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920B1 -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920B1
KR100951920B1 KR20090042574A KR20090042574A KR100951920B1 KR 100951920 B1 KR100951920 B1 KR 100951920B1 KR 20090042574 A KR20090042574 A KR 20090042574A KR 20090042574 A KR20090042574 A KR 20090042574A KR 100951920 B1 KR100951920 B1 KR 10095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ilm
media
hole
protrud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한솔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한솔환경건설
Priority to KR2009004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설치공(1311)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재(113)와, 상기 설치부재(113)의 설치공(13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재(11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와, 상기 생물막여재(115)의 설치부재(11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3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에 관한 것으로; 생물막여재(115)를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100)에 설치되어 산기관(120)에 의하여 산기되는 환경 하에서도 생물막여재(115)가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신뢰성 있게 하수에 포함된 잔류 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하수, 처리, 폭기, 고정

Description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BIOFILM FILTER PART FOR AEROBIC RESERVOIR}
본 발명은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폭기에 의하여 생물막여재가 이탈되지 않으며, 생물막여재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안정된 하수 처리가 가능한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에 관한 것이다.
폐수는 상수를 사용한 후 버려지는 오염된 물로서 사용된 상수의 목적에 따라 질소화합물이나 유기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질소화합물이나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활성슬러지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는데, 활성슬러지법은 폐수를 호기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활성슬러지법은, 폐수가 폭기조(aeration tank)로 계속 주입됨에 따라 미생물이 폐수 중의 유기물을 섭취 분해하여 성장하게 되고, 이렇게 성장된 미생물은 응결되어 종말 침전지에서 침전되는데, 침전체의 일부는 활성슬러지의 형태로 다시 폭기조로 반송되고 일부는 폐슬러지로 만들어지게 됨으로써 폭기조 내의 미생물의 량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폐수 중의 유기물이 분해되도록 하는 폐수처리방법이다.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공중 접객업소, 식당, 숙박업소, 목욕탕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일반 산업용 폐수 처리시설보다는 비교적 소규모의 처리시설을 필요로 하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수처리시설인 오수 처리장치(1)는 대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혐기조(10), 무산소조(20), 호기 조건하에 오수를 처리하는 호기조(100), 혐기 및 호기 처리된 오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40) 및 방류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호기조에는 오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120)이 구비되며, 호기성 미생물이 고정되는 담체가 호기조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는 상기 혐기조와 호기조 등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을, 3은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를, 4는 상기 본체(3)의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5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7은 처리된 후 배출 통로가 되는 배출관을, 6은 호기조(100)와 침전조(4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관을, 9는 상기 개구부(4)를 개폐하는 덮개를, 130은 상기 산기관(12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송풍기가 하부 쪽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는 호기조(100)의 수면보다 높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3) 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침전조를 마련하여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제조하기도 한다. 도 1에서 슬러지 반송관 등과 같은 상세 도시는 생략하였다.
종래의 호기조에는 호기성 세균이 부착된 담체가 설치되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설치된 담체의 이탈 등에 의하여 오염 물질에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오수가 배출될 염려가 있어, 확실하게 오수 등에 포함되는 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호기조에 사용되는 생물막부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생물막여재를 고정하여 사용 중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설치공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설치공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와, 상기 생물막여재의 설치부재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 생물막여재가 설치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물막여재는 설치공에 삽입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설치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된 생물막여재의 돌출된 부분에 측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끝단 일부가 노출된 복수의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노출된 부분에 나사로 체결되는 복수의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된 생물막여재를 관통하는 나사로 체결되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하여 상기 생물막여재는 양측에서 지지되어 설치공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치부재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사이에 두고 생물막여재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생물막여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일측 지지부재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를 관통하며 타측 지지부재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끝단 일부가 노출된 볼트부재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노출된 볼트부재에 나사로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은 설치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된 생물막여재의 돌출된 부분에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부재이며; 상기 걸림부재는 양단으로 삽입부가 절곡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으로 절곡 연장되어 생물막여재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치부재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사이에 두고 생물막여재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생물막여재를 향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중 일측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를 관통하며 타측의 지지부재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걸림부재인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에는 복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양단으로 삽입부가 절곡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 중 일측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를 관통하며 타측의 지지부재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재는 연결부로부터 이격되며 양단이 삽입부에 연결된 가로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삽입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끝단은 지지부재의 삽입공으로부터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삽입부는 고정부재의 고정공에 삽입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의 끝단은 지지부재의 삽입공으로부터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은 절곡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는 생물막여재(115)를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100)에 설치되어 산기관(120)에 의하여 산기되는 환경 하에서도 생물막여재(115)가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신뢰성 있게 하수에 포함된 잔류 