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772B1 - 높이조절 사다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772B1
KR100949772B1 KR1020090064232A KR20090064232A KR100949772B1 KR 100949772 B1 KR100949772 B1 KR 100949772B1 KR 1020090064232 A KR1020090064232 A KR 1020090064232A KR 20090064232 A KR20090064232 A KR 20090064232A KR 100949772 B1 KR100949772 B1 KR 10094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groove
fixed
clam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일상
Original Assignee
송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일상 filed Critical 송일상
Priority to KR102009006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고정사다리 및 가동사다리와, 상기 고정사다리 및 고정사다리 측면에 결합하는 제1, 2 도르레 및 로프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상기 가동사다리에 결합하여 가동사다리의 고정결합 및 걸림방지 역할을 하는 클램퍼와, 상기 고정사다리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 발판과, 고정사다리 및 가동사다리에 결합하는 슬라이딩 캡으로 구성되어, 승강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동사다리를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승강 후 로프를 로프고정홈에 결합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클램퍼에 의해 가동사다리의 승강 및 승강이 이루어진 후 클램핑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승강된 가동사다리를 줄일 때에도 간단한 조작으로 가동사다리를 줄일 수 있고, 제1, 2 슬라이딩 캡에 의한 가동사다리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1, 2 슬라이딩 캡 및 상부 캡에 의해 벽면에 거취시 벽면의 파손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는 미끄럼방지 발판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력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를 제공한다.
높이조절, 슬라이딩, 로프

Description

높이조절 사다리{Height controllable ladder}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동사다리를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승강 후 로프를 로프고정홈에 결합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클램퍼에 의해 가동사다리의 승강 및 승강이 이루어진 후 클램핑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승강된 가동사다리를 줄일 때에도 간단한 조작으로 가동사다리를 줄일 수 있고, 제1, 2 슬라이딩 캡에 의한 가동사다리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1, 2 슬라이딩 캡 및 상부 캡에 의해 벽면에 거취시 벽면의 파손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는 미끄럼방지 발판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력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이조절 사다리는 로프를 이용해 사용자가 손쉽게 사다리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높이조절 사다리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좌 우 대칭되어 있는 제1 메인 프레임(1120)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1120)과 회동부재(1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좌 우 대칭되어 있는 제2 메인 프레임(1130)으로 구성된 고정 사다리(1110)와, 상기 제1, 2 메인 프레임(1120, 1130)에 결합되며, 로프(240, 250)의 조작에 의해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각각 좌, 우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는 제1, 2 서브 프레임(1220, 1230)을 포함하는 가동사다리(1210)와, 상기 제1, 2 서브 프레임(1220, 1230)에 형성되어 있는 괘지대(1250, 12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메인 프레임(1120, 1130) 사이와 제1, 2 서브 프레임(1120, 1230) 사이에는 다수의 횡간(1126, 1226, 1136, 123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메인 프레임(1120, 1130) 및 제1, 2 서브 프레임(1120, 1230)의 측면에는 제1 롤러(1244, 1254) 및 제2 롤러(1246, 125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롤러(1246, 1256)에는 로프(L)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단(1242, 1252)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로프(L)를 잡아당겼을 때에 제1, 2 롤러(1244, 1254, 1246, 1256)에 의해 제1, 2 서브 프레임(1220, 1230)이 제1, 2 메인 프레임(1120, 1230)에서 슬라이딩 되어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높이조절 사다리(1000)는 로프(L)와 제1, 2 롤러(244, 254, 246, 256)를 이용하여 가동사다리(1210)를 가동시킨 후, 로프(L)를 결합시킬 수 있을 만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길게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사다리(1110) 및 가동사다리(1210)에 형성된 다수의 횡간(1126, 1226, 1136, 1236)에 묶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높이조절 사다리(1000)를 이용할 때에 로프(L)에 의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고정사다리(1210)와 가동사다리(1110)를 고정결합하는 괘지부(1250, 1260) 이외에는 고정사다리(1210)와 가동사다리(1110)를 고정할 수 있을만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항상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2 서브 프레임(1220, 1230)의 작동 후, 다시 제1, 2 서브 프레임(1220, 1230)을 제1, 2 메인 프레임(1120, 1130)으로 슬라이딩시켜 삽입시킬 때에, 괘지대(1250, 1260)를 사람이 일일이 제쳐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과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가동사다리(1210)제1 서브 프레임(1220)의 