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156B1 - 건축용 경성 패널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경성 패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156B1
KR100955156B1 KR1020090113159A KR20090113159A KR100955156B1 KR 100955156 B1 KR100955156 B1 KR 100955156B1 KR 1020090113159 A KR1020090113159 A KR 1020090113159A KR 20090113159 A KR20090113159 A KR 20090113159A KR 100955156 B1 KR100955156 B1 KR 10095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riangular
cross
rigid panel
lo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09011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156B1/ko
Priority to CN2010800528563A priority patent/CN102656326A/zh
Priority to PCT/KR2010/003118 priority patent/WO20110623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관한 것으로, 상단 꼭지부가 상면에 접하거나 상면으로부터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위치되고 하단 밑변부가 하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를 가져 상기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에 의해 2개 이상의 구분 개체로 육안적 구획되거나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성 패널; 상기 경성 패널의 상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상부 결합포; 및 상기 경성 패널의 하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하부 결합포; 를 포함한다.
따라서, 경성 패널 내의 일정 간격 마다에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경성 패널의 상면 상에 상부 결합포가 결합되고 또한 그 하면 상에 하부 결합포가 결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경성 패널체가 제한적인 미세한 유연성을 갖게 되므로, 피착면의 표면 불균일도를 원활히 수용하면서 정합 시공될 수 있어 간편한 시공성과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 패널, 마감 패널, 바닥 패널, 건축 마감, 건식 마감, 마감재, 마감 자재, 무기재료 패널, 황토 패널, 부직포, 섬유소, 성형

Description

건축용 경성 패널체 {HARDNESS PANEL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균일도가 불량한 피착면에 대해서도 정합성 좋게 원활히 시공될 수 있으면서, 보다 향상된 난방과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 벽면, 기둥, 천정을 형성한 후,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면에 대해 마감재를 덧대어 부착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다.
콘크리트 외면에 부착하는 마감재로는 대표적으로 바닥 슬래브(slab) 상에 덧대어 마감하는 바닥 마감재를 들 수 있으며, 그러한 바닥 마감재를 포함하는 각종 마감재들은 단열성, 축열성, 차음성, 방진 완충성, 내수성, 난연성, 내구성 등의 필요 기능성을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 있어, 내장 마감 또는 바닥 마감의 시공 시에는 현장에서 모르타르(mortar) 등을 타설하여 굳히는 습식 공법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해당 습식 마감 공법은 건축물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기초 보완을 추가로 요구하며, 현장에서 모르타르를 배합하여 타설하고 수평을 맞춘 후 양생시키는 과정은 복잡하고 시간을 많이 소요함으로써 작업성의 저하와 시공 기간의 연장을 초래하는 등의 심각한 단점들이 있어, 점차 건식 공법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건식 마감 공법은 미리 공장 등에서 제조되어 현장으로 공급된 다수개의 평판형 패널을 콘크리트 외면 상에 수평으로 연속 배열하여 고정함으로써 마감하는 공법으로, 필요 시에 쉽게 철거, 보수 및 재시공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신속하면서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건식 마감을 위한 마감 패널로는 그 재질에 따라 목재 패널, 합성수지재 패널, 석재 패널, 무기재료 패널 등이 있으며, 이 중 목재 패널은 부패되기 쉽고, 파손 및 변형이 용이함은 물론, 해충이 쉽게 번식될 우려도 있고, 자체 단열성으로 인해 난방 시의 열 효율이 낮으며, 난연성이 없고, 고가이면서, 원재료의 확보를 위해 자연 파괴가 수반되며, 무엇보다도 많은 양의 접착제로 본딩 부착됨에 따라 겨울철 난방 시에 다량의 접착제로부터 유해성 물질이 다량 발산되어 인체에 해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 패널은 강도 부족으로 파손되기 쉽고, 난방 열에 의해 쉽게 열 변형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화학성으로 인한 건강 유해성을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석재 패널은 가격이 매우 고가이고, 시공이 매우 난이하며, 너무 차갑고 딱딱한 느낌을 제공하고, 그 원재료의 입수에 환경 훼손이 수반되며, 해외로 부터 수입해야 함에 따른 무역 손실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무기재료 패널은 일부 단점이 있으나, 그래도 내구성, 단열성, 축열성, 차음성, 방진 완충성, 내수성, 난연성 등의 필요 조건을 어느 정도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마감 패널로서 친환경적이면서 건강 유익성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널리 각광받고 있다.
