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77B1 - 열처리로 - Google Patents

열처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77B1
KR100952377B1 KR1020070137652A KR20070137652A KR100952377B1 KR 100952377 B1 KR100952377 B1 KR 100952377B1 KR 1020070137652 A KR1020070137652 A KR 1020070137652A KR 20070137652 A KR20070137652 A KR 20070137652A KR 100952377 B1 KR100952377 B1 KR 10095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orkpiece
hook
lifting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844A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이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욱 filed Critical 이동욱
Priority to KR102007013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2Roll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25Supports; Baskets; Containe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조탱크 내에서 작업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또 다른 작업물을 가열로 내로 장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작업물을 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처리로는, 일측면과 후방면 하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냉각유가 충진되는 유조탱크; 및 상기 유조탱크의 돌출부의 상부면 후방부에 하부면 전방부가 적층되며 하부면 후방부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면은 상기 유조탱크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조탱크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가열로; 및 상기 유조탱크와 가열로에 작업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조탱크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작업물 이송 장치;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70137652
열처리로, 유조탱크, 가열로, 작업물 승강기, 냉각유, 교반기, 작업물 이송장치

Description

열처리로{Furnace}
본 발명은 열처리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조탱크 내에서 작업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또 다른 작업물을 가열로 내로 장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작업물을 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배경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열처리로는 작업물을 가열시키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에 의해 가열된 작업물을 냉각시키는 유조탱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처리로는 작업물을 가열로에 장입하여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작업물을 유조탱크로 이동시켜 유조탱크 내의 냉각유에 침지하여 냉각시키는 과정을 거쳐 작업물을 열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처리로는 가열로에 의해 가열된 작업물이 냉각유에 침지된 상태에서는 가열로 내에 다른 작업물을 장입할 수 없으므로 한 번의 공정으로 하나의 작업물만을 열처리할 수밖에 없으므로 작업효율이 대폭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열처리로의 가열로는 상기 유조탱크의 후방면과 전방면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조탱크의 전방면에는 주 게이트가 설치되며, 후방면에는 보조 게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유조탱크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작업물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주 게이트와 보조 게이트를 통해 작업물이 장입되거나 장출될 시에 주 게이트와 보조 게이트를 전부 개방시켜야 함으로써 상기 주 게이트와 보조 게이트를 통해 대량의 외부의 공기가 열처리로 내부로 유입되어 열처리로가 폭발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주 게이트와 보조 게이트 하단부에 모두 커튼 버너를 설치해야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작업물을 열처리할 시에 한 쌍의 커튼 버너가 각각 2회씩 가동해야 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 유지비용이 대폭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유조탱크 내에는 상기 가열로로부터 이송된 작업물을 유조탱크 내부에 충진된 냉각유에 침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업물을 승강시키는 작업물 승강기가 설치되며, 상기 유조탱크 상부면에는 하단부가 상기 유조탱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업물 승강기와 연결되도록 작업물 승강장치가 설치됨으로써 그 높이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주 게이트 전방부에 별도의 작업물 취부대가 설치됨으로써 그 길이 또한 매우 길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냉각유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가 유조탱크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히터를 유지보수나 교환 시 상기 히터를 상기 유조탱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열처리로를 설치해야 함으로 써 매우 넓고 높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여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공장 임대료 등과 같은 유지비용이 대폭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물 승강장치의 일부가 상기 유조탱크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고온으로 가열된 작업물의 냉각시 발생되는 열과 냉각유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작동되는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가 가열됨으로써 오 작동발생률 및 고장발생률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장치가 고장 나게 될 경우에는 협소한 유조탱크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상기 승강 장치를 유지 보수해야 함으로써 가열로가 작동 중일 경에는 승강 장치를 보수할 수 없으므로 승강 장치의 유지 보수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유조탱크의 하부면 일측에는 교반기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가 작동됨에 따라 냉각유가 순환되어 작업물에 공급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교반기 자체가 유조탱크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유조탱크 일측에 위치한 냉각유만 부분적으로 순환되어 작업물에 공급됨으로써 작업물의 냉각효율이 저하되어 냉각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가열로는 780℃ 내지 950℃ 내외로 작업물을 가열을 하게 되므로, 가열된 작업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를 60℃ 내지 150℃ 내외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열처리로는 