질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치의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생물막부를 이루는 구성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이루는 생물막여재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생물막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A방향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고정수단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고정수단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5 내지 도 18은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치부재와 평행한 방향 또는 이와 유사한 방향을 '측방향'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가 설치된 오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처리시설인 오수 처리 장치(1)의 호기조(100)에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부(110)가 설치되며, 호기조(100)로 유입된 오수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부(1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설치공(1311)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재(113)와, 상기 설치부재(113)의 설치공(13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재(11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와, 상기 생물막여재(115)의 설치부재(11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물막여재(115)의 교체나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본체(3)에 고정되며 일측으로 개구된 요홈(1111)이 형성된 지지체(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111)의 요홈(1111)에 미끄럼 착탈 가능한 형태로 상기 설치부재(113)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체(111)는 본체(3)에 설치될 때 본체(3)의 내면에 접하는 외면(1113)을 구비한다. 상기 설치부재(113)의 미끄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부재(113)는 요홈(1111)을 이루는 면이 삽입되는 결합요홈(1181)이 형성된 결합부재(1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18)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1111)을 이루는 면에 오목홈부(111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118)가 상기 오목홈부(1112)에 삽입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18)를 지지체(111)의 요홈(111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119는 상기 설치부재(113)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물막여재(115)는 호기성 세균의 부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여 중심부에 오수가 통과하는 유로공(1153)을 형성한다. 그러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1151은 생물막여재(115)의 외면으로부터 유로공(1153)으로 연통된 연결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생물막여재(115)는 설치부재(113)에 형성된 설치공(1311)에 삽입 설치되며, 삽입된 후 설치공(1131)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인 도 5에 도면부호 1155로 도시한 설치부에는 연결공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로공(1153)에는 그물 망체와 같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생물막여재(115)가 설치부재(113)에 형성된 설치공(1311)에 삽입되며, 상기 생물막여재(115)는 설치부재(11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물막여재(115)의 상기 돌출된 부분에 고정수단(117)을 삽입하여, 상기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3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17)은 설치부재(1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된 생물막여재(115)의 돌출된 부분에 측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끝단 일부가 노출된 복수의 볼트부재(117a)와, 상기 볼트부재(117a)의 노출된 부분에 나사로 체결되는 복수의 너트부재(117b)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117a)는 설치부재(1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돌출된 생물막여재(115) 부분에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생물막여재(115)의 일측으로 끝단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너트부재(117b)가 나사로 체결된다. 설치부재(1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생물막여재(115)에 나사로 체결된 볼트부재(117a)와 너트부재(117b)에 의하여 생물막여재(115)는 설치공(1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볼트부재(117a)의 머리와 너트부재(117b)는 생물막여재(115)의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설치부재(113)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생물막여재(115)에 2개 이상의 볼트부재(117a)와 너트부재(117b)가 체결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117a)는 복수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여 끝단 일부가 노츨되며, 상기 노출된 끝단 부분에 너트부재(117b)를 체결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치부재(113)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생물막여재(115)에 2개 이상의 볼트부재(117a)와 너트부재(117b)가 체결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재(113)에 하나 이상의 설치공(1131)을 사이에 두고 생물막여재(115)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생물막여재(115)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삽입공(1161)이 형성된 지지부재(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117)은 상기 지지부재(116) 중 일측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에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며 타측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을 통과하여 끝단 일부가 노출된 볼트부재(117a)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을 통과하여 노출된 볼트부재(117a)에 나사로 체결되는 너트부재(117b)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부재(116)가 구비된 방향으로만 볼트부재(117a)와 너트부재(117b)로 체결하여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13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17)은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걸림부재(117c)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재(117c)는 양단으로 삽입부(1173)가 절곡 연장되는 연결부(1171)와, 상기 연결부(1171)의 양단으로 절곡 연장되어 생물막여재(115)에 삽입되는 삽입부(1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117c)는 설치부재(1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설치부재(113)의 양측으로 돌출된 생물막여재(115)의 돌출된 부분에 측방향으로 삽입된다. 이탈 방지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117c)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171)로부터 이격되며 양단이 삽입부(1173)에 연결된 가로부(117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71)에 삽입부(1173)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71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73)가 복수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생물막여재(115)에 삽입된 후 걸림부재(117c)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삽입부(1173)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상기 삽입부(1173)와 동수의 고정공(1181)이 형성된 고정부재(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73)의 끝단은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며, 노출된 상기 삽입부(1173)가 고정부재(118)의 고정공(118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삽입부(1173)의 끝단은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며, 도 9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된 부분을 일측으로 절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재(113)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1131)을 사이에 두고 생물막여재(115)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생물막여재(115)를 향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공(1161)이 관통 형성된 지지부재(116)를 더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117)은 상기 지지부재(116) 중 일측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며 