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939B1 -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939B1
KR100952939B1 KR20080135683A KR20080135683A KR100952939B1 KR 100952939 B1 KR100952939 B1 KR 100952939B1 KR 20080135683 A KR20080135683 A KR 20080135683A KR 20080135683 A KR20080135683 A KR 20080135683A KR 100952939 B1 KR100952939 B1 KR 10095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wire
resi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310A (ko
Inventor
박창제
김대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씨콤
Publication of KR2009012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폐전선으로부터 오일과 고순도의 금속선(구리(Cu)선 또는 금속 벨트)을 회수함에 있어서, 재생유에 함침된 폐전선을 가열 용융시킬 때 가열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열로 내벽에 수직한 앵글을 방사상으로 복수 개 설치하여 폐전선의 합성수지를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용융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을 가진 가열로 내에 재생유와 폐전선을 혼입하고, 가열로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폐전선의 피복 수지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단계(S1)와, 상기 수지와 재생유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수지와 재생유를 분리하는 필터링 단계(S2)와, 상기 필터링 단계에서 분리 추출한 합성수지 왁스를 가열분해하여 오일화 하는 공정에서, 폐타이어를 함께 가열 분해 시킴으로서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함과 동시에 폐타이어의 금속을 분리하는 증류 및 냉각 단계(S3)와,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 회수된 금속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를 원심분리법으로 제거하는 탈유 단계(S5)로 이루어진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EXTRACTION METHOD OF METAL WIRE AND OIL USING RECLAIMED OI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폐전선의 피복물인 젤리 및 합성수지(PE) 또는 폐타이어의 합성수지(고무)로부터 오일을 추출하고, 동시에 폐전선으로부터는 정제된 구리선을 회수하고 폐타이어로부터는 트레드(tread)와 카카스(carcass) 사이에 형성된 금속 벨트(steel belt)를 회수할 수 있도록 자원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유를 열 매체로 사용하여 폐전선의 피복물인 합성수지를 가열 용융할 때 앵글이 설치된 회전 가능한 가열로에서 수행함으로써 합성수지의 용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1970~80년대 통신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국가 산업의 중추적인 기간망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 케이블을 대량적으로 설치, 매설하였으나 최근에는 통신산업의 고도화 및 대용량 전송 등의 필요에 따라 광통신 케이블을 설치 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통신 관련 회사의 투자가 주로 광케이블에 집중되고 광케이블 포설에 필요한 관로공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존 설치된 동(구리)전선 관로에서 동 전 선을 철거하고 광케이블로 교체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철거된 폐전선의 처리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구리(Cu)의 금속 원재료 가격이 높은 가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폐전선 내의 구리에 대한 재활용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구리전선은 젤리 컴파운드를 충진하지 않은 전선과 젤리 컴파운드를 충진한 전선으로 나누어지는데 젤리 컴파운드를 충진한 전선은 침수 및 물 침투 방지를 목적으로 미네랄오일을 주 베이스로하여 중합체인 폴리부틸렌, 폴리에틸렌 등의 유기화합물 및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며 젤리 충진물의 특성이 끈적임이 많아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리(Cu)를 회수하기에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폐전선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283798호를 통해 폐전선을 용융, 건류 탄화시켜 합성수지와 구리선을 분리 취출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폐전선으로부터 구리선을 회수하는 것으로만 그칠 뿐, 구리선의 주변에 피복되어 있던 합성수지(PE)는 재활용 없이 그대로 연소시키므로, 폐전선을 자원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합성수지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나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집진 혹은 세정탑과 같은 정화설비가 요구되므로, 설비 비용이 고가인데다가 그 유지비용도 고가여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폐타이어를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 내부에 함유된 금속 벨트를 폐타이어의 주 재료인 합성고무 재료와 분리해야 하나, 이러한 설비를 갖추는데 많 은 비용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자는 폐전선 내에 충진되어 있는 젤리 컴파운드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환경적 측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재생유를 사용하여 오일과 구리선을 분리 회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발견하였고, 또한 폐전선으로부터 분리된 수지를 가열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폐타이어를 함께 가열하는 경우 폐타이어로부터 오일과 금속 벨트(steel belt)를 분리 회수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폐전선으로부터 오일과 고순도의 금속선(구리(Cu)선)을 회수함에 있어서, 재생유에 함침된 폐전선을 가열 용융시킬 때 가열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열로 내벽에 수직한 앵글을 방사상으로 복수 개 설치하여 폐전선의 피복 합성수지를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용융시킬 수 있게 하는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전선으로부터 