가열로의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히터에만 의존하여 냉각유를 가열시키므로 유지비가 매우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열처리로는 그 내부에서 작업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 업물 이송장치를 각각의 열처리로마다 별도로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공장 내에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열처리로의 특성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물을 각각의 열처리로에 운반할 수 있는 장비 또한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열처리로의 제작비용이 대폭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조탱크 내에서 작업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또 다른 작업물을 가열로 내로 장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작업물을 열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물의 가열시 가열로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유조탱크 내에 충진된 냉각유를 가열시킬 수 있으며, 커튼 버너의 설치 개수와 작동횟수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반기에 의해 냉각유가 고르게 순환되어 작업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열처리로에 비해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승강장치의 고장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한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처리로의 제작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과 후방면 하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냉각유가 충진되는 유조탱크; 및 상기 유조탱크의 돌출부의 상부면 후방부에 하부면 전방부가 적층되며 하부면 후방부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면은 상기 유조탱크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통되 도록 상기 유조탱크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가열로; 및 상기 유조탱크와 가열로에 작업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조탱크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작업물 이송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로는, 작업물 승강기가 하강하여 유조탱크 내에서 작업물이 냉각됨과 동시에 상기 작업물 승강기 상부면에 설치된 작업물 이송롤러를 통해 가열로 내로 또 다른 작업물을 장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작업물을 열처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로의 하부면 전방부가 유조실의 돌출부 상부면 후방부에 지지되어 가열로의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이 유조실에 전달되어 유조실 내의 냉각유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 히터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트레이 푸시 블록과, 트레이 견인 후크가 출입할 수 있는 상하 이동판이 슬라이딩 체결된 후크 출입구가 주 게이트에 구비되어 트레이 푸시 블록과 트레이 견인 후크가 열처리로 내부로 출입할 시에 주 게이트 전체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되어 커튼 버너를 주 게이트 하부 한 개소에만 설치하면 됨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 버너의 작동횟수를 줄일 수 있어 커튼 버너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유 순환통로의 일측 끝단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을 일정간격 이격 되도록 설치하여 교반기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유가 골고루 분산되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물의 냉각효율을 상승시켜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물 승강기, 주 게이트, 보조 게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가 유조탱크 일측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열처리로의 높이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으며, 히터가 유조실의 돌출부 상부면에 설치되어 히터의 교환이나 유지 보수 시 유조실로부터 상기 히터를 돌출부의 상부 방향으로 제거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가열로 사이에 히터를 제거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종래의 가열로에 비해 대폭 저감시켜 공장임대료 등과 같은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치가 열처리로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유조탱크 내부의 온도상승에 따른 승강장치의 오작동 발생률 및 고장발생률이 대폭 저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을 유조탱크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조탱크 및 가열로 내부에 장입된 작업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유조탱크 및 가열로 내부에 설치할 필요 없이 유조탱크 전방에 설치된 작업물 이송장치 하나만을 사용하여 공장 내에 설치된 전체 유조탱크 및 가열로 내부에 장입된 작업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리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리로의 유조탱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주 게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와 주 게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보조 게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를 설면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A"의 측면 상세도이고, 도 6은 작업물 이송장치의 내부 구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작업물 이송장치의 내부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리로(1)는 유조탱크(10)와 가열로(11) 및 작업물 이송 장치(1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처리로(1)의 유조탱크(10)는, 그 일측면과 후방면 하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100a)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냉각유가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유조탱크(10)는, 유조실(100), 냉각유 순환통로(101), 교반기(102), 승강부스(103), 가이드 레일(104), 작업물 승강기(105) 및 다수개의 승강장치(106)(107)(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조탱크(10)의 유조실(100)은, 그 내부면에 냉각유가 충진되며, 일측면과 후방면이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100a)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00a)의 상부면 일측 끝단에는 상기 냉각유를 가열하는 히터(109) 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유 순환통로(101)는, 상기 유조실(100)의 하부면 양측에 설치되며, 일측 끝단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101a)을 구비한다.
