 2002-07-10 2002-11-04 박용일 거울
KR20080070096A (ko) * 2007-01-25 2008-07-30 허래윤 유리 인쇄용 프라이머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21B1 (ko) * 2019-06-27 2019-11-27 주식회사 휴먼스 양면 거울을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그 제조방법
JP2021006498A (ja) * 2019-06-27 2021-01-21 ヒューマン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両面鏡を含む接合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7051036B2 (ja) 2019-06-27 2022-04-11 ナイン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両面鏡を含む接合ガラス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3001A1 (en) Ceramic-based timepiece or jewellery component with a structured decoration
JP2013017804A (ja) ブリングネイル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204402U (zh) 具有纹理外观的透明结构
KR101265992B1 (ko) 자개무늬가 표출되는 크리스탈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0957844B1 (ko) 장식거울의 제조방법
KR101400118B1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CN1197719C (zh) 彩色不锈钢喷砂花纹图案装饰表面的形成方法
KR20080078546A (ko) 장식용 스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시트지
CN2797086Y (zh) 表面具有亮哑装饰图文的玻璃制品
JP2006275681A (ja) 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41995A (ja) 漆加工品の製造方法および漆加工を施した装身具
CN1140423C (zh) 一种装饰玻璃的生产工艺
WO2008026017A1 (en)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conveyance jewelry, especially motorcar jewelry, and conveyance, especially motorcar jewelry
KR200256822Y1 (ko) 장식 유리
KR100847568B1 (ko) 홀로그램시트를 이용한 장식용 거울의 제조방법
AU2003290093A1 (en) Coated optical element for corrective action obtained by producing layer thickness variations or by refraction factor variations in said coating
CN2296278Y (zh) 彩色镶嵌玻璃艺术镜
KR101223842B1 (ko) 이중유리가 구비된 창호유리 제조방법
KR101488727B1 (ko)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219824023U (zh) 一种艺术玻璃平板
CN2745761Y (zh) 工艺石材
CN210683660U (zh) 表面装饰层构造
CN102120400A (zh) 立体玻璃壁画制作工艺
CN201291704Y (zh) 一种贝壳装饰片
RU2052402C1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стек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