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699B1 -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699B1
KR100952699B1 KR1020080022136A KR20080022136A KR100952699B1 KR 100952699 B1 KR100952699 B1 KR 100952699B1 KR 1020080022136 A KR1020080022136 A KR 1020080022136A KR 20080022136 A KR20080022136 A KR 20080022136A KR 100952699 B1 KR100952699 B1 KR 10095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screen
force
mode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998A (ko
Inventor
김종호
강대임
박연규
김민석
최재혁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2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699B1/ko
Priority to JP2008174045A priority patent/JP2009217801A/ja
Priority to US12/191,087 priority patent/US20090228791A1/en
Publication of KR2009009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1)를 사용하여 위치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고,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이 인가되며, 인가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210)과; 터치스크린(210)의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촉각센서(230);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S30);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촉각센서(230)로부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S35); 및 인식된 위치정보,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모드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화면의 이동 여부 또는 클릭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결정단계(S40);로 구성된다.
풀 브라우징, 휴대폰, 작용힘, 축소, 확대, 이동, 클릭, 하이퍼링크

Description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Full-browsing display method in touchscreen apparatus using tactile sensors}
본 발명은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기준힘(Fs)을 설정한 후,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웹사이트 화면에 대하여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웹사이트 화면 중 변화를 원하는 위치에 작용힘(Fin)을 인가하는 경우 그 강도에 따라 화면의 확대, 축소 그리고 기준힘(Fs)과 비교하여 화면이동 및 클릭을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3.5세대 이동통신인 HSDPA나 휴대인터넷 와이브로(WiBro) 등 초고속 이동통신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풀브라우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PC용 웹사이트를 휴대폰 단말기 등에 표시할 수 있지만, 좁은 휴대폰 단말기 등의 화면에 PC용 인터넷 화면을 그대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그리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해 가면서 웹페이지를 읽거나, 줌인과 줌아웃으로 조정해서 전체를 볼 수 있다.
종래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 바를 이동하면서 웹페이지를 읽는 경우, 좌우에 스크롤 바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의 하측과 우측에 형성된 스크롤 바가 차지하는 공간도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화면영역이 더욱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조정하는 경우, 포인팅 오브젝트(예를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팁 등)로 휴대폰 단말기 등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한번 조작할 때마다 당해 웹페이지 화면이 예를 들어, 2배씩 확대된다고 설정하고 당해 웹페이지 화면을 종전에 비하여 8배 정도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3번의 조작이 필요하는 등 조작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효율성의 문제는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에서 풀 브라우징의 사용을 불편하게 하고, 사용을 꺼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곤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팁 등)를 사용하여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포인팅 오브젝트의 작용힘이 인가되고, 그에 따른 반작용힘이 전달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과; 터치스크린의 하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작용힘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촉각센서;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장치에 기준힘(Fin)을 설정한 후,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웹사이트의 화면에 대하여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포인팅 오브젝트로 웹사이트 화면 중 변화를 원하는 위치에 작용힘(Fin)을 인가하면 그 강도에 따라 화면의 확대, 축소 그리고 기준힘(Fs)과 작용힘(Fin)을 비교하여 화면이동 및 클릭을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1)를 사용하여 위치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고,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이 인가되며, 인가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 린(210)과; 터치스크린(210)의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촉각센서(230);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S30);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촉각센서(230)로부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S35); 및
