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302B1 -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 Google Patents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302B1
KR100950302B1 KR1020080028234A KR20080028234A KR100950302B1 KR 100950302 B1 KR100950302 B1 KR 100950302B1 KR 1020080028234 A KR1020080028234 A KR 1020080028234A KR 20080028234 A KR20080028234 A KR 20080028234A KR 100950302 B1 KR100950302 B1 KR 10095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fruit oil
sensor
storage container
lat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945A (ko
Inventor
안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32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03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너텍
Priority to KR102008002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3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69Distributing arrangements; Fluid deflec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택배용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열축열재와 열매유가 함유된 축열콘테이너에서 상기 잠열축열재와 열매유 경계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축열콘테이너에서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컨테이너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매유 순환속도의 과도한 증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잠열축열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 복층, 축열, 필터, 콘테이너, 열택배

Description

센서형 축열콘테이너{Accelerating Container with a Sensor}
본 발명은 열택배용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열축열재와 열매유가 함유된 축열콘테이너에서 상기 잠열축열재와 열매유 경계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축열콘테이너에서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열콘테이너는 콘테이너 내부에 잠열축열재(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충진한 상태에서 열매유(熱媒油)를 이용하여 외부와 콘테이너 간의 열전달을 행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콘테이너에 열을 축열할 때는 외부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뜨거운 열매유를 콘테이너 하부에 주입하여 잠열축열재 사이를 흐르게 함으로써 열매유가 가진 열량을 잠열축열재에 전달하며, 이때 잠열축열재는 응고된 고체상태에서 열을 받으면서 용해되어 액체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잠열축열재가 고체에서 액체로 상이 변하면서 저장된 열은 나중에 방 열과정에서 잠열축열재가 액체에서 고체로 응고하면서 방출되어 열매유를 가열하게 되고, 이 고온의 열매유를 이용하여 축열 콘테이너에서 외부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열매유와 잠열축열재 간의 전열과정에서 가능한 짧은 시간에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열매유가 잠열축열재 사이를 가능한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균일하게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열콘테이너에서는 축열과정에서 고온의 열매유가 응고된 잠열축열재 속을 흐를 때 일단 먼저 유로가 형성된 쪽으로 편류가 발생되어 흐르게 됨으로서 불균일한 유동현상에 의하여 열매유와 잠열축열재 간에 열전달이 지연되고 결과적으로 축열 및 방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축열콘테이너의 한 유형으로서 독일항공우주연구소(Deutsches Zentrum fur Luft-und Raumfahrt)는 열전달 매질(heat transfer medium)을 이용하여 잠열을 축열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관(vessel)을 통하여 상기 열전달 매질을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축열 시스템 내부에 잠열을 축열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다수 개의 관을 설치하여야 하는 제조과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EP 78921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잠열축열재와 열매유가 함유된 열택배용 축열콘테이너에 상기 잠열축열재와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위치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경계면의 위치에 따라 축열콘테이너에서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제어함으로 써, 열매유의 순환속도 증가에 의하여 잠열축열재가 축열콘테이너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택배용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택배용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를 제공한다:
상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잠열을 축열 또는 방열하는 잠열축열재층(phase change material, PCM);
상기 잠열축열재층의 상단에 위치하며 잠열축열재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지는 열매유층;
상기 잠열축열재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된 유입파이프;
상기 열매유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흡입구가 형성된 유출파이프;
상기 유입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공급관;
상기 유출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감지 센서,
여기서, 상기 유입파이프와 유출파이프는 상기 축열콘테이너 삽입된 후 고정 됨.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축열콘테이너 내에서 열매유의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컨테이너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매유 순환속도의 과도한 증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잠열축열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택배용 축열콘테이너의 열매유 순화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축열콘테이너 내에 함유된 잠열축열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잠열축열재(PCM, Phase Change Material)'란 고체에서 액체로 혹은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할 때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열매유'란 잠열축열재에 열을 전달하거나, 잠열축열재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공급관'이란 외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콘테이 너에 열매유를 공급하는 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배출관'이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콘테이너에서 외부로 열매유를 배출하는 