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902B1 - 쌍꺼풀 수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쌍꺼풀 수술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02B1
KR100950902B1 KR1020080026225A KR20080026225A KR100950902B1 KR 100950902 B1 KR100950902 B1 KR 100950902B1 KR 1020080026225 A KR1020080026225 A KR 1020080026225A KR 20080026225 A KR20080026225 A KR 20080026225A KR 100950902 B1 KR100950902 B1 KR 10095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er
lever
eyelid
surgical instrument
double eye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793A (ko
Inventor
영 혁 박
Original Assignee
영 혁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혁 박 filed Critical 영 혁 박
Priority to KR102008002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꺼풀 수술용 기구(1000)(2000)(3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1000)는 성형침(17)이 형성된 상부레버(10)와 상기 성형침이 인입되는 수용부(37)를 가지는 하부레버(30)가 상호간에 회동하여 접근하고 멀어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를 접근하여 그 사이에 놓인 눈꺼풀을 상기 성형침(17)이 관통하고 이후 상호간에 멀어질 때 상기 눈꺼풀을 밀어내는 스트리퍼 부재(60)와 상기 스트리퍼부재를 가압하는 스트리퍼가압수단(80)을 가진다.
쌍꺼풀, 수술, 성형침

Description

쌍꺼풀 수술용 기구{Device for operation of double eyelid}
본 발명은 쌍꺼풀 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쌍꺼풀 수술시 눈꺼풀 피부에 작은 관통공을 내기위한 쌍꺼풀 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는 작은 힘으로 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특별히, 눈꺼풀로부터 성형침을 쉽게 탈거할 수 있게 한다.
쌍꺼풀 수술에는 비절개법(매몰법)과 절개법이 있는데, 이중 비절개법(매몰법)은 눈꺼풀에 쌍꺼풀 예정선 중 일부를 절개하고 이 부분을 통하여 눈꺼풀을 들어 올려 진피와 검판을 한다발로 묶어주는 방법을 말한다.
이와 관련되어, 상기 눈꺼풀의 쌍꺼풀의 예정선에 대하여 작은 관통공을 형성하며 이에 대응한 결막면에는 표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수술칼로 일일이 소절개를 행하고 결막면의 대응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바람직하다.
종래 이와 같이 눈꺼풀의 쌍꺼풀 예정선에 대하여 작은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79410호와 제0438746호와 같은 것이 있다. 이들은 각각 스테이플러 방식 또는 핀셋 방식을 이용하여 눈꺼풀에 성형침을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눈꺼풀에 성형침을 가압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되어, 가능하면 더욱 작은 힘과 간편한 조작으로 쉽게 관통공을 낼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침으로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할 때, 눈꺼풀을 관통한 성형침을 다시 눈꺼풀로부터 탈거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탈거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국, 쌍꺼풀 수술과 관련되어 성형침을 사용하여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 작은 힘과 간편한 조작으로 쉽게 관통공을 형성하며 또한 이후 성형침을 상기 눈꺼풀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가 요청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쌍꺼풀 수술과 관련되어 성형침을 사용하여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 작은 힘과 간편한 조작으로 쉽게 관통공을 형성하며 또한 이후 성형침을 상기 눈꺼풀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쌍커풀 수술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는 성형침이 그 하부면에 형 성된 상부레버와; 상기 성형침에 대응한 수용공이 그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레버와; 이때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는 상호간에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이 상기 수용공에 인입되고 이후 다시 벌려지도록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레버의 하부면에서 상기 성형침의 뒤쪽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서, 그 후단이 상기 상부레버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그 부착부위의 앞쪽부위는 그 하방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지니는 스트리퍼 부재와; 상기 스트리퍼 부재를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스트리퍼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는 그 중간에 하방으로 만곡된 것으로서 그 앞쪽의 내면은 경사가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상부레버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슬라이드 장착수단과,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만곡부에 수용되어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레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의 관통공이 슬라이드 장착수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는 그 중간에 하방으로 만곡이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바닥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면에서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만곡이 형성된 단부의 바닥면의 홈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홈에 걸리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흡착판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하부레버에는 상기 하부레버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눈꺼풀의 앞쪽 끝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기준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는 상호간에 교차하며 그 교차지점에서 힌지연결되고 상기 교차지점의 후단은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가 상호간에 접근하여 그 성형침이 눈꺼풀을 관통하고 이후 멀어질 때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이 상기 스트리퍼부재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휘게 하며 이에 따라 눈꺼풀은 상기 성형침으로부터 쉽게 탈거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교차하여 그 후단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도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그 