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363B1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363B1
KR100950363B1 KR1020070135099A KR20070135099A KR100950363B1 KR 100950363 B1 KR100950363 B1 KR 100950363B1 KR 1020070135099 A KR1020070135099 A KR 1020070135099A KR 20070135099 A KR20070135099 A KR 20070135099A KR 100950363 B1 KR100950363 B1 KR 10095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fuel cell
fuel
humidifi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427A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3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485Sulfur compounds containing only one sulfur compound other than sulfur oxides or hydrogen sulf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1Humidifying by water containing exhaust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75Removal of sulf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공급하기에 앞서 수소로 전환하기 위한 연료와 스팀비율인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를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20)와,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가습기(30)와,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40)와,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함께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50)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가습기(20)로 공급하는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는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와 상온의 순수(80)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순수(80)를 열 교환하는 2중관 콘덴서(60)가 설치되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와 가습기(30)의 사이에는 증기/물믹서기(7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연료전지, 2중관 콘덴서, 가습기, 증기/물믹서기

Description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tio of vapor and carbon used in molten carbonate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 공급하기에 앞서 수소로 전환하기 위한 연료와 스팀비율인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황기(20)를 거쳐 황 성분을 제거하고, 그 황 성분이 제거된 상기 천연가스 연료는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가습기(30)를 통과시켜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한 후 개질기(40)를 거쳐 상기 천연가스 연료 중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고 그 개질된 수소는 산소와 함께 연료전지 스택(50)으로 들어가 반응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가습기(30)에는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열을 얻고자 상기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발생하는 고열(600-700℃)의 가스를 공급하여 통과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열의 가스에는 연료전지 스택(50)에서의 부 반응으로 생 성된 물에 의해 다량의 수분이 함유하고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가습기(30)로 공급되는 가스의 온도가 불균일하여 가습기온도 제어가 어려움으로 천연가스 중의 증기/탄소비율조절이 일정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가습기(30)의 온도보상을 위하여 탈황기(20)의 앞에 별도의 히터(H)를 설치하여 천연가스 연료를 히팅 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히터(H)의 전원은 연료전지(50)에서 공급받음으로 송전되는 전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30)에는 연료가 진행하는 곳과 가스가 진행하는 곳이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가스의 열을 연료가 흡열(열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통상의 가습기 구성임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는 2중관 콘덴서(60)를 설치하여 이에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진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순수(80)를 공급하여 150℃ 이상으로 열 교환하고 그 열 교환된 수증기를 증기/물믹서기(70)를 이용하여 증기와 순수를 믹서한 후 가습기에 공급하여 가습기 출구 증기/탄소비율을 1.8 - 2.2로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를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와,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가습기와,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함께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가습기로 공급하는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가습기 사이에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와 상온의 순수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순수를 열 교환하는 2중관 콘덴서가 설치되고, 상기 2중관 콘덴서와 가습기의 사이에는 증기/물믹서기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중관 콘덴서에 공급되는 순수의 양은 분당 100-200리터이고, 상기 2중관 콘덴서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되는 순수의 온도는 150℃ 이상이고, 상기 증기/물믹서기에서 조절되는 증기/탄소비율은 1.8 - 2.2이며, 상기 2중관 콘덴서에 공급되는 순수를 증기/물믹서기에 직접 공급하되, 그 공급량은 분당 0.2 - 0.3kg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를 탈황기에서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고,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를 가습기를 통과시켜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며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개질기를 통하여 수소가스로 개질하고,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연료전지 스택에서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함유된 배출가스를 상기 가습기로 공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가습기 사이에는 2중관 콘덴서를 설치하여 이에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진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2중관 콘덴서에 순수를 공급하여 그를 150℃ 이상으로 열 교환하고 그 열 교환된 수증기에 순수를 다시 