인식된 위치정보,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모드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화면의 이동 또는 클릭 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결정단계(S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모드설정단계(S30)에서 화면의 확대모드 또는 축소모드가 선택된 경우, 화면결정단계(S40)에서 화면의 확대비율 또는 축소비율은 작용힘(Fin)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면결정단계(S40)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의 화면을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모드설정단계(S30)가 실행되기 앞서, 사용자가 기준힘(Fs)을 설정하는 기준힘 설정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준힘 설정단계(S10)와 모드설정단계(S30) 사이에는, 터치스크린장치의 인터넷 주소창에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거나 즐겨찾기로 지정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결정단계(S40)는, 작용힘(Fin)의 크기와 설정된 기준힘(Fs)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43); 및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이동 또는 클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4)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단계(S43)는 작용힘(Fin)의 크기와 설정된 기준힘(Fs)의 크기를 뺄셈하거나 나눗셈하여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모드설정단계(S30)에서 화면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화면결정단계(S40)는, 작용힘(Fin)의 크기가 기준힘(Fs)의 크기 미만인 경우 터치스크린장치의 화면이 작용힘(Fin)의 인가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표시되는 단계(S41)와; 작용힘(Fin)의 크기가 기준힘(Fs)의 크기 이상인 경우 작용힘(Fin)이 작용하는 위치의 하이퍼링크된 지정된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단계(S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작용힘(Fin)의 크기가 기준힘(Fs)의 크기 이상인 경우, 하이퍼링크로 이동시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하여 소정의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작용힘(Fin)의 크기 감지단계(S35)는 다수의 촉각센서(230)가 출력하는 출력신호들중 최대값 또는 평균값을 작용힘(Fin)의 크기로 감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1)를 사용하여 위치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며,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이 인가되고, 인가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210)과; 터치스크린(210)의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촉각센서(230);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사용자가 상기 기준힘(Fs)을 설정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촉각센서(230)로부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인식된 위치정보,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또는 화면의 이동 및 클릭 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웹페이지 화면 중 변화를 원하는 위치에 작용힘(Fin)을 한번 인가함으로써 화면의 확대, 축소 또는 이동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종전의 화면을 이동하기 위한 스크롤 바를 없애서 휴대폰 단말기 등의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작용힘의 강도에 따라 화면의 변화가 야기되는바, 화면의 변화를 위해 포인팅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복수 횟수의 조작없이 한번의 작용힘 인가로 원하는 화면의 변화가 가능하여 조작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풀브라우징을 위한 터치스크린장치의 구성>
본 발명인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은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상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우선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구성 및 기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터치스크린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구성으로는 기본적으로 포인팅 오브젝트(1)에 의하여 작용힘(Fin)이 인가되고 그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210)과,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위치하고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촉각센서(230)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장치상에서의 조작으로 다른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하여 진동을 출력하기 위한 액추에이터(220)와, 촉각센서(230)의 신호와 터치스크린에 인가된 작용힘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40)가 더 포함된다.
도 1에서는 액추에이터(220)가 촉각센서(230)의 상위에 놓인 것을 도시한 것으로, 액추에이터(220)와 촉각센서(23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액추에이터(220)와 촉각센서(230)의 구체적인 배선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용이한 사항으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촉각센서(230) 및 액추에이터(220)는 하나의 단위체로서, 복수의 단위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열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훼손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촉각센서(230)가 터치스크린(210)의 하부 가장자리 둘레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포인팅 오브젝트(1,1')를 멀티터치 또는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작용힘(Fin)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작용힘(Fin)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0)은 이에 접촉하고 있는 포인팅 오브젝트(1)의 위치를 근거로 디스플레이에 커서 등의 위치 및 동작 명령을 위한 입력 매체이다. 터치스크린(210)은 LCD, OLED, PDP, 전자잉크 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가요성(flexible)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인가된 포인팅 오브젝트(1)의 위치정보 인식과, 상기 LCD, OLED, PDP, 전자잉크표시장치의 특징 등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으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촉각센서(230)는 터치스크린(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터치스크린(210)에 가해진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에 기초한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한다. 촉각센서(230)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사용자가 인가한 작용힘(Fin)의 강도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
도 3은 촉각센서(23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의 고분자 필름(101)상에 코팅층(102)과 금속층(103)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금속층(103) 상에 저항체(104)를 형성하여 제조된 상판;과 소정의 두께의 고분자 필름(111)상에 코팅층(112)과 금속층(113)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금속층(113) 상에 저항체(114)를 형성하여 제조된 하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판의 저항체(104)와 하판의 저항체(114)가 대향되도록 스페이서(115)를 포함하여 본딩되어 구성된다.