반응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힘과 간편한 조작으로 쉽게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또한 이후 성형침을 상기 눈꺼풀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간편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쌍커풀 수술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쌍꺼풀 수술기구의 첫 번째 실시예(1000)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상호간에 교차하여 교차점(8)에서 힌지연결되어 있으며 그 후단에는 손잡이부(38)(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8)(18)의 사이에는 탄성수단으로서 탄성편(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버(10)의 전단에서 그 하부면에는 성형침(17)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레버(30)의 전단에는 성형침의 수용공(37)이 형성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침(17)과 수용공(37)은 각각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상기 손잡이부(38)(18)를 잡으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는 상호간에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17)이 상기 수용공(37)에 인입되고, 손잡이(38)(18)를 풀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는 상호간에 벌려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는 상호간에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며 그 후단에서 손잡이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경우는 핀셋구조로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상호간에 접근하며 또한 벌려질 수도 있는 것이며 이외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의 하부면에서 상기 성형침(17)의 뒤쪽 위치에 놓이는 스트리퍼부재(60)(60')(60")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스트리퍼부재(60)(60')(60")는 그 후단이 상기 상부레버(1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그 부착부위의 앞쪽부위는 그 하방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스트리퍼 부재(60)를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스트리퍼 가압수단(80)(80')(80")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38)(1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를 상호간에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17)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 놓인 눈꺼풀을 찝어 관통하고 상기 수용공(37)에 인입된 후, 다시 손잡이(38)(18)를 놓을 때,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80')(80")이 상기 스트리퍼부재(60)(60')(60")를 하방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성형침(17)이 관통된 눈꺼풀이 상기 하방으로 밀리는 스트리퍼부재(60)(60')(60")로 인하여 쉽게 탈거가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60)는 하방으로 만곡된 만곡부(64)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64)에서 그 앞쪽의 내면은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62)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부(64)의 후단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이 상기 상부레버(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9)에 끼워져 상기 스트리퍼 부재(60)는 상기 상부레버(10)에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휘 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리퍼부재(60)의 앞쪽에는 상기 성형침(17)이 관통하는 관통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은 상기 만곡부(64)에 수용되어 접촉하는 접촉부(84)를 가지는데, 상기 접촉부(84)는 상기 상부레버(10)가 관통하는 관통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은 상기 상부레버(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84)에서 그 후단에는 널링(knurling)이 표면에 형성된 스위치부(81)가 형성되어, 후술하듯, 상기 접촉부(84)를 상기 상부레버(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레버(30)에는 상기 하부레버(3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부(28)가 형성되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접촉부(25)를 가지는 기준부(20)가 장착된다.
이때 접촉부(25)는 그 전면이 눈꺼풀의 앞쪽 끝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접촉부(25)로부터 상기 수용공(37)까지의 거리가 쌍꺼풀 예정선까지의 거리를 가리킨다.
즉 예를 들어 눈꺼풀의 앞쪽 끝으로부터 4mm부분에 쌍꺼풀 예정선이 잡히는 경우, 상기 하부레버(30)의 수용공(37)으로부터 상기 접촉부(25)까지의 거리가 4mm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부(20)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쌍꺼풀 예정선까지의 거리를 미리 가늠하여 시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레버(10)에는 눈금이 매겨져 있다.
상기 기준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가 가능하여 이동식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경우, 특정거리에 대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자는 필요한 거리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a)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에 설치된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며, (b)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에 의하여 상기 스트리퍼 부재(60)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려 눈꺼풀을 밀어낼 때의 작동을 보이는 것이다.
도 1의 (a)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접촉부(84)는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의 만곡부(64)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서 상기 기준부(20)의 선단에 눈꺼풀이 놓이게 된다.
도 1의 (b)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접촉부(84)는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의 만곡부(64)에 밀 착되어 수용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 놓인 눈꺼풀을 상기 성형침(17)이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결막면에 대응하는 표식을 이루게 된다.
