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82B1 -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 Google Patents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82B1
KR100957382B1 KR1020070140616A KR20070140616A KR100957382B1 KR 100957382 B1 KR100957382 B1 KR 100957382B1 KR 1020070140616 A KR1020070140616 A KR 1020070140616A KR 20070140616 A KR20070140616 A KR 20070140616A KR 100957382 B1 KR100957382 B1 KR 10095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door
vane
modular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484A (ko
Inventor
한학기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7014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82B1/ko
Priority to PCT/US2008/087677 priority patent/WO2009086104A1/en
Priority to US12/810,524 priority patent/US8776953B2/en
Priority to GB1007553.9A priority patent/GB2468603B/en
Publication of KR2009007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66B13/125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electr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ㄷ자형상의 코어(521a)에 코일(521c)이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석 모듈(521); 및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상호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부상에 충진되는 절연소재(522c)가 구비된 코일박스(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러 전자석(520)과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를 기술적 요지로 하여, 카도어와 승장도어를 구속시키는 수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상태의 가변에 따른 오작동 및 보수요청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견고한 조립강도를 구현가능한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도어, 승장도어, 전자석, 커플러

Description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Modulor electromagnet and coupler for elevator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와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장도어를 연결하여 함께 개폐시키는 데 이용하기에 적합한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다가 각 층의 승강장에 정차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카도어(car door)와 각 층의 승강장을 마감하는 승장도어(hoistway door)는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 함께 개폐조정되며, 상기 승장도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상기 승장도어를 정위치에 구속시키는 랜딩도어록킹장치(landing door locking device)가 설치된다.
상기 카도어와 승장도어를 함께 개폐조정시킴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하나의 구동원과,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를 잠금해제시키며 상기 카도어와 상기 승장도어를 상호 결속시키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카도어와 상기 승장도어를 결속시킨 상태로 함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70)의 제1실시예가 엘리베이터 카도어(6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카도어 헤더(10)와, 상기 카도어 헤더(10)의 상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0)에 의해 연동회전되는 다수의 풀리(30)와, 상기 다수의 풀리(30)에 양단부가 구속된 상태로 순환이동되는 구동벨트(40)와, 상기 카도어 헤더(10)에 설치된 트랙 레일(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행어(50)가 구비되고, 상기 카도어(60)는 상기 도어행어(50)의 하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의 도어 커플링 장치(70)는 상기 도어행어(50)에 고정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도 2, 3은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70)와, 랜딩도어록킹장치(8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상기 도어커플링 장치(70)는 상기 도어행어(50)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71)와, 상기 구동벨트(40)상에 연동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플링 아암(72)과, 상기 상부 커플링 아암(72)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커플링 아암(73)과, 상기 상, 하부 커플링 아암(72, 73)의 회동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이 인접 또는 이격조정되는 한쌍의 커플링 베인(7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80)는 상기 커플링 베인(74)이 도입가능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한쌍의 인터록 롤러(81)와, 상기 커플링 베인(74)과 인터록 롤러(81)가 접속된 상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후크(82) 및 래치(83)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도 4, 5는 각각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70)가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80)에 접속되기 전, 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평면도 및 요부정면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지정된 층에 정차한 시점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곧바로 상기 구동모터(20)가 작동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 커플링 아암(72, 73)이 연동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커플링 베인(74)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인터록 롤러(81)에 접속되고, 상기 후크(82) 및 래치(83)는 상호 이탈되며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커플링 베인(74)은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의 인터록 롤러(81) 사이에 위치됨에 있어서 안전상의 요구에 의해 정렬상태의 정교함이 요구되는 반면에 상기 카도어(60)의 위치가 탑재하중 등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수용가능할 정도의 공차를 요구하므로 설계상의 어려움이 따르고, 안정된 설치상태로 조정하는 과정에서 설치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초기의 조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어려워 빈번한 고장과 보수요청이 따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는 상기 커플링 아암(72, 73)의 회동 및 커플링 베인(74)의 연동이동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다수의 커플링 아암(72, 73)을 회동시키고 상기 한쌍의 인터록 롤러(8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힌지축 및 