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824B1 -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824B1
KR100955824B1 KR1020080023492A KR20080023492A KR100955824B1 KR 100955824 B1 KR100955824 B1 KR 100955824B1 KR 1020080023492 A KR1020080023492 A KR 1020080023492A KR 20080023492 A KR20080023492 A KR 20080023492A KR 100955824 B1 KR100955824 B1 KR 10095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ottom film
resin
side portion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245A (ko
Inventor
이희자
Original Assignee
(주)서진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라이트 filed Critical (주)서진라이트
Priority to KR102008002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8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63Cutting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광판 제조시 상기 채광판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발생되는 사이드 엣지(Side Edge) 부분을 제조 단계에서 발생시키기 않도록 하고, 제조 완성 후에도 제품 사이드에 절단 흔적이 없도록 하기 위해, 하단필름의 양끝단을 길이방향으로 접어 세우고, 수지 및 유리섬유를 도포 후 상기 접어 세워진 사이드부의 절곡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필름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한 후, 원하는 높이에 맞춰 사이드부를 커팅하여 상기 하단필름에 상단필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광판, 사이드 엣지, 수지, 유리섬유

Description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SIDE EDGE FROM LIGHT SHAFT BOARD}
본 발명은 채광판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사이드 엣지 부분이 제조시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제조 후에도 양끝단의 절단부위가 흔적으로 남지 않도록 한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조명으로 자연광을 이용하는 건물의 지붕에는 채광판이 설치된다.
상기 채광판은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건물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건물 지붕의 일부 또는 지붕 전체에 설치되며, 자연광을 이용한 내부 조명뿐 아니라 온실효과 및 통기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광판은 대량생산 및 설치가 용이한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원활한 배수를 목적으로 양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채광판도 제안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채광판을 이용하여 건물의 지붕을 형성하게 되면, 전력감소를 통한 생산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 비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연광을 통한 환경친화적인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직원들의 사기진작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채광판의 제조 시, 채광판 전체의 두께가 고르지 않고, 기포가 발생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채광판의 양끝단부에 사이드 엣지(Side Edge)가 발생되어 이를 잘라냄으로써 불필요한 재료비의 낭비와 함께, 완성품에서도 제품 사이드에 사이드 엣지 절단의 흔적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광판 제조시, 하단필름의 양끝단을 소정높이로 절곡시켜 접어 세워 복수개의 사이드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하단필름의 상면에 수지 및 유리섬유를 도포한 후 지면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사이드부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단필름의 두께를 유지시키며, 상기 하단필름의 두께에 맞춰 상기 사이드부 커팅하여 상단필름을 덮도록 함으로써,
채광판의 제조시 상기 채광판이 양끝단에 형성되는 사이드 엣지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완성된 채광판의 경우 사이드에 절단 흔적이 남지 않아 제품의 선호도가 증가되는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컨베이어에서 수지 및 유리섬유를 차례로 도포시킨 하단필름에, 상단필름을 상부에 합칭하여 압출기로 압착한 후, 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오븐에서 경화시켜 제조하는 통상의 채광판에 있어서, 상기 하단필름의 양끝단을 길이방향으로 접어 사이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단필름 상부면에 지지부재를 얹어놓은 후,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단필름을 접어 세우는 단계; 상기 하단필름과 수직을 이루는 두께조절장치의 저면으로 수지 및 유리섬유를 차례로 도포시킨 하단필름을 통과시켜, 상기 하단필름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로 인해 접혀진 상기 양측의 사이드부가 하단필름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돌출되는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사이드부를 컷팅장치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양측의 사이드부를 내측으로 굽어지도록 압력을 가한 후, 상기 하단필름의 상면에 상단필름을 덮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광판의 제조시 상기 채광판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사이드 엣지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완성된 채광판의 경우 상기 사이드 엣지를 제거하기 위해 사이드를 절단한 흔적이 남지 않아 제품의 선호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상기 채광판이 균일한 두께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두께 불균형에 따르는 기포 발생 조건이 적어 생산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은 채광판의 양끝단에 발생되는 사이드 엣지(Side Edge)를 채광판의 제조단계 자체에서 해결하여 발생되지 않도록 한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의 진행순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작업 진행순서는,
①.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하단필름(10)의 양끝단부를 접는다.
②. 1번과 같이 접힌 하단필름(10)의 양단의 사이드부(11)를 유지시킨다.
③. 상기 하단필름(10)의 상면에 수지 및 유리섬유(S)를 투입한다.
④.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하단필름(10) 제품의 두께를 조절한다.
⑤. 하단필름(10)의 두께에 맞춰 양단 사이드부(11)를 컷팅한 후, 소량높이 돌출된 양단 사이드부(11)를 내측으로 접는다.