공급하여 증기/물믹서기에서 혼합한 후 가습기에 공급하여 가습기 출구로 배출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1.8 - 2.2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중관 콘덴서에 공급되는 순수의 양은 분당 100-200리터이고, 상기 2중관 콘덴서에 공급되는 순수를 증기/물믹서기에 직접 공급하되, 그 공급량은 분당 0.2 - 0.3kg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 가스의 현열을 활용하여 상온의 순수를 열 교환하는데 활용함은 물론, 상기 열 교환된 증기에 순수를 공급하여 믹싱하고 그를 가습기에 공급함으로써, 가습기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여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습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적절제어하여 연료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를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20)와,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가습기(30)와,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40)와,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함께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50)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가습기(20)로 공급하는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는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와 상온의 순수(80)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순수(80)를 열 교환하는 2중관 콘덴서(60)가 설치되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와 가습기(30)의 사이에는 증기/물믹서기(70)가 설치된 것을 요지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의 양은 분당 100-200리터이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되는 순수의 온도는 150℃ 이상이고, 상기 증기/물믹서기(70)에서 조절되는 증기/탄소비율은 1.8 - 2.2이며,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직접 공급하되, 그 공급량은 분당 0.2 - 0.3kg이다.
상기에서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를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20)와,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가습기(30)와,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40)와,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함께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50)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가습기(20)로 공급하는 공정은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기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60)에 분당 100~200리터를 통과시키는 이유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배 가스는 600~700℃인바, 상기에서 언급한 순수유량을 초과하게 되면 배 가스가 보유한 현열이 낮아서 가습기(30)에 공급되는 배 가스의 온도가 낮아 가습기(30)에서 분사되는 증기의 입자가 커지기 때문에 연료가 증기입자를 포획하지 못해 가습기(30) 출구에서의 연료조건인 증기/탄소비율이 적정하지 못해 연료전지의 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또 상기에서 언급한 순수의 유량이 너무 적게 되면 가습기(30)에 공급되는 배 가스의 온도가 높아 증기입자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지만 가습기(30)에서 분사되는 증기량이 너무 적어 가습기를 거친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이 작게 되어 연료전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습기 내부에서 연료가 증기를 적정하게 포획하기 위해서는 순수의 유량을 분당 100~200리터 통과시켜 증기입자의 조절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70)에 분당 100~200리터를 통과하여 150℃이상으로 열 교환하는 한편 0.2~ 0.5kg/min의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는 이유는 연료전지 운전상태에 따라 2중관 콘덴서(60)를 거친 순수의 증기함량이 변하게 되므로 균일한 증기함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액체인 순수를 상기에서 언급한 유량만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와 비교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연료(10)가 탈황기(20)을 거쳐서 연료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60)에 분당 150리터 통과시켜 열 교환하고, 0.5kg/min의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여 증기-물을 믹서 혼합한 후 그를 가습기(30)에 공급한 결과 상기 가습기 출구에서의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2.1로 제어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연료(10)가 탈황기(20)을 거쳐서 연료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60)에 분당 100리터를 통과시켜 열 교환하고, 0.2kg/min의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여 증기-물을 믹서 혼합한 후 그를 가습기(30)에 공급한 결과 가습기(30) 입구에서의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1.8로 제어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연료(10)가 탈황기(20)을 거쳐서 연료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7)에 분당 200리터를 통과시켜 열 교환하고, 0.4kg/min의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여 증기-물을 믹 서 혼합한 후 그를 가습기(30)에 공급한 결과 가습기 입구에서의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2.0로 제어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연료(10)가 탈황기(20)을 거쳐서 연료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7)에 분당 50리터를 통과시켜 열 교환하고 0.1kg/min의 순수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여 증기-물을 믹서 혼합한 후 그를 가습기(30)에 공급한 결과 상기 가습기(30) 입구에서의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1.5로 제어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메탄을 함유한 연료(10)가 탈황기(20)을 거쳐서 연료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온의 순수(80)를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된 2중관 콘덴서(60)에 분당 250리터를 통과시켜 열 교환하고 0.7kg/min의 순수를 증기/물믹서기(70)에 공급하여 증기-물을 믹서 혼합한 후 그를 가습기(30)에 공급한 결과 상기 가습기(30) 입구에서의 연료 중 증기/탄소비율을 2.5로 제어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천연가스 연료 20 : 탈황기
30 : 가습기 40 : 개질기
50 : 연료전지 스택 60 : 2중관 콘덴서
70 : 증기/물믹서기 80 : 순수

Claims (7)