회전축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 시 고장 및 보수요청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다른 문제점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카도어와 승장도어를 구속시키는 수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정교함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상태의 가변에 따른 오작동 및 보수요청을 감소시켜 작동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승장도어를 구속시키는데 필요한 부품수와, 회동 및 회전이 요구되는 부품수, 힌지축 및 회전축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장기간 사용 시에도 고장 및 보수요청이 요구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강도를 구현가능한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ㄷ자형상의 코어(521a)에 코일(521c)이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석 모듈(521); 및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상호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부상에 충진되는 절연소재(522c)가 구비된 코일박스(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러 전자석(520)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는, 다수의 ㄷ자형 코어시트(521a-1)를 적층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의 가로폭(b)이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가로폭(a)의 3배에 해당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간의 이격거리 및 양단부 각각의 세로폭(a)은 상기 연결부의 가로폭(a)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는, 상기 코어(52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상에 마운팅 홀(521a-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전자석 모듈 코어의 마운팅 홀(521a-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운팅 홀(522a)이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코일박스(522) 다수를 연속하여 상호 접속시키면 상기 코일박스(522)에 수용된 각각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이 하나의 연장면상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호간의 접속부 또는 인접부가 상호 대응되는 외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박스의 절연소재(522c)는, 상기 코일박스(520)의 개방단부까지 충진된 상태로 고형화되어 상기 코일박스(520)의 개방단부를 절연 및 커버링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박스(522)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일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플러스단자와,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타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에서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마이너스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4개 이상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구비됨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직렬연결되어 형성된 모듈러 전자석 그룹이 상호 병렬연결된 회로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110)와 승강장의 승장도어(210)를 함께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210)에 설치되는 인터록 베인(400); 및 상기 카도어(11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인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조정되는 커플링 베인(510)과, 상기 커플링 베인(510)의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다수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구속하는 모듈러 전자석(520)을 구비하여, 전자력으로 상기 승장도어(210)를 구속하여 상기 카도어(11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 커플링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ㄷ자형상의 코어(521a)에 코일(521c)이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석 모듈(521); 및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상호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부상에 충진되는 절연소재(522c) 가 구비된 코일박스(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전자석(520)은, 상기 전자석(52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커플링 베인(510) 및 상기 커플링 베인(510)을 카도어 행어(130)에 구속하는 마운팅 지지대(530)측으로 전도 및 공기중으로 방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풀리(320)에 연동이동되는 구동벨트(330)에 고정결합되는 벨트결합부(531)와, 상기 카도어(110)를 연동이동시키는 카도어 행어(130)에 고정설치되는 행어결합부(532)와, 상기 커플링 베인(510)이 고정결합가능한 접속면을 제공하는 베인접속부(533)를 구비한 마운팅 지지대(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에 따른 기계적 충격을 완충하도록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고정설치되는 고무범퍼(540);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및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간의 이격거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양단부가 고정설치되는 고정테이프(550); 및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중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외측면을 접속지지하도록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5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보호 및 안내가능한 케이블 안내통로를 구비하여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전자석(520)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체인(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근접 또는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20)에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의 이격지점에 근접된 상태에서 이격지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차단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도어 커플링 장치가 별도의 회동부재 및 회전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구동원에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인터록 베인에 탈착조정되는 작동구조를 구현하게 됨에 따라, 도어 커플링 장치와 인터록 베인을 카도어와 승장도어에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간격의 정교함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정작업에 소요되던 시간과 노력을 줄여 설치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록 베인을 제작함에 있어서, 카도어의 위치가 탑재하중 등에 의해 가변된 상태에서도 모듈러 전자석과의 접속상태를 유지가능할 정도의 