수득한 용융 합성수지를 여과필터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걸러진 재생유는 폐전선의 용융에 재사용하며, 여과된 고형분 합성수지 왁스를 고온에서 폐타이어와 함께 열분해 방법을 적용, 증류하여 오일(재생유;연료유)과 금속 벨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재생유를 이용하여 폐전선 또는 폐타이어로부터 금속선과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을 가진 가열로 내에 재생유와 폐전선을 혼입하고, 가열로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폐전선의 수지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단계(S1)와; 상기 수지와 재생유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수지와 재생유를 분리하는 필터링 단계(S2); 및 상기 분리된 수지 용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하는 증류 및 냉각 단계(S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로 내벽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을 설치하여 상기 앵글이 폐전선과 접촉되게 하여 가열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류, 냉각 단계(S3)에서 필터링 단계(S2)에서 추출된 수지를 가열할 때 폐타이어를 함께 가열하여 폐타이어의 용융 분해시 발생한 증기를 응축시켜 오일을 추출하고, 폐타이어 내의 금속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폐전선과 재생유가 혼입되고,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11)이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열로(10)와; 상기 가열로 내에 형성된 수지 및 재생유의 혼합물 중, 수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0)와; 상기 필터링 된 수지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증발로(30)와; 상기 증발로와 연결된 제1응결기(32)로 냉각수(42)를 공급하는 냉각기(40); 및 상기 제1응결기(32)와 연결되어 기화된 증기를 응축시켜 오일을 회수하는 수집조(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유에 함침된 폐전선을 가열 용융시킬 때 가열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열로 내벽에 수직한 앵글을 방사상으로 복수 개 설치함으로써 가열로 내벽과 폐전선이 앵글에 의해 일정 거리 유지된 상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앵글이 고중량의 폐전선을 흩어줌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용융된 합성수지 액이 원심력에 의해 가열로 내벽 측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분리됨은 물론, 폐전선 상호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단시간 내에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유를 통해 폐전선을 용융시킴으로써 고순도의 금속선을 회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속선의 피복물인 합성수지 용융물을 여과 및 증류하여 열원이나 연료유로 사용할 수 있는 오일을 추출할 수 있고, 또한 합성수지 용융물을 가열 증류하는 과정에서 폐타이어를 함께 가열하는 경우 폐타이어로부터 오일과 금속 벨트를 분리, 추출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폐전선에서 분리 추출한 PE 등의 합성수지 왁스를 열분해하여 오일를 추출하는 장치에 폐타이어도 함께 열분해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가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상호 보완장치 제안이며, 결국 폐전선과 폐타이어 전부를 그대로 자원화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설비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폐전선을 용융시킬 때 사용한 재생유 역시 회수가 가능하므로, 이를 다시 폐전선을 용융시킬 수 있는 재생유로 재활용 가능하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재생유를 이용하여 폐전선으로부터 구리선과 오일의 추출 공정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가열 용융 단계를 보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터링 단계를 보인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증류 및 냉각 단계를 보인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폐전선로부터 구리선과 오일 추출하는 전체 공정은,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을 가진 가열로 내에 재생유와 폐전선을 혼입하고, 가열로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폐전선의 피복물인 수지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단계(S1)와, 상기 수지와 재생유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수지와 재생유를 분리하는 필터링 단계(S2)와, 상기 분리된 수지와 폐타이어를 가열하여 열분해로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하는 증류 및 냉각 단계(S3) 및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 회수된 금속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를 원심분리법으로 제거하는 탈유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증류 및 냉각 단계(S3)에서 폐전선으로부터 수득한 합성수지 용융물(왁스)을 가열할 때 폐타이어를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오일을 추출함과 동시에 폐타이어 내부에 있는 금속 벨브(steel belt)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폐전선에서 분리된 구리선에 부착된 재생유를 더욱 효과적으로 탈유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탈유 단계(S5) 전 공정으로서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 생성된 구리선을 예열된 신생유에 함침하여 구리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의 농 도를 감소시키는 구리선 함침 단계(S4)를 더 부가할 수 있으며, 이들 각 공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재생유에 폐전선을 함침/가열하는 가열 용융 단계(S1)는, 가열로(10)로 내에 폐전선(1)과 재생유(2)를 함께 주입한 다음, 가열원(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유(3)에 상기 가열로(10)를 침지하면, 가열로(10) 내의 재생유가 간접 가열되는데, 재생유(2)가 폐전선(1)의 피복물인 수지, 예컨대 PE레진의 용융온도인 100~110℃까지 상승하면, 폐전선(1)의 수지가 용융하면서 재생유(2)에 혼입된다.