그 일 예로서, 천연 소재인 황토(黃土, loess)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황토 패널을 들 수 있다.
황토는 익히 주지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내항균성이 우수하고, 신진 대사의 촉진, 피로 회복, 단열, 보온, 방음, 온도 및 습도 조절, 냄새 제거, 공기 정화, 해충 퇴치, 곰팡이 서식 방지 등의 여러 효과가 우수하며, 건축 소재로 이용될 경우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등, 건강에 유익하면서 친환경적인 성능을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다.
황토 패널은 이러한 황토의 여러 우수한 기능성을 그대로 발현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탁월한 열 전달력(목재 패널의 3배 이상)과 열 보전력으로 인해 바닥 난방 시스템을 위한 바닥 마감재로서 원활히 기능할 수 있다.
황토 패널은 기본적으로 분말화된 황토에 물 등을 첨가하여 반죽물 형태로 만든 후에 일정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평판형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제조된 황토 패널과 같은 무기재료 패널은 딱딱하게 굳혀진 경성을 갖는 것으로, 피착면 상에 굴곡이 존재하는 경우 피착면에 대해 정합성 높게 시공될 수 없고, 시공된다 하더라도 구조 불안정성 및 불량한 내구성을 야기하여 시공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 균일도가 불량한 경우 먼저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을 타설, 경화하여 별도로 수평도를 맞춘 다음에 무기재료 패널을 부착하고 있는 바, 이는 복잡한 공정 증가로 시공 비용과 시공 기간을 과다하게 소요시키고 있다.
이에, 어느 정도 넓은 면적을 갖는 경성 패널을 피착면의 굴곡에 구애됨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바닥 난방 시스템이 구현된 바닥면에 대해 경성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 무기재료 패널은 난방 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의 열 보전성은 우수하나 가열되기까지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가열 초기의 에너지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의 무개재료 패널은 난방 열에 의한 열 응답성이 다소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피착면의 표면 불균일도를 원활히 수용하면서 정합 부착될 수 있음으로써 간편한 시공성과 구조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진된 열 응답성을 발휘할 수 있음으로써 난방 시의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보다 향상된 단열성을 발휘하여 이 점에서도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경성 패널체는, 상단 꼭지부가 상면에 접하거나 상면으로부터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위치되고 하단 밑변부가 하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를 가져 상기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에 의해 2개 이상의 구분 개체로 육안적 구획되거나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성 패널; 상기 경성 패널의 상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상부 결합포; 및 상기 경성 패널의 하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하부 결합포;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는, 하나 이상의 축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서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되거나 폐 순환 연결 형태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결합포 또는 상기 하부 결합포는, 부직포, 섬유 망, 섬유 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경성 패널은, 무기재료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성 패널 내의 일정 간격 마다에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경성 패널의 상면 상에 상부 결합포가 결합되고 또한 그 하면 상에 하부 결합포가 결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경성 패널체가 제한적인 미세한 유연성을 갖게 되므로, 피착면의 표면 불균일도를 원활히 수용하면서 정합 시공될 수 있어 간편한 시공성과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성 패널 내에 형성되는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로 인해 보다 우수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난방 열에 대한 향상된 열 응답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요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100)는, 황토 패널과 같은 경성 패널(110) 내의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길이가 긴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형성되며, 따라서 다수개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에 의해 경성 패널(110)은 다수개의 구분 개체(114)로 육안적으로 구획되거나 물리적으로 구분된다.