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25B1 -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25B1
KR100954225B1 KR1020080009716A KR20080009716A KR100954225B1 KR 100954225 B1 KR100954225 B1 KR 100954225B1 KR 1020080009716 A KR1020080009716 A KR 1020080009716A KR 20080009716 A KR20080009716 A KR 20080009716A KR 100954225 B1 KR100954225 B1 KR 10095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pieces
annular
piec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740A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to KR102008000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4Zonally-graded wheels; Composite wheels comprising different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4Zonally-grad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2Rubbers synthetic or natu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은,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동일한 폭의 환형 연마포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연마포는 서로 인접하되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연마포 조각편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 및 환형 연마포는 다각형, 예컨대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연삭체의 연삭면을 보다 고르게 연삭할 수 있고, 이러한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자재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원가 절감효과가 있고, 다각형 환형 연마제품으로 인하여 연삭 면적을 증대시켜서 연삭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연삭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환형 연마제품, 그라인딩, 팔각형, 등각사다리꼴

Description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RING-SHAPED GRINDING ARTICLE}
본 발명은 환형 연마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연마 품질 및 연마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환형 연마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형 연마제품은 가공소재의 면 또는 절단 부위를 일정 수준의 표면 거칠기 범위로 신속하게 연마(grinding 또는 de-burring)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환형 연마제품을 이용한 연마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와, 종래 환형 연마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환형 연마제품(10)는 동일한 폭과 동일한 거칠기를 갖는 원형 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환형 환 구조의 환형 연마제품(10)은 연마 작업 시 피연삭체(25)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한 원형 라인을 따라 반복적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피연삭체(25)의 표면에 원형 또는 반원형의 자국(20)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의 환형 연마제품(10)은 일정한 폭과 길이로 생산된 원단(35)에 펀칭장치를 이용하여 환형 연마제품(coated abrasive)을 펀칭 가공하여 생산한다. 따라서 상기 원단(35)으로부터 상기 환형 연마제품(10)를 펀칭 가공하여 분리하고 나면, 대부분의 나머지 부분(30)이 버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자재가 낭비되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연삭체의 연삭면에 연삭 자국을 남기지 않고 보다 고르게 연삭할 수 있는 환형 연마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재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원가 절감효과가 있는 환형 연마제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은,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동일한 폭의 환형 연마포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연마포는 서로 인접하되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연마포 조각편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환형 연마포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팔각형으로 구성되어 팔각형 환 연마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각형 환 연마포는 동일한 크기의 등각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제 1 연마조각편, 제 2 연마조각편, 제3 편, 제4 편, 제5 편, 제6 편, 제7 편 및 제 8 연 마조각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1 편, 제 2 연마조각편, 제3 편, 제4 편, 제5 편, 제6 편, 제7 편 및 제 8 연마조각편은 서로 평행한 상부 단변, 하부 장변, 및 상기 상부 단변과 하부 장변을 연결하는 경사변으로 구성되며, n번째 조각편의 좌측 경사변이 n+1번째 조각편의 상부 단변과 직선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마포는 기재 상부에 연마재, 생산 접착제, 및 코팅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포의 기재 하부에는 결합재와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재와 이형지 대신에 매직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n 번째 조각편과 n+1 번째 조각편은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연마재가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마조각편, 제 2 편, 제 3 편, 제 4 편, 제 5 편, 제 6 편, 제 7 편, 및 제 8 연마조각편 중 상기 제 1 연마조각편, 제 3 편, 제 5 편, 및 제 7 편이 미세한 거칠기의 연마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편, 제 4 편, 제 6 편, 및 제 8 연마조각편이 거칠기가 큰 연마재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거칠기의 