제어부(440)는 촉각센서(230)에서 감지한 작용힘(Fin)에 대한 신호와 터치스크린에 인가된 작용힘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220)로 전송한다. 제어부(440)는 극소형으로 컴퓨터 또는 휴대용 전자통신기기(PDA 단말기, 휴대폰 등) 등에 쉽게 내장이 가능한 마이컴(MICOM) , CPU 또는 전용 칩셋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40)에서는 반작용힘(Fout)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충분히 전달될 정도로 액추에이터(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제어신호의 발생에 필요한 정보가 제어부(440) 내에 함수나 룩업테이블로 미리 내장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220)는 터치스크린(21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고, 소정의 진동이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구동(회전, 선형, 병진운동 등)된다. 즉, 본 발명에서 터치스크린상에서 포인팅 오브젝트(1)의 조작으로 다른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하여 소정의 진동(예를 들어, 작용힘(Fin)의 속성이 반영되고 이와 비례하는 반작용힘(Fout)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향(예를 들어, "딸깍" 하는 소리)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220)로는 압전 액추에이터, 보이스 코일(voice coil) 액추에이터, 고분자 액추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액추에이터의 특성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 풀브라우징을 위한 터치스크린장치의 구동방법>
이하에서는 도 4의 터치스크린장치의 설치흐름도를 참고하여, 터치스크린장치의 기본적인 구동방법을 간단히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용힘(Fin)을 인가하면, 신호선이 형성된 촉각센서(230)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촉각센서(230)에서 발생한 소정의 신호는 작용힘(Fin)의 강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나타난다.
촉각센서(230)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440)로 인가되기 전에 촉각센서(230)에서 발생된 작용힘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릴레이 멀티플렉서(420 :Relay multiplexer) 및 멀티플렉서(420)의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기(430)를 거쳐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증폭기(430)는 아날로그 증폭기, 디지털 증폭기, 전압 증폭기 등 다양한 종류의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촉각센서(230)에서 발생된 신호 중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부(미도시: 예를 들어, 밴드패스필터, 로우패스필터 등)를 더 부가함이 바람직하다.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반작용힘의 구현시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디지털 증폭기는 전력의 소모가 작고, 크기가 작으므로 컴퓨터, 휴대용 전자제품 등에 쉽게 내장할 수 있으며, 하나의 주문형 반도체(ASIC)로 제작이 가능해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에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미도시: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또는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더 부가함이 바람직하다.
작용힘(Fin)의 속성정보(예를 들어, 위치, 강도 등)에 기초하고, 제어부(440)에서 처리된 제어신호는 액추에이터(220)로 인가되고, 액추에이터(220)는 선형, 병진 또는 회전운동 등을 하여 소정의 진동(예를 들어, 작용힘(Fin)의 속성이 반영되고 이와 비례하는 반작용힘(Fout) 등)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전달한 다.
도 5a 및 도 5b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가 휴대폰 단말기에 장착되어 풀브라우징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웹사이트의 화면제어수단으로 확대(303), 축소(301), 화면이동(302)을 결정하는 화면제어수단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 1 실시예로서 확대(303), 축소(301), 화면이동(302)을 결정하는 화면제어수단이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버튼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제 2 실시예로서 확대(303), 축소(301), 화면이동(302)을 결정하는 화면제어수단이 터치스크린의 외부에 기계적 버튼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은 크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S30)와;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촉각센서(230)로부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S35); 및 인식된 위치정보,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모드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화면의 이동 또는 클릭 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결정단계(S4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준힘설정단계(S10) 및 웹사이트 접속단계(S20)가 더 부가된 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터치스크린장치에 기준힘을 설정하는 단계(S10)를 살펴본다. 웹사이트 화면을 확대, 축소 및 이동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별도의 환경설정모드에서 기준힘(Fs)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장치의 환경설정모드중 기준힘 설정모드에서 소정 크기의 작용힘(Fin)을 인가한다. 이때 인가된 작용힘(Fin)에 의해 촉각센서(230)에서는 그 강도에 비례한 신호가 출력되고, 그 출력신호는 기준힘(Fs)으로 터치스크린장치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터치스크린장치에 인가되는 작용힘의 세기가 다르므로 기준힘(Fs)은 사용자별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준힘을 설정하는 단계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화면의 확대, 축소 및 이동에 대한 설명의 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준힘(Fs)의 크기를 1 N으로 하여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터치스크린장치에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장치에 자신이 원하는 웹사이트 주소(URL)를 입력하고, 이는 터치스크린장치의 키패드화면에 포인팅 오브젝트로 작용힘(Fin)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터치스크린장치에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또는 "즐겨찾기"로 입력하는 방식)과 입력된 웹사이트로의 접속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터치스크린장치 상에서 표시될 콘텐츠가 웹페이지가 아니라 문서 파일이라면 접속단 계(S20)는 생략되고, 문서파일의 파일열기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웹사이트의 화면을 원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S30, S40)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화면결정단계(S4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힘(Fs)과 작용힘의 크기를 비교하고(S43),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또는 화면의 이동 및 클릭여부를 결정(S44)하는 방식이다.