도 2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38)(1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가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17)이 눈꺼풀을 관통한 후, 상기 손잡이(38)(18)를 풀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를 멀어지게 할 때,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을 상기 스위치부(81)를 조작하여 앞쪽으로 밀면 그 접촉부(84)가 상기 만곡부(64)의 앞쪽의 경사(62)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스트리퍼부재(60)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부재(60)는 상기 눈꺼풀을 하방으로 밀게 되고 상기 성형침(17)으로부터 탈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2000)를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동일부재는 동일한 도시부호가 지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리퍼부재(60')는 그 중간에 하방으로 만곡이 형성된 단부(64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단부(640)의 바닥면에는 홈(6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부(640)의 외면에서 앞쪽면(640)은 기준부(20)의 상기 하부레버(30)를 따른 후방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이와 관련되어, 상기 단부(640)의 바닥면의 홈(648)은 상기 기준부(20)의 상기 하부레버(30)를 따른 이동거리보다 그 길이가 긴 장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퍼부재(60')의 측면에는 스위치부(63)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 리퍼부재(60')를 측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64)의 후단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버(10)의 결합홈(19)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리퍼가압수단(80')은 상기 기준부(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85)와 상기 상방연장부(85)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홈(480)에 걸리는 걸이부(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서 (a)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에 설치된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며, (b)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에 의하여 상기 스트리퍼 부재(60)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려 눈꺼풀을 밀어낼 때의 작동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의 (a)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걸이부(89)는, 상기 기준부(20)의 상면에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의 단부(640)의 홈에 대응되어 상호간에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서 상기 기준부(20)의 선단에 눈꺼풀이 놓이게 된다.
도 3의 (b)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 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걸이부(89)는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의 단부(640)의 바닥면의 홈(648)을 통과하여 돌출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 놓인 눈꺼풀을 상기 성형침(17)이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결막면에 대응하는 표식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63)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이부(89)가 상기 홈(648)을 걸도록 한다.
도 4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38)(1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가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17)이 눈꺼풀을 관통한 후, 상기 손잡이(38)(18)를 풀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를 멀어지게 하면,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의 걸이부(89)는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단부(640)의 홈(648)에 걸린 상태이므로, 상기 스트리퍼부재(60)는 하방으로 당겨지고,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부재(60')는 상기 눈꺼풀을 하방으로 밀게 되고 상기 성형침(17)으로부터 탈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3000)를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동일부재는 동일한 도시부호가 지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리퍼부재(60")는 탄성편으로서 그 뒤쪽에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버(10)의 결합홈(19)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리퍼가압수단(80")은 상기 기준부(20)의 상면에서 연장부(87)를 통하여 설치된 흡착판(86)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a)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에 설치된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며, (b) 부분은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와 스트리퍼 가압수단(80")과 기준부(20)의 배치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에 의하여 상기 스트리퍼 부재(60")가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려 눈꺼풀을 밀어낼 때의 작동을 보이는 것이다.
도 5의 (a)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기 전에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흡착판(86)은, 상기 기준부(20) 상에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와 상호간에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서 상기 기준부(20)의 선단에 눈꺼풀이 놓이게 된다.
도 5의 (b)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18)(3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가 하부레버(30)에 접근하여 성형침(17)이 대응하는 수용공(37)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리퍼 가압수단(80")의 흡착판(86)이 상기 스트리퍼 부재(60")의 하면에 흡착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의 사이에 놓인 눈꺼풀을 상기 성형침(17)이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결막면에 대응하는 표식을 이루게 된다.
도 6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38)(18)를 잡아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가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17)이 눈꺼풀을 관통한 후, 상기 손잡이(38)(18)를 풀어 상기 상부레버(10)와 하부레버(30)를 멀어지게 하면,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80")의 흡착판(86)은 상기 스트리퍼부재(60")를 흡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스트리퍼부재(60")는 하방으로 당겨지고,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부재(60")는 상기 눈꺼풀을 하방으로 밀게 되고 상기 성형침(17)으로부터 탈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 부재들을 모두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하여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가 상호간에 접근하여 그 성형침이 눈꺼풀을 관통하고 이후 멀어질 때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이 상기 스트리퍼부재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휘게 하며 이에 따라 눈꺼풀은 상기 성형침으로부터 쉽게 탈거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교차하여 그 후단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도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그 반응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은 힘과 간편한 조작으로 쉽게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또한 이후 성형침을 상기 눈꺼풀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간편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눈꺼풀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쌍커풀 수술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를 보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꺼풀 수술용 기구를 보이는 도면.