접속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함으로써, 도어 커플링 장치와 인터록 베인간의 접속이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속된 상태에서 카도어의 위치가변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모듈러 전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설치상태의 가변에 따른 오작동 및 보수요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 커플링 장치가 카도어와 함께 이동되면서 승장도어에 설치된 인터록 베인에 탈착조정되고, 모듈러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인터록 베인과의 결속 상태 또한 가변조정할 수 있어, 카도어와 승장도어간의 접속 및 결속상태를 조정함에 있어서 회동 및 회전변위가 요구되는 구성요소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간단한 구조로 구현가능하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응력집중, 마찰 등에 의해 보수가 집중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강도를 구현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러 전자석의 코일박스가 하나의 전자석 모듈을 내부에 수용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면 충분하므로, 사출방식에 의해 코일박스의 접속측벽을 보다 우수한 평탄도로 제작할 수 있어, 코일박스 두께 및 인터록 베인까지의 이격거리의 불균일로 인한 전자력의 소모 및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 각각을 상호 독립적으로 커플링 베인상에 고정시키고, 모듈러 전자석 각각에 형성된 플러스단자 및 마이너스단자를 이용해 외부에서 임의로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므로, 모듈러 전자석의 수와 전기적 연결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각각에 적합한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부재를 엘리베이터 도어의 크기 및 하중에 맞추어 일일이 차별적으로 제작할 필요없이 일괄적인 형태로 제작가능하므로 전자석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중저속용 도어, 고속용 도어, 초고속용 도어를 개폐정시키는 수단으로써 광범위하게 적용하기에 적합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을 구비함에 있어서,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을 일렬로 배치하여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상호 병렬연결시킴으로써, 인터록 베인과의 접 속이 이루어지는 일측부에 전자력을 집중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저항과 이에 따른 발열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의 제1실시예가 랜딩도어록킹장치에 근접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배면사시도와 정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베인의 제1실시예가 승장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1실시예가 카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사시도이고, 도 11, 12,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배면사시도, 요부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어 커플링 장치가 인터록 베인에 접속되기 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어 커플링 장치가 인터록 베인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모듈러 전자석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17은 전자석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자기 코어의 배면도이고, 도 19는 모듈러 전자석간의 회로연결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20은 전류세기에 따른 전자력의 세기의 측정치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는,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110)와 승강장의 승장도어(210)를 함께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 는 결속수단으로, 크게 인터록 베인(400)과 도어 커플링 장치(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상기 승장도어(2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카도어(1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카도어(1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탈착되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이하 설명)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결속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장도어(210)의 잠금수단인 랜딩도어록킹장치(7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700)상에 설치됨에 있어서는, 상기 랜딩도어록킹장치의 잠금해제부재(71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도어 커플링 장치(5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측으로 이동 및 접속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승장도어(210)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에 구비된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상에 견고하게 결속가능하도록, 금속재로 구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와의 접속이 기밀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속부 형상과 접속면적을 구비하여 상기 승장도어(21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크게 커플링 베인(510)과,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플링 베인(510)은 상기 카도어(110)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구동원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인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조정되 며,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은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직접적인 접속 및 결속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 상기 커플링 베인(510)의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다수가 일렬로 정렬되며 정위치 고정설치된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일반적으로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를 함께 개폐시키는 하나의 구동원에 해당되는 구동모터(310)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카도어 헤더(120)의 상측에 설치되고, 구동벨트(330)가 상기 구동모터(310)에 연결된 풀리(320)에 연동하여 이동되며, 카도어 행어(130)가 상기 카도어 헤더(120)에 설치된 트랙 레일(1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도어(110)는 상기 카도어 행어(130)의 하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도 9, 10은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1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커플링 베인(510)은 수직방향으로 연속정렬되는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이 안정되게 결합가능하면서도, 상기 구동벨트(330)와 카도어 행어(130)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여유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은 