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102B1 -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102B1
KR100952102B1 KR1020070086890A KR20070086890A KR100952102B1 KR 100952102 B1 KR100952102 B1 KR 100952102B1 KR 1020070086890 A KR1020070086890 A KR 1020070086890A KR 20070086890 A KR20070086890 A KR 20070086890A KR 100952102 B1 KR100952102 B1 KR 10095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micro
chain reaction
micropolymerase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957A (ko
Inventor
안유민
주진경
황승용
하승모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1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분리 제작하여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일회용으로, 마이크로 히터칩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제작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시키게 하고, 인력을 절감시키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비해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저렴한 가격에 의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유전자 검사 및 생화학적 실험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PDMS, Chip, 유리

Description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CHIP FOR MICRO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전자 검사와 생화학적 실험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분리 제작하여 구성시키고,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일회용, 마이크로 히터칩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PCR'이라 총칭함)은 매우 잘 알려진 DNA(deoxyribonucleic acid) 복제법으로 이 기술을 이용하면 어떤 DNA도 선택적으로 빠르게 대량 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복제하고자 하는 DNA를 DNA 중합효소를 사용하며 복제 단계별 반응온도를 가지고 이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제과정은 열적으로 제어되는 반응과정의 주기적인 순환을 이용하며, 초기 시작 분자는 온도 순환과정을 거듭하여 결국엔 10억개 가량의 양만큼 늘 어나게 된다.
이에, 질병 진단을 위한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려면 여러 종류의 유전자를 증폭시켜야 하며 시료의 오염을 막기 위해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은 일회용으로 사용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은 PCR을 수행하기 위해서 인렛(inlet), 챔버(chamber), 아웃렛(outlet), 히터(heater), 온도센서(thermal sensor) 등의 기능성 유닛(unit)이 집적화되어 있어 비용, 시간, 인력 등이 많이 소모되므로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은 크롬과 금을 박막 증착한 다음 패터닝 공정으로 히터와 온도 센서를 제작하고, 그 위에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으로 복제 성형품을 접착시켜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PCR 칩은 어느 정도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유전자 검사 또는 생화학 실험에 대한 실질적인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분리 제작하여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일회용으로, 마이크로 히터칩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제작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시키게 하고, 인력을 절감시키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비해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저렴한 가격에 의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유전자 검사 및 생화학적 실험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은 생화학 실험을 위해 시료를 주입시키는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에 주입된 시료에 대한 효율적인 실험을 위해 열을 가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히터칩 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의 상단부에는 마이크로 반응조칩이 위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과 마이크로 반응조칩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은 유리(Glass)와 PDMS(Polydimethylsioxane)로 구성되되, 상기 유리의 상부에 PDMS가 위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은 2가지의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인렛(Inlet)부와, 상기 인렛부를 통해 주입된 시료에 대한 혼합과정을 수행하고 혼합된 시료를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나도록 채널(Channel) 형태로 구성된 반응조(Reactor)와, 상기 반응조에 의해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Outlet)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은 유리의 상부면에 크롬(Cr)과 금(Au)의 박막으로 형성된 히터와 온도센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에는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극부위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에는 저항을 측정하도록 전류를 걸어주는 부위와 상기 저항과 전류의 관계에 의해 발생된 전압값을 검출하기 위한 부위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실시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제조방법은 PDMS으로 마이크로 채널 형태의 반응조를 만든 다음 이를 광학현미경용 덮개유리에 부착시켜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한 유리기판에 크롬과 금으로 박막 증착하여 마이크로 히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형성된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생화학 실험을 위해 마이크로 히터칩의 상부에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분리 제작하여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일회용으로, 마이크로 히터칩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제작 비용과 시간이 최소화되는 효과와,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저렴한 가격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유전자 검사 및 생화학적 실험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일반적인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초기 조건 3초 후의 온도 분포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일체형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마이크로 바이오칩(100)은 유전자 검사를 실행하기 위해 시험관 내에서 행해지는 DNA 증폭 과정인 PCR 과정을 간단하고 효율성 있게 수행하고, 생화학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온도 제어 실험에 적용하여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100)은 마이크로 반응조칩(10)과 마이크로 히터칩(20)이 각각 구성되게 되는데, 이는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가 생화학 실험을 위해서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20)의 상부에 마이크로 반응조칩(10)이 위치된 상태에서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10)은 생화학 실험을 위해 2가지의 시료를 주입시키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20)은 마이크로 반응조칩(10)에 주입된 시료에 대한 효율적인 실험을 위해 열을 가하여 온도를 검출 및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10)은 PDMS(Polydimethylsioxane)으로 마이크로 채널 형태의 반응조를 만든 다음 이를 값이 싼 광학현미경용 덮개 유리(Glass)에 부착시켜 제작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 유리의 상부에는 2가 지의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인렛부(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인렛부(11)를 통해 주입된 시료는 채널(Channel) 형태로 구성된 반응조(12)에 의해 혼합과정을 수행한 후에 혼합된 시료를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 다음 아웃렛부(13)를 통해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난 시료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20)은 유리의 상부면에 크롬(Cr)과 금(Au)으로 박막 증착시켜 히터(21)와 온도센서(22)를 구성시키게 되는데, 상기 히터(21)에는 전극부위(23)를 구비시켜 전원을 용이하게 인가시킬 수가 있고, 상기 온도센서(22)에는 저항을 측정하도록 전류(예를 들어 1mA)를 걸어주는 전류부위(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과 전류의 관계에 의해 발생된 전압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위(25)가 구비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실시하고 있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100)을 이용하여 PCR의 온도 변화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과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을 이용하여 실시된 것이다.
