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76B1 -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76B1
KR100954376B1 KR1020080125128A KR20080125128A KR100954376B1 KR 100954376 B1 KR100954376 B1 KR 100954376B1 KR 1020080125128 A KR1020080125128 A KR 1020080125128A KR 20080125128 A KR20080125128 A KR 20080125128A KR 100954376 B1 KR100954376 B1 KR 10095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timing belt
moving
elevating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조
Original Assignee
강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조 filed Critical 강봉조
Priority to KR102008012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축조 등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장방형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의 전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하면서 전면 장착부(22)에 자재를 안착하여 이동하는 승하강대(20)와, 상기 승하강대(20)를 고정대의 상하부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과,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의 승하강을 정지작동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41)(42) 및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를 승하강 제어작동하는 상,하부 스위치박스(51)(52)로 구성되어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은 고정대(10)의 상하부에 구동모터(M)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하는 구동축(31)과 연동축(3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 중앙의 구동풀리(31a)와 연동풀리(32a)로 타이밍 벨트(33)를 감합 설치하되, 상기 타이밍 밸트(33)는 승하강대(20)의 설치브라켓(35)에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설치브라켓(35)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가이드홈(36)에 가이더(65)가 안내되도록 삽입하되,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타이밍벨트(33)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장볼트(62)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장볼트를 체결 조립하면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 하부 저면에는 양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사다리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필요한 위치나 장소에 간편 설치하므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종래와 같이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므로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자재, 리프팅장치, 사다리형, 거푸집, 편리성, 안전성, 승하강, 이동수단