연마재가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분자량 500 내지 3000 범위 내의 2액형의 폴리우레탄 또는 변성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매직 테이프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종이, 제직섬유, 필름, 유리섬유, 탄소섬유, 엠디에프(MDF), 화이바, 마섬유, 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포들이 접합되는 면 사이에 본딩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은, 연마포 원단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마포를 연마 조각편들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정렬부에 로딩하여 자동으로 환형 연마제품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본딩하는 본딩 단계 및 완성된 환형 연마제품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단 단계는, 상기 연마포 원단을 등각 사다리꼴 형태로 제단 또는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딩 단계는, 상기 정렬부에 로딩된 연마조각편의 경사면 사이에 본딩재를 인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 단계는,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압착하는 압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단계는, 서로 거칠기가 다른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교대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포 원단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마포를 연마 조각편들로 절단하는 단계는 복수매의 연마포 원단을 동시에 공급 및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연마포 원단이 다른 거칠기를 갖는 경우에 거칠기별로 분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에 의하면, 피연삭체의 모서리나 표면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으며, 거칠기가 다른 연마 조각편을 교대로 배치하여 반원 꼴의 불균일한 연삭 자국이 생기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개구부를 내부에 갖는 팔각형 환형 연마제품에 의하면, 연삭 분진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환형 연마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환형 연마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더욱 넓은 면적을 연마할 수 있으므로 연마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연마포 원단을 등각 사다리꼴로 절단함으로써 연마포 원단을 절약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연마조각편에 대해서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연마조각편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40)은 정팔각형 개구부(40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연마조각편(41), 제 2 연마조각편(42), 제 3 연마조각편(43), 제 4 연마조각편(44), 제 5 연마조각편(45), 제 6 연마조각편(46), 제 7 연마조각편(47) 및 제 8 연마조각편(4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마조각편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등각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마조각편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환형 연마제품(40)은 정팔각형 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정팔각형 개구부(40a)에 그라인더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정팔각형 개구부(40a)는 그라인더의 그립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그라인더가 연마작업 시 헛돌지 않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형 연마제품(도 1a의 도 10참조)은 원형의 환 형태를 갖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형 연마제품(40)는 정팔각형 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40)은 종래 환형 연마제품(10)보다 피연삭체(미도시)의 표면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종래의 원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10)은 샌딩 작업시 소정의 힘까지 가해지면 그 가속력으로 얼마만큼 회전하고 그 힘이 떨어지면 다시 소정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연삭체(25) 표면에 그 회전 방향을 따라 힘이 집중되는 곳에 반복적으로 불균일한 연삭자국(22)을 남길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40)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과 인접한 상기 제 8 연마조각편(48)의 거칠기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다각형이기 때문에, 예를들어, n 번째 연마조각편(41)의 회전시와 상기 n+1번째 연마조각편(48)의 회전시 힘이 집중되는 영역이 분산될 수 있으며, 상기 n 번째 연마조각편(41)의 회전시 연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에 대해 이에 연속하는 n+1번째 연마조각편(48)의 경사변(53: 도 3 참조)에 의해서 부족분을 보상하여 연삭시켜 줌으로써 상기 n 번째 연마조각편(41)에 의해서 상기 피연삭체(25) 표면에 형성된 불규칙한 연삭자국(22)을 제거하여 피연삭체(25)의 표면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n, n+1의 순서는 시계방향순서임)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40)은 등각 사다리꼴의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을 가질 수 있어서, 동일한 외경과 내경을 갖는 종래의 원형의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10)이 회전시 피연삭체(25)에 접촉하는 연마폭(D1)에 비해서 더 큰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경사변(50: 도 3 참조하여 후술함)을 연마폭(D2)으로 가질 수 있어서 보다 넓은 면적을 연삭할 수 있어서 연마효율이 좋으며, 상기 환형 연마제품(40)의 회전시 힘이 집중되는 영역이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마모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연마제품인 경우에 사용되지 않는 중앙부에 연삭 분진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형 연마제품(40)은 상기 개구부(40a)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40a)를 통해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의 평면도로서, 두께방향으로의 확대 단면도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은 서로 평행한 상부의 단변(57), 하부의 장변(54) 및 상기 상부의 단변(57)과 하부의 장변(54)을 연결하는 경사변(50)을 이루는 네 개의 모서리가 있다.