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유입파이프'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콘테이너에 삽입되어 포함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열매유를 상기 축열콘테이너 내부로 유입하는 파이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유출파이프'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콘테이너에 삽입되어 포함되며, 상기 축열콘테이너 내부의 열매유를 공급관으로 유출시키는 파이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열매유 방출구'란 상기 유입파이프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파이프를 통하여 컨테이너 내부로 공급되는 열매유를 잠열축열재 내로 유출하는 출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열매유 흡입구'란 상기 유입파이프에서 유출되어 잠열축열재를 통과한 열매유가 유출파이프로 유입되는 입구를 의미하며, 상기 유출파이프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공급속도'란 외부에서 콘테이너로 열매유를 공급하는 속도, 즉, 공급관에서 열매유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흐름속도'란 유입파이프에서 유출된 열매유가 PCM을 통과하여 유출파이프로 유입되는 속도, 즉 컨테이너 내부에서 열매유의 상승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배출속도'란 콘테이너에서 외부로 열매유를 배출하는 속도, 즉, 배출관에서 열매유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순환속도'란 콘테이너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열매유가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다시 콘테이너로 공급되는 순환과정 전체에 걸친 열매유의 속도, 즉, 상기 공급속도, 흐름속도 및 배출속도를 포함하는 상위개념의 열매유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상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잠열을 축열 또는 방열하는 잠열축열재층(phase change material, PCM); 상기 잠열축열재층의 상단에 위치하며 잠열축열재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지는 열매유층; 상기 잠열축열재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된 유입파이프; 상기 열매유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흡입구가 형성된 유출파이프; 상기 유입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공급관; 상기 유출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파이프와 유출파이프는 상기 축열콘테이너 삽입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는 잠열축열재와 열매유의 경계면에 센서가 위치한다.
상기 콘테이너의 형상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콘테이너의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콘테이너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 측면에 유출파이프 및 유입파이프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일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콘테이너 내부로 삽입된 유출파이프 및 유입파이프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유출파이프 및 유입파이프에는 각각 다수 개의 열매유 흡입구 및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테이너의 기능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고체상 잠열축열재가 함유되어 있는 상기 콘테이너로 열매유가 공급되어 잠열축열재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열매유의 열이 잠열축열재로 전달되어 상기 잠열축열재가 고체에서 액체로 상전이를 하면서 열이 축적되는 축열과정일 일어난다. 한편, 이렇게 축적된 열은 상기 잠열축열재가 액체로 고체로 상전이를 하면서 상기 콘테이너로부터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되는 방열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콘테이너는 잠열축열재의 상전이로 인한 축열 및 방열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열축열재는 비중이 1.3~1.5이고, 분자크기가 7~8nm인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유는 비중이 0.7~0.9이고, 분자크기가 4~5nm인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열축열재는 초산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및 에리스리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유는 써미놀(therminol), 쎄리오라(seriola) 및 자리썸(jarither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마그네틱(magnetic) 센서, 광센서(photosensor) 및 변위센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을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잠열축열재와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내부에서 열매유의 흐름속도가 증가하면 잠열축열재와 열매유 경계면에 불안정 유동거리(y)가 생성되는데 상기 불안정유동거리의 절반 지점(y/2)에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열매유의 흐름속도를 감지한다. 열매유의 흐름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열매유의 흐름에 따라 잠열축열재도 함께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열매유의 흐름속도를 감지하여 흐름속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펌프에 의해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감소시킨다.
불안정 유동거리란 축열콘테이너 내부의 열매유의 속도가 상승하게 되면 비중차에 의해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던 열매유와 PCM 간의 경계면이 소멸되면서 부분적으로 열매유와 PCM이 뒤섞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열매유와 PCM이 뒤섞여 있는 경계층의 두께를 가리킨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축열콘테이너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축열콘테이너 내에서 열매유의 흐름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열매유의 순환속도 제어방법을 이용하면 잠열축열재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두 개가 결합되어 복층화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두 개의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를 각각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라 명명하고,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는 다음의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된 제1 유입파이프, 열매유 흡입구가 형성된 제1 유출파이프 및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된 제2 유입파이프, 열매유 흡입구가 형성된 제2 유출파이프 및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상기 제1 유입파이프 및 제2 유입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공급관; 상기 제1 유출파이프 및 제2 유출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형성된 펌프(pump).