Description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축조 등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되, 특히 사다리와 같이 필요한 위치로 설치 사용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사용 편리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시멘트 몰탈로 축조하는 경우에 필연적으로 거푸집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목재나 수지, 특히 최근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서 금속 등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건축 구조물에 따라 적절하게 짜맞추어서 시멘트 몰탈을 양생하고, 다시 분리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서 종래에는 거푸집 자재를 건축 구조물의 하부층에서 상부층 또는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운반하는 많은 작업이 거의 수작업에 의해 행하여 지므로 작업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거푸집 자재를 하부층에서 상부층 또는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운반하는 과정중, 금속재 판재 형태의 거푸집 경우에 각종 안전 사고의 위험이 더욱 크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 자재 등 필요한 자재를 운반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크레인은 큰 건축 구조물의 공사시나 크레인이 설치 가능한 경우에 한정되므로 손쉽게 사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건축 구조물의 위치, 장소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 사용하면서 거푸집 또는 그 밖에 판재 형태의 자재를 간편하게 이동하는 장치가 건설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 축조 등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같은 각종 자재를 상하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되, 특히 사다리와 같이 필요한 위치로 간편 설치 사용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사용 편리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장방형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전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하면서 전면 장착부에 자재를 안착하여 이동하는 승하강대와, 상기 승하강대를 고정대의 상하부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의 승하강을 정지작동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를 승하강 제어작동하는 상,하부 스위치박스로 구성되어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고정대의 상하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하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 중앙의 구동풀리와 연동풀리로 타이밍 벨트를 감합 설치하되, 상기 타이밍 밸트는 승하강대의 설치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설치브라켓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더가 안내되도록 삽입하되, 상기 설치브라켓과 가이더에 타이밍벨트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설치브라켓과 가이더에 장볼트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장볼트를 체결 조립하면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의 양측 다리 하부 저면에는 양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대의 전면에 이동수단에 의해 승하강 이동하는 승하강대를 설치하여 건축 구조물 축조 등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되, 특히 상기 고정대는 사다리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필요한 위치나 장소에 간편 설치 사용하므로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종래와 같이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필요 위치, 장소에 따라 간편하게 기립 설치하여 거푸집 또는 그 밖에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판재 형태의 자재를 상하 방향으로 자동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하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장방형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의 전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하면서 전면 장착부(22)에 자재를 안착하여 이동하는 승하강대(20)와,
상기 승하강대(20)를 고정대의 상하부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과,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의 승하강을 정지작동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41)(42) 및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를 승하강 제어작동하는 상,하부 스위치박스(51)(52)로 구성된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은 고정대(10)의 상하부에 구동모터(M)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하는 구동축(31)과 연동축(3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 중앙의 구동풀리(31a)와 연동풀리(32a)로 타이밍 벨트(33)를 감합 설치하되, 상기 타이밍 밸트(33)는 승하강대(20)의 설치브라켓(35)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대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상기 승하강대의 설치브라켓(35)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가이드홈(36)에 가이더(65)가 안내되도록 삽입하되,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타이밍벨트(33)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장볼트(62)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장볼트를 체결 조립하면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0)가 더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0)와 승하강대(20)는 판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하로 기립 설치하는 작업을 위해 비교적 경량화를 추구하므로 사각이나 "ㄷ"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대(10)는 건축 구조물에서 2개층 높낮이 또는 그 이상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를 가변 제작 사용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대를 신축 형태로 마련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스위치박스(51)(52)에는 상승(a), 하강(b) 및 정지(c) 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 스위치박스(51)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풋 스위치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45는 승하강대(20)에 고정 설치되어 승하강시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41)(42)를 터치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정지작동하는 작동돌기, 38은구동모터의 모터축(M-1)과 구동축(31)에 축설된 스프로켓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 하부 저면에는 미 도시된 중량센서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대(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동작되어, 상기 승하강대(2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자재가 예측치 않은 상부 구조물(건축물)에 걸리게 될 때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10)에 설치된 하중센서를 통해 양측 다리의 하중에 변화가 발생되면, 위험한 상황이 도출될 수 있으므로 승하강대(20)의 동작을 즉시 중지시켜 주게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 또는 그 밖의 각종 판재 형태의 자재를 상 하층으로 자동 이동하고자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고정대(10)를 건축 구조물의 필요 위치, 장소에 사다리 형태로 간편하게 기립 설치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하강대(20)의 장착부(22)에 자재(1)를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대(10)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상하부 스위치박스(51)(52)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먼저, 스위치박스의 상승버튼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축(31)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31)의 구동풀리(31a)와 연동축(32)의 연동풀리(32a)에 감합 설치된 타이밍 벨트(33)가 이동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33)의 양측단은 승하강대(20)의 설치브라켓(35)에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대(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는 승하강대(20)는 고정대(10) 전면의 안내레일(12)을 따라 일정하게 상승되어 고정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리미트스위치(41)를 터치함에 의해 구동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고 승하강대(20)는 고정대(10)의 상부 위치에서 자동 정지되게 된다.
물론, 상기 승하강대(20)의 승강 위치를 작업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박스의 정지 버튼을 누름과 함께 구동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상기 승하강대(20)의 승강 작동이 자동 정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승하강대(20)를 하층에서 상층으로 자동 이동한 후에 작업자는 승하강대(20)의 자재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과 같은 자재(1)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과 역으로 승하강대(20)를 고정대(10) 상부로 이동 시킨후, 승하강대(20)의 장착부(22)에 자재(1)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스위치박스의 하강버튼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축(31)이 역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31)의 구동풀리(31a)와 연동축(32)의 연동풀리(32a)에 감합 설치된 타이밍 벨트(33)가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타이밍 벨트에 설치브라켓으로 연결된 승하강대(20)는 고정대(10) 전면의 안내레일(12)을 따라 일정하게 하강되어 고정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리미트스위치(42)를 터치함에 의해 구동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고 승하강대(20)는 고정대(10)의 하부 위치에서 자동 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층에서 하층으로 자동 이동한 후 작업자는 판재를 간편하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하강대(2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의 타이밍벨트(33)가 사용에 따라 그 장력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장력조절부(60)에 의해 장력을 조절 사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타이밍벨트(33)의 일측단이 고정된 설치브라켓(35)의 가이드홈(36)에서 타이밍벨트의 타측단이 고정된 가이더(65)를 이동시켜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상호 체결된 장볼트(62)를 체결 조절하면서 타이밍벨트(33)의 장력을 미세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 하부 저면에 설치된 중량센서를 통해, 하중을 검지하여,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의 하중에 변화가 발생되면, 비상상황으로 간주하여 승하강대(20)의 동작을 즉시 중지시켜 주게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하층에서 상층 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자동 이동함은 물론 고정대를 사다리 형태로 설치 위치를 이동하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 단면 상태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텐션 조절부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대 12: 가이드레일
20: 승하강대 22: 장착부
30: 이동수단 41,42: 상하부 리미트스위치
51,52: 상하부 스위치박스
31: 구동축 32: 연동축
33: 타이밍벨트 35: 설치브라켓
36: 가이드홈 60: 장력조절부
62: 장볼트 65: 가이더