수평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 및 이격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견고하게 구속가능하도록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단부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플링 베인(510)을 상기 구동벨트(330)와 카도어 행어(130)상에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풀리(320)에 연동이동되는 구동벨트(330) 에 고정결합되는 벨트결합부(531)와, 상기 카도어(110)를 연동이동시키는 카도어 행어(130)에 고정설치되는 행어결합부(532)와, 상기 커플링 베인(510)이 고정결합가능한 접속면을 제공하는 베인접속부(533), 상기 커플링 베인(510)과 상기 구동벨트(330) 및 카도어 행어(130)까지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도록 후방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한 마운팅 지지대(530)를 구비하면, 상기 구동벨트(330) 및 카도어 행어(130)와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마운팅 지지대(530)를 매개로 하여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마운팅 지지대의 벨트결합부(531)는 상기 구동벨트(330)의 특정지점에 그립핑방식에 의해 고정설치된 기존의 벨트그립퍼(340)상에 축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운팅 지지대의 행어결합부(532)에는 상기 카도어 행어(130)상에 볼트부재에 의해 결합가능하도록 볼트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행어결합부(532)와 카도어 행어(130)를 볼트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행어결합부(532)와 카도어 행어(130)사이에 얇은 판상의 끼움부재(535)를 적정한 두께로 적층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지지대(530)와 상기 카도어 행어(130)가 서로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운팅 지지대의 베인접속부(533)상에도 볼트부재가 관통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 베인(510)과 마운팅 지지대(530)가 볼트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은 전류를 공급받아 전자력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코일(521c)(이하 설명)에 걸리는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 를 그대로 방치하면 절연소재로 구성된 상기 전자석의 보빈(521b)이나 코일(522)의 피복이 녹아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손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차 전자력이 감소하다가 퀴리온도 이상에서는 전자력을 상실하게 되는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전자석의 성능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상기 커플링 베인(510)에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베인(510)은 상기 마운팅 지지대(530)를 매개로 하여 면적이 큰 상기 카도어 행어(130) 및 카도어(110)와 연결되므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에서 발생된 열은 자연히 상기 커플링 베인(510), 마운팅 지지대(530), 카도어 행어(130)측으로 전도되며 분산됨과 동시에 공기중으로 방출되어 소모 및 상실됨에 따라 발열에 의한 파손의 우려없이 일정한 성능으로 안전하게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커플링 베인(510)상에는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고무범퍼(540)를 고정설치하면,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과 상기 인터록 베인(400)이 접속될 시, 접속에 따른 기계적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까지 케이블을 연장함에 있어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소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케이블을 보호 및 안내가능한 케이블 안내통로를 구비한 케이블 체인(60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커플링 베인(510), 모듈러 전자석(520), 마운팅 지지대(530)를 구비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4개의 모듈러 전자석(520)을 구비 한 것과 비교해,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6개의 모듈러 전자석(620)이 구비되고, 상기 6개의 모듈러 전자석(620)을 정위치에 안정되게 구속시키기 위해 고정테이프(550)와 고정구(560)를 추가로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볼트부재와 같은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링 베인(510)상에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전자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듈러 전자석의 코일(521c)(이하 설명)이 위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테이프(550)를 상기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내지 가장 이격된 위치상에서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및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간의 이격거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양단부를 고정설치시키면,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간의 접속상태 내지 이격거리가 일정하지 않거나 단부위치가 엇갈리게 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상기 커플링 베인(510)상에 보다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560)는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접속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중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외측면을 접속지지하도록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간의 접속상태 내지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동한계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각 층의 승강장에 정차한 시점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20mm 정도의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3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측으로 이동되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전자력으로 결속되고,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전자력에 의해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는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승장도어(210)에 설치되는 랜딩도어록킹장치(700)에,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측으로 5mm의 이격간격을 둔 지점에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측으로의 측방향 가압을 받으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작동구조를 가지는 잠금해제부재(710)를 설치하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 20mm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측으로 15mm를 이동한 시점에서는 상기 커플링 베인(510) 또는 모듈러 전자석(520)이 상기 잠금해제부재(710)를 가압하여 상기 승장도어(21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5mm를 추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상태를 