이에,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과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에 대한 초기 조건 3초 후의 온도 분포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의 온도 분포 해석 결과(첨부도면 도 4 참조)와,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첨부도면 도 5 참조)와,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첨부도면 도 6 참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과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을 이용하여 PCR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온도 분포에 대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CFD-ACE+로 온도 분포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 채널 길이(A-A) 방향으로의 온도분포 범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은 92.0 ~ 92.5℃인 반면,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은 90.0 ~ 90.5℃로서, 이는 온도편차가 일체형과 분리형 둘 다 0.5℃ 이내이므로 두 형태의 마이크로 PCR 칩 모두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비교적 균일한 반응조 온도 상태에서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을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제조방법은 먼저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시키기 위해 대량생산에 적합한 복사형틀법(replica molding)을 이용하여 PDMS으로 마이크로 채널 형태의 반응조를 만들고 이를 싸게 구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용 덮개유리에 부착시켜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마이크로 히터칩은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한 유리기판에 크롬과 금으로 박막 증착을 하기 위해 열기상 증착법(thermal evaporation),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기법, 강화 화학기상증착(PECVD)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에, 상기에서 형성시킨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조된 것을 생화학 실험을 위해 마이크로 히터칩의 상부에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위치시키게 되면 전체적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실행하는 마이크로 반응조칩의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0 결정 방향을 가지는 4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SPM(황산과 과수 혼합물)용액에서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을 실행한 후에 스핀 코팅을 통해 실리콘 웨이퍼의 상부면에 100㎛ 두께로 음성광제인 SU-8을 올린 다음 소프트 베이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음성감광제에 있는 유기용제를 제거하도록 실행하게 된다.
상기의 SU-8은 음성후막감광제(negative photoresist)의 일종으로 마이크로머시닝(micromachining)등을 위해 화학적으로 증폭된 에폭시를 기본으로 한 감광제로서, IBM사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현재 Microchem사와 Sotec Microsystems사 가 IBM으로부터 판매권을 얻어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SU-8은 유리(Glass), 세라믹(Ceramic) 등과의 연계성이 좋고, 광학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며, 코팅 조건에 따라 1~1000㎛대의 고형상비 구조물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작공정과의 연계성도 우수하여 구조물 제작 시 반도체 장비인 UV aligner을 사용하여 쉽게 노광(expose)이 가능하고 플라즈마 이온 식각 공정(Plasma Ion Etching Process)에도 적합하다. 또한 2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잘 견디는 장점이 있고, 특히 기존의 UV aligner을 사용하여 쉽게 노광(expose)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synchrotron X-Ray 장비를 사용해야만 했던 LIGA(Lithographie, Galvano-formung, Abformung)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LIGA-like 공정의 발달을 가져오기도 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의 소프트 베이크가 왼료된 후에는 SU-8에 형상을 전사하고 현상하면 칩을 제작하기 위한 SU-8 몰드가 만들어지게 되고, 이때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제거 하게 된다.