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상부 단변(57)과 경사변(50)이 이루는 모서리각은 135°이고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하부 장변(54)과 경사변(50)이 이루는 모서리 각은 45 °인 좌우 대칭형 등각 사다리꼴이며,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제 2 내지 제 8 연마조각편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좌측 경사변(50) 전체는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의 하부 장변(52)의 우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서, n 번째 좌측 경사변(58)과 n+1 번째 상부 단변(57)은 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과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을 용이하게 접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경사면(50)과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의 하부 장변(52)의 우측 사이에는 본딩재(미도시)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은 기재(92), 상기 기재(92)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마재(94), 및 상기 연마재(94)를 기재(92)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연마재(94)와 혼합되어 1차적으로 도포되는 생산접착제(93), 및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기재(92)에 접착된 연마재(9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2 차적으로 도포되는 코팅접착제(95)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92)의 하면에 접착재(91)가 도포되고 이형지(90)가 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92)는 종이 제직섬유, 필름, 유리섬유, 탄소섬유,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화이바, 마섬유 및 부직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과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에 첨가되는 연마제(94)의 특징을 달리하여 이들의 연삭 특성이나 거칠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연마제의 거칠기가 더욱 미세하며,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의 연마제의 거칠기를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연마제의 거칠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91)와 이형지(90) 대신에 매직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지(90)를 떼어낸 후 상기 환형 연마제품(40, 도 2)을 구동장치의 회전판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91)는 상기 기재(92)의 배면에 도포되며 분자량이 500 내지 3000 범위 내의 폴리우레탄 또는 변성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직테이프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포 공급부로부터 연마포 원단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마포 원단을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포 조각편을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으로 본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을 그라인더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이 적용된 연마기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형 연마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급 단계(S10), 절단 단계(S20), 로딩 단계(S30), 정렬 단계(S40), 본딩 단계(S50), 및 언로딩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단계(S10)는 연마포 원단(97)을 작업 테이블상에 공급 또는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 단계(S20)는 연마포 원단(97)을 지정된 치수의 연마 조각편들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딩 단계(S30)는 절단된 연마 조각편들을 지정된 위치에 로딩하며, 상기 정렬 단계(S40)는 지정된 위치에 놓여진 연마조각편들을 정렬한다.
또한 상기 본딩 단계(S50)는 본딩재를 이용하여 정렬된 연마조각편들을 본딩하며, 상기 언로딩 단계(S60)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환형 연마제품을 언로딩한다.
상기 절단 단계(S20)는 연마포 원단(97)을 연속된 등각사다리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고, 상기 본딩 단계(S50)는 본딩재를 인젝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 단계(S40)는 연마포 조각편들을 정팔각형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단계(S40)는 서로 거칠기가 다른 연마포들을 교대로 배치하며,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압착할 수 있다.
이러한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은 제어부(87)에 의해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환형 연마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파워부(88)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상 기 제어부(87)의 신호에 따라서 각 구성 요소에 인가한다.
이러한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의 연마포 공급부(96)로부터 공급된 연마포 원단(97)이 컨베이어 벨트(98)를 따라 공급된다.
상기 연마포 원단(97)은 하나의 거칠기를 갖는 원단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여러장의 원단이 공급될 수도 있다.