상기 교반기(102)는, 상기 냉각유 순환통로(101)의 타측 상단부에 임펠러(102a)가 삽입되도록 상기 유조실(100)의 상부면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스(103)는, 상기 유조실(100)의 상부면 전방부 타측에 상기 유조실(1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에는 주 게이트(103a)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스(103)의 후방면에는 보조 게이트(103b)가 되며,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일측에는 완충구(103d)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구(103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스(103)와 연통되도록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되며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홀(1030d')이 천공된 연통(1030d)과, 상기 연통(1030d)의 상부 끝단에 스폿용접에 의해 다수의 지점이 용접되어 부착되는 상판(1031d)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완충구(103d)의 상판(1031d)은 연통(1030d)의 상부 끝단에 다수의 지점이 용접되어 부착됨으로써 열처리로(1) 내에서 폭발이 발생될 시에 상기 연통(1030d)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열처리로(1) 내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폭발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 게이트(103a)의 하단부 중앙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출입구(103a')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 출입구(103a')에는 상하 이동판(113)이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주 게이트(103a)의 양측단 중앙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114a)을 구비하는 완충판(114)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 양측에는 상기 주 게이트(103a)가 하강할 시에 상기 완충판(114)의 경사면(114a)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5)가 더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은 완충판(114)은 경사면(114a)이 구비되어 상기 완충판(114)의 경사면(114a)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5)와 주 게이트(103a) 사이에 공간부(114b)가 형성되도록 하여 열처리로(1) 내에서 폭발이 발생되었을 시에 발생되는 폭발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크 출입구(103a')의 전방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버너(116)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4)은,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의 양측 내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는,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양측면 양측 끝단부 상,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04)과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105a)가 장착되어 작업물을 탑재한 후 상기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승강하여 유조실(100) 또는 승강부스(103)로 작업물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는 그 상, 하부면 양측에 다수개의 작업물 이송롤러(105b)(105c)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승강장치(106)(107)(108)는,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의 타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며, 일측 끝 단부는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킨다.
상기 가열로(11)는, 상기 유조탱크(10)의 돌출부(100a)의 상부면 후방부에 하부면 전방부가 적층되며, 하부면 후방부는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열로(11)의 전방면은 상기 유조탱크(10)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조탱크(1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작업물(도시되지 않음)의 가열시 가열로(11)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유조탱크(10) 내부에 충진된 냉각유를 예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열로(11)는, 그 내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부면에 다수개의 히터(1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그 상부면 중앙부에는 임펠러(111a)가 그 내부 상단에 위치하도록 교반기(111)가 설치되며, 하부면 양측에는 작업물 이송롤러(112)가 장착된다.
상기 작업물 이송 장치(13)는 상기 유조탱크(10)와 가열로(11)에 작업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조탱크(10)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물 이송장치(1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130), 롤러 구동 모터(131), 작업물 이송롤러(132), 체인 이동통로(133), 후크 이동 체인(134), 트레이 푸시 블록(135), 트레이 견인 후크(136), 회전축(137),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 및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작업물 이송장치(13)의 이동대차(130)는, 상기 유조탱 크(10) 전방부에 위치한 지면(2)에 형성된 롤러 삽입 홈(20)에 상부면이 상기 지면(2)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가이드 레일(21)에 탑재되는 가이드 롤러(130a)가 하부면 전방에 설치되고, 하부면 후방에는 지면(2)과 접촉되는 구동롤러(130b)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레일(21)을 그 상부면이 지면(2)과 수평이 되도록 롤러 삽입 홈(20)에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1)이 지면(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물 이송장치(13)가 아닌 다른 장비들을 이동시킬 시에 가이드 레일(21)이 다른 장비들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이동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 구동 모터(131)는, 상기 이동대차(130)의 하부면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130b)와 연결된다.
상기 작업물 이송롤러(132)는, 상기 이동대차(130)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는, 상기 이동대차(130)의 중앙부 상단에서 하단부까지 'S'자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후크 이동 체인(134)은,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 푸시 블록(135)는,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의 외부로 상단부가 돌출 되도록 상기 후크 이동 체인(134)의 상부 끝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 견인 후크(136)는, 상기 트레이 푸시 블록(135) 상단부에 일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37)은, 상기 이동대차(130)의 중앙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판(130c)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지지블록(130d)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은,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0c)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37)의 중앙부에 축설되어 상기 후크이동 체인(134)과 연결되어 상기 후크 이동 체인(134)을 이동시킨다.