가지게 되어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도어 커플링 장치(500)간의 결속 및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의 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모듈러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측으로 이동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근접 또는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20)에 전류를 공급하면서도,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의 개폐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소음 발생 및 무리한 강제이탈에 의한 손상과 상기 구 동모터(310)의 부하가중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 이격될 지점에 근접된 상태에서 이격지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모듈러 전자석(520)이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 5mm 이격된 지점에서도 상기 인터록 베인(400) 및 승장도어(210)를 구속할 수 있을 정도의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성능을 가진다면, 상기 승장도어(210)가 완전히 닫히는 지점 및 상기 인터록 베인(400) 및 도어 커플링 장치(500)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5mm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승장도어(210)가 완전히 닫히는 지점까지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모듈러 전자석(5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모듈러 전자석(52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자석 모듈(521)과,상기 하나의 전자석 모듈(521)의 코일권취부 또는 상기 하나의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하는 코일박스(5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석 모듈(521)은 ㄷ자형 코어(521a)와 상기 코어(521a)의 양단부에 권취되는 코일(521c)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말단이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을 가지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 부와 절연소재(522c)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는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ㄷ자형 코어시트(521a-1) 다수를 적층하여 일정한 두께와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일(521c)은 상기 코어(521a)의 양단부가 지정된 세기로 전자력을 생성가능하도록 하는 일정한 횟수로 상기 코어(521a)의 양단부상에 권취된다.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시트(521a-1)는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의 가로폭(b)이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가로폭(a)의 3배에 해당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간의 이격거리 및 양단부 각각의 세로폭(a)은 상기 연결부의 가로폭(a)과 동일한 치수를 가진다.
상기 코어시트(521a-1)가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됨에 있어서는, 다수의 막대형상의 코어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작 및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코어시트의 양단부의 가로폭이 연결부의 가로폭의 4배에 해당되는 치수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함에 있어서는, 104㎟에 해당되는 동일한 단면치수와, 동일한 전류세기 및 단위길이당 코일권취수의 조건하에서, 160㎟의 접속면적을 가지는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 1mm의 이격간격을 둔 상태에서, 1.84T : 1.82T와, 67N : 62.7N에 해당되는 보다 강한 자속밀도와 전자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104㎟×a에 해당되는 부피차 만큼 보다 적은 소재로 제작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그 이하의 길이비를 가지는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서는 상기 코일(521c)의 권취 및 전자력 생성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코일박스(522)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내부에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의 연결부상에 볼트부재가 관통가능한 마운팅 홀(521a-2)을 형성하면,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코일권취부를 수용하는 상기 코일박스(522)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거나 결합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전자석 모듈(521) 및 코일박스(522)를 상기 도어커플링 장치의 커플링 베인(510)상에 볼트부재에 의해 간단히 조립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코일박스(522) 다수를 연속하여 상호 접속시키면 상기 코일박스(522)에 수용된 각각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이 자연히 하나의 연장면상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호간의 접속부 또는 인접부가 상호 대응되는 외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석 모듈(521)이 생성한 전자력에 의해 주변의 철가루와 먼지가 달라붙어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명확한 작동을 저해함과 동시에 자화에 의해 명확한 전자력 제어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폴리아미드와 같은 절연소재로 사출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박스의 코어접속면은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의 말단이 접속되는 부분으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의 말단을 모두 하나의 평탄한 연장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석 모듈(521)이 일정한 전자력 세기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한 평탄도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박스의 접속측벽(522b) 또한 상기 전자석 모듈(521)이 일정한 전자력 세기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상기 코어접속면(522a)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됨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를 외부와 절연시킴과 동시에 전자력의 감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0.5mm의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박스(522) 내부에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수용 및 정렬한 상태에서 우레탄과 같은 절연소재(522c)를 충진하고 고형화시키면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을 인접한 다른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 및 외부환경으로부터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코일박스(520)의 내부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절연소재(522c)를 상기 코일박스(520)의 개방단부까지 충진하여 고형화시키면 별도의 커버링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코일박스(520)의 개방단부를 절연 및 커버링하게 된다.
