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92B1 -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92B1
KR100956692B1 KR1020080054139A KR20080054139A KR100956692B1 KR 100956692 B1 KR100956692 B1 KR 100956692B1 KR 1020080054139 A KR1020080054139 A KR 1020080054139A KR 20080054139 A KR20080054139 A KR 20080054139A KR 100956692 B1 KR100956692 B1 KR 10095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fluid
storage tank
fluid stora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116A (ko
Inventor
조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08005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유체를 담아 보관하고 미사용시 접을 수 있는 담수부재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담수부재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담수부재의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담긴 유체의 쏟아짐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유체저장탱크와 달리, 분리 보관이 가능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분리 가능함에 따라 담수부재의 세척이 용이하며, 유체저장탱크를 덮는 커버부재를 경사지게 하여 이물질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 분리

Description

분리형 유체저장탱크{DIVISIBLE TANK}
본 발명은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유체저장탱크와 달리, 분리 보관이 가능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분리 가능함에 따라 담수부재의 세척이 용이하며, 유체저장탱크를 덮는 커버부재를 경사지게 하여 이물질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공사용수 및 소방보충수를 지원하기 위해 유체탱크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금속재질이거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 유체탱크를 통째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지정된 장소에 반영구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유체탱크가 유체탱크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 라 착탈이 불가능하여 급수시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장비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설정된 바닥에 설치된 유체탱크를 위치 이동하기 위해서는 분리가 안되기 때문에 트럭을 이용해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리 보관이 가능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분리 가능함에 따라 담수부재의 세척이 용이하며, 유체저장탱크를 덮는 커버부재를 경사지게 하여 이물질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측정 장치는: 유체를 담아 보관하고 미사용시 접을 수 있는 담수부재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담수부재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담수부재의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담긴 유체의 쏟아짐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평면상 원형 궤적 또는 다각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세워져 담수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끼리 연결하며 담수부재의 상측을 고정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담수부재는 상측에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담수부재를 해당 길이만큼 삽입함으로써 상기 담수부재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지지부재의 상측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부재 및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설치부재 각각과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는 중앙부위끼리 보조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담긴 유체에 의해 상기 담수부재의 외측방향 부풀려짐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수부재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묶음부재를 삽입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담긴 유체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의 부양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담수부재의 일정 이상 유체 저장시 해당 부위의 상부 돌출로 인해 경사짐에 따라 이물질의 과다 적층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는 하측면에 포켓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부양부재는 상기 포켓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는 종래 발명과 달리 접을 수 있는 담수부재와 분리 가능하면서 담수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분리 보관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시 간편하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담수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함에 따라 담수부재의 세 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를 씌워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이 커버부재를 담긴 유체량에 따라 해당 부위가 돌출됨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하여 이물질의 적층에 따른 내려앉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연결부재를 담수부재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프레임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커버링한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는 담수부재(100)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담수부재(100)는 농약액이나 농업용수 등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갖는 재질이다. 아울러, 담수부재(100)는 미사용시 접거나 포갤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나 섬유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코팅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즉, 담수부재(100)는 형상을 유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담수부재(100)는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담긴 유체의 쏟아짐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담수부재(100)는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한 채로 필요시 담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둘레면에 배수구(110)를 형성한다. 