상기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는, 상기 이동대차(130)의 하부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7)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대차(130)의 전방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137)의 타측 끝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프라켓 구동모터(139)와 연결되는 이동거리 감지 수단(1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 감지 수단(140)은, 상기 이동대차(130)의 전방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켓 구동모터(139)와 연결되는 제어부(140a)와, 상기 제어부(140a)의 일측면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지지되는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과, 상기 제어부(140a)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140c) 및 상기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회전축(137)의 타측 끝단부와 체인(140d)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40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 트(103a),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106)(107)(108)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작업물 승강기(105)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6)는,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타측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이동 실린더(106a)와, 상기 승강부스(103)의 타측면 상단부 중앙에 일측 끝단부가 지지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3c)의 중앙부에 지지되는 회전축(106b)과, 상기 회전축(106b)의 타측 끝단부에 축설되며,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6a)의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와 체인(106c)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06d)과, 상기 회전축(106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작업물 승강기(105)의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 끝단이 연결된 와이어(106e)를 권취하는 쉬브(106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주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게이트(103a)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7)는,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타측면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이동 실린더(107a)와, 상기 승강부스(103)의 타측면 상단부 전방에 일측 끝단부가 지지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3c)의 전방부에 지지되는 회전축(107b)과, 상기 회전축(107b)의 타측 끝단부 에 축설되며,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7a)의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와 체인(107c)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07d)과, 상기 회전축(107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상기 주 게이트(103a)의 상단부 중앙과 하부 끝단이 연결되는 와이어(107e)를 권취하는 쉬브(107f)와, 상기 쉬브(107f)의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전방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쉬브(107f)에 권취되는 와이어(107e)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07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보조 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108)는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6)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타측면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이동 실린더(108a)와, 상기 승강부스(103)의 타측면 상단부 후방에 일측 끝단부가 지지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3c)의 후방부에 지지되는 회전축(108b)과, 상기 회전축(108b)의 타측 끝단부에 축설되며,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8a)의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와 체인(108c)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08d)과, 상기 회전축(108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보조 게이트(103b)의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 끝단이 연결된 와이어(108e)를 권취하는 쉬브(108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 리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트레이 견인 후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7)(108)의 상하 이동 실린더(107a)(108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체인(107c)(108c)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상기와 같이 체인(107c)(108c)이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상기 체인(107c)(108c)과 연결된 스프라켓(107d)(108d)이 일측으로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라켓(107d)(108d)에 의해 회전축(107b)(108b)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쉬브(107f)(108d) 또한 상기 회전축(107b)(108b)과 연동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쉬브(107f)(108d)에 와이어(107e)(108e)가 권취되어 주 게이트(103a) 및 보조 게이트(103b)가 상승을 하게 되어 승강부스(103)의 전, 후방면에 형성된 작업물 투입구(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스(103)의 전, 후방면에 형성된 작업물 투입구를 개방시킨 후 작업물 이송장치(13)의 상부면에 작업물을 탑재한 후 상기 작업물 이송장치(13)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에 형성된 작업물 투입구를 통해 작업물을 유조탱크(10)의 승강부스(103) 내부로 유입한다.
즉, 상기 작업물 이송장치(13)의 작업물 이송롤러(132)의 상부에 작업물이 탑재된 트레이(3)를 올려놓은 다음, 롤러 구동 모터(131)를 작동시켜 구동 롤러(130b)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물 이송장치(13)를 가이드 레일(21)를 따라 주 게이트(103a)의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업물 이송장치(13) 를 이동시킨 다음,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작동시켜 회전축(137)을 회전시킴으로써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과 맞물린 후크 이동체인(134)이 화살표 A방향으로 체인 이동통로(133)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후크 이동체인(134)과 연동되어 트레이 푸시블록(135)과 트레이 견인 후크(136)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견인 후크(136)는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레이 푸시 블록(135)은 상기 트레이(3)의 후크 체결구(3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밀게 되어 상부면에 작업물이 탑재된 트레이(3)를 작업물 이송롤러(132)를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조 탱크(10)의 승강부스(103) 내부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작업물 승강기(10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조실(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작업물 투입구를 통해 유조탱크(10)의 승강부스(103) 내부로 유입되는 작업물은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의 상부면 양측에 장착된 작업물 이송롤러(105b)를 타고 유조탱크(10)의 승강부스(103)를 통과한 후 가열로(11) 내부의 작업물 이송롤러(112)를 타고 가열로(1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이동거리 감지수단(140)의 회전수 감지 센서(140c)는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37)과 체인(140d)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140b)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축(140b)이 세팅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되어 작업 물이 가열로의 중앙부까지 이동되면, 제어부(140a)에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 정지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어부(140a)에 의해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정지시킨 다음, 상기 제어부(140a)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작동시켜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열로(11) 내부로 유입된 후크이동 체인(134)의 일측단과 트레이 푸시블록(135) 및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원상복귀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로(11) 내부로 작업물이 유입된 다음에는, 상기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7)(108)의 상하 이동 실린더(107a)(108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를 A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여 작업물 투입구를 폐쇄시킨다.