상기 코일박스(522)가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내부에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의 연결부상에 마운팅 홀(521a-2)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박스(522)상에도 상기 코어의 마운팅 홀(521a-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운팅 홀(522a)을 연통형성하면,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코일권취부를 수용하는 부분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거나 결합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전자석 모듈(521) 및 코일박스(522)를 상기 도어커플링 장치의 커플링 베인(510)상에 볼트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박스(522)에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일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플러스단자(미도시)와,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타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에서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마이너스단자(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상호간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상호 직렬연결시키면 저항이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전자력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없으므로, 전자력 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저항의 직렬연결을 허용하면서도 그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상호간을 병렬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14.6Ω의 저항을 가지는 4개의 모듈러 전자석(520)을 24V의 직류전원공급장치를와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상호 직렬연결하여 제1모듈러 전자석 그룹과 제2모듈러 전자석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모듈러 전자석 그룹과 제2모듈러 전자석 그룹을 상호 병렬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각각에 0.82A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른 전자력의 세기를 측정한 실험치를 표시한 그래프로, 0.8A이상에서는 더 센 전류를 공급하여도 전자력의 증가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자기포화상태가 되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각각에 0.8A에 근접한 세기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 이 가장 에너지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에서 ▲형상으로 표시된 지점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박스(522)를 커버링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 모듈(521)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측정한 실험치로, 0.82A 세기의 전류가 상기 전자석 모듈(521)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석 모듈(521)으로부터 0.5mm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각각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으로부터 104N에 해당되는 전자력을 받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전자석 모듈(521)을 모두 직렬연결하게 되면 상기 전자석 모듈(521) 각각에는 0.41A의 전류가 공급되고, 나머지 조건이 전부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각각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으로부터 80N에 해당되는 전자력을 받게 되므로, 다수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을 구비함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다수를 상호 병렬연결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에서 ●형상으로 표시된 지점은 0.5mm 두께의 접속측벽(522b)을 가지는 코일박스(522)를 구비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측정한 실험치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으로부터 0.5mm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은 하나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으로부터 40N에 근접한 전자력을 받게 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4개의 모듈러 전자석(520)을 구비하면 총 160N에 해당되는 전자력으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구속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적용한 상태에서 전자력의 감쇄를 고려하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동작을 저지하기 위 한 힘은 150N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는 요구사항을 만족하기에 적합한 전자력을 최종적으로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별도의 회동부재 및 회전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구동모터(310)에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탈착조정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결속여부 및 결속세기를 조정가능한 작동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와 인터록 베인(400)을 각각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에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간격의 정교함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정작업에 소요되던 시간과 노력을 줄여 설치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110)의 위치가 탑재하중 등에 의해 가변된 상태에서도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과의 접속상태를 유지가능할 정도의 접속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하면,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와 인터록 베인(400)간의 접속이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110)의 위치가변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전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설치상태의 가변에 따른 오작동 및 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베인(510)을 상기 구동벨트(330) 및 카도어 행어(130) 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플링 베인(510)에 상기 전자석(520)을 고정시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기 카도어(110)와 승장도어(210)간의 접속 및 결속상태를 조정할 수 있으며, 회동 및 회전변위를 가지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장기간 사용 시에도 응력집중, 마찰 등에 의해 보수가 집중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강도를 구현가능하다.