상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PDMS와 경화제를 일정한 비율(예를 들어 10:1)로 섞은 다음 이를 몰드의 상부에 붓고 65℃에서 3시간30분 동안 경화시킨 후에 몰드에서 PDMS를 띄어내게 되고, 상기에서 띄어낸 PDMS를 광학현미경용 덮개유리에 부착시켜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실행하는 마이크로 히터칩의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4인치 파이렉스 유리 웨이퍼를 SPM(황산과 과수 혼합물)용액에서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을 실행한 후에 유리 웨이퍼에 크롬 200A 및 금 1000A를 증착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의 크롬 및 금의 박막 위에 AZ1512라는 양성감광제를 스핀 코팅한 후에 반응조 형상을 만들기 위해 사진 및 현상 공정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AZ1512는 양성 감광제(positive photoresist)로 Clariant, U.S.A에서 제조하는 것으로서, 금속 박막의 patterning 시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의 사진 및 현상 공정을 실시한 후에 크롬 및 금을 차례로 습식 식각 한 다음 감광제를 제거하게 되면 마이크로 히터칩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3단계 과정에 의해 유전자 복제가 이루어지게 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반응온도가 다르며, 3단계 복제과정이 한 주기가 되고, 이를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전자가 대량으로 복제되며, 이러한 주기적인 복제과정은 주기적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각 단계별 온도 순환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과 종래의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의 성능평가로서 먼저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이크로 PCR 칩 내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반응온도 사이클의 정확도를 측정 비교할 수 있도록 측정된 값을 나타낸 그래프로, 이는 측정을 위해 설정된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각 복제 단계별 온도는, 1단계가 94℃, 2단계가 55℃, 그리고 3단계가 65℃ 이고, 측정 결과는 종래의 마이크로 PCR 칩의 경우 평균 승온 및 냉각 속도가 각각 8.1℃ 및 5.96℃로 나타났으며,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은 각각 8.56℃ 및 6.1℃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른, 승온 및 냉각 속도 면에서 두 칩이 크게 차이는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고,
상기의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과 일체형 PCR 칩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실험을 다수 반복하여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아가로우즈 겔(agarose gel)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 및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에서의 SRY 유전자 증폭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즉 각각 칩들에서의 결과물 중 5㎕씩을 추출하여 2% 아가로우즈 겔(agarose gel) 전기영동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증폭한 SRY 유전자 크기는 500bp이고,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대상 유전자가 정확하게 많은 양이 복제되었을 경우, 겔 전기영동 사진에서 유전자 띠 형 상이 뚜렷해지게 되며, 첨부도면 도 9에서 보여지는 맨 왼쪽의 DNA 지표 띠(100bp DNA ladder, Promega)와 비교해 보면 분리형 마이크로 PCR 칩과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 상에서 500bp 크기의 유전자 복제가 모두 올바르게 이루어졌으며, 띠 뚜렷함 정도를 비교하여 보면 복제 효율도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 실시되는 본 발명을 따를 때, 상대적으로 비용과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어 제작되는 마이크로 히터칩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게 하고,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일회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일체형 마이크로 PCR 칩(micro PCR chip)보다 제작 비용과 시간이 월등히 절감될 수가 있는 것이고, 이에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유리와 PDMS으로 제작하고, 마이크로 히터칩을 유리 위에 크롬과 금을 패터닝하여 제작하게 하여 쉽게 구현할 수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은 제한효소 반응용 칩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초기 조건 3초 후의 온도 분포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
도 6은 일체형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A-A 단면 온도 분포 해석 결과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대한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8은 분리형 및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내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반응온도 사이클의 정확도를 측정 비교할 수 있도록 측정된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아가로우즈 겔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분리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일체형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서의 SRY 유전자 증폭 결 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 반응조칩 11 : 인렛부
12 : 반응조 13 : 아웃렛부
20 : 마이크로 히터칩 21 : 히터
22 : 온도센서 23 : 전극부위
24 : 전류부위 25 : 검출부위
100 :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은
    2가지의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인렛부;
    상기 인렛부를 통해 주입된 시료에 대한 혼합과정을 수행하고 혼합된 시료를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나도록 채널(Channel) 형태로 구성된 반응조(Reactor); 및
    상기 반응조에 의해 라이게이션(Ligation) 반응이 일어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Outlet)부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인렛부, 반응조 및 아웃렛부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으로 제작되어 덮게 유리 상에 부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은 유리 기판 상에 가열을 위한 히터, 상기 히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극부위,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저항 측정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부위, 상기 저항과 전류에 기인한 전압갑 검출을 위한 검출부위가 배치되며, 이들은 크롬(Cr)과 금(Au)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과 마이크로 반응조칩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7.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으로 마이크로 채널 형태의 반응조를 만든 다음 이를 광학현미경용 덮개유리에 부착시켜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한 유리기판에 크롬과 금으로 박막 증착하여 마이크로 히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에서 형성된 마이크로 반응조칩과 마이크로 히터칩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생화학 실험을 위해 마이크로 히터칩의 상부에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항의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4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SPM(황산과 과수 혼합물)용액에서 담궈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단계와,
    상기 클리닝이 완료된 실리콘 웨이퍼의 상부면에 일정한 두께로 음성감광제를 올려 실시하는 스핀 코팅 단계와,
    상기 스핀 코팅이 완료된 후에 음성감광제에 있는 유기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소프트 베이크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트 베이크가 왼료된 후에 음성감광제에 형상을 전사하고 현상하여 칩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만드는 단계와,
    상기 몰드가 만들어지면 진공 상태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와 경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섞은 다음 이를 몰드의 상부에 붓고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몰드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띄어내는 단계와,
    상기에서 띄어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광학현미경용 덮개유리에 부착시켜 마이크로 반응조칩을 형성하는 단계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히터칩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4인치 파이렉스 유리 웨이퍼를 SPM(황산과 과수 혼합물)용액에서 담궈 이물 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단계와,
    상기 클리닝이 완료된 유리 웨이퍼에 크롬 및 금과 같은 금속을 증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금속 박막 위에 양성감광제를 스핀 코팅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핀 코팅이 완료된 후에 크롬 및 금을 차례로 습식 식각 한 다음 감광제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히터칩을 형성하는 단계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의 제조방법.