본 발명에 따른 센서형 축열콘테이는 동일한 형상,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 의해 복층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형상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콘테이너의 형 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 측면에 제1 유출파이프 및 제1 유입파이프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일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내부로 삽입된 제1 유출파이프 및 제1 유입파이프는 용접에 의해 제1 센서형 열콘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테이너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는 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유출파이프 및 제1 유입파이프에는 각각 다수 개의 열매유 흡입구 및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기능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고체상 잠열축열재가 함유되어 있는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로 열매유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잠열축열재가 고체에서 액체로 상전이를 하면서 열이 축적된다. 한편, 이렇게 축적된 열은 상기 잠열축열재가 액체로 고체로 상전이를 하면서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로부터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는 잠열축열재의 상전이로 인한 축열 및 방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와 동일한 형상,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시스템에서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축열콘테이너는 플랜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플랜지 접합이란 일반적으로 관을 접합시킬 때 쓰이는 방법으로, 관의 끝에 관과 직각으로 납작한 날개를 달고 날개에 구멍을 뚫은 관을 플랜지관이라 하며, 이러한 관끼리 볼트 너트를 이용해 접합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랜지 접합을 콘테이너의 연결에 응용하여, 제1 콘테이너의 하부면과 제2 콘테이너의 상부면을 밀착시킨 뒤, 볼트 너트를 이용해 접합시킴으로써 복층화된 축열콘테이너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내에 포함된 제1 유입파이프와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내에 포함된 제2 유입파이프는 공급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은 외부에서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로 열매유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내에 포함된 제1 유출파이프와 제2 센서형 축열 콘테이너 내에 포함된 제2 유입파이프는 배출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로부터 외부로 열매유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출관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어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내부에서 열매유의 흐름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한 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1 센서형 축열 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에서 외부로 열매유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열매유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열매유의 배출량을 증가시켜 배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방열속도를 증가시켜 급속 방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시스템은 잠열축열재와 열매유의 비중 및 분자크기 차이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잠열축열재의 비중 및 분자크기가 열매유보다 큰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시스템의 외부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가 함유되어 있는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유입파이프 및 제2 유입파이프로 순환된 열매유가 공급되면, 열매유 방출구를 통하여 열매유가 잠열축열재 사이를 통과하고, 비중차이로 인하여 열매유가 상승하여 상기 제1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및 제2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유입파이프 및 제2 유입파이프로 유입된 다음,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화 축열콘테이너에는 배출관에 펌프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복층화된 센서형 축열콘테이너와 외부 사이에서 열매유의 공급 및 배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축열 및 방열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테이너 내부에서 열매유의 흐름속도는 그대로 유지한 채, 배출관에서만 배출속도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순환되어 다시 공급관을 통하여 콘테이너로 공급되는 열매유의 공급 속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콘테이너 내부의 열매유의 흐름속도가 증가할 경우 잠열축열재가 열매유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복층화된 두 개의 센서형 축열 컨테이너를 사용하므로, 열매유와 잠열축열재 사이에 전열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단위시간당 전열량이 증대되는 효 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파이프는 필터(filter)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기공의 크기는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출파이프가 필터(filter)로 둘러싸인 센서형 축열시스템의 외부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잠열축열재가 함유되어 있는 콘테이너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파이프로 열매유가 공급되면, 열매유 방출구을 통하여 열매유가 잠열축열재를 통과하고, 비중차이로 인하여 열매유가 상승하여 상기 콘테이너 상부에 위치하는 유입파이프로 유입된 다음,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파이프 둘레의 필터에 의해서 분자크기가 적은 열매유만이 상기 유입파이프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형 센서형 축열시스템에는 유입파이프 둘레에 필터가 있어, 잠열축열재에 비해 분자크기가 적은 열매유만을 통과시키므로, 콘테이너 내부에서 열매유의 상승속도를 가속화하더라도 열매유에 인접한 잠열축열재가 함께 상기 유입파이프 내로 유입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상기 필터형 센서형 축열시스템은 열매유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의 장착으로 인하여 축열 및 방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화 축열콘테이너 및 필터형 축열콘테이너는 열택배용으로 사용된다. 즉, 열택배란 폐열을 응축해 놓은 탱크를 트럭에 실어 수요처까지 배달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콘테이너를 열택배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간 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열콘테이너와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축열과정을 통해 축열이 완료되면 상기 축열콘테이너와 열교환기의 커플링을 해체하고, 트럭에 실어 수요처로 이동한다. 수요처의 열교환기와 상기 축열콘테이너를 연결하여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방열과정을 통해 방열이 완료됨으로써, 수요처에 열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형 축열콘테이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잠열축열재 20: 열매유