Claims (4)

  1. 상,하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장방형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의 전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하면서 전면 장착부(22)에 자재를 안착하여 이동하는 승하강대(20)와, 상기 승하강대(20)를 고정대의 상하부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과,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의 승하강을 정지작동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41)(42) 및 상기 고정대의 상,하부에서 승하강대(20)를 승하강 제어작동하는 상,하부 스위치박스(51)(52)로 구성되어 거푸집과 같은 자재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은 고정대(10)의 상하부에 구동모터(M)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하는 구동축(31)과 연동축(3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 중앙의 구동풀리(31a)와 연동풀리(32a)로 타이밍 벨트(33)를 감합 설치하되, 상기 타이밍 밸트(33)는 승하강대(20)의 설치브라켓(35)에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설치브라켓(35)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가이드홈(36)에 가이더(65)가 안내되도록 삽입하되,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타이밍벨트(33)의 양단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설치브라켓(35)과 가이더(65)에 장볼트(62)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장볼트를 체결 조립하면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10)의 양측 다리 하부 저면에는 양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5128A 2008-12-10 2008-12-10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KR10095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28A KR100954376B1 (ko) 2008-12-10 2008-12-10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28A KR100954376B1 (ko) 2008-12-10 2008-12-10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376B1 true KR100954376B1 (ko) 2010-04-26

Family

ID=4222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28A KR100954376B1 (ko) 2008-12-10 2008-12-10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CN107304631A (zh) * 2016-04-22 2017-10-31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大面积单元体幕墙块的安装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73U (ko) * 1993-04-28 1994-11-17 장관순 건축용 리프트 장치
KR20030069453A (ko) * 2002-02-20 2003-08-27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JP2005009234A (ja) 2003-06-20 2005-01-13 Teruo Nishihar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73U (ko) * 1993-04-28 1994-11-17 장관순 건축용 리프트 장치
KR20030069453A (ko) * 2002-02-20 2003-08-27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JP2005009234A (ja) 2003-06-20 2005-01-13 Teruo Nishihar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CN107304631A (zh) * 2016-04-22 2017-10-31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大面积单元体幕墙块的安装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359B1 (ko) 거푸집 승강장치
US8776947B1 (en) Elevator and escalator tool
US5159993A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US5259479A (en) Self-raising cantilever-type work platform assembly
CN111456396B (zh) 一种装配式建筑混凝土预制楼梯安装施工工艺
KR100954376B1 (ko) 사다리형 자재 리프팅장치
US20030136611A1 (en) Installing frame for installation of shaft equipment, installing elevator with installing fr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shaft equipment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200463126Y1 (ko)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KR20100112777A (ko)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장치
JP2013047459A (ja) 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用の固定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と、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41074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11024Y1 (ko)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101541044B1 (ko)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KR20090117387A (ko) 리프트용 보조발판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JP6528746B2 (ja) マンコンベア
JP4944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0151665B1 (ko)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KR101031313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JP3531820B1 (j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20110001477A (ko) 지붕작업용 발판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