이때, 상기 폐전선(1)과 재생유(2)의 투입량은 각각 폐전선(1) 25~45중량%와 재생유 55~75중량%인 것이 효율성이 높고 바람직하다. 폐전선(1)이 25중량% 이하이면 재생유(2)에 대한 수지의 농도가 낮아서 수지의 분리량이 적고 따라서 오일의 회수량이 미미하여 효율적이지 못하고, 반대로 폐전선(1)이 45중량% 이상이면 재생유(2)에 대한 수지의 농도가 짙어서 점성으로 인한 유동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이후의 필터링 단계(S2)에서 수지을 여과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가열 용융 단계(S1)는 도면에서 간접 가열 방식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열로(10)는 열원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가열로(10)는 모터(M)에 의해서 회전되게 하면 폐전선(1)의 피복물이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용융된다. 즉 간접 가열 또는 직접 가열 형태 중 어떠한 방식을 취하더라도 가열로(10)가 정지해 있는 경우 열매유(3)에 의한 열원이 가열로(10)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열원과 근접한 부분의 폐전선(1) 피복물이 먼저 용융되는 폐단이 있으므로, 상기 가열로(10)를 회전시켜서 열원이 가열로(10) 전체에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도 3과 같이 상기 가열로(10)의 내벽에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11)을 설치하며, 상기 앵글(11)은 폐전선(1)이 가열로(10)의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하므로 가열로(10)의 내벽 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폐전선(1)의 피복물이 용융될 때 액상 피복물이 원심력에 의해서 가열로(10)의 내벽 측, 즉 빈 공간으로 이동하므로 폐전선(1)의 피복물이 폐전선(1)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뿐만 아니라, 가열로(10)를 대형으로 제작한 상태에서 다량의 폐전선(1)을 투입하는 경우, 가열로(10)가 모터(M)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다량의 폐전선(1) 뭉치는 큰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쉽게 회전되지 않고 정체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가열로(10) 내벽에 앵글(11)을 설치하면 폐전선(1) 뭉치가 고중량을 가지고 있더라도 앵글(11)이 폐전선(1) 뭉치의 가장자리와 접하게 되어 가열로(10)의 회전에 맞추어 폐전선(1) 뭉치를 회전시키고 또한 국부적인 마찰로 인해 폐전선 가닥 상호간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다시말해, 상기 앵글(11)은 폐전선 뭉치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터치(touch)하므로 폐전선(1) 뭉치를 회전 및 유동시킴과 동시에 폐전선 가닥을 흩터지게 하며, 이 경우 폐전선(1) 가닥이 최초 투입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폐전선의 가닥 상호간 거리가 불규칙하게 변화되므로 그만큼 피복물의 용융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로(10)의 내벽에 앵글(11)이 설치되고 가열로(10)가 회전되는 경우 폐전선의 피복물이 단시간 내에 용융되면서도 원심력에 의해 폐전선(1) 내부의 구리선과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글(11)은 폐전선의 투입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폐전선과 효과적으로 접촉되게 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하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가열 용융 단계(S1)를 거치면 폐전선(1)으로부터 구리선과 수지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수지는 재생유와 혼합되며, 상기 수지 및 재생유 혼합물은 다음의 필터링 단계(S2)에서 상호 분리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 단계(S2)는, 필터(20) 내에 수지(4)와 재생유(2)의 혼합물을 넣어 필요에 따라 압착하는 것으로, 필터링 과정에서 필터(20) 내에 수지(4)가 여과되는 한편, 재생유(2)는 필터(20) 외부에 배출되어 별도로 수집된다. 이때 상기 별도 수집된 재생유(2)는 앞서 가열 용융 단계(S1)에서의 폐전선(1)의 가열 용융시 주입되는 재생유(2)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생유(2)의 사용량(필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20) 내에 여과된 수지(4)는 증류 및 냉각 단계(S3)를 거쳐서 오일로 추출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증류 및 냉각 단계(S3)는, 수지(4)를 버너 혹은 히터(31)에 의해 가열 가능한 증발로(30) 내에 투입하여 가열하는 것으로, 가열된 수지(4)는 휘발하여 증기가 되고, 이 증기는 제1응결기(32)에서 냉각되며, 냉각 응축된 오일은 수집조(50)로 회수된다.
