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59B1 -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 Google Patents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59B1
KR100954259B1 KR1020080096741A KR20080096741A KR100954259B1 KR 100954259 B1 KR100954259 B1 KR 100954259B1 KR 1020080096741 A KR1020080096741 A KR 1020080096741A KR 20080096741 A KR20080096741 A KR 20080096741A KR 100954259 B1 KR100954259 B1 KR 10095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an
power
pip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417A (ko
Inventor
이부규
Original Assignee
이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규 filed Critical 이부규
Priority to KR102008009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환풍기 케이스의 편위(偏位)된 위치의 축선상에 2방향으로 순환관과 배출관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순환관 및 배출관이 접(接)한 상기 케이스의 좌우 측면의 장착부에, 동력댐퍼가 내설된 댐퍼관을 장착하되, 환풍기의 무게중심선의 좌우 양측의 등거리에서 댐퍼의 모터의 무게중심이 평형(weight balance)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환풍기와 동력댐퍼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설치 및 관리가 간편하고 환풍기와 동력댐퍼를 하나의 콘트롤박스에서 통합적으로 전자제어가 가능하며, 환풍기의 순환관과 배출관에 댐퍼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순환관을 통한 공기의 순환시에 배출관의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고 배출관을 통한 공기의 배출시에는 순환관의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며, 비상시에는 모든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어 화재시 외부의 화염이나 유해가스의 역유입을 안전하게 차단하여 환풍기와 댐퍼의 기능적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Figure R1020080096741
환풍기, 회전팬, 케이스, 순환관, 배출관, 동력댐퍼.

Description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VENTILATOR WITH BUILT-IN TYPE POWER DAMPERS}
본 발명은 환풍기의 댐퍼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순환관 및 배출관에 동력댐퍼를 환풍기의 무기중심과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결합시킨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욕실용 환풍기(욕실팬)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형 회전팬(multiblade fan)이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욕실의 천정에 환풍기의 흡입구가 노출되게 설치하고 환풍기의 배출구에 배출도관을 관접하여 건물의 공동덕트에 연관되게 배치한 다음 배출도관의 단말부에 댐퍼를 설치하여, 환풍기와 댐퍼는 각각 구비된 전지제어기구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하게 되어 있었다.
종래의 환풍기는 순환관, 또는 배출관에 연관된 도관의 종단부에 댐퍼가 환풍기와 분리되어 설치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위치된 배출 도관의 단부에 설치하는 작업성이 불편하여 능률적인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환풍기와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어 댐퍼가 설치되어 환풍기와 댐퍼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동작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기와 댐퍼의 정밀한 연동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환풍기 배출 도관의 단말 측에만 하나의 댐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의 기능이 취약하여, 가령 정전(停電)시, 또는 댐퍼가 열려 있을 때,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의 공동덕트를 통하여 화염이나, 유독가스등의 유체가 실내로 역류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풍기에 2방향의 순환관과 배출관을 구비하여 순환관 및 배출관에 각각 동력댐퍼를 일체로 결합하여, 환풍기를 설치하면 동시에 댐퍼도 설치되어 설치 및 관리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비상시에 순환관 및 배출관의 댐퍼가 모두 안전하게 차단되어 외부의 유해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풍기와 동력댐퍼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서 환풍기와 댐퍼를 하나의 콘트롤 박스에서 통합적으로 전자제어가 가능하여 환풍기와 댐퍼의 기능적 효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풍기의 무게 중심선의 좌우 양측의 등거리에서 동력댐퍼의 모토의 무게중심이 평형(平衡)을 유지하여, 환풍기의 가동시, 물리적 요동과, 진동소음이 거의 없고 고장이 적으며 쾌적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동력 댐퍼 일체형 환풍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풍기 케이스의 한쪽으로 편위(偏位)된 위치의 동일 축선 상에 2방향으로 실내공기를 순환하는 순환관과,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각각 케이스의 좌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상기 순환관 및 배출관에 접하여 상기 케이스의 좌우 양 측면에 동력댐퍼의 장작부를 구비한다. 댐퍼관 내부에 설치된 댐퍼가 모터에 의하여 개폐하게 된 동력댐퍼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하되, 순환관 및 배출관이 편위된 반대쪽으로 동력댐퍼의 모터를 위치시키어 상기 환풍기의 무게중심선의 좌우 양측 등거리에서 상기 동력댐퍼의 모터의 무게중심이 평형(weight balance)을 유지할 수 있게 조정하고 댐퍼관이 순환관과 배출관에 관접되도록 댐퍼관의 단부에 형성된 장착편을 케이스의 장착부에 체결수단으로 장착한다. 회전팬과 동력댐퍼의 전원 도선과 전원코드는 케이스 내부의 콘트롤 박스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에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전자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각 동력댐퍼의 댐퍼관 길이와, 동력댐퍼의 모터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댐퍼관을 케이스의 좌우 양 측면의 장착부에 장착하면 평면상에서 환풍기 모터의 중심선의 좌우의 등거리(等距離)에 동력댐퍼의 모터가 위치되어 환풍기 무게중심이 좌우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환풍기 케이스의 외부에 동력댐퍼가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 여 구비되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환풍기를 구성하며, 따라서 실시예 있어서 환풍기의 케이스를 동력댐퍼의 영역범위로 확장하여, 하나의 환풍기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 회전팬, 순환관, 배출관, 동력댐퍼, 콘트롤박스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배출관에 연관된 도관은 아파트의 경우 공동배기덕트에 연관시키어 환기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를 배기덕트로 배출되게 하고 순환관에 연관 도관은 건물의 외부에 노출하여 순환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환풍기는 욕실이나 실내의 적정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환풍기의 환풍스위치를 접속하면, 전자제어회로의 작동으로 환풍기와 순환관의 동력댐퍼의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순환관의 댐퍼는 개방되고 환풍기의 가동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순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고 외부의 공기는 실내로 혼풍된다. 이때 배출관의 동력댐퍼는 닫혀있다.