먼저, 화면의 확대를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제어수단중 확대(303)를 선택하여 터치스크린장치를 확대모드로 설정한다(S30). 이 후 웹 사이트의 화면상에서 확대를 원하는 위치에 포인팅 오브젝트(1)로 작용힘(Fin)을 인가한다.
그러면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을 중심으로 촉각센서(230)가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촉각센서(230)의 검출신호중 가장 큰 출력값 또는 평균값을 작용힘(Fin)으로 지정할 수 있다(S35). 그리고,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의 위치값(예를 들어, x, y 좌표값)은 터치스크린장치로부터 기본적으로 출력될 수 있거나 촉각센서(230)의 힘 분포를 통해서 구할 수 있다. 그 다음,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은 터치스크린(210)의 중심으로 이동한 뒤 확대된다(S40). 이때, 사용자가 인가한 작용힘(Fin)이 2 N이라면 확대되는 비율은 그 절대값에 비례하여 2배가 될 것이고, 4 N이라면 확대되는 비율은 4배가 될 것이다. 즉, 화면의 확대비율을 결정하는 파 라미터는 사용자가 인가한 작용힘(Fin)의 크기이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제어수단중 확대(303)를 선택하여 확대모드를 설정(S30)한 후, 웹사이트 화면 중 확대를 원하는 위치를 다시 2N의 힘으로 클릭하면 클릭된 곳을 중심으로 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으로 이동한 뒤 2배로 확대되는 방식(S4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제어수단중 확대(303)에 포인팅 오브젝트(1: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로 소정의 작용힘을 계속 인가하면서, 다른 포인팅 오브젝트(1': 예를 들어 검지손가락)로 확대를 원하는 위치에 2N의 작용힘을 인가하면 그곳이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2배로 확대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확대비율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작용힘(Fin)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결정할 수도 있고, 작용힘(Fin)과 기준힘(Fs)을 비교(예를 들어, 뺄셈 또는 나눗셈)하여 그 차이에 비례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특히, 화면제어수단중 확대(303)를 클릭할 때 인가하는 작용힘(Fin)과 기준힘(Fs)을 비교(예를 들어, 뺄셈 또는 나눗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화면의 축소를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용자는 화면제어수단중 축소(301)를 선택하여 터치스크린장치를 축소모드로 설정한다(S30). 이 후 축소를 원하는 웹 사이트의 화면 위치에 포인팅 오브젝트(1)로 작용힘(Fin)을 인가한다. 이 때, 작용힘(Fin)의 위치판단과 크기 판단은 앞서 설명한 화면 확대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갈음하도록 한다.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은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한 뒤 소정의 표시비율로 화면이 축소된다(S40). 이때, 사용자가 인가한 작용힘(Fin)이 2N이라면 축소되는 비율은 그 절대값에 비례하여 2배가 될 것이고, 4N이라면 축소되는 비율은 4배가 될 것이다.
화면의 축소를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역시, 확대를 결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화면제어수단중 축소(301)을 클릭하여 축소모드를 설정(S30)한 후, 축소를 원하는 위치를 다시 2N의 힘으로 클릭하면 그곳의 화면이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2배 축소되는 방식(S4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제어수단중 축소(301)에 포인팅 오브젝트(1: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로 소정의 작용힘을 계속 인가하면서, 다른 포인팅 오브젝트(1': 예를 들어 검지손가락)로 축소를 원하는 위치에 2N의 작용힘을 인가하면 그곳의 화면이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2배로 축소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축소비율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작용힘(Fin)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결정할 수도 있고, 작용힘(Fin)과 기준힘(Fs)을 비교(예를 들어, 뺄셈 또는 나눗셈)하여 그 차이에 비례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특히, 화면제어수단중 축소(301)를 클릭할 때 인가하는 작용힘(Fin)과 기준힘(Fs)을 비교(예를 들어, 뺄셈 또는 나눗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의 이동을 결정하는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화면의 이동은 광의의 개념으로서, 작용힘의 인가 궤적에 따라 화면이 상하좌우로 이동하며 표시되는 경우(협의의 화면의 이동:스크롤)와 클릭 이벤트 발생 에 따라 하이퍼링크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의의 개념으로 화면의 이동을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화면제어수단중 이동(302)을 선택하여 터치스크린장치를 화면이동모드로 설정한다(S30).