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그 상단 꼭지부(112a)가 경성 패널(110)의 상면에 접하거나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고 그 하단 밑변부(112b)가 경성 패널(110)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는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의 상단 꼭지부(112a)가 경성 패널(110)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한편 도 4는 그 상단 꼭지부(112a)가 경성 패널(110)의 상면으로부터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에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 측변부는 직선형, 원주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상단부에서는 극히 좁거나 전혀 이격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반면 하단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경성 패널(110)이 하방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표면 균일도가 불량한 피착면에 대해서도 그것이 여러 위치에서 원활히 굽힘되면서 정합성 높게 부착 결합될 수 있다.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경성 패널(110)의 일정 간격 마다의 위 치에 형성됨에 있어, 하나 이상의 축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축 방향(예컨대, x축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두개의 축 방향(예컨대, x축과 y축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세개 이상의 축 방향(예컨대,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꼭 직선적으로 길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즉 원형이나 다각형 형태와 같은 폐순환 연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각 구분 개체(114)는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다수개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두개의 축 방향(x축과 y축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그에 따르면, 각 구분 개체(114)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됨에 있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꼭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이격 거리가 서로 차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경성 패널(110)은 바람직하게, 황토 패널과 같은 무기재료 패널일 수 있으며, 그러나 꼭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황토 패널과 같은 무기재료 패널은 대부분 무기재료 분말을 물 등과 혼합하여 반죽물로 만든 후, 판 형태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 제조되는데, 그 성 형 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름 날(200)의 누름을 통해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언하면, 하나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서로 평행될 수 있으며, 두개의 축 방향을 따른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나아가,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는 그 상단 꼭지부(112a)가 경성 패널(110)의 상면에 접하거나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므로, 다수개의 구분 개체(114)가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바, 그 분리를 방지함과 더불어, 경성 패널(110)의 상부 표면을 보호하고, 또한 경성 패널(110)의 굽힘 정도를 제한하며, 아울러 부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경성 패널(110)의 상면 상에 상부 결합포(120)가 합착 결합된다.
상부 결합포(120)는 미약하게 신축될 수 있어 경성 패널(110)의 굽힘을 제한적으로 허용할 수 있어야 하며, 쉽게 찢어지지 않고 질겨야 하고, 기타 보온성, 완충성, 차음성, 비용 저렴성, 입수 용이성 등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들을 만족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 섬유 망, 섬유 직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결합포(120)는 경성 패널(110)의 상면에 대해 합착되며, 즉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경성 패널(110)이 무기재료 패널인 경우 건조되면서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나아가, 바람직하게, 경성 패널(110)의 다수개의 구분 개체(114)의 분 리를 막고, 그 하부 표면을 보호하며, 또한 그 상방으로의 굽힘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경성 패널(110)의 하면에 대하여 하부 결합포(140)가 합착되며, 해당 하부 결합포(140) 또한 바람직하게, 부직포, 섬유 망, 섬유 직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경성 패널(110)의 상면 상에 합착되는 상부 결합포(120)의 상부에는 바람직하게, 상부 보호, 인장력, 쿠션성, 내구성 향상, 촉감 증진 및 디자인성 부여 등을 위해 별도의 표면 마감재층(130)이 부착될 수 있으며, 해당 표면 마감재층(130)의 재료로는 닥지, 펄프지, 원목, 무늬목, 삼 직물, 멜라민 함침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바람직하게 무기재료 패널일 수 있는 경성 패널(110) 내에 결합력의 제고를 위한 소정 량 이상의 섬유소(110a)가 분포 함유되는 경우에 있어, 그 제조 과정의 성형 시에 누름 날(200)로 눌러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를 형성하면,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 상부의 양측 구분 개체(114)를 연결하는 부분에 섬유소(110a)가 집중되어 그 연결 부분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음으로써, 상기한 상부 결합포(120)의 이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황토 패널의 경우 황토 자체만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결합력의 보강을 위해 섬유소를 혼합하여 함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 구분 개체(114)의 연결 부분에 섬유소(110a)가 집중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부 