즉,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7a)(108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를 A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가 자중에 의해 하강을 하게 되어 작업물 투입구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에 의해 와이어(107e)(108e)가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쉬브(107f)(108f)에 권취된 와이어(107e)(108e)가 풀리게 되며, 상기 와이어(107e)(108e)가 쉬브(107f)(108f)로부터 풀리게 됨에 따라 쉬브(107f)(108f)와 회전축(107b)(108b) 및 스프라켓(107d)(108d)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인(107c)(108c)이 상기 스프라켓(107d)(108d)에 감겨 화살표 A방향으로 상승되는 과정을 거쳐 주 게이트(103a)와 보조 게이트(103b)에 의해 승강부스(103) 전, 후방 면에 형성된 작업물 투입구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물 투입구를 폐쇄시킨 다음에는, 가열로(11)의 히터(110) 및 교반기(111)를 작동시켜 가열로(11) 내의 작업물을 가열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조탱크(10)의 유조실(100)에 설치된 히터(109)를 작동시켜 유조실(100) 내부에 충진된 냉각유를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로(11)의 하부면 전방부는 냉각유가 충진된 유조실(100)의 돌출부(100a)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열로(11)의 외부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유조실(100)로 전달되어 상기 유조실(100) 내의 냉각유를 상기 히터(109)와 함께 가열시키게 됨으로써 냉각유를 가열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물을 가열한 다음에는 작업물 승강기(105)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6)의 상하 이동 실린더(106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체인(106c)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상기와 같이 체인(106c)이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상기 체인(106c)과 연결된 스프라켓(106d)이 일측으로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라켓(106d)에 의해 회전축(106b)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쉬브(106f) 또한 상기 회전축(106b)과 연동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쉬브(106f)에 와이어(106e)가 권취되어 작업물 승강기(105)가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상승하여 승강부스(103)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물 승강기(105)를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상승시켜 승강 부스(103) 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는,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8)의 상하 이동 실린더(108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체인(108c)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다시 보조 게이트(103b)를 상승시켜 승강부스(103)의 후방면에 형성된 작업물 투입구(도시되지 않음)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조 게이트(103b)를 상승시킨 다음에는, 상하 이동판(113)을 상승시켜 후크 출입구(103a')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커튼 버너(116)를 작동시켜 상기 후크 출입구(103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열처리로(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열처리로(1)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갑자기 유입될 경우 열처리로(1)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커튼 버너(116)를 작동시켜 개방된 후크 출입구(103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연소시킴으로써 열처리로(1) 내부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후크 출입구(103a')를 개방시킨 다음에는, 트레이 견인후크(136)를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물이 탑재된 트레이(3)를 가열로(11)에 유입시킬 때와 동일하게 작업물 이송장치(13)를 작동시켜 상기 후크 이동체인(134)과 트레이 푸시블록(135) 및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 출입구(103a')를 통해 가열로(11)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후크 이동 체인(134)에 의해 트레이 푸시블록(135)과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가열로(11) 내로 유입되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견인 후크(136)의 선단이 트레이(3)의 후크 체결구(30)와 접하게 된 후, 상기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더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후크 체결구(130)의 상부면에 의해 밀려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더 이동을 시키게 되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자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트레이 견인 후크(136)의 선단이 후크 체결 홀(30a)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때에도 상기 가열로(11)에 작업물을 유입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수 감지센서(140c) 의해 회전축(140b)의 회전수가 감지되어 트레이 견인 후크(136)의 선단이 후크 체결 홀(30a)에 삽입되도록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이동된 후에는 제어부(140a)에 의해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정지시킨 다음, 상기 제어부(140a)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작동시켜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잡아당겨 상기 가열로(11) 내의 작업물을 작업물 승강기(105)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작업물은 가열로(1)의 하부면에 설치된 작업물 이송롤러(112)와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의 하부면에 설치된 작업물 이송롤러(105c)를 순차적으로 타고 이동하여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도 회전수 감지센서(140c)에 의해 회전축(140b)의 회전수가 감지되어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작업물이 탑재된 트레이(3)를 작업물 승강기(105)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후에는 제어부(140a)에 의해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정지시켜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정지시킨 후에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크 체결 홀(30a)과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분리시킨 다음에는, 제어부(140a)에 의해 다시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가 작동되어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유조 탱크(10)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원상복귀 시킨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 견인 후크(136)를 원상복귀 시킨 다음에는,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6)의 상하 이동 실린더(106a)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를 A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내부에 작업물이 탑재된 작업물 승강기(105)를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하강시켜 유조실(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물 승강기(105) 내부에 탑재된 작업물을 냉각유에 침지시킨다.