이하, 작용힘의 인가 궤적에 따라 화면이 상하좌우로 이동하며 표시되는 경우(스크롤)에 대하여 살펴본다. 터치스크린장치의 화면이동모드의 설정상태(S30)에서 사용자가 작용힘(Fin)을 인가하면서 터치스크린 표면에서 포인팅 오브젝트(1)로 드래그하는 경우, 이때의 작용힘(Fin)이 기준힘(Fs) 미만의 크기를 갖는다면 드래그하는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게 된다(S40). 또는 포인팅 오브젝트(1)가 눌려진 지점을 터치스크린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 등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 할 수 있다.
이하, 클릭 이벤트 발생에 따라 하이퍼링크(HTML)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터치스크린장치의 화면이동모드의 설정상태(S30)에서 사용자가 기준힘(Fs)이상의 작용힘(Fin)을 인가하면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과 하이퍼링크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여 해당 사이트의 활성화된 웹페이지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S40).
즉, 작용힘(Fin)이 기준힘(Fs) 미만인 경우에는 협의의 개념으로서 화면 이동(스크롤)이 실행되고(S41), 작용힘(Fin)이 기준힘(Fs) 이상인 경우 하이퍼링크로 지정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여 활성화된 화면이 전환 표시된다(S42).
이때(S42) 사용자에게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하여 소정의 효과음 또는 진동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단계가 더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의 일례로는 사용자가 인가한 작용힘(Fin)의 속성이 반영되고 이와 비례하는 반작용힘(Fin)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촉각센서(230)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에는 진동을 구현하기 위한 액추에이터(220)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440)가 더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동은 도 4를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클릭 느낌을 주기 위한 소정의 진동은 휴대폰에 구비된 공지의 진동모터나 바이브레이터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a는 터치스크린상의 바탕화면(310)에 웹사이트 활성창(312,314)이 복수개 띄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터치스크린상에 활성창(316)과 비활성창(218)이 화면상에 나타난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의 환경과 동일하게 구현함이 사용자의 조작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기록매체>
앞서 설명한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는, 사용자가 기준힘(Fs)을 설정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촉각센서(230)로부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게 하는 프 로그램 코드; 및 인식된 위치정보,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화면의 이동 또는 클릭 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매체는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1)를 사용하여 위치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며,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이 인가되고, 인가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210)과; 터치스크린(210)의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촉각센서(230);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다.
< 변형예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축소(301)와 확대(303)를 하나의 화면제어수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축소(301)와 확대(303)를 하나의 줌(미도시) 버튼으로 표시하고, 기준힘(Fs) 미만에서는 앞서 설명한 축소 표시단계가 수행되고, 기준힘(Fs) 이상에서는 앞서 설명한 확대 표시단계가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축소 표시비율과 확대 표시비율은 작용힘과 기준힘(Fs)과의 차이에 따라 정할 수 있다.