배수구(110)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담수부재(10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200)은 담수부재(100)의 형상 유지 역할을 하고, 담수부재(100)의 미사용시 담수부재(100)를 분리함과 아울러 자체적으로 분해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프레임(200)은 지지부재(210), 연결부재(220), 보조연결부재(230) 및 분리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210)는 평면상 원형 궤적 또는 다각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세워져 담수부재(1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부재(210)는 평면상 6각형 궤적을 따라 각 꼭지점 위치에 하나씩 수직되게 세워져 담수부재(100)의 외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연결부재(220)는 일정한 궤적 상에 일정 간격 떨어지게 세워진 지지부재(210)의 설치 상태 즉,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담수부재(100)를 구속하여 프레임(200)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결부재(220)는 이웃한 지지부재(210)의 상측끼리 연결함으로써 모든 지지부재(210)를 고정하고, 담수부재(100)의 상측을 고정함으로써 담수부재(100)의 담수 가능량을 최대화한다. 연결부재(22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더욱 상세히, 담수부재(100)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부(120)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담수부재(100)는 해당되는 연결부재(220)의 길이만큼 비연속적으로 삽입부(120)를 형성한다. 그래서, 삽입부(120)는 해당 길이만큼의 연결부재(220)를 삽입하게 된다.
연결부재(220)가 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부재(210)와 연결됨으로써 담수부재(100)는 유체를 담을 시 쏟지 않게 된다. 특히, 삽입부(120)는 담수부재(100)의 상측 가장자리를 내측이나 외측방향으로 접고 나서 접하는 부위의 일부를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사각봉 형상으로 도시되는데, 이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각각 분리시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박스에 수용됨에 따라 이동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220)는 분리부(24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리부(240)는 설치부재(242)와 결합부재(244)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부재(242)는 지지부재(21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상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부재(242) 각각은 해당되는 연결부재(220)의 단부와 접한다. 따라서, 설치부재(24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부재(242)는 연결부재(220)의 해당 단부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재(210)의 각 측면마다 한 쌍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각 설치부재(242)는 연결부재(220)의 정반대되는 각 측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재(244)는 설치부재(242)와 연결부재(2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244)는 볼트나 스크류 등 체결요소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244)를 죄여 설치부재(242)와 연결부재(220)를 결합하고, 결합부재(244)를 풀어 설치부재(242)와 연결부재(220)를 분리한다.
물론, 설치부재(2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지지부재(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담수부재(100)는 유체를 담을 경우 외측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작용 받으나, 이 힘의 일부는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220)에 의해 감쇄된다.
또한, 이웃한 지지부재(210)는 보조연결부재(23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보조연결부재(230)를 형성하는 이유는 담수부재(100)의 둘레면을 최대한 지지함으로써 담수부재(100)가 외측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최대한 감쇄하기 위함이다. 특히, 보조연결부재(230)는 이웃한 지지부재(210)의 중앙부위끼리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연결부재(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나 호환성을 위해 연결부재(220)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조연결부재(230)는 분리부(240)에 의해 지지부재(210)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분리부(240)는 편의상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물론, 보조연결부재(230)와 지지부재(210)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부(24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담수부재(100)는 유체를 담기 위해 상부를 개방한 상태이다. 그래서, 담수부재(100)는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다. 따라서, 담수부재(100)는 상부를 개폐 가능한 커버부재(300)를 구비한다. 특히, 커버부재(300)는 바람 등에 의해 날려가지 않도록 가장자리를 프레임(200)의 외측에 묶어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부재(300)는 가장자리를 따라 묶음부재(310)를 삽입한다. 묶음부재(310)는 단부가 커버부재(300)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 묶음부재(310)의 단부를 당겨서 묶고, 이로 인해 커버부재(300)의 가장자리는 프레임(200) 특히, 지지부재(2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묶음부재(310)는 일반적인 로프로 함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특히, 커버부재(300)는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접어 열융착함으로써 묶음부재(310)를 삽입하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300)는 하측에 부양부재(400)를 형성한다. 부양부재(400)는 담수부재(100)에 담긴 유체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유체에 뜨게 된다. 특히, 부양부재(400)는 커버부재(30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담수부재(100)의 일정 수위 이하에서 하부방향으로 처져 있게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부양부재(400)는 담수부재(100)의 일정 수위 이상에서 커버부재(300)를 들어올리게 된다(도 6 참조). 이때, 부양부재(400)는 커버부재(300)의 중앙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커버부재(300)는 부양부재(400)에 의해 중앙부위가 돌출되는 고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눈이나 비등의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커버부재(300)는 이물질의 적층으로 내려앉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부양부재(400)는 스티로폼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양부재(400)가 유체에 자주 접하거나 장기간 접할 경우 유체에 가라앉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부양부재(400)는 포켓부재(410)에 삽입된다. 포켓부재(410)는 부양부재(400)를 수용하고, 가장자리 전체를 커버부재(300)의 하측면에 연결한다. 즉, 커버부재(300), 부양부재(400) 및 포켓부재(410)가 순서대로 층을 형성한다. 이때, 포켓부재(410)는 커버부재(300)에 열융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켓부재(410)가 커버부재(300)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연결부재를 담수부재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프레임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커버링한 분리형 유체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담수부재 200: 프레임
210: 지지부재 220: 연결부재
230: 보조연결부재 240: 분리부
242: 설치부재 244: 결합부재
300: 커버부재 400: 부양부재