타측의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는 걸림부재(117c)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부재(116)가 구비된 방향으로만 걸림부재(117c)를 구비하여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13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다 견고한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117c)는 양단으로 삽입부(1173)가 절곡 연장되는 연결부(1171)와, 상기 연결부(1171)의 양단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116) 중 일측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며 타측의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17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16)가 하부로부터 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16)는 산기되는 공기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단에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단면감소부(116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73)가 일측의 지지부재(116)에 삽입되고 복수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며, 다시 타측의 지지부재(116)에 삽입되 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하수처리장치의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생물막부를 이루는 구성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폭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를 이루는 생물막여재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생물막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 2의 A방향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고정수단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고정수단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생물막여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발명에 따르는 생물막부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설치공(1311)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재(113)와, 상기 설치부재(113)의 설치공(13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재(11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와, 상기 생물막여재(115)의 설치부재(11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 생물막여재(115)가 설치공(1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117)은 설치부재(113)로부터 돌출된 생물막여재(115)의 돌출된 부분에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부재(117c)이며; 상기 걸림부재(117c)는 양단으로 삽입부(1173)가 절곡 연장되는 연결부(1171)와, 상기 연결부(1171)의 양단으로 절곡 연장되어 생물막여재(115)에 삽입되는 삽입부(11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71)에는 삽입부(1173)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7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113)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1131)을 사이에 두고 생물막여재(115)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생물막여재(115)를 향하여 삽입공(1161)이 관통 형성된 지지부재(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117c)의 삽입부(1173)는 상기 지지부재(116) 중 일측의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생물막여재(115)를 관통하며 타측의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6. 삭제
  7.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17c)는 연결부(1171)로부터 이격되며 양단이 삽입부(1173)에 연결된 가로부(11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8. 제5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삽입부(1173)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고정공(1181)이 형성된 고정부재(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73)의 끝단은 지지부재(116)의 삽입공(1161)으로부터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삽입부(1173)는 고정부재(118)의 고정공(118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9.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73)의 끝단은 노출되며 삽입부(1173)의 끝단의 노출된 부분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110).
KR20090042574A 2009-05-15 2009-05-15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KR10095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2574A KR100951920B1 (ko) 2009-05-15 2009-05-15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2574A KR100951920B1 (ko) 2009-05-15 2009-05-15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920B1 true KR100951920B1 (ko) 2010-04-09

Family

ID=4221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42574A KR100951920B1 (ko) 2009-05-15 2009-05-15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003B1 (ko) * 2019-09-20 2020-01-29 (주) 부원건설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장 설치용 담체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3Y1 (ko) 2001-09-26 2001-12-29 김원중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355241B1 (ko) * 1999-08-27 2002-10-11 오기만 미생물 활성용 오폐수 정화를 위한 정화용 여재의 체결방법과 폭기조 내에 시공방법
KR20060016176A (ko) * 2004-08-17 2006-02-22 오재일 부상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0411670Y1 (ko) * 2006-01-02 2006-03-16 주식회사 수엔테크 천연섬유를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41B1 (ko) * 1999-08-27 2002-10-11 오기만 미생물 활성용 오폐수 정화를 위한 정화용 여재의 체결방법과 폭기조 내에 시공방법
KR200258363Y1 (ko) 2001-09-26 2001-12-29 김원중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60016176A (ko) * 2004-08-17 2006-02-22 오재일 부상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0411670Y1 (ko) * 2006-01-02 2006-03-16 주식회사 수엔테크 천연섬유를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003B1 (ko) * 2019-09-20 2020-01-29 (주) 부원건설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장 설치용 담체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216B2 (en) High efficiency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938463B1 (ko)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KR100951920B1 (ko)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생물막부
KR100872863B1 (ko) 악취 제거와 여과 효율이 향상된 하수 및 오수 처리장치
KR20160090300A (ko)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증식 배지들을 이용하여 오염된 유동체들내 물질들의 감소
KR100876615B1 (ko) 미생물 미디어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KR100951921B1 (ko) 부유식 생물막부를 구비하는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 및 하수처리시설의 호기조에 구비되는 부유식 생물막부
KR101168082B1 (ko) 대나무 생물여과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KR100956554B1 (ko) 미세플럭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RU98997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4444430B2 (ja) 単独処理浄化槽の合併処理化方法
KR200285310Y1 (ko) 폐수처리용 광촉매볼 및 볼담체의 설치구조
KR100198087B1 (ko) 오수 처리 장치
KR100428919B1 (ko) 다중침전조에 의한 평면형 정화조
KR100274168B1 (ko) 합병처리 정화장치
JP3683099B2 (ja) 浄化槽
KR960022287A (ko) 하수 처리 장치
CN212222738U (zh) 污水处理模块和污水处理系统
KR200287732Y1 (ko) 정화조
ATE529386T1 (de) Anlage zur vorreinigung von schmutzwässern mit integrierter weiterbehandlung der feststoffe
KR100654302B1 (ko) 하천 저면의 생태 보호시설
JPH11300176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KR200383134Y1 (ko) 단독정화조용 수처리장치
JP2005000822A (ja) マンホールの蓋部材用止着装置、浄化槽
KR200261761Y1 (ko) 오수처리시설의 처리효율의 개선을 위한 미생물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