30: 유입파이프 40: 유출파이프
50: 열매유 방출구 60: 열매유 흡입구
70: 센서

Claims (11)

  1. 상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잠열을 축열 또는 방열하는 잠열축열재(phase change material, PCM)층;
    상기 잠열축열재층의 상단에 위치하며 잠열축열재에 비해 낮은 비중을 가지는 열매유층;
    상기 잠열축열재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방출구가 형성된 유입파이프;
    상기 열매유층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열매유 흡입구가 형성된 유출파이프;
    상기 유입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공급관;
    상기 유출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잠열축열재 및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위치 감지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파이프와 유출파이프는 상기 축열콘테이너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택배용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축열재는 비중이 1.3~1.5이고, 분자크기가 7~8nm인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콘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유는 비중이 0.7~0.9이고, 분자크기가 4~5nm인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콘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축열재는 초산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및 에리스리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콘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유는 써미놀(therminol), 쎄리오라(seriola) 및 자리썸(jaritherm)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콘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는 마그네틱(magnetic) 센서, 광센서(photosensor) 및 변위센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축열콘테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잠열축열재와 열매유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콘테이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형 축열콘테이너가 2~10개 결합되어 복층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파이프에는 PCM 분리용 필터(filter)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CM 분리용 필터는 상기 유출파이프를 감싸면서 장착되거나, 또는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KR1020080028234A 2008-03-27 2008-03-27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KR10095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34A KR100950302B1 (ko) 2008-03-27 2008-03-27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234A KR100950302B1 (ko) 2008-03-27 2008-03-27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45A KR20090102945A (ko) 2009-10-01
KR100950302B1 true KR100950302B1 (ko) 2010-03-31

Family

ID=4153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234A KR100950302B1 (ko) 2008-03-27 2008-03-27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047A (ko) * 1993-03-27 1994-10-20 김영욱 레벨센서를 이용한 능동제어형 심야전력 빙축열 제어방법과 장치
KR200294561Y1 (ko) 2002-07-15 2002-11-13 주식회사 금화기전 축열식 냉방기기용 축열조의 축빙량 감지장치
JP2005188916A (ja) 2003-12-02 2005-07-14 Kobe Steel Ltd 熱貯蔵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047A (ko) * 1993-03-27 1994-10-20 김영욱 레벨센서를 이용한 능동제어형 심야전력 빙축열 제어방법과 장치
KR200294561Y1 (ko) 2002-07-15 2002-11-13 주식회사 금화기전 축열식 냉방기기용 축열조의 축빙량 감지장치
JP2005188916A (ja) 2003-12-02 2005-07-14 Kobe Steel Ltd 熱貯蔵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45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13184B (zh) 具有储箱和还原剂输送单元的设备
JP2009186056A (ja) 蓄熱容器
CN103974781A (zh) 熔炉
JP2009530566A5 (ko)
KR101990592B1 (ko) 상변화 냉각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팩
KR100950302B1 (ko) 센서형 축열콘테이너
JP4869686B2 (ja) 熱可塑性材料の加熱供給装置および方法
JP6794735B2 (ja) 冷却ユニットおよび空気除去装置
CN105371677B (zh) 一种直接接触相变式蓄热装置
KR100950299B1 (ko) 급속 축열 및 방열이 가능한 축열콘테이너
JP427967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システムのためのストレーナ及びレベル指示計
JPS5926878B2 (ja) 潜熱蓄熱器
CN107152357B (zh) 用于至少部分地设置在工作液罐内的热交换器和用于这样的热交换器的热交换体
JP4494375B2 (ja) 熱輸送システム
JP5257982B2 (ja) 蓄熱装置および蓄熱ユニット
KR20050032486A (ko) 항온액 순환장치
JP4978330B2 (ja) 中和装置、燃焼装置、並びに、給湯装置
BR102021007257A2 (pt) Sistema híbrido de armazenamento de água para uma aeronave, e, método de gerenciamento de armazenamento de água em uma aeronave
KR20170117031A (ko) 잠열 저장기의 혼합용기와 그 작동 방법
WO2020202487A1 (ja) 蓄熱装置
JP4978328B2 (ja) 中和装置、燃焼装置、並びに、給湯装置
JPH11159884A (ja) 蓄熱装置
JP5516877B2 (ja) 漏液検知装置
FR3058787B1 (fr) Echangeur thermique
JP2009052854A (ja) 蓄熱体およびヒートポンプ型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