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167B1 - 자동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167B1
KR100950167B1 KR1020080095222A KR20080095222A KR100950167B1 KR 100950167 B1 KR100950167 B1 KR 100950167B1 KR 1020080095222 A KR1020080095222 A KR 1020080095222A KR 20080095222 A KR20080095222 A KR 20080095222A KR 100950167 B1 KR100950167 B1 KR 10095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t
tray
entry
guid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65D45/22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입출되고, 수납공간부를 갖는 입출수납부의 전방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회동지지대들과, 입출공간부의 전면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지지대들을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트레이본체내에서 입출수납부가 탄발력으로 입출되도록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유동시 입출수납부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납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상기 입출수납부가 용이하게 입출하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트레이, 트레이본체, 입출수납부, 전면커버, 힌지, 탄성부재, 안내부, 고정부, 안내부재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Tra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입출되고, 수납공간부를 갖는 입출수납부의 전방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회동지지대들과, 입출공간부의 전면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지지대들을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트레이본체내에서 입출수납부가 탄발력으로 입출되도록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유동시 입출수납부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납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상기 입출수납부가 용이하게 입출하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전방구조는 크게 내판부와 외판부로 구분되고 외판부는 엔진 등이 장착되는 기관실을 구성하는 본 네트의 상부 덮개인 후드와 헤드렘프 등이 설치되는 전방패널을 포함한다.
내판부는 엔진룸과 승객 칸을 구획하는 대시패널과 운전석 및 계기판 등이 설치되며, 실내공간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전방 플로어 패널과 측면구조를 이루며 서스펜션부재가 장착되는 타이어 에이프런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내판부의 상기 대쉬패널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은 속도계, 연료계기부 및 오디오 시스템 등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대개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으로 형성되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중앙부에는 센터패시어패널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차량의 센터패시어 패널상에 트레이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의 전면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1)과 센터패시어 패널(103)이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센터패시어패널(103)상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10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시된 예의 트레이(105)는 그 전면에 트레이 커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고, 어느정도의 큰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한점이 있으나, 차량의 급정거시 수납된 물품이 흔들리거나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트레이 커버가 설치된 트레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커버(113)가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트레이(200)는 트레이커버(113)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인 댐퍼(117)와 기어(115)가 트레이본체(1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댐퍼(117)가 트레이본체(111)에 결착고정되고, 댐퍼기어(119)와 맞물려 있는 기어(115)가 회전함으로 트레이커버(113)가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트레이구조에 있어서, 기어(115)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 우 트레이본체(111)로부터 쉽게 빠질 위험이 있으며, 또한 기어(115)의 내측에 삽착되어 있는 스프링부재(118)에 의한 측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기어(115)가 측방향으로 빠져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댐퍼(117)와 기어(115)간 정상적인 치합상태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트레이커버(113)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입출되고, 수납공간부를 갖는 입출수납부의 전방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회동지지대들과, 입출공간부의 전면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지지대들을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트레이본체내에서 입출수납부가 탄발력으로 입출되도록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유동시 입출수납부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납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상기 입출수납부가 용이하게 입출하도록 한 새로운 자동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입출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방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대를 형성한 트레이본체와; 상기 지지대들과 결합되는 회동지지대를 전방하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입출공간부에서 입출되며, 수납공간부를 갖는 입출수납부와; 상기 입출수납부에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지지대들과 상기 회동지지대들을 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부는 상기 입출공간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하부는 상기 입출공간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수납부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가이드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기어부에서 가이드되도록 가이드기어를 내측에 형성한 안내부재가 상기 트레이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수납부 후방의 상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전방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의 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후방에 만곡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안내돌기를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입출공간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측에서 결합되도록 결합고정구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 전방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사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드고정구가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는 트레이본체의 전면에서 입출되는 입출수납부에 수납공간부를 위에서 아래로 소정의 물을 수납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자동차의 유동에 따른 심한 움직임시 수납공간부를 열었을때 수납된 물품들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부재와 입출수납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기어부를 서로 상호연결하여 트레이본체의 입출공간부에서 상기 입출수납부가 부드럽고 원할하게 작동되 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이본체의 고정부와 입출수납부의 안내부와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트레이의 본체의 전면을 원터치로 눌러 입출수납부를 전방으로 열고 닫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트레이(100)는 트레이본체(10)와, 입출수납부(20)와, 전면커버(30)와, 힌지(40)와, 탄성부재(50)와, 안내부재(60)와, 안내부(70)와, 고정부(80)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0)는 내부에 입출공간부(11)가 형성되고, 전방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대(1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사각둘레에서 플랜지부(92)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92)의 사각 둘레면에 네개의 통공(91)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91)들은 자동차의 센터패시어패널(103)의 공간부(미도시)의 둘레에 형성된 통공(미도시)들과 일치되게 하되, 상기 트레이본체(10)가 상기 공간부(미도시)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통공(91)과 상기 공간부(미도시)의 둘레에 형성된 상기 통공(미도시)에 고정볼트(90)로 결합되어 고정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2)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대(12)에는 삽입공(13a)이 형성된다.