그 밖의 또 다른 실시예로,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은 터치스크린장치가 휴대폰 단말기에서뿐만 아니라, 포켓용 또는 사용자 가 한 손으로도 사용가능한 개인 휴대장치(예를 들어,PDA, PMP)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의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표시방법은 웹사이트 화면을 확대, 축소 또는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웹사이트 화면 이외에도 전자북을 읽거나, 문서를 읽는 경우 등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 소정의 효과음 또는 소정의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는 화면의 확대모드 또는 축소모드에도 포함되어, 사용자도 자신이 인가한 작용힘(Fin)에 따른 반작용힘(Fin)의 크기를 느껴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의 크기를 짐작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터치스크린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가 휴대폰 단말기에 장착된 정면도,
도 3은 촉각센서의 측면도,
도 4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설치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휴대폰 단말기에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가 장착된 상태로 화면의 확대, 축소 및 이동을 결정하는 제어수단의 배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의 흐름도,
도 7은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이 확대되는 상태도,
도 8a는 터치스크린상에 활성창이 복수개 띄워진 상태도,
도 8b는 터치스크린상에 활성창과 비활성창이 화면상에 나타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터치스크린
220: 액추에이터
230: 촉각센서
300: 휴대폰 단말기
301: 화면제어수단중 축소
302: 화면제어수단중 이동(광의의 이동)
303: 화면제어수단중 확대
310: 바탕화면
312,314,316: 활성창
318: 비활성창

Claims (11)

  1.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1)를 사용하여 위치명령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포인팅 오브젝트(1)의 작용힘(Fin)이 인가되며, 인가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매체인 터치스크린(210)과; 상기 터치스크린(210)의 하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작용힘(Fin)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촉각센서(230);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기준힘(Fs)을 설정하는 기준힘 설정단계(S10);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제어수단중 확대(303), 축소(301) 및 이동(302)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에 나타난 화면의 확대모드, 축소모드 및 화면이동모드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S30);
    상기 작용힘(Fin)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촉각센서(230)로부터 상기 작용힘(Fin)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S35);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용힘(Fin)이 인가된 지점의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인식된 위치정보, 상기 감지된 작용힘(Fin)의 크기 및 상기 모드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상기 화면의 이동 또는 클릭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결정단계(S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단계(S30)에서 화면의 확대모드 또는 축소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화면결정단계(S40)에서 화면의 확대비율 또는 축소비율은 상기 작용힘(Fin)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결정단계(S40)는,
    상기 작용힘(Fin)의 크기와 설정된 상기 기준힘(Fs)의 크기를 뺄셈하거나 나눗셈하여 비교하는 단계(S43); 및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확대 비율, 축소 비율, 상기 화면의 이동 또는 클릭이벤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단계(S30)에서 화면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화면결정단계(S40)는,
    상기 작용힘(Fin)의 크기가 상기 기준힘(Fs)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의 화면이 상기 작용힘(Fin)의 인가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표시되는 단계(S41)와;
    상기 작용힘(Fin)의 크기가 상기 기준힘(Fs)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작용힘(Fin)이 작용하는 위치의 클릭 이벤트 발생에 따라 하이퍼링크된 지정된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단계(S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이동표시단계(S42)는,
    하이퍼링크로 이동시 소정의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소정의 진동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22136A 2008-03-10 2008-03-10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KR10095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36A KR100952699B1 (ko) 2008-03-10 2008-03-10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JP2008174045A JP2009217801A (ja) 2008-03-10 2008-07-03 触覚センサーを用いた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のフルブラウジング表示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US12/191,087 US20090228791A1 (en) 2008-03-10 2008-08-13 Full-browsing display method of touch screen apparatus using tactile sensor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36A KR100952699B1 (ko) 2008-03-10 2008-03-10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98A KR20090096998A (ko) 2009-09-15
KR100952699B1 true KR100952699B1 (ko) 2010-04-13

Family

ID=4105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36A KR100952699B1 (ko) 2008-03-10 2008-03-10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28791A1 (ko)
JP (1) JP2009217801A (ko)
KR (1) KR100952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8879B2 (en) 2000-07-06 2006-12-12 At&T Corp. Bioacoustic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289199B2 (en) * 2008-09-29 2019-05-14 Apple Inc. Haptic feedback system
KR101357751B1 (ko) 2008-12-22 2014-02-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입력장치
JP4633166B2 (ja) * 2008-12-22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4633184B1 (ja) 2009-07-29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4633183B1 (ja) * 2009-07-29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8605053B2 (en) * 2009-12-02 2013-12-10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user input
KR101067077B1 (ko) * 2010-07-01 2011-09-2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장치 및 이에 의한 표면질감 제공방법
JP5598232B2 (ja) * 2010-10-04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2203778B (zh) * 2011-04-20 2014-03-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摸屏上网页的调整方法和调整系统
EP2562628A1 (en) * 2011-08-26 2013-02-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 scale alte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US9501098B2 (en) * 2011-09-19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EP2766796A4 (en) * 2011-10-13 2015-07-01 Autodesk Inc Approaching MULTITOUCH TABLETOP