욕실의 습도가 높게 되면 인위적인 스위치조작이나, 습도감지기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제어회로의 작동으로 환풍기와 배출관의 동력댐퍼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배출관의 동력댐퍼는 개방되는 동시 환풍기가 가동하여 습도를 함유한 욕실의 공기는 환풍기의 흡입구로 흡인하여 배출관을 통하여 공동배출덕트로 배출된다. 이때 순환관의 동력댐퍼는 닫혀 있다.
또 욕실의 습도가 낮아지면, 인위적인 스위치의 개방이나, 습도감지기의 감지신호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환풍기의 가동이 정지되고 배출관의 동력댐퍼 는 원상으로 복귀되어 순환관 및 배출관의 댐퍼는 닫힌다.
또 순환관 및 배출관의 동력댐퍼가 개방 중에 혹 화재등의 비상상태가 발생하면 온도감지센서, 또는 매연감지센서 등의 감지신호, 또는 수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순환관 및 배출관의 동력댐퍼를 자동이나 수동으로 닫는다. 따라서 공동덕트로부터 외부의 화염이나 연소가스나 유해가스의 역유입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정전시에는 댐퍼가 반드시 전자제어회로의 동작에 의하여 닫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풍기 케이스의 한쪽으로 순환관과 배출관이 편위(偏位)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관 및 배출관을 환풍기와 함께 건물벽에 의지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약한 재질의 천정에 하중을 크게 주지 않아, 환풍기 설치의 안정성과 편리성이 그만큼 높아진다.
또 환풍기의 회전팬의 모터의 무게와 동력댐퍼의 모터의 무게가 전체적으로 평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환풍기의 가동시에 물리적인 진동이나 진동소음이 거의 없고 조용하게 가동되고 기계적 구조에 충격이나 진동 등의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고장이 거의 없이 보다 쾌적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 동력댐퍼와 환풍기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환풍기와 댐퍼가 분리형으로 된 것과 달리, 케이스 내부의 콘트롤 박스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에 의해, 환풍기와 동려뎀퍼를 간편하게 통합적으로 전자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풍기 케이스의 한쪽으로 편위된 좌우 양측에 2방향으로 순환관과 배출관을 구비하고 순환관 및 환풍기에 동력댐퍼를 일체형으로 결합구성하였기 때문에 환풍기의 설치가 간편하고 동력댐퍼의 관리가 용이하며, 환풍기와 동력댐퍼의 개폐기능적 효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환풍기의 순환관 및 배출관이 편위(偏位)되어 있기 때문에 동력댐퍼의 모터가 순환관 및 배출관의 편위된 반대측에 위치하여, 동력댐퍼의 모터의 무게중심이 회전팬의 무게중심의 좌우 양측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환풍기의 가동시, 물리적 요동과 진동소음의 거의 없으며, 고장이 적고 쾌적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동 분리 사시도이며, 제3도는 동 평단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덮개(1c)가 밀폐되는 직사각형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모터(3m)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형 회전팬(3), 상기 회전팬(3)의 가동에 따라 하우징(2)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2a)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2)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구(2b)로 배출하게 된 환풍기(F)에 있어서, 상기 케이 스(1)의 한쪽으로 편위(偏位)된 동일 축선 x - x 상에서 케이스(1)의 좌우 양 측면(1a)(1b)에 2방향으로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관(4)과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5)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순환관(4) 및 배출관(5)이 접(接)한 상기 케이스(1)의 좌우 측면(1a)(1b)에 동력댐퍼(D)를 장착할 장착부(4f)(5f)를 구비한다.