상기 입출수납부(20)는 상기 지지대(12)들과 결합되는 회동지지대(21)를 전방하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입출공간부(11)에서 입출되며, 수납공간부(2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공간부(22)는 소정의 물품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지지대(21)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지지대(21)에는 삽입공(13b)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30)는 상기 입출수납부(20)에 전면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입출수납부(20)의 전면 사각둘레에 다수개의 결착구(25)를 형성하여 상기 결착구(25)들의 내측에 안착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힌지(40)는 상기 지지대(12)들과 상기 회동지지대(21)들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12)들의 상기 삽입공(13a)과 상기 회동지지대(21)들의 상기 삽입공(13b)이일치되게 한다음에 상기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힌지(4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부는 상기 입출 공간부(11)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하부는 상기 입출공간부(11)의 상면을 지지하도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재(60)는 내측에 가이드기어(61)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기어(61)는 상기 입출수납부(2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가이드기어부(23)와 치합되어 구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60)는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63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60)는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63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안내부재(60)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공(13c)과 상기 결합공(63a)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공(13d)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볼트(62)로 고정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70)는 전방에 다수개의 결합구(7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71)의 후방에 걸림턱(7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72)의 후방에 만곡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안내돌기(7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72)은 트레이본체(10)로부터 입출수납부(20)가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걸림턱(72)의 위치에 따라 입출수납부(20)의 각도가 정해지며, 차량실내레이아웃에 따라 입출각도의 변위를 달리할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71)는 상기 입출수납부(20) 후방의 상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 합홈(2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71)와 상기 결합홈(24)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80)는 결합고정구(81)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 전방에는 상기 안내돌기(73)의 사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드고정구(8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고정구(82)는 상기 걸림턱(72)에 걸리거나, 상기 안내돌기(73)사이에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입출공간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공(63b)의 내측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출수납부(2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안내부(70)의 상기 걸림턱(72)은 상기 트레이본체(10)에 상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80)의 상기 슬라이드고정구(82)에 의해 걸려 있어서, 상기 입출수납부(20)는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상기 입출공간부(11)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하게 삽입된 상기 입출수납부(2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열리도록 하기위해서는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전면커버(30)의 전면을 손가락으로 일정한힘으로 후방으로 밀어주게되면, 상기 입출수납부(20)의 상기 안내부(70)의 상기 걸림턱(72)은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상기 고정부(80)의 상기 슬라이드고정구(82)에서 이탈되어 상기 입출수납부(20)를 전방으로 전진시켜주게된다.
이러하게 상기 입출수납부(20)가 전진되는 것은 상기 탄성부재(50)의 상단 이 상기 입출수납부(2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그 하단이 상기 입출공간부(11)를 지지하고 있다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발력으로 상기 입출공간부(11)의 상면에서 상기 입출수납부(20)의 하부면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전방으로 전진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양측면에 설치된 상기 안내부재(60)의 상기 가이드기어(61)는 상기 수납공간부(22)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기어부(23)의 후방에 있다 전방으로 이동되게된다.