⑥. 상단필름(70)을 덮는다.
상기의 ①번에서 ⑥번은 순차적으로 행해지며, 이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번호와 동일하다. 상기의 작업으로 인해 채광판 제조시, 또는 제조 후 발생되는 사이드 엣지(Side Edge)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고, 발생되지 않기에 제작 완료된 제품 사이드에 절단이 흔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①번에서 ⑥번까지의 상세한 방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필름(10)을 접는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필름(10)의 양끝단부를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일정높이로 접는 것으로, 상기 하단필름(10)은 통상 PET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하단필름(10)의 양끝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어 세우는 것으로, 이를 위 해, 상기 하단필름(10)의 상면에 지지부재(20)를 얹어놓되,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유지하며 접어 세워질 수 있도록 일끝단부에서 소정간격(α) 이격되도록 얹혀놓고 일정압력을 가해, 상기 하단필름(10)에 압력을 가한다.
이후, 상기 일끝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세우면 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하단필름(10)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작용을 하기에, 상기 지지부재(2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부필름의 일끝단부가 세워짐으로써, 지면과 수직으로 이루는 사이드부(11)가 형성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반대측 단부도 길이방향으로 접어 세움으로써 상기 하단필름(10)의 양단에 사이드부(11)가 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하단필름(10)에 사이드부(11)를 형성시, 좀 더 손쉽게 상기 사이드부(11)를 형성하고, 접어 올린 후에도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열선 등을 이용한 발열부재(30)를 양단의 사이드부(11) 외측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접어 올려진 상기 사이드부(11)에 일정온도를 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부재(30)의 적정 온도를 30℃로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유지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부(11)가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된 하부필름의 상면에 수지 및 유리섬유(S)를 투입시킨다. 이후, 상기 수지 및 유리섬유(S)가 투입된 하부필름은 컨베이어를 통해 일방향으로 계속 이송되고, 두께조절장치(4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두께조절장치(40)는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기 두께조절장치(40) 저면을 통과하며 수지 및 유리섬유(S)가 투입된 하부필름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필름에 수지 및 유리섬유(S)가 사용자가 원하는 것보다 더 많이 투입되어 일정부위만 그 높이가 맞지 않아도, 상기 하부필름의 상부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두께조절장치(40)를 지나가면서 깎여나가기 때문에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면서 일측으로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수지 및 유리섬유(S)가 투입된 하부필름은 상기 두께조절장치(40)로 인해 두께가 조절됨으로 인해, 과잉 투입된 수지 및 유리섬유(S)가 상기 두께조절장치(40) 전단에서 소정으로 깎여 양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도 2에서 형성한 양끝단부의 사이드부(11)가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고 벌어지며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부(11)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직각유지 보조장치(5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사이드부(11)가 벌어지지 않고 직각을 유지한 채로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부 컷팅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에 의해 하단필름(10)은 수지 및 유리섬유(S)가 투입되어 두께가 좀 더 증가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그 증가된 높이에 맞춰 양끝단부의 사이드부(11)를 고정되어 있는 컷팅장치(60)를 통해 잘라내게 된다.
상기 컷팅장치(60)는 높이조절장치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높이를 언제든지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하단필름(10)은 컨베이어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 기에 상기 컷팅장치(60)는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컷팅장치(60)로 양단의 사이드부(11)를 잘라낼 시,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하단필름(10)의 높이와 동일하게 잘라내기보다는 상부측으로 조금은 여유있도록 좀더 남겨서 잘라낸다. 이는 좀 더 말끔한 마무리를 하기 위함이며, 하기 도 6의 설명에서 언급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필름(10)에 상단필름(70)을 덮는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 5에서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하단필름(10)의 상면보다 좀 더 돌출되도록 컷팅한 상기 양끝단부의 사이드부(11)를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측으로 굽어지도록 압력을 가한다. 이때, 원활한 작업을 위해 상기 도 2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별도의 발열부재(30')를 접촉시켜 압력을 가한다. 이후 상기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하단필름(10)의 상면에 상단필름(70)을 덮은 후, 압출기로 압착하고, 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오븐에서 경화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 4에서 수지 및 유리섬유(S)가 도포된 하단필름(10)의 높이와 동일하게 양끝단부의 사이드부(11)를 자르지 않은 것은 좀 더 말끔한 마감을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의 진행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필름을 접는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유지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부 컷팅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필름에 상단필름을 덮는 공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하단필름 11: 사이드부
20: 지지부재 30, 30': 발열부재
40: 두께조절장치 50: 직각유지 보조장치
60: 컷팅장치 70: 상단필름
S: 수지 및 유리섬유