상기 모듈러 전자석의 코일박스(522)가 하나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을 내부에 수용가능한 사이즈를 가지면 충분하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0.5mm에 근접한 얇은 두께로 사출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코일박스(522)의 접속측벽을 보다 우수한 평탄도로 제작할 수 있어, 상기 코일박스(522)의 두께 및 상기 인터록 베인(400)까지의 이격거리의 불균일로 인한 전자력의 소모 및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각각을 상호 독립적으로 상기 커플링 베인(510)상에 고정시키고,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 각각에 구비된 플러스단자 및 마이너스단자에 임의로 케이블을 연결가능하므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수와 전기적 연결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각각에 적합한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전자석부재를 엘리베이터 도어의 크기 및 하중에 맞추어 일일이 차별적으로 제작할 필요없이 일괄적인 형태로 제작가능함에 따라 전자석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중저속용 도어, 고속용 도어, 초고속용 도어를 개폐정시키는 수단으로써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의 제조상의 오차범위를 포함하여,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1실시예가 엘리베이터 카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종래기술에 따른 랜딩도어록킹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2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도 3의 랜딩도어록킹장치에 접속되기 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평면도 및 요부정면도
도 5 - 도 2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도 3의 랜딩도어록킹장치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평면도 및 요부정면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의 제1실시예가 랜딩도어록킹장치에 근접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배면사시도
도 7 - 도 6의 정면사시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베인의 제1실시예가 승장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1실시예가 카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 도 9의 요부사시도
도 11 -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12 - 도 11의 배면사시도
도 13 - 도 11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4 - 도어 커플링 장치가 인터록 베인에 접속되기 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 - 도어 커플링 장치가 인터록 베인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 - 모듈러 전자석의 요부사시도
도 17 - 전자석 모듈의 사시도
도 18 - 자기 코어의 배면도
도 19 - 모듈러 전자석간의 회로연결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20 - 전류세기에 따른 전자력의 세기의 측정치를 표시한 그래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카도어 120 : 카도어 헤더
121 : 트랙 레일 130 : 카도어 행어
210 : 승장도어 310 : 구동모터
320 : 풀리 330 : 구동벨트
340 : 벨트그립퍼 400 : 인터록 베인
500 : 도어 커플링 장치 510 : 커플링 베인
520 : 모듈러 전자석 521 : 전자석 모듈
521a : 코어 521a-1 : 코어시트
521a-2 : 코어의 마운팅 홀 521b : 보빈
521c : 코일 522 : 코일박스
522a : 코일박스의 마운팅 홀 522b : 접속측벽
522c : 절연소재 530 : 마운팅 지지대
531 : 벨트결합부 532 : 행어결합부
533 : 베인접속부 535 : 끼움부재
540 : 고무범퍼 550 : 고정테이프
560 : 고정구 600 : 케이블 체인
700 : 랜딩도어록킹장치 710 : 잠금해제부재

Claims (17)

  1.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ㄷ자형상의 코어(521a)에 코일(521c)이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석 모듈(521); 및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상호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부상에 충진되는 절연소재(522c)가 구비된 코일박스(52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a)는,
    다수의 ㄷ자형 코어시트(521a-1)를 적층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의 가로폭(b)이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가로폭(a)의 3배에 해당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코어시트(521a-1)의 양단부간의 이격거리 및 양단부 각각의 세로폭(a)은 상기 연결부의 가로폭(a)과 동일한 치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어(521)는,
    상기 코어(52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상에 마운팅 홀(521a-2)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전자석 모듈 코어의 마운팅 홀(521a-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운팅 홀(522a)이 연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박스(522)는,
    상기 코일박스(522) 다수를 연속하여 상호 접속시키면 상기 코일박스(522)에 수용된 각각의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이 하나의 연장면상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호간의 접속부 또는 인접부가 상호 대응되는 외면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박스의 절연소재(522c)는,
    상기 코일박스(522)의 개방단부까지 충진된 상태로 고형화되어 상기 코일박스(522)의 개방단부를 절연 및 커버링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 석(52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박스(522)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일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플러스단자와, 상기 전자석 모듈의 코일(521c)의 타단부를 상기 코일박스(522) 외부에서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마이너스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8. 제 1항에 있어서,
    4개 이상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구비됨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이 직렬연결되어 형성된 모듈러 전자석 그룹이 상호 병렬연결된 회로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전자석(520).