상기 순환관(4) 및 배출관(5)에 관접하게 된 댐퍼관(6)의 외부에 장착된 모터(6m)의 회전축(6x)을 댐퍼관(6)의 내부로 관통하여 관통된 회전축(6x)에 원형 댐퍼(6d)가 축설치된 공지의 동력댐퍼(D)를 상기 케이스(1)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장착부(4f)(5f)에 장착하되, 순환관(4)과 배출관(5)에 댐퍼관(6)이 각각 관접되게 하고 순환관(4)및 배출관(5)의 편위된 반대쪽에 동력댐퍼(D)의 모터(6m)가 평면적으로 나란히 위치하여 회전팬(3)의 무게중심선 w-w의 좌우 등거리에서 각 동력댐퍼(D)의 모터(6m)의 무게중심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위치를 조정한 다음 댐퍼관(6)의 장착편(6f)을 상기 장착부(4f)(5f)에 대고 체결나사등의 체결수단(n)으로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각 동력댐퍼(D)의 댐퍼관(6) 길이와, 또 댐퍼관(6)에 장착된 모터(6m)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순환관(4)과 배출관(5)에 접한 장착부(4f)(5f)에 댐퍼관(6)의 장착편(6f)을 대고 장착하면 동력댐퍼(D)의 모터(6m)는 위치결정되어 환기팬(F)의 전체무게는 좌우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의 일측 코너부분에 구비된 콘트럴박스(B)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IC)에 상기 회전팬(3)의 모터(3m)와, 댐퍼의 모터(6m)의 각 전원 도선(ℓ)과 전원 코드(cd)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 제3도에서 환풍기(F)의 케이스(1)의 좌우 양측으로 동력댐퍼(D)가 돌출되어 있으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좌우로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하나의 환풍기를 구성하며, 따라서, 제3도의 점선(d)으로 표시된 동력댐퍼(D)의 영역(a)범위로 케이스(1)를 확장하여, 하나의 케이스(1) 내부에, 하우징(2), 회전팬(3), 순환관(4), 배출관(5), 및 동력댐퍼(D)를 수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의 환풍기(F)는 예컨데 욕실의 천정(天井) 위의 설치장소에 고정설치하고 환풍기의 순환관(4)에 댐퍼도관(6)을 통하여 연관된 도관(도시되지 않음)은 건물의 외부로 배치하며 환풍기의 배출관(5)에 댐퍼관(6)을 통하여 관접된 도관(도시되지 않음)은 건물의 공동덕트에 연관되게 배치하여 사용한다.
욕실의 환기시에는 환풍기의 환풍스위치를 인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환풍스위치를 접속하면 전자제어회로(IC)의 작동으로 환풍기(F)의 모터(3m)와 순환관(4)의 동력댐퍼(D)의 모터(6m)에 전원이 공급되어, 순환관(4)의 댐퍼(6d)는 개방되고 회전팬(3f)은 가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하우징의 흡입구(2h)로 흡인하여 순환관(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는 욕실의 공간을 통하여 환풍기에 의해 반복 순환된다. 이때 배출관(5)의 동력댐퍼는 닫혀있다.
또 욕실에 습도가 높아지면, 도시되지 않은 습도감지기의 감지신호, 또는 수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콘트롤박스(B)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IC)가 작동으로 환풍기(F)의 모터(3m)와, 배출관(5)의 동력댐퍼(D)의 모터(6m)에 전원이 공급되어 배출 관(5)의 댐퍼는 개방되는 동시 회전팬(3)의 가동에 의하여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환풍기(F)의 하우징(2)의 흡입구(2h)로 흡인되어 배출관(5)을 통하여 공동덕트로 배출된다. 이때 순환관의 동력댐퍼는 닫혀있다.
또 실내의 습도가 낮아지면 습도감지기의 신호, 또는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콘트롤박스(B)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IC)의 작동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회전팬(3)의 모터(3m)와 동력댐퍼의 모터(6m)의 작동이 정지된다. 댐퍼의 모터(6m)가 정지되면 구조적으로 모터의 회전각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댐퍼관(6)에 설치된 댐퍼(6d)는 직각으로 작동하여 댐퍼관(6)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또 동력댐퍼(D)가 개방되고 있는 중에 화재 등 건물 내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화재감지나 온도감지기의 감지신호, 또는 수동스위치 조작에 의해 순환관(4) 및 배출관(5)의 동력댐퍼(D)의 댐퍼(6d)가 닫히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화염이나 유해가스 등의 유체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강력하게 차단한다.
또 환풍기(F)의 무게중심과 동력댐퍼(D)의 무게중심이 좌우 등거리에서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환풍기의 중량적 안전성이 유지되어, 회전팬(3)의 가동시에 기계적 진동이나 소음이 거의 없이 조용하게 가동된다.