도 5b을 참조하면, 상기 연마포 원단(97)을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절단부(100), 제 2 절단부(105) 또는 제 3 절단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단부(100)와 상기 제 2 절단부(105)는 나이프(칼날)를 상하 또는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절단부(11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연마포 원단(97)을 정밀하게 재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7)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절단부(100, 105, 110)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연마포 원단(97)을 여러 개의 동일한 등각사다리꼴의 연마조각편들(41 내지 48)로 절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연마조각편(41)의 단변과 상기 제 2 연마조각편(42)의 장변이 일 직선상에 교체 배치되도록 재단 및 절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잔부(97a)를 제외하고는 거의 버려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평행사변형 형태의 연마포 원단을 사용한다면 버려지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각사다리꼴 형태의 연마조각편들(41 내지 48)을 이용하여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40)를 만들면 버려지는 부분이 없거나 최소화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연마조각편들(41 내지 48)은 로딩장치(115)에 의해서 운반된다. 상기 로딩장치(115)의 단부에는 진공으로 이들을 흡착하는 흡착부(102)가 형성되어 이들을 신속하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포조각편을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으로 본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각각 정팔각형의 한 변을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내지 제 8 프레임(111a 내지 118h)을 갖는 정렬 프레임부(111)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들을 배치하기만 하면, 팔각 환형 연마제품으로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11a)은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프레임(111a)에 인접한 상기 제 2 프레임(111b)은 구동부에 의해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11b)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41 내지 48)의 모서리가 밀착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마조각편들 사이에 본딩재(114)를 인젝션하는 본딩부(113)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본딩부(113)는 제어부(87)에 의해서 상기 연마조각편들이 접합된 라인을 따라서 움직인다.
상기 본딩 작업은 연마조각편들이 정렬되기 전/후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정렬 프레임부(111)에 의해서 정렬된 연마조각편을 압착시켜서 기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 형태의 환형 연마제품을 그라인더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연마제품(40)의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90)를 떼어낸 후에, 후출하는 연마장치(140)의 회전판(143)에 환형 연마제품(4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 장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141)와, 구동부(141)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축(142) 및 상기 회전축(142)의 단부에 부착된 회전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현재로서 실질적이라 고려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은 종래 원형 환형 연마제품에 의한 연삭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종래 원형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형 연마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형 연마제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각형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공정을 설명하 는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5d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각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각 환형 연마제품의 전체적인 제조 장치의구성도이다.

Claims (15)

  1.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동일한 폭의 연마포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포는 서로 인접하되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동일한 크기의 연마포 조각편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연마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다각형이며, 상기 연마포 조각편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다각형 환을 이루는 환형 연마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팔각형으로 팔각형 환형태의 연마포가 형성되는 환형 연마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팔각형 환 연마포는 동일한 크기의 등각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8 연마조각편은 서로 평행한 상부 단변과 하부 장변, 및 상기 상부 단변과 하부 장변을 연결하는 경사변으로 구성되며, n번째 조각편의 좌측 경사변이 n+1번째 조각편의 상부 단변과 직선으로 배치되는 환형 연마제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포는 기재 상부에 연마재, 생산 접착제, 및 코팅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포의 기재 하부에는 결합제와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환형 연마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와 이형지 대신에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는 환형 연마제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 번째 연마조각편과 상기 n+1번째 연마조각편의 연마재 거칠기가 서로다른 환형 연마제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분자량 500 내지 3000 범위 내의 폴리우레탄 또는 변성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는 환형 연마제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직 테이프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되는 환형 연마제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종이, 제직섬유, 필름, 유리섬유, 탄소섬유, 엠디에프(MDF), 화이바, 마섬유, 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형 연마제품.