결합포(120)의 이용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상부 결합포(120)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표면 마감재층(130) 및 하부 결합포(140)는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성 패널(110) 내부의 일정 간격 마다 위치에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면에 대해 상부 결합포(120)가 결합되고, 또한 그 하면에 대해 하부 결합포(140)가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경성 패널체(100)가 제한적으로 미세한 유연성을 갖게 되어, 피착면의 표면 균일도가 불량한 경우에도 원활하게 정합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성 패널(110) 내부에 다수개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형성되므로,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 내의 공기로 인해 향상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난방 시에는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신속한 열 흐름 통로로 기능하여 열 전달을 위한 열 응답성이 보다 제고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무기재료 패널은 난방 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의 열 보전성은 우수하나 가열되기까지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가열 초기의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상과 같이 내부에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가 형성되면 열 응답성이 향상되어 가열 초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첨언하여,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의 성형을 위해 상기한 누름 날(200)로 누름 시에는 누름 날(200)이 통과되는 관통공(210a)이 형성된 고정 틀(210)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경성 패널(110)이 황토 패널이어서, 황토 패널체를 제조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주성분인 황토가 100 중량 퍼센트인 것이거나, 황토 50~99 중량 퍼센트에 기능성의 부여를 위한 광물질이 43 중량 퍼센트 미만이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섬유소가 1~7 중량 퍼센트가 되도록 혼합한 것에 점착제가 희석된 물을 첨가하여 먼저 황토 모르타르를 만들었다.
이때, 첨가되는 광물질로는 맥반석, 게르마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석회, 규사, 운모, 규조토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첨가되는 섬유소로는 닥, 삼, 면, 식이섬유, 합성섬유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점착제로는 코폴리머 수지, 해초풀, 무기바인더, 폴리비닐알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반죽물 형태의 황토 모르타르를 성형기를 이용하여 판체로 성형한다.
이어서, 경화되기 전에 뒤집어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누름 날(200)로 누름 성형하여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112)를 형성한다.
그 다음, 성형된 것을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면, 황토 패널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에 따라 제조 완료된 황토 패널의 예를 촬영한 사진이 도 6이며, 도 7은 해당 황토 패널이 제한적으로 미약하게 굽힘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의 요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에 대한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경성 패널체의 제조 시에 이용 가능한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토 패널체의 하면 측을 촬영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토 패널체의 굽힘 작용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성 패널체 110 : 경성 패널
110a : 섬유소 112 :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
112a : 상단 꼭지부 112b : 하단 밑변부
114 : 구분 개체 120 : 상부 결합포
130 : 표면 마감재층 140 : 하부 결합포
200 : 누름 날 210 : 고정 틀
210a : 관통공

Claims (4)

  1. 상단 꼭지부가 상면에 접하거나 상면으로부터 미세 이격되는 높이 위치에 위치되고 하단 밑변부가 하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를 가져 상기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에 의해 2개 이상의 구분 개체로 육안적 구획되거나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성 패널;
    상기 경성 패널의 상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상부 결합포; 및
    상기 경성 패널의 하면에 합착되며 제한적인 신축성을 발휘하는 하부 결합포; 를 포함하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유사 단면 형상 장홈부는,
    하나 이상의 축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 마다의 위치에서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되거나 폐 순환 연결 형태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포 또는 상기 하부 결합포는,
    부직포, 섬유 망, 섬유 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용 경성 패널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패널은,
    무기재료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경성 패널체.