Claims (8)

  1. 유체를 담아 보관하고, 미사용시 접을 수 있는 담수부재;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담수부재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담수부재의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담긴 유체의 쏟아짐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평면상 원형 궤적 또는 다각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세워져 상기 담수부재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끼리 연결하며, 상기 담수부재의 상측을 고정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부재; 및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설치부재 각각과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재는 상측에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담수부재를 해당 길이만큼 삽입함으로써 상기 담수부재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는 중앙부위끼리 보조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담긴 유체에 의해 상기 담수부재의 외측방향 부풀려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재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묶음부재를 삽입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담긴 유체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의 부양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담수부재의 일정 이상 유체 저장시 해당 부위의 상부 돌출로 인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하측면에 포켓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부양부재는 상기 포켓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KR1020080054139A 2008-06-10 2008-06-10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KR10095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139A KR100956692B1 (ko) 2008-06-10 2008-06-10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139A KR100956692B1 (ko) 2008-06-10 2008-06-10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116A KR20090128116A (ko) 2009-12-15
KR100956692B1 true KR100956692B1 (ko) 2010-05-10

Family

ID=4168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139A KR100956692B1 (ko) 2008-06-10 2008-06-10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879A (ja) * 2000-07-13 2002-01-23 Hagihara Industries Inc 自立性可撓容器
JP2004182276A (ja) * 2002-12-02 2004-07-02 Fujimori Kogyo Co Ltd フレキシブルタン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879A (ja) * 2000-07-13 2002-01-23 Hagihara Industries Inc 自立性可撓容器
JP2004182276A (ja) * 2002-12-02 2004-07-02 Fujimori Kogyo Co Ltd フレキシブル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116A (ko)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997B2 (en) Water clarification system with coalescing plates
US7523516B1 (en) Extended water escape ramp device for animals
US9194116B2 (en) Catch basin filter
KR101149032B1 (ko) 오일펜스 및 그 보관방법
US20090205121A1 (en) Splash guard for above-ground swimming pool
JP6298333B2 (ja) 自立型フレコン
US20160251134A1 (en) Animal litter box package body
US20160001920A1 (en) Methods for protecting a ground surface from exposure to material that may be spilled from or leak from one or more containers
US7234608B2 (en) Spill containment assembly
KR100956692B1 (ko) 분리형 유체저장탱크
JP4556138B2 (ja) 折り畳み可能な自立型囲い部材
KR100524044B1 (ko) 유체 베어링 용기의 라이너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US8157106B2 (en) Garbage container with protected drain
CA2439708C (en) Deployable bag for a vaccuum box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JP5653796B2 (ja) 蓋付き容器
KR10245011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S5824865Y2 (ja) フレ−ム組込式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12173274U (zh) 一种储油罐
JPH0356534Y2 (ko)
WO2018084677A1 (ko) 분뇨분리 장치를 겸비한 주름형 휴대형 화장실
KR101911821B1 (ko) 분뇨분리 장치를 겸비한 8각형태 휴대형 화장실
KR200206570Y1 (ko) 호스를 부설한 물통
KR930001501Y1 (ko) 양식용 수조
ES1067758U (es) Dispositivo para el reciclado de ace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