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767B1 - 나선 파형관 - Google Patents

나선 파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767B1
KR100953767B1 KR1020080014254A KR20080014254A KR100953767B1 KR 100953767 B1 KR100953767 B1 KR 100953767B1 KR 1020080014254 A KR1020080014254 A KR 1020080014254A KR 20080014254 A KR20080014254 A KR 20080014254A KR 100953767 B1 KR100953767 B1 KR 10095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spiral
adhesive
rubber sheet
spiral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980A (ko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김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희 filed Critical 김봉희
Priority to KR102008001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7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유체 이송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나선 파형관에 있어, 나선 파형관을 일렬로 연결 조립할 때 그 조립상태가 견고하면서 조립부위의 수밀(水密)이 긴밀히 유지될 수 있게 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에 관한 것인바,
외주면에 차례로 나선을 이루는 돌출부(1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측단턱(2a)을 가지며, 그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한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2)를 나선 파형관(1)의 양 측단 외면에 일체로 접착 결합한 것에 있어서,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전체를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으로 성형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와의 접착면 확장으로 그 접착력이 증대되게 하고,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의 체결 가압으로 접착성 고무 시트(4)가 요철면(3)에 면밀히 충전 접착되면서 긴밀한 수밀유지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나선 파형관, 연결 접속구, 톱니형 요철면, 접착성 고무 시트, 상하 조립판

Description

나선 파형관{SPIRAL-WAVE FORMED PIPE}
본 발명은 각종 유체 이송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나선 파형관에 관한 것으로, 나선 파형관을 일렬로 연결 조립함에 있어 그 조립상태가 견고하면서 조립부위의 수밀(水密)이 긴밀히 유지 보장될 수 있게 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에 관한 것이다.
유체 이송관의 접속 연결은 이송관의 형상과 재질 및 그 용도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연결 플랜지, 고무링, 조립부재, 반원형 접속부재 등 부품들을 사용하여 접속 연결하였던 것이다.
일정한 길이로 성형 제작된 합성수지제 관체를 수밀이 유지되게 연결 접속함에 있어서는 각 관체들의 연접 단부를 직접 맞닿게 연접하여 상호 일체화 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면서 간단한 연결구조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관체의 연접 단부에 아무런 보강 부재 없이 설치현장에서 직접 맞닿게 연접하는 작업 그 자체에 상당한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수반되는 것이어서 거의 불가능한 작업인 것이며, 어렵게 연접시켰다 하더라도 그 연접 상태가 매우 취약하여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높은 내압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틈새가 벌어지면서 이를 통한 누수가 발생되는 치명적 결함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 나선 파형관은 그 접속부위가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이를 별도의 보강 부재를 사용하여 견고히 접속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공이 간편하고 확실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 견고한 체결력을 보장하는 보강 부재, 즉 반원형 상하 조립판을 이용한 조립구조가 등장되었고, 당 업계에서는 이 조립구조를 선호하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반원형 상하 조립판을 이용한 조립구조에서 도 7에서와 같이, 나선 파형관(1)의 돌출부(1a)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한 측단턱(2a)을 가지면서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당한 깊이의 충전 요입홈(2b)을 구비한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2)를 나선 파형관(1)의 양측단 외면에 일체로 접착 결합한 조립구조가 근자에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된 바 있다,
완벽한 밀봉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나선 파형관의 접속단부에 연결 접속구를 결합시킴에 있어 긴밀하고 완벽한 밀봉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 과제였던 것이며, 상기 과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연결 접속구와 반원형 상하 조립판 및 수밀 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갖게 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수밀 체결력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관 내부의 유체(流體)가 연결 접속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반대로 연결 접속부의 틈새를 통해 관 내부로 지하수(地下水) 및 우수(雨水)가 유입되지 않게 함은 물론, 설치 현장에서 이를 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된 나선 파형관의 양 측단에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를 접착 결합하여 서로 일체화되게 하되, 연결 접속구의 외주면을 톱니형 요철면으로 성형하여 접착면적이 확장되게 구성함으로써 여기에 감겨 접착되게 한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와의 접착면적 확장과 함께 접착력 증강으로 접속부의 수밀이 장기간 확실하게 유지 보장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나선 파형관(1)의 양 측단에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2)를 일체화되게 성형 결합하고, 이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을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으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연접된 연결 접속구(2)(2)의 톱니형 요철면(3)(3) 전체를 감싸도록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를 돌려 감은 상태에서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을 서로 마주보게 체결하여 가압 조립하면 고무 시트(4)의 겹치는 양단부위는 물론 고무 시트(4)의 전체 둘레를 상하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이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면서 톱니형 요철면(3)(3)을 형성하고 있는 각 골(홈)마다 고무 시트(4)가 밀려들어가 면밀히 충전 접착되면서 맞닿은 연결 접속구(2)(2)와 반원형 상하 조립판(5)(5) 사이에 생긴 모든 틈새를 메워 밀봉함으로써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에 의한 가압시 요철면(3)(3)에 의해 연결 접속구(2)(2)의 외측으로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가 자체 연성에 의해 필요 이상 밀려나가는 것도 방지되고, 톱니형 요철면(3)(3)에 의힌 접착면적 확장과 요철면 전체의 면밀한 밀봉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 기술구성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주면에 차례로 나선을 이루는 돌출부(1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측단턱(2a)을 가지며, 그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한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2)를 나선 파형관(1)의 양 측단 외면에 일체로 접착 결합한 것에 있어서,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전체를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으로 성형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와의 접착면 확장으로 그 접착력이 증대되게 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 인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을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기 분리 형성되게 한 나선 파형관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을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와 중간부, 후단부에 각기 분리 형성되게 한 나선 파형관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a, 도 5b, 도 5c에서와 같이,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 중간부, 후단부 중 어느 한 곳에 톱니형 요철면(3)을 독립되게 형성한 나선 파형관으로 변형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요철면(3)은 필요에 따라 도시한 삼각 톱니형은 물론, 도면 표현은 생략하였으나 연속된 원호형 요철면 또는 연속된 사각형 요철면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요철면(3)(3) 전체를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로 돌려 감아 골(홈)부분으로 가류되지 않은 고무가 밀려들어가 면밀히 충전(充塡)되게 하고, 다시 그 위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를 두텁게 돌려 감은 뒤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으로 가압 체결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의 가압시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는 톱니형 요철면(3)에 의해 연결 접속구(2)(2) 밖으로 필요 이상 밀려나가는 누출현상이 방지되면서 톱니형 요철면(3) 전체의 면밀한 밀봉상태가 장기간 확실하고 긴밀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부호 6은 반원형 조립판 체결 볼트, 6a는 너트, 6b는 와셔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가류되지 않은 끈끈한 성질의 접착성 고무 시트(4)를 사용하는 기술구조에서 상기와 같이 가류되지 않은 고무 시트(4)를 이중으로 중첩되게 돌려 감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자체 두께를 보다 두껍게 제작한 가류되지 않은 고무 시트(4)를 사용하여 한번 돌려 감는 단층구조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맞닿은 연결 접속구(2)(2)의 외주면을 도 7에서와 같이 가류되지 않은 고무 시트(4)로 두텁게 둘러싸 산과 골로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3)에 상기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가 골마다 면밀히 충전 접착되게 한 상태에서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을 서로 마주보게 체결하여 가압 조립함으로써 고무 시트(4)의 겹치는 양단부위는 물론 고무 시트(4)의 전체 둘레를 상하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이 균일하게 가압하여 맞닿은 연결 접속구(2)(2)와 반원형 상하 조립판(5)(5) 사이에 생길수 있는 모든 틈새를 면밀하게 메워 밀봉함으로써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는 반원형 상하 조립판(5)(5)의 가압시 톱니형 요철면(3)의 제어현상에 의해 연결 접속구(2)(2) 밖으로 필요 이상 밀려나가는 누출현상이 방지되면서 톱니형 요철면(3) 전체의 면밀한 밀봉상태가 장기간 확실하고 긴밀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양단 일부분을 단면 표시한 나선 파형관
도 2-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확대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다른 실시 확대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또 다른 실시 확대 단면도.
도 5a-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또 다른 실시 확대 단면도.
도 5b-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또 다른 실시 확대 단면도.
도 5c-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또 다른 실시 확대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연결 접속상태 일 예시 분리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를 일부를 단면도시한 측면도.
도 8- 선 출원 발명의 연결 접속단부 일부를 단면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선 파형관 1a- 돌출부 2- 연결 접속구
3- 톱니형 요철면 4- 고무 시트 5- 반원형 상하 조립판
6- 체결 볼트 6a- 너트 6b- 와셔