  1.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를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20)와,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는 가습기(30)와,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수소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40)와,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함께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50)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가습기(20)로 공급하는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는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와 상온의 순수(80)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순수(80)를 열 교환하는 2중관 콘덴서(60)가 설치되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와 가습기(30)의 사이에는 증기/물믹서기(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의 양은 분당 100-200리터이고, 상기 2중관 콘덴서(60)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되는 순수의 온도는 15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물믹서기(70)에서 조절되는 증기/탄소비율은 1.8 - 2.2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직접 공급하되, 그 공급량은 분당 0.2 - 0.3kg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장치.
  5. 메탄을 함유한 천연가스 연료(10)를 탈황기(20)에서 공급받아 황 성분을 제거하고, 상기 황 성분이 제거된 천연가스 연료를 가습기(30)를 통과시켜 증기/탄소비율을 조절하며 상기 증기/탄소비율이 조절된 천연가스 연료의 메탄가스를 개질기(40)를 통하여 수소가스로 개질하고, 상기 개질된 수소와 산소를 연료전지 스택(50)에서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함유된 배출가스를 상기 가습기로 공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연료전지 배출가스 폐열회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50)과 가습기(30) 사이에는 2중관 콘덴서(60)를 설치하여 이에 연료전지 스택(50)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가스를 진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순수(80)를 공급하여 그를 150℃ 이상으로 열 교환하고 그 열 교환된 수증기에 순수를 다시 공급하여 증기/물믹서기(70)에서 혼합 한 후 가습기에 공급하여 가습기 출구로 배출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을 1.8 - 2.2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의 양은 분당 100-200리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중관 콘덴서(60)에 공급되는 순수(80)를 증기/물믹서기(70)에 직접 공급하되, 그 공급량은 분당 0.2 - 0.3kg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 제어방법.
KR1020070135099A 2007-12-21 2007-12-2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5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99A KR100950363B1 (ko) 2007-12-21 2007-12-2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99A KR100950363B1 (ko) 2007-12-21 2007-12-2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427A KR20090067427A (ko) 2009-06-25
KR100950363B1 true KR100950363B1 (ko) 2010-03-29

Family

ID=4099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99A KR100950363B1 (ko) 2007-12-21 2007-12-2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232B1 (ko) 2013-07-23 2016-03-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5794A (ja) * 1991-11-11 1993-06-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燃料電池発電装置
KR20020056123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연료전지의 가습장치
JP2005162583A (ja) 2003-12-05 2005-06-23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水蒸気改質型水素製造装置
JP2005276616A (ja) 2004-03-24 2005-10-06 Tokyo Gas Co Ltd 発電システムおよび前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5794A (ja) * 1991-11-11 1993-06-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燃料電池発電装置
KR20020056123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연료전지의 가습장치
JP2005162583A (ja) 2003-12-05 2005-06-23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水蒸気改質型水素製造装置
JP2005276616A (ja) 2004-03-24 2005-10-06 Tokyo Gas Co Ltd 発電システムおよび前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427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819B2 (ja) Mcfc発電システム
KR100958991B1 (k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배 가스 수분제거 장치 및 그 방법
CA2401758C (en) Fuel cell power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KR20210103677A (ko) 수소 개질 시스템
CA2591819A1 (en) Water and steam management in fuel reformer
KR101851457B1 (ko) 개질 시스템
KR20100030153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연료공급방법
JPH07230816A (ja) 内部改質型固体電解質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51029B1 (ko)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KR100950363B1 (k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증기/탄소비율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7230819A (ja) 自己熱交換型断熱プレリフォーマを有する内部改質型固体電解質燃料電池システム
US8328886B2 (en) Fuel processor hav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co shift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uel processor
RU2353023C1 (ru)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а на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ах
JP2021131948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4622244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3679792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発電装置
JP2009263199A5 (ko)
JP200615601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ガス供給方法
JP200629446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20110050005A (ko)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가스 온도와 습도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3040603A (ja) 水素発生装置
JP2004087350A (ja) 固体電解質燃料電池及び固体電解質燃料電池発電設備
JP4227801B2 (ja)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JP2005170707A (ja) 水素製造装置
WO2014083748A1 (ja) 水素生成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