즉,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6a) 실린더 로드를 A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및 작업물의 자중에 의해 작업물 승강기(105)가 하강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에 의해 와이어(106e)가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쉬브(106f)에 권취된 와이어(106e)가 풀리게 되며, 상기 와이어(106e)가 쉬브(106f)로부터 풀리게 됨에 따라 쉬브(106f)와 회전축(106b) 및 스프라켓(106d)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인(106c)이 상기 스프라켓(106d)에 감겨 화살표 A방향으로 상승되는 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가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하강하여 작업물 승강기(105) 내에 탑재된 작업물을 냉각유에 침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업물 승강기(105)를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하강시켜 작업물 승강기(105)에 탑재된 작업물을 냉각유에 침지시킨 다음에는, 교반기(102)를 작동시켜 임펠러(102a)를 회전시킴으로써 냉각유 순환통로(101)를 통해 냉각유를 작업물이 위치한 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작업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 순환통로(101)의 일측 끝단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101a)은 교반기(102)가 작동됨에 따라 임펠러(102a)에 의해 냉각유 순환통로(101)를 통해 순환되는 냉각유가 상기 냉각유 순환통로(101)의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어 순환되도록 하여 작업물의 냉각효율을 대폭 상승시켜 작업물의 냉각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작업물을 냉각유에 의해 냉각시킬 시에는 작업물 승강기(105)가 하강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가열로(11)에 의해 가열된 작업물을 냉각유에 침지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로(11)에 작업물을 투입하는 과정을 거쳐 또 다른 작업물을 가열로(11) 내에 투입하여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작업물을 하나의 열처리로(1) 내에서 각각 가열과 냉각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작업물을 열처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로(11)의 하부면 전방부가 유조실(100)의 돌출부(100a) 상부면 후방부에 지지되어 가열로(11)의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이 유조실(100)에 전달되어 유조실(100) 내의 냉각유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 히터(109)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트레이 푸시 블록(135)과,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출입할 수 있는 상 하 이동판(113)이 슬라이딩 체결된 후크 출입구(103a')가 주 게이트(103a)에 구비되어 트레이 푸시 블록(135)과 트레이 견인 후크(136)가 열처리로(1) 내부로 출입할 시에 주 게이트(103a) 전체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되어 커튼 버너(116)를 주 게이트(103a) 하부 한 개소에만 설치하면 됨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 버너(116)의 작동횟수를 줄일 수 있어 커튼 버너(116)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유 순환통로(101)의 일측 끝단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01a)을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교반기(102)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유가 골고루 분산되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물의 냉각효율을 상승시켜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106)(107)(108)가 유조탱크(10) 일측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열처리로(1)의 높이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으며, 히터(109)가 유조실(100)의 돌출부(100a) 상부면에 설치되어 히터(109)의 교환이나 유지 보수 시 유조실(100)로부터 상기 히터(109)를 돌출부(100a)의 상부 방향으로 제거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열처리(1)로 사이에 히터(109)를 제거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종래의 가열로에 비해 대폭 저감시켜 공장임대료 등과 같은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치(106)(107)(108)가 열처리(1)로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유조탱크(10) 내부의 온도상승에 따른 승강장치(106)(107)(108)의 오작동 발생률 및 고장 발생률이 대폭 저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승강장치(106)(107)(108)의 유지보수 작업을 유조탱크(10)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조탱크(10) 및 가열로(11) 내부에 장입된 작업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유조탱크(10) 및 가열로(11) 내부에 설치할 필요 없이 유조탱크(11) 전방에 설치된 작업물 이송장치(13) 하나만을 사용하여 공장 내에 설치된 전체 유조탱크(10) 및 가열로(11) 내부에 장입된 작업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리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열처리로의 유조탱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주 게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와 주 게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보조 게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를 설면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의 측면 상세도.