  9.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110)와 승강장의 승장도어(210)를 함께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210)에 설치되는 인터록 베인(400); 및
    상기 카도어(11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인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조정되는 커플링 베인(510)과, 상기 커플링 베인(510)의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다수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력에 의해 상기 인터록 베인(400)을 구속하는 모듈러 전자석(520)을 구비하여, 전자력으로 상기 승장도어(210)를 구속하여 상기 카도어(11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 커플링 장치(500);
    를 포함하며,
    양단부가 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ㄷ자형상의 코어(521a)에 코일(521c)이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석 모듈(521); 및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 또는 상기 전자석 모듈(521) 전체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부와,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코어접속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접속측벽(522b)과, 상기 전자석 모듈(521)의 양단부를 상호 절연시키며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부상에 충진되는 절연소재(522c)가 구비된 코일박스(52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전자석(520)은,
    상기 전자석(52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커플링 베인(510) 및 상기 커플링 베인(510)을 카도어 행어(130)에 구속하는 마운팅 지지대(530)측으로 전도 및 공기중으로 방출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풀리(320)에 연동이동되는 구동벨트(330)에 고정결합되는 벨트결합부(531)와, 상기 카도어(110)를 연동이동시키는 카도어 행어(130)에 고정설치되는 행어결합부(532)와, 상기 커플링 베인(510)이 고정결합가능한 접속면을 제공하는 베인접속부(533)를 구비한 마운팅 지지대(5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에 따른 기계적 충격을 완충하도록 상기 인터록 베인(400)과의 접속부상에 고정설치되는 고무범퍼(5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및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간의 이격거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양단부가 고정설치되는 고정테이프(5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는,
    상기 다수의 모듈러 전자석(520) 중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모듈러 전자석(520)의 외측면을 접속지지하도록 상기 인터록 베인(400)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5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6. 제 9항에 있어서,
    절연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케이블을 보호 및 안내가능한 케이블 안내통로를 구비하여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의 전자석(520)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체인(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에 근접 또는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20)에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도어 커플링 장치(500)가 상기 인터록 베인(400)으로부터의 이격지점에 근접된 상태에서 이격지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전자석(5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차단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KR1020070140616A 2007-12-28 2007-12-28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KR10095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16A KR100957382B1 (ko) 2007-12-28 2007-12-28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PCT/US2008/087677 WO2009086104A1 (en) 2007-12-28 2008-12-19 Magnetic elevator door coupler
US12/810,524 US8776953B2 (en) 2007-12-28 2008-12-19 Magnetic elevator door coupler
GB1007553.9A GB2468603B (en) 2007-12-28 2008-12-19 Magnetic elevator door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16A KR100957382B1 (ko) 2007-12-28 2007-12-28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484A KR20090072484A (ko) 2009-07-02
KR100957382B1 true KR100957382B1 (ko) 2010-05-11

Family

ID=4132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616A KR100957382B1 (ko) 2007-12-28 2007-12-28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449A (en) 1994-04-06 1996-01-30 Otis Elevator Company Magnetic elevator door coupling
WO2007044008A1 (en) * 2005-10-11 2007-04-1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 and elevator door coup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449A (en) 1994-04-06 1996-01-30 Otis Elevator Company Magnetic elevator door coupling
WO2007044008A1 (en) * 2005-10-11 2007-04-1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 and elevator door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484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6670B1 (ru) Лифт с линейным двигателем
US11358837B2 (en)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KR20170033532A (ko) 수직반송 시스템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KR100957382B1 (ko) 모듈러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JP2017145093A (ja) 物品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搬送設備
KR100993465B1 (ko) 전자석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커플러
KR20220162692A (ko) 레일 시스템
TW200829500A (en) Elevator system with safety device on elevator doors
CN110844750B (zh) 轿厢门联锁装置
US20020062555A1 (en) Surface mou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40119603A (ko)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US8776953B2 (en) Magnetic elevator door coupler
CN110289238B (zh) 晶圆框架盒水平移动装置与晶圆上料系统
CN112722794A (zh) 载具解锁装置
CN209352157U (zh) 一种电梯门板的生产线卸料装置
KR100271017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
JPH08239180A (ja) ダムウェーター
KR200462913Y1 (ko)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
US20220250837A1 (en) Delivery rack and delivery vehicle
CN110546098A (zh) 电梯装置
KR200458149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가이드장치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20220141303A (ko) 로드 취급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630800B (zh) 带有用于竖井门组件的简化电源的电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