상기 제1응결기(32)에는 냉각기(40)로부터 방출되는 냉각수(42)가 주입되는 연결관(4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응축되는데, 이때 상기 수지(4)의 증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응축하기 위해서, 상기 수집조(50)의 상단에 나선형 관로가 형성된 제2응결기(52)를 설치하고, 상기 제2응결기(52) 역시 상기 냉각기(40)로부터 방출된 냉각수가 주입되는 연결관(41)과 연결시키면, 수집조(50)에서 휘발하는 증기가 재차 응축되고, 이렇게 응축된 오일이 다시 수집조(50) 내부로 회수된다.
즉 도 5와 같이 냉각기(40)에서 방출되는 냉각수(42)는 화살표 표시와 같이 연결관(41)을 통해 제1응결기(32)로 이송되고, 이후 제2응결기(52)를 경유하여 다시 냉각기(40)로 회수됨으로써 제1응결기(32) 내의 증기와, 수집조(50) 내에서 휘발 증기를 제2응결기(52)에서 각각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증발로(30) 내에 수지(4)를 투입하여 가열할 때 폐타이어를 함께 투입하여 고온에서 가열하면, 폐타이어가 가열 분해되면서 증기가 발생하며, 이러한 증기를 동일한 구조의 제1응결기(32) 혹은 제2응결기(52)를 통해 응축하면 폐전선으로부터 얻어진 수지(4)를 비롯하여 폐타이어 용융 분해물로부터 오일을 추출할 수 있고, 이후 증발로(30) 내에는 폐타이어 내에 설치되어 있던 금속 벨트를 비롯하여 검은 색상의 폐타이어 카본 잔유물이 잔존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오일은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의 가열원(12) 혹은 증류 및 냉각 단계(S3)에서의 증발로(30)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기타 연료유로 재활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로부터 회수된 구리선의 표면에는 재생유(2) 가 묻어 있을 수 있고, 이를 선별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쉽게 제거하고 고순도의 구리선을 얻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구리선을 신생유에 함침하는 구리선 함침 단계(S4)와 원심분리에 의한 탈유 단계(S5)를 더 포함하며, 이때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리선 함침 단계(S4)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구리선 함침 단계(S4)는, 예열된 신생유에 분리된 구리선을 함침하는 것으로, 이 경우, 구리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에 신생유가 더해져서 재생유의 농도와 점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탈유 단계(S5)는, 신생유에 함침된 구리선을 원심분리기로 회전시키는 공정으로,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구리선 함침 단계(S4) 공정을 통해서 농도와 점성이 낮아진 재생유가 구리선에 대한 표면장력이 낮게 되므로 구리선에 흡착되어 있는 재생유(신생유 포함)가 원심력에 의해 쉽게 탈유된다.
한편, 상기 증류 및 냉각 단계(S3)에서 폐타이어를 함께 투입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증기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증발로(30) 내에 남아 있는 금속 벨트와 카본 잔유물을 회수하여 폐타이어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금속을 수득할 수 있음은 물론, 카본 잔유물은 별도의 처리 과정을 통해 안료 등 기타 재료로 자원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일 실시 형태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비롯해 그것과 균등한 사항까지 포함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전선 및 폐타이어으로부터 구리선과 오일을 추출하는 전체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용융 단계를 보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터링 단계를 보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증류 및 냉각 단계를 보인 공정도.
< 도면의 부호 설명 >
1 : 폐전선 2 : 재생유
3 : 열매유 4 : 수지
5 : 오일 10 : 가열로
11 : 앵글 12 : 가열원
20 : 필터 30 : 증발로
31 : 히터 32 : 제1응결기
40 : 냉각기 41 : 연결관
42 : 냉각수
50 : 수집조 52 : 제2응결기

Claims (6)

  1. 가열로 내에 재생유와 폐전선을 혼입시켜서 가열하여 폐전선의 수지를 용융시키는 가열 용융 단계(S1)와; 상기 수지와 재생유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수지와 재생유를 분리하는 필터링 단계(S2); 및 상기 분리된 수지 용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추출하는 증류 및 냉각 단계(S3)로 이루어지는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된 복수 개의 앵글을 설치하여 앵글이 폐전선 뭉치의 가장자리와 접촉되게 하고,
    동시에 상기 가열로를 회전시키면서 가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 회수된 금속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를 원심분리법으로 제거하는 탈유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유 단계(S5) 전 공정으로서, 상기 가열 용융 단계(S1)에서 생성된 금속선을 예열된 신생유에 함침하여 금속선 표면에 부착된 재생유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금속선 함침 단계(S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류, 냉각 단계(S3)시 필터링 단계(S2)에서 추출된 수지를 가열할 때 폐타이어를 함께 가열하여 폐타이어의 분해시 발생한 증기를 응축시켜 오일을 추출하고, 폐타이어 내의 금속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6. 폐전선과 재생유가 혼입된 가열로(10)와; 상기 가열로 내에 형성된 수지 및 재생유의 혼합물 중, 수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0)와; 상기 필터링 된 수지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증발로(30)와; 상기 증발로와 연결된 제1응결기(32)로 냉각수(42)를 공급하는 냉각기(40); 및 상기 제1응결기(32)와 연결되어 기화된 증기를 응축시켜 오일을 회수하는 수집조(50)로 이루어진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10)의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각 단부가 폐전선 뭉치의 가장자리와 접촉되게 한 복수 개의 앵글(11)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로(10)는 가열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장치.