도 6은 작업물 이송장치의 내부 구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작업물 이송장치의 내부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트레이 견인 후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처리로 (10) : 유조탱크
(11) : 가열로 (12) : 지지대
(13) : 작업물 이송장치 (100) : 유조실
(101) : 냉각유 순환통로 (102)(111) : 교반기
(103) : 승강부스 (104) : 가이드 레일
(105) : 작업물 승강기 (106)(107)(108) : 승강장치
(109)(110) : 히터 (130) : 이동대차
(131) : 롤러 구동모터 (132) : 작업물 이송롤러
(133) : 체인 이동통로 (134) : 후크 이동체인
(135) : 트레이 푸시 블록 (136) : 트레이 견인 후크
(137) : 회전축 (138) :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
(139) : 스프라켓 구동모터 (140) : 이동거리 감지수단

Claims (10)

  1. 일측면과 후방면 하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100a)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냉각유가 충진되는 유조탱크(10); 및
    상기 유조탱크(10)의 돌출부(100a)의 상부면 후방부에 하부면 전방부가 적층되며 하부면 후방부는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면은 상기 유조탱크(10)의 후방면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조탱크(1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가열로(11); 및
    상기 유조탱크(10)와 가열로(11)에 작업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조탱크(1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작업물 이송 장치(13);로 구성되되,
    상기 유조탱크(10)는,
    내부면에 냉각유가 충진되며, 일측면과 후방면이 일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돌출부(100a)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00a)의 상부면 일측 끝단에는 상기 냉각유를 가열하는 히터(109)가 설치되는 유조실(100);
    상기 유조실(100)의 하부면 양측에 설치되며, 일측 끝단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101a)을 구비하는 냉각유 순환통로(101);
    상기 냉각유 순환통로(101)의 타측 상단부에 임펠러(102a)가 삽입되도록 상기 유조실(100)의 상부면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교반기(102);
    상기 유조실(100)의 상부면 전방부 타측에 상기 유조실(1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전방면에는 주 게이트(103a)가 설치되고, 후방면에는 보조 게이트(103b)가 설치되고, 상부면 일측에는 완충구(103d)가 설치되는 승강부스(103);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의 양측 내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4);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양측면 양측 끝단부 상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04)과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105a)가 장착되어 작업물을 탑재한 후 상기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 승강하여 유조실(100) 또는 승강부스(103)로 작업물을 이동시키는 작업물 승강기(105); 및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의 타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며, 일측 끝단부는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를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 장치(106)(107)(10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 승강기(105)의 상, 하부면 양측에는 다수개의 작업물 이송롤러(105b)(105c)가 더 장착되는 열처리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게이트(103a)의 하단부 중앙에는 후크 출입구(103a')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 출입구(103a')에는 상하 이동판(113)이 슬라이딩 체결되고, 상기 주 게이트(103a)의 양측단 중앙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일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114a)을 구비하는 완충판(114)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 양측에는 상기 주 게이트(103a)가 하강할 시에 상기 완충판(114)의 경사면(114a)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5)가 더 설치되는 열처리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출입구(103a')의 전방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스(103)의 전방면에는 커튼 버너(116)가 더 설치되는 열처리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106)(107)(108)는,
    상기 유조실(100) 및 승강부스(103) 타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이동 실린더(106a)(107a)(108a);
    상기 승강부스(103)의 타측면 상단부에 일측 끝단부가 지지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3c)에 지지되는 회전축(106b)(107b)(108b);
    상기 회전축(106b)(107b)(108b)의 타측 끝단부에 축설되며, 상기 상하 이동 실린더(106a)(107a)(108a)의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와 체인(106c)(107c)(108c)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06d)(107d)(108d); 및
    상기 회전축(106b)(107b)(108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작업물 승강기(105), 주 게이트(103a), 보조 게이트(103b)의 상부면 중앙부에 하부 끝단이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106e)(107e)(108e)를 권취하는 쉬브(106f)(107f)(108f);를 포함하여 구성된 열처리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게이트(103a)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07)는, 상기 쉬브(107f)에 권취되는 와이어(107e)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쉬브(107f)의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스(103)의 상부면 전방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지지롤러(107g)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 이송장치(13)는,
    상기 유조탱크(10) 전방부에 위치한 지면(2)에 형성된 롤러 삽입 홈(20)에 상부면이 상기 지면(2)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가이드 레일(21)에 탑재되는 가이드 롤러(130a)가 하부면 전방에 설치되고, 하부면 후방에는 지면(2)과 접촉되는 구동롤러(130b)가 설치되는 이동대차(130);
    상기 이동대차(130)의 하부면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130b)와 연결되는 롤러 구동 모터(131);
    상기 이동대차(130)의 상부면 양측에 설치되는 작업물 이송롤러(132);
    상기 이동대차(130)의 중앙부 상단에서 하단부까지 'S'자 형태로 설치되는 체인 이동통로(133);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후크 이동 체인(134);
    상기 체인 이동통로(133)의 외부로 상단부가 돌출 되도록 상기 후크 이동 체인(134)의 상부 끝단부에 설치되는 트레이 푸시 블록(135);
    상기 트레이 푸시 블록(135) 상단부에 일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트레이 견인 후크(136);
    상기 이동대차(130)의 중앙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판(130c)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지지블록(130d)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회 전축(137);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0c)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37)의 중앙부에 축설되어 상기 후크이동 체인(134)과 연결되어 상기 후크 이동 체인(134)을 이동시키는 후크 이동용 스프라켓(138); 및
    상기 이동대차(130)의 하부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7)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는 스프라켓 구동 모터(139);를 포함하여 구성된 열처리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130)의 전방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137)의 타측 끝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프라켓 구동모터(139)와 연결되는 이동거리 감지 수단(14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감지 수단(140)은,
    상기 이동대차(130)의 전방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켓 구동모터(139)와 연결되는 제어부(140a);
    상기 제어부(140a)의 일측면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지지되는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
    상기 제어부(140a)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 감지센서(140c); 및
    상기 이동거리 감지용 회전축(140b)의 일측 끝단부에 축설되어 회전축(137)의 타측 끝단부와 체인(140d)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라켓(140e);을 포함하여 구성된 열처리로.