Claims (8)

  1. (a) 성형침이 그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레버와;
    (b) 상기 성형침에 대응한 수용공이 그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레버와; 이때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는 상호간에 접근하여 상기 성형침이 상기 수용공에 인입되고 이후 다시 벌려지도록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c) 상기 상부레버의 하부면에서 상기 성형침의 뒤쪽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서, 그 후단이 상기 상부레버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그 부착부위의 앞쪽부위는 그 하방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지니는 스트리퍼 부재와;
    (d) 상기 스트리퍼 부재를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스트리퍼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는 그 중간에 하방으로 만곡된 것으로서 그 앞쪽의 내면은 경사가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상부레버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슬라이드 장착수단과,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만곡부에 수용되어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레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의 관통공이 슬라이드 장착수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 부재는 그 중간에 하방으로 만곡이 형성된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바닥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면에서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만곡이 형성된 단부의 바닥면의 홈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홈에 걸리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가압수단은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흡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6. 제1항부터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버에는 상기 하부레버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그 전면이 눈꺼풀의 앞쪽 끝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기준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7. 제1항부터 제5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는 상호간에 교차하며 그 교차지점에서 힌지연결되고 상기 교차지점의 후단은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꺼풀 수술용 기구.
KR1020080026225A 2008-03-21 2008-03-21 쌍꺼풀 수술용 기구 KR10095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225A KR100950902B1 (ko) 2008-03-21 2008-03-21 쌍꺼풀 수술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225A KR100950902B1 (ko) 2008-03-21 2008-03-21 쌍꺼풀 수술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93A KR20090100793A (ko) 2009-09-24
KR100950902B1 true KR100950902B1 (ko) 2010-04-06

Family

ID=4135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225A KR100950902B1 (ko) 2008-03-21 2008-03-21 쌍꺼풀 수술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45B1 (ko) * 2023-11-09 2024-02-01 김명주 시술의 편의성을 개선한 쌍커풀 형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670A (ja) * 1995-06-07 1999-06-1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縫合用糸通し鉗子
KR20020072988A (ko) * 2001-03-14 2002-09-19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히터 구동장치
KR20030038622A (ko) * 2003-04-23 2003-05-16 안성봉 매몰법 쌍꺼풀 시술용 기구
KR200379410Y1 (ko) 2004-12-22 2005-03-17 황태호 쌍꺼풀 시술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670A (ja) * 1995-06-07 1999-06-1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縫合用糸通し鉗子
KR20020072988A (ko) * 2001-03-14 2002-09-19 엘지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히터 구동장치
KR20030038622A (ko) * 2003-04-23 2003-05-16 안성봉 매몰법 쌍꺼풀 시술용 기구
KR200379410Y1 (ko) 2004-12-22 2005-03-17 황태호 쌍꺼풀 시술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93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6217B (zh) 具有集成切割器的手术施夹器
AU2011263687B2 (en) Tool for collecting a sample of animal tissue
US20160338695A1 (en) Surgical clip applier with dissector
JPS61501131A (ja) 外科用クリップを付ける装置
CN101940483A (zh) 抓紧钳机构
CN102178551B (zh) 一次性腔内切割吻合器的击发传动装置
JP4191478B2 (ja) 複数回使用生検装置及び対応する単一回使用生検器具
JPH10504983A (ja) メス刃除去具
KR100950902B1 (ko) 쌍꺼풀 수술용 기구
JPH052878U (ja) ホツチキス挾み器
WO2016037052A1 (en) Combined tweezers and method of using combined tweezers
CN210130962U (zh) 一种小动物椎板剥离器
CN202113113U (zh) 一次性腔内切割吻合器的击发传动装置
WO2009045126A1 (fr) Instrument chirurgical pour le clippage et la coupe des tissus
US20140243853A1 (en) Suture cutting and removal tool
JP2007282786A (ja) ブロック肉等の切断用補助器
JP2010280053A (ja) 水切り袋作製用穴開け機
CN102764144A (zh) 弹簧自动脱针结构皮肤缝合器
CN109806023A (zh) 一种小动物椎板剥离器
CN215688691U (zh) 一种便于皮肤损伤造模的工具
JP3087647U (ja) ホッチキス針抜装置
US5916223A (en) Tissue staple remover
JP6452196B2 (ja) イチゴのヘタ除去具
KR20030076466A (ko) 손톱깎이
WO2009086615A1 (en) Multiple purpose han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