  11. 기재, 기재상에 연마제, 생산접착제, 코팅접착제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연마포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
    상기 연마포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연마 조각편들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정렬 프레임부에 로딩하여 자동으로 환형 연마제품으로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포함하는 환형 연마제품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정렬하는 정렬 단계는,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본딩하는 본딩 단계와,
    상기 연마조각편이 본딩된 환형 연마제품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단계는, 상기 연마포 원단을 서로 평행한 상부 단변, 하부 장변, 및 상기 상부 단변과 하부 장변을 연결하는 경사변으로 구성되는 등각사다리꼴로 절단하며, 이 때, n번째 조각편의 상부 단변과 n+1번째 조각편의 하부 단변이 직선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환형 연마제품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단계는, 상기 정렬 프레임부에 로딩된 연마조각편 사이에 본딩부가 본딩재를 인젝션하는 인젝션 단계와, 상기 연마조각편을 압착하는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환형 연마제품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n번째 조각편과 n+1번째 조각편의 서로 거칠기가 다른 상기 연마조각편들을 교대로 배치하는 연마제품의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포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 단계는 서로 거칠기가 다른 복수매의 연마포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며, 상기 연마포를 연마조각편으로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매의 연마포 원단을 동시에 절단하여 거칠기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마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80009716A 2008-01-30 2008-01-30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16A KR100954225B1 (ko) 2008-01-30 2008-01-30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16A KR100954225B1 (ko) 2008-01-30 2008-01-30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40A KR20090083740A (ko) 2009-08-04
KR100954225B1 true KR100954225B1 (ko) 2010-04-21

Family

ID=4120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16A KR100954225B1 (ko) 2008-01-30 2008-01-30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14B1 (ko) * 1993-08-06 1997-04-29 한상우 석재 광택용 연마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3556A (ko) * 2002-09-09 2004-03-18 리드 가부시키가이샤 연마직물용 드레서 및 이것을 이용한 연마직물의 드레싱방법
KR200424056Y1 (ko) 2006-06-02 2006-08-14 주식회사 디어포스 매직 테이프를 이용한 복합필름 연마벨트 제품
KR20070020738A (ko) * 2005-08-16 2007-02-22 임홍순 샌드 페이퍼 연마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14B1 (ko) * 1993-08-06 1997-04-29 한상우 석재 광택용 연마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3556A (ko) * 2002-09-09 2004-03-18 리드 가부시키가이샤 연마직물용 드레서 및 이것을 이용한 연마직물의 드레싱방법
KR20070020738A (ko) * 2005-08-16 2007-02-22 임홍순 샌드 페이퍼 연마휠 및 그 제조방법
KR200424056Y1 (ko) 2006-06-02 2006-08-14 주식회사 디어포스 매직 테이프를 이용한 복합필름 연마벨트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40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633B1 (en) Sanding element
US4338748A (en) Grinding tool metal machining
EP0627281A2 (en) Rotary pads for finishing marble, granite and stone
JP5179158B2 (ja) ドレッサボード
JPH1119866A (ja) 平坦な物体を研磨するための重合体キャリヤ
WO2015064158A1 (ja) 遠心バレル機用のバレル槽、その製造方法、及び遠心バレル研磨機
KR100954225B1 (ko) 환형 연마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2028853A (ja) 研磨装置
CN207874023U (zh) 一种砂布轮
JP2010162636A (ja) ノッチ研磨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0617B1 (ko) 기판 폴리싱 장치 및 방법
WO2009071093A1 (en) Grind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grinding a surface on plate-shaped items
KR200253765Y1 (ko) 드럼형 가공휠을 이용한 평면 자동연마장치
JP2534602B2 (ja) 金属加工用ベルトサンダ―
JP2000052257A (ja) バ フ
KR101132716B1 (ko) 목재 표면 처리장치
JP2003291069A (ja) 研削盤用の砥石及びこの砥石を使用する研削方法
CN210115769U (zh) 倒角研削装置
JP2005028513A (ja) 被加工球の球形仕上げ加工方法及び被加工球の球形仕上げ加工装置
JPH0542468A (ja) Vリブドベ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同製造方法に用いるグラインダーホイール
CN211136822U (zh) 一种复合粒度砂带
JPH0435875A (ja) 回転砥石ロールと、それを使用するサンディングマシン
CN216608342U (zh) 一种高效倒角研磨装置
KR20160133964A (ko) 고경질 자재 연마용 휠 및 그 제조방법
JP2599060B2 (ja) 金属加工用ベルトサ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