또 환풍기(F)와 동력댐퍼(D)가 하나의 케이스(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기의 운반취급 및 설치가 간편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환풍기와 동력댐퍼를 연동하여 정밀하게 통합적으로 전자제어가 가능하여, 종래의 환풍기에 비하여 환풍기와 동력댐퍼의 효용성을 높이어,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아래쪽에서 본 환풍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환풍기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동 발명의 환풍기의 평단면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케이스 2 : 하우징 3 : 회전팬 3m : 모터 4 : 순환관 5 : 배출관
4f,5f : 장착부 6 : 댐퍼관 6m ; 모터 6f : 장착편 B : 콘트롤박스
F : 환풍기 D : 동력댐퍼

Claims (2)

  1. 환풍기 케이스(1)와, 하우징(2)과, 모터(3m)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형 회전팬(3)으로 구성된 환풍기(F)에 있어서, 환풍기 케이스(1)의 한쪽으로 편위(偏位)된 동일 축선 x-x 상에 2방향으로 순환관(4)과 배출관(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순환관(4) 및 배출관(5)에 접(接)하여 상기 케이스(1)의 좌우 측면에 장착부(4f)(5f)를 구비하며, 동력댐퍼의 댐퍼관(6)을 각각 상기 순환관(4) 및 배출관(5)에 관접하여 댐퍼관(6)의 장착편(6f)을 상기 장착부(4f)(5f)에 장착하고 환풍기(F)와 동력댐퍼(D)의 전원도선(ℓ)과 전원코드(cd)를 케이스(1) 내부의 콘트롤박스(B)에 내장된 전자제어회로(IC)에 통합적으로 전자제어가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환풍기 케이스(1)에 형성된 순환관(4)및 배출관(5)에 장착하는 동력댐퍼(D)는, 동력댐퍼(D)의 모터(6m)가 순환관(4)및 배출관(5)의 편위된 반대쪽에 위치시키어, 상기 환풍기(F)의 무게중심선 w-w의 좌우 양측 등거리(等距離)에서 동력댐퍼(D)의 무게중심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KR1020080096741A 2008-10-01 2008-10-01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KR10095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41A KR100954259B1 (ko) 2008-10-01 2008-10-01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41A KR100954259B1 (ko) 2008-10-01 2008-10-01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17A KR20100037417A (ko) 2010-04-09
KR100954259B1 true KR100954259B1 (ko) 2010-04-27

Family

ID=422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41A KR100954259B1 (ko) 2008-10-01 2008-10-01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19B1 (ko) 2016-03-31 2016-08-12 김진호 환풍기용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046A (ja) * 1991-09-06 1993-03-19 Matsushita Seiko Co Ltd 分岐チヤンバー
JPH06207594A (ja) * 1992-11-20 1994-07-26 Toto Ltd 送風装置
JP2000028172A (ja) 1998-07-10 2000-01-25 Toto Ltd 多室換気装置
EP1408219A1 (en) * 2002-10-09 2004-04-14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 driven thrott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motor theret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046A (ja) * 1991-09-06 1993-03-19 Matsushita Seiko Co Ltd 分岐チヤンバー
JPH06207594A (ja) * 1992-11-20 1994-07-26 Toto Ltd 送風装置
JP2000028172A (ja) 1998-07-10 2000-01-25 Toto Ltd 多室換気装置
EP1408219A1 (en) * 2002-10-09 2004-04-14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 driven thrott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motor there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19B1 (ko) 2016-03-31 2016-08-12 김진호 환풍기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17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8687B2 (ja) 冷媒検知センサを有する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8107037A (ja) 空調装置
KR100954259B1 (ko) 동력댐퍼 일체형 환풍기
KR20050111144A (ko) 압력조절 환기 시스템
JP2007024358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この空調システムを備えた建物
JP2006145115A (ja) 換気制御装置
JP2555186B2 (ja) 熱交換換気設備
JP471028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200477238Y1 (ko) 디퓨져
JP2000111110A (ja) 窓枠サッシ用換気扇
JP5326808B2 (ja)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
KR100999572B1 (ko) 욕실환기가 동시에 가능한 환기장치
KR100582458B1 (ko) 환기장치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JP7345675B2 (ja) 送風装置
WO2005052455A1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WO2022091294A1 (ja) 送風装置
JPH078972Y2 (ja) 換気装置
JP3688472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3073838B2 (ja) 天井用換気扇
JP2002310093A (ja) パイプファン
JP2003227640A (ja) サーキュレータ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H1114117A (ja) 同時給排気型換気扇
KR20230119367A (ko) 공동주택의 실외기 흡배기시스템
TWM596854U (zh) 風路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