KR1020070137652A 2007-12-26 2007-12-26 열처리로 KR10095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52A KR100952377B1 (ko) 2007-12-26 2007-12-26 열처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52A KR100952377B1 (ko) 2007-12-26 2007-12-26 열처리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44A KR20090069844A (ko) 2009-07-01
KR100952377B1 true KR100952377B1 (ko) 2010-04-14

Family

ID=4132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652A KR100952377B1 (ko) 2007-12-26 2007-12-26 열처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783B1 (ko) * 2016-12-29 2018-11-29 정원기 진공 열처리 장치
KR102353899B1 (ko) * 2020-03-27 2022-01-20 (주)브이씨티이 다셀형 연속식 열처리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709A (ja) 1974-09-14 1976-03-23 Shimadzu Corp Jidonetsushorisochi
JPS6233716A (ja) 1985-08-06 1987-02-13 Kurosaki Rokougiyou Kk 被熱物の出入装置
JPS62235419A (ja) * 1986-04-04 1987-10-15 Yoshiaki Yokoyama 加熱炉
JPH07252612A (ja) * 1994-03-16 1995-10-03 Niigata Furness Kogyo Kk 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709A (ja) 1974-09-14 1976-03-23 Shimadzu Corp Jidonetsushorisochi
JPS6233716A (ja) 1985-08-06 1987-02-13 Kurosaki Rokougiyou Kk 被熱物の出入装置
JPS62235419A (ja) * 1986-04-04 1987-10-15 Yoshiaki Yokoyama 加熱炉
JPH07252612A (ja) * 1994-03-16 1995-10-03 Niigata Furness Kogyo Kk 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44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677B1 (ko) 박판유리 강화 열처리장치
KR101033956B1 (ko) 용체화로와 엘리베이터형 담금질 장치가 일렬로 연결된 알루미늄 합금판 제조장치
KR100952377B1 (ko) 열처리로
KR100937225B1 (ko) 판유리 강화장치
KR101317700B1 (ko) 판유리 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유리 강화 처리 방법
CN212610751U (zh) 转炉及其更换炉衬上砖装置
KR101692320B1 (ko) 알루미늄 선재 열처리 장치
JP2002318076A (ja) 高温保護雰囲気熱処理炉
KR100952374B1 (ko) 에너지 절약형 열처리로
KR102325054B1 (ko) 가열 및 냉각 동시진행형 열처리 장치
KR100995866B1 (ko)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WO2013073254A1 (ja) 炉内搬送装置及び加熱炉
KR101163976B1 (ko) 박판글라스 강화 열처리장치
KR100424095B1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 시스템
KR101257399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US4403954A (en) Apparatus for heat-treating pipes
WO2016204315A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노 개폐장치
KR102677149B1 (ko) 심리스 파이프용 환봉 2차 보온 가열장치
JP2589823Y2 (ja) 連続焼入装置
KR20090069845A (ko) 열처리로의 유조탱크
JPH10291828A (ja) ガラス板の成形装置
KR101869429B1 (ko) 연속소둔로
KR100424096B1 (ko)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용 브레이징 대상물 이송 시스템
JP3395287B2 (ja) バッチ式雰囲気熱処理炉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0307877Y1 (ko)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