Claims (4)

  1.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컨베이어에서 수지 및 유리섬유(S)를 차례로 도포시킨 하단필름(10)에, 상단필름(70)을 상부에 합칭하여 압출기로 압착한 후, 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오븐에서 경화시켜 제조하는 통상의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단필름(10)의 양끝단을 길이방향으로 접어 사이드부(1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단필름(10) 상부면에 지지부재(20)를 얹어놓은 후, 상기 지지부재(2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단필름(10)을 접어 세우는 단계;
    상기 하단필름(10)과 수직을 이루는 두께조절장치(40)의 저면으로 수지 및 유리섬유(S)를 차례로 도포시킨 하단필름(10)을 통과시켜, 상기 하단필름(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20)로 인해 접혀진 상기 양측의 사이드부(11)가 하단필름(1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돌출되는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사이드부(11)를 컷팅장치(60)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양측의 사이드부(11)를 내측으로 굽어지도록 압력을 가한 후, 상기 하단필름(10)의 상면에 상단필름(70)을 덮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정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재(30)를 사이드부(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20) 반대측에 대향시켜, 상기 사이드부(11)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사이드부(11)를 손쉽게 변형시켜 접어 세우고, 접은 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하고,
    두께조절장치(40)로 인해 수지 및 유리섬유(S)를 차례로 도포시킨 하단필름(10)이 양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사이드부(11)가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측 사이드부(11)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어 사이드부(11)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직각유지 보조장치(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23492A 2008-03-13 2008-03-13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KR10095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92A KR100955824B1 (ko) 2008-03-13 2008-03-13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92A KR100955824B1 (ko) 2008-03-13 2008-03-13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45A KR20090098245A (ko) 2009-09-17
KR100955824B1 true KR100955824B1 (ko) 2010-05-06

Family

ID=4135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92A KR100955824B1 (ko) 2008-03-13 2008-03-13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8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276A (ja) * 1998-12-09 2000-06-20 Toyo Tire & Rubber Co Ltd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462345B1 (ko) * 2001-12-26 2004-12-29 김경진 채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276A (ja) * 1998-12-09 2000-06-20 Toyo Tire & Rubber Co Ltd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462345B1 (ko) * 2001-12-26 2004-12-29 김경진 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45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81418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neelen
CN205664476U (zh) 一种发热地板
WO2012070849A3 (ko) 문짝 프레임 및 패널 제조방법 그리고 문짝 프레임
CN105522634A (zh) 竹框成型工艺
CN103675990A (zh) 弯曲导光板及其制作方法
PL1678091T3 (pl) Sposób wytwarzania kształtki szklanej z co najmniej jednym wygiętym ramieniem
GB2464739B (en) Corrugated skins for aircraft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CN207669458U (zh) 竹帘浸胶装置
UA101170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кровли
KR100955824B1 (ko) 채광판의 사이드 엣지 제거방법
CN205454958U (zh) 一种易于搭建的光伏大棚
CN203637291U (zh) 过胶机
CN210917935U (zh) 一种装配式集成升级版石膏板顶墙
RU2005139417A (ru) Панель из древесины или аналог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 и машина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CN205664475U (zh) 一种发热屋顶
RU25657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тового заполнителя
EP2824252B1 (en) Metal roofing sheets and the method of their manufacture
CN205415905U (zh) 一种集成板材拼板干燥一体装置
US9677278B2 (en) Method of fabricating bitumen impregnated ridge tiles, and machines for fabricating them
CN204112082U (zh) 一种履带涤纶压花设备
CN203113633U (zh) 一种金属屋面压型平板的拼装结构
CN203700171U (zh) 一种玻璃板加热炉
CN207296259U (zh) 一种皮革装饰板
CN205664477U (zh) 一种电采暖模块
CN205348771U (zh) 一种仿唐建筑的翼角飞檐的模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