US8908894B2 (en) 2011-12-01 2014-12-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ata through a human body
US9257098B2 (en) * 2011-12-23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econd content in response to user inputs
US9530272B2 (en) 2012-02-22 2016-12-27 Zotobi Manage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activities
JP2013206180A (ja) * 2012-03-28 2013-10-07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US9851893B2 (en) * 2012-04-17 2017-12-26 Zotobi Manage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a user
WO2013169262A1 (en) 2012-05-11 2013-11-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Input error remediation
WO2014018121A1 (en) 2012-07-26 2014-01-30 Changello Enterprise Llc Fingerprint-assisted force estimation
WO2014018116A1 (en) 2012-07-26 2014-01-30 Changello Enterprise Llc Ultrasound-based force sensing and touch sensing
WO2014018115A1 (en) 2012-07-26 2014-01-30 Changello Enterprise Llc Ultrasound-based force sensing of inputs
WO2014035479A2 (en) * 2012-08-30 2014-03-06 Changello Enterprise Llc Auto-baseline determination for force sensing
EP2989582A4 (en) * 2013-04-24 2017-04-05 Hewlett-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isplacement signatures
WO2014194192A1 (en) 2013-05-30 2014-12-04 David Andrews Multi-dimensional trackpad
US9898087B2 (en) 2013-10-08 2018-02-20 Tk Holdings Inc. Force-based touch interface with integrated multi-sensory feedback
US10108984B2 (en) 2013-10-29 2018-10-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cting body language via bone conduction
US9594433B2 (en) 2013-11-05 2017-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sture-based controls via bone conduction
US10678322B2 (en) * 2013-11-18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ssure sensing via bone conduction
US9349280B2 (en) 2013-11-18 2016-05-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rupting bone conduction signals
US9715774B2 (en) 2013-11-19 2017-07-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henticating a user on behalf of another user based upon a unique body signature determined through bone conduction signals
US9405892B2 (en) 2013-11-26 2016-08-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venting spoofing attacks for bone conduction applications
US9589482B2 (en) 2014-09-10 2017-03-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one conduction tags
US10045732B2 (en) 2014-09-10 2018-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asuring muscle exertion using bone conduction
US9882992B2 (en) 2014-09-10 2018-01-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ata session handoff using bone conduction
US9582071B2 (en) 2014-09-10 2017-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 hold determination using bone conduction
US10466826B2 (en) 2014-10-08 2019-11-0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track pad system
US9600079B2 (en) 2014-10-15 2017-03-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urface determination via bone conduction
KR101659534B1 (ko) * 2015-01-09 2016-09-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상태 표시 화면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831316B2 (en) 2018-07-26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urface interface
WO2021138077A1 (en) 2019-12-30 2021-07-08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waveform interrup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923A (ja) * 1992-06-15 1993-12-27 Nippon Signal Co Ltd:The 表示・入力装置
JP2008016053A (ja) * 2007-08-29 2008-01-24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9695B1 (en) * 1999-01-28 2002-10-22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een touch ahead capability
CA2398798A1 (en) * 2001-08-28 2003-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ity for an lcd touchscreen
CN1582465B (zh) * 2001-11-01 2013-07-24 伊梅森公司 输入设备以及包含该输入设备的移动电话
US6888537B2 (en) * 2002-02-13 2005-05-03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Configurable industrial input devices that use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omer
JP4869568B2 (ja) * 2004-06-14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US9785329B2 (en) * 2005-05-23 2017-10-10 Nokia Technologies Oy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JP4876699B2 (ja) * 2006-04-28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923A (ja) * 1992-06-15 1993-12-27 Nippon Signal Co Ltd:The 表示・入力装置
JP2008016053A (ja) * 2007-08-29 2008-01-24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98A (ko) 2009-09-15
JP2009217801A (ja) 2009-09-24
US20090228791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99B1 (ko)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의 풀브라우징 표시방법
US10817062B2 (en)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JP46052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35267B2 (en)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JP5260506B2 (ja) タッチパッド上における挙動を認識してスクロール機能を制御し既定の場所でのタッチダウンによってスクロールを活性化する方法
KR101032632B1 (ko) 작용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US8378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uch-sensitive display
KR101769002B1 (ko) 동적 햅틱 효과를 가지는 멀티 터치 장치
JP5808404B2 (ja) 電子機器
CN105116971B (zh) 基于使用历史的gui布局的定制
KR1018737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70263014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in electronic devices
JP2011528826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キーシミュレーションに対する触覚フィードバック
JP2005509940A (ja) 拡張されたキーボード
US2012016964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8201027A1 (en)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Schwesig et al. Gummi: user interface for deformable computers
AU2012101005B4 (en)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KR100858014B1 (ko) 복합 커서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