KR20080135683A 2008-06-12 2008-12-29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0952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5046 2008-06-12
KR1020080055046 200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10A KR20090129310A (ko) 2009-12-16
KR100952939B1 true KR100952939B1 (ko) 2010-04-16

Family

ID=4019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5683A KR100952939B1 (ko) 2008-06-12 2008-12-29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2939B1 (ko)
CN (1) CN1013333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21B1 (ko) 2015-06-18 2016-08-16 제이앤케이리텍주식회사 재생유를 이용한 용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63A1 (ko) * 2013-03-26 2014-10-02 Jung Jin Sub 폐전선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1690827B1 (ko) * 2013-06-28 2016-12-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순도 구리 회수를 위한 젤리 충진 폐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KR101691688B1 (ko) * 2013-06-28 2016-12-3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순도 구리 회수를 위한 폐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CN111571866B (zh) * 2020-05-27 2022-02-11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玻纤增强管材生产废料分离装置及分离方法
CN115135424A (zh) * 2021-01-14 2022-09-30 Hm株式会社 废旧分离膜废料油提取装置以及利用所述装置的再生原料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844A (ja) * 2002-08-06 2004-03-04 Takamo Industries Co Ltd タイヤ、電線等の処理物の油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844A (ja) * 2002-08-06 2004-03-04 Takamo Industries Co Ltd タイヤ、電線等の処理物の油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21B1 (ko) 2015-06-18 2016-08-16 제이앤케이리텍주식회사 재생유를 이용한 용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3302A (zh) 2008-12-31
KR20090129310A (ko) 2009-12-16
CN101333302B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939B1 (ko) 재생유를 이용한 금속선과 오일의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EP2635418B1 (en) Improvements in waste processing
WO2014032843A1 (en) Process and system for whole tyres and plastic composites pyrolysis to fuel conversion and compund recovery
KR101076023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폐전선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N114507542A (zh) 一种废塑料制备轻质油品的方法及系统
CN104271712A (zh) 采用新颖溶剂再生法的萃取工艺
CN102282237B (zh) 重烃移除系统和方法
CN108246774B (zh) 一种有机污染物环境保护热解处理系统及方法
KR101259857B1 (ko) 합성수지 회수장치
WO2016175667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from the polyolefins into liquid fuels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waste from polyolefins into liquid fuels
KR101083396B1 (ko) 폐전선의 재생방법 및 산개장치
CN102757813A (zh) 含有电脱盐污水除油装置的原油加工装置及其方法
KR101397665B1 (ko) 불용 통신 케이블에서 구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RU2153415C2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шин и отходов резино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70088898A (ko) 잔류물, 특히 정유공정에서의 잔류물의 처리 및/또는 회수 및/또는 재사용 방법
IT201900000613A1 (it) Processo di valorizzazione di scarti della rigenerazione di olii usati
CN109650375A (zh) 一种制备沥青基中间相炭微球的新方法
KR101494384B1 (ko) 폐통신케이블 유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500434B1 (ko) 자원 재활용 추출장치
KR101140339B1 (ko) 합성수지/금속 복합 폐기물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CN112159705A (zh) 一种废矿物油再生生产工艺
TWI389940B (zh) Scrap recovery equipment and methods for waste petrochemical products
CN203451481U (zh) 软沥青净化设备
KR100331604B1 (ko) 용제를 이용한 폐통신케이블의 폴리에치렌 수지재활용처리방법
KR101593132B1 (ko) 폐전선의 자원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5

Effective date: 2009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