Claims (4)

  1. 외주면에 나선을 이루고 있는 돌출부(1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측단턱(2a)을 가지며, 그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한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2)를 나선 파형관(1)의 양 측단 외면에 일체로 접착 결합한 것에 있어서,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전체를 산과 골이 연속된 톱니형 요철면(3)으로 성형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 시트(4)와의 접착면 확장으로 그 접착력이 증대되게 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톱니형 요철면(3)을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분리 형성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톱니형 요철면(3)을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와 중간부, 후단부에 각각 분리 형성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톱니형 요철면(3)을 연결 접속구(2)의 외주면 선단부, 중간부, 후단부 중 어느 한 곳에 독립되게 형성한 접속구조를 가진 나선 파형관.
KR1020080014254A 2008-02-18 2008-02-18 나선 파형관 KR10095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54A KR100953767B1 (ko) 2008-02-18 2008-02-18 나선 파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54A KR100953767B1 (ko) 2008-02-18 2008-02-18 나선 파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80A KR20090088980A (ko) 2009-08-21
KR100953767B1 true KR100953767B1 (ko) 2010-04-21

Family

ID=4120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254A KR100953767B1 (ko) 2008-02-18 2008-02-18 나선 파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758A (ja) 2002-11-25 2004-06-24 Kitz Corp 樹脂管接続用バルブとバルブ用樹脂接続部の製造方法
KR100466274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적층관
KR100536138B1 (ko) 2004-01-02 2005-12-14 김태규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시공방법
KR20060011801A (ko) * 2005-11-19 2006-02-0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나선형 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758A (ja) 2002-11-25 2004-06-24 Kitz Corp 樹脂管接続用バルブとバルブ用樹脂接続部の製造方法
KR100536138B1 (ko) 2004-01-02 2005-12-14 김태규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시공방법
KR100466274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적층관
KR20060011801A (ko) * 2005-11-19 2006-02-0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나선형 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80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775B2 (en) Annular gasket
US7232160B2 (en) Pipe clamp inner seal
AU2004235398A1 (en) Gasket for pipe coupling and pipe coupling incorporating same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0638415B1 (ko)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JP2009019770A (ja) 異種金属管接続構造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100953767B1 (ko) 나선 파형관
CN220452996U (zh) 一种石油开采管道防漏装置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0772118B1 (ko) 분기관 연결구
JP2009047283A (ja) 分岐継手および散水装置
JP5014022B2 (ja) 支管継手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0468Y1 (ko) 벌어지는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KR20080107598A (ko) 나선 파형관의 접속부 수밀구조
KR100772712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1736681B1 (ko) 파이프 연결밸브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6170315A (ja) 可撓性二層管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