상기 입출수납부(20)를 닫는것은 위 동작의 반대로 작용하여주면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항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한다
도 1은 종래차량의 센터패시어 패널상에 트레이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트레이가 설치된 트레이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트레이본체 11: 입출공간부 12: 지지대 20: 입출수납부 21: 회동지지대 22: 수납공간부 23: 가이드기어부 24: 결합홈 30: 전면커버 40: 힌지 50: 탄성부재 60: 안내부재 61: 가이드기어 70: 안내부 71: 결합구 72: 걸림턱 73: 안내돌기 80: 고정부 81: 고정구 82: 슬라이드고정구 100: 자동차용 트레이

Claims (3)

  1. 내부에 입출공간부(11)가 형성되고, 전방하부에 다수개의 지지대(12)를 형성한 트레이본체(10)와;
    상기 지지대(12)들과 결합되는 회동지지대(21)가 전방하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입출공간부(11)에서 입출되며, 수납공간부(22)를 갖는 입출수납부(20)와;
    상기 입출수납부(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30)와;
    상기 지지대(12)들과 상기 회동지지대(21)들을 고정하는 힌지(40)와;
    상기 힌지(4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부는 상기 입출공간부(11)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하부는 상기 입출공간부(11)의 상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50); 로 자동차용 트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납부(20) 후방의 상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홈(24)과;
    상기 결합홈(24)에 결합되는 결합구(71)가 전방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71)의 후방에 걸림턱(7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72)의 후방에 만곡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안내돌기(73)를 구비한 안내부(70)와;
    상기 입출공간부(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공(63b)의 내측에서 결합되도록 결합고정구(81)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 전방에는 상기 안내돌기(73)의 사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드고정구(82)가 형성된 고정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납부(2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가이드기어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기어부(23)에서 가이드되도록 가이드기어(61)를 내측에 형성한 안내부재(60)가 상기 트레이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공(63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3. 삭제
KR1020080095222A 2008-09-29 2008-09-29 자동차용 트레이. KR10095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2A KR100950167B1 (ko) 2008-09-29 2008-09-29 자동차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2A KR100950167B1 (ko) 2008-09-29 2008-09-29 자동차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167B1 true KR100950167B1 (ko) 2010-03-30

Family

ID=4218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22A KR100950167B1 (ko) 2008-09-29 2008-09-29 자동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957A (zh) * 2016-03-16 2017-09-26 福特全球技术公司 多功能存储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659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글로브 박스
KR200141827Y1 (ko) * 1995-12-26 1999-06-01 정몽규 글로브박스 개폐속도 조절장치
KR200146222Y1 (ko) 1995-12-23 1999-06-15 정몽규 수납공간의 크기변동이 가능한 글로브박스
KR100535764B1 (ko) 2004-0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스토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222Y1 (ko) 1995-12-23 1999-06-15 정몽규 수납공간의 크기변동이 가능한 글로브박스
KR200141827Y1 (ko) * 1995-12-26 1999-06-01 정몽규 글로브박스 개폐속도 조절장치
KR19990027659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글로브 박스
KR100535764B1 (ko) 2004-0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스토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957A (zh) * 2016-03-16 2017-09-26 福特全球技术公司 多功能存储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120B2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JP4687470B2 (ja) 車両室内の収納構造
US10131262B2 (en) Armrest with cup holder assembly
US11420566B2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retractable storage volume
US20070013202A1 (en) Vehicle interior accessory having a pivotable door
US9845055B2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US10427612B2 (en) Vehicle door
RU2688402C2 (ru) Узел консоли (варианты) и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30300144A1 (en) Vehicle consol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concealed armrest hinge
US20090302628A1 (en) Mechanism to damper speed in a cupholder and close ashcup lid
KR100950167B1 (ko) 자동차용 트레이.
JP2019098887A (ja) 乗物用ドア
US20040262937A1 (en) Glove box door assembly
US20040188986A1 (en) Airbag module door assembly
US5658058A (en) Floating gear damper
WO2016153474A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JP6759702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KR101610635B1 (ko) 글로브 박스 소음방지 장치
KR100350527B1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KR20060007539A (ko) 자동차용 트레이 구조
JP5432663B2 (ja) 車両用収納ポケット
KR100645137B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이탈방지구조
US20080100081A1 (en) Vehicle interior storage compartment
KR20130106101A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JP2008273456A (ja) 車両用内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