KR1020090113159A 2009-11-23 2009-11-23 건축용 경성 패널체 KR10095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59A KR100955156B1 (ko) 2009-11-23 2009-11-23 건축용 경성 패널체
CN2010800528563A CN102656326A (zh) 2009-11-23 2010-05-18 建筑用硬性面板体
PCT/KR2010/003118 WO2011062337A1 (ko) 2009-11-23 2010-05-18 건축용 경성 패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59A KR100955156B1 (ko) 2009-11-23 2009-11-23 건축용 경성 패널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156B1 true KR100955156B1 (ko) 2010-04-28

Family

ID=4222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59A KR100955156B1 (ko) 2009-11-23 2009-11-23 건축용 경성 패널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55156B1 (ko)
CN (1) CN102656326A (ko)
WO (1) WO2011062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548B (zh) * 2016-11-02 2019-05-21 山西尚风抑风墙科技有限公司 声音屏蔽装置制造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991B1 (ko) 1998-11-20 2001-10-26 지승광 공기 대류층을 갖는 바닥 구조 및 이 바닥구조에 사용되는 패널
KR20090106680A (ko) * 2008-04-07 2009-10-12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KR20090113235A (ko) * 2009-10-09 2009-10-29 신춘우 조립식 온돌용 판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528B2 (ja) * 1994-02-23 1999-12-27 株式会社ノダ 床 材
JP2000071364A (ja) * 1998-08-26 2000-03-07 Sekisui Chem Co Ltd 床材の製造方法
WO2000036242A1 (fr) * 1998-12-11 2000-06-22 Ibiden Co., Ltd. Materiau de construction composite
JP2000220280A (ja) * 1999-02-01 2000-08-08 Nakatsuka:Kk 床 材
JP2000265652A (ja) * 1999-03-19 2000-09-26 Daiken Trade & Ind Co Ltd 木質化粧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716393Y (zh) * 2004-07-09 2005-08-10 四川升达林产工业集团有限公司 地板单元结构
KR100690074B1 (ko) * 2004-12-03 2007-03-09 안승한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CN101269925A (zh) * 2008-04-09 2008-09-24 大连世荣制炭有限公司 建筑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和生产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991B1 (ko) 1998-11-20 2001-10-26 지승광 공기 대류층을 갖는 바닥 구조 및 이 바닥구조에 사용되는 패널
KR20090106680A (ko) * 2008-04-07 2009-10-12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KR20090113235A (ko) * 2009-10-09 2009-10-29 신춘우 조립식 온돌용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2337A1 (ko) 2011-05-26
CN102656326A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4295A (ko) 미네랄-기반 층을 포함하는 건축 패널
JP2012026260A (ja) 内装・外装用板材
CN102261162A (zh) 一种高强聚酯玻纤蜂窝复合板及其生产工艺
KR20120012932A (ko)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20090012957U (ko) 조립식 온돌패널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0955156B1 (ko) 건축용 경성 패널체
KR100977167B1 (ko) 소음 방지를 위한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ITPD20090267A1 (it) Pannello per la realizzazione di facciate ventilate
KR100915410B1 (ko)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29308A (ko) 단열보드
RU2539482C1 (ru) Панель для облиц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и зданий
KR200413900Y1 (ko) 보일러 시공용 호스배열(기능)관 골구조의 복합기능패널.
CN212478178U (zh) 一种外墙用保温结构
KR20190002018U (ko) 결합핀을 구비한 건식 난방패널
CN202706243U (zh) 一种加强型外墙保温板
CN206346390U (zh) 一种轻质陶玻夹芯板
KR100948942B1 (ko)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KR101432702B1 (ko) 실내 습기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생태구조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생태건축물
RU148338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CN203783023U (zh) 一种外墙砖复合结构
CN202500300U (zh) 防变形环保地板
CN206328880U (zh) 一种基于钢丝片的现浇混凝土复合保温板
KR200493072Y1 (ko) 표면 마감재를 가지는 복합 단열재
TWM621031U (zh) 地板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