KR1020070086890A 2007-08-29 2007-08-29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90A KR100952102B1 (ko) 2007-08-29 2007-08-29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90A KR100952102B1 (ko) 2007-08-29 2007-08-29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957A KR20090021957A (ko) 2009-03-04
KR100952102B1 true KR100952102B1 (ko) 2010-04-13

Family

ID=4069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890A KR100952102B1 (ko) 2007-08-29 2007-08-29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44B1 (ko) 2015-06-17 2017-07-04 (주)옵토레인 리얼타임 피씨알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7204512A1 (ko) * 2016-05-25 2017-11-30 옵토레인 주식회사 피씨알모듈
WO2017204513A1 (ko) * 2016-05-25 2017-11-30 옵토레인 주식회사 피씨알모듈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2888A1 (en) 2018-11-19 2022-03-0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Light-digital pcr chamber and light-digital pcr device using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6, No. 5, pp1327-1333*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권, Vol. 30, No. 10, pp1261~126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44B1 (ko) 2015-06-17 2017-07-04 (주)옵토레인 리얼타임 피씨알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7204512A1 (ko) * 2016-05-25 2017-11-30 옵토레인 주식회사 피씨알모듈
WO2017204513A1 (ko) * 2016-05-25 2017-11-30 옵토레인 주식회사 피씨알모듈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957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571B2 (en) Reusable PCR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139286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molecular detection chip
KR100969667B1 (ko) 생리활성물질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바이오칩
US20030085719A1 (en) Micro-electrical detector on-chip
Yu et al. 3-D microarrays biochip for DNA amplification in polydimethylsiloxane (PDMS) elastomer
TWI508772B (zh) 微流體元件
KR100952102B1 (ko) 마이크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칩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81494A (zh) 多指标检测用场效应晶体管型生物传感器件
WO2004072642A1 (fr) Dispositif d'application de micro-echantillon et reaction d'une puce a adn et procede correspondant
KR100930859B1 (ko) 동시 다중면역 반응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바이오칩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면역반응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
KR20100020394A (ko) 집적형 마이크로 바이오칩
KR100756874B1 (ko) 중합효소 연쇄반응용 마이크로 바이오칩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01920B (zh) 一种有机电化学晶体管增敏的核酸扩增检测微流控芯片制备方法
KR20100049880A (ko) 마이크로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8132543A (ja) 樹脂基板への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マイクロ流路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0938523A (zh) 用于sat的离心式微流控芯片、系统及检测方法
KR20080007733A (ko) 면역반응용 마이크로 바이오칩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면역반응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
KR100438821B1 (ko) 멀티채널 pcr과 전기영동을 이용한 소형 유전자 분석장치
CN111998985B (zh) 微通道压力传感器和微流控芯片
KR100866836B1 (ko) 라이게이션 반응용 마이크로 바이오칩
Xue et al. Glass-based continuous-flow pcr chip with a portable control system for DNA amplification
Lee et al. Fabrication of an integrated microfluidic device based on a heat-sensitive poly (N-isopropylacrylamide) polymer and micromachining protocols for programmed bio-molecular patterning
CN111254061B (zh) 一种探针分子印刷芯片及其制造方法
KR20090124311A (ko) 시료 전처리용 마이크로 바이오칩 및 이를 이용한 dna추출방법
KR20050010423A (ko) 미세유체채널이 집적화된 3차원 전극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