연장시 제1 서브 프레임(1220)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 높이조절 사다리(1000)를 벽면 등에 거취할 때에 벽면의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동사다리(1210)를 연장하여 사용할 경우 길어진 길이 만큼 높이조절 사다리(1000)를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는 고정사다리프레임과 고정사다리발판으로 구성된 고정사다리와; 상기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동사다리프레임과 가동사다리발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사다리프레임의 상측으로 상측 캡 결합홈과 상측 캡 결합홀로 구성된 상측 캡을 포함하는 가동사다리와; 일측으로는 상기 고정사다리에 형성된 고정사다리프레임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도르레 결합홈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도르레 결합홈의 타측으로는 제1 도르레를 형성한 제1 도르레부와; 상기 가동사다리에 형성된 가동사다리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도르레 결합홈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상기 제1 도르레부의 중공부에 고정되어 있는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제2 도르레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도르레의 상측으로는 제1 도르레부의 제1 도르레에 감겨있는 로프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로프고정홈을 포함하는 로프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된 제2 도르레부;로 구성된 승강장치와, 상기 가동사다리의 가동사다리프레임에 결합하는 클램퍼 고정부 결합홈을 양 측면에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고정부 회전홈을 포함하는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를 형성하며, 상기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의 양 측면의 스토퍼로 구성된 클램퍼 고정부와; 상기 클램퍼 고정부의 수납홈에 삽입되되, 클램퍼 고정부의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에 형 성된 고정부 회전홈에 대응하는 하우징 회전홈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하우징 힌지홈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발판에 걸릴 수 있도록 제1, 2, 3결합면으로 구성된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에서 유선형으로 연장된 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 회전홈의 상측으로 스프링홈를 형성한 클램퍼 하우징과; 상기 클램퍼 하우징의 하우징 힌지홈과 대응하는 보조플레이트 힌지홈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클램퍼 하우징의 걸림부에 형성된 제1 결합면의 측면과 대응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면과 이웃하는 면에 형성된 걸림방지면으로 구성된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클램퍼 고정부와 클램퍼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하며, 일측은 클램퍼 고정부의 하측 수납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클램퍼 하우징의 스프링 홈에 고정되는 토우션스프링;으로 구성된 클램퍼와, 상기 발판 결합부와 볼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발판힌지홈을 포함하는 한쌍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 프레임의 하측 중앙으로 고무재질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발판부로 구성된 미끄럼방지 발판과; 상기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의 상측과 가동사다리의 가동사다리프레임 하측에 고정결합할 수 있는 제1, 2 슬라이딩 캡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슬라이딩 캡 결합홈의 일측으로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으로부터 가동사다리의 가동사다리프레임이 탈착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2 슬라이딩 턱으로 구성된 제1, 2 슬라이딩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에 형성된 승강장치의 제2 도르레부에 형성된 로프고정플레이트의 로프고정홈은 일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 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에 형성된 승강장치의 제2 도르레부에 형성된 로프고정플레이트의 로프고정홈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에 형성된 클램퍼의 클램퍼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회전홈의 하단부에는 토우션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토우션 스프링의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에 형성된 미끄럼방지 발판에 형성된 발판 결합부의 힌지 고정홈과 발판부의 발판힌지홈은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에 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는 승강장치의 제1, 2 도르레부 및 상기 도르레부에 연결되어 있는 로프에 의해 고정사다리에서 가동사다리를 손쉽게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동사다리의 연장이 이루어진 후 로프를 로프고정플레이에 형성된 로프고정홈에 결합하여 마무리를 지을 수 있어, 사용자가 높이조절 사다리를 이용해 높은 곳에 올라갈 때에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가동사다리가 자력에 의해 하향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퍼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퍼 하우징의 곡면부에 의해 승강장치를 이용해 가동사다리를 연장시킬 때에,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발판에 걸리지 않고 연장이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가동사다리가 연장되면 승강장치의 작동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면, 클램퍼 하우징의 걸림부가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발판에 걸리면서 클램퍼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동사다리의 연장 및 연장 후에 가동사다리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퍼에 형성된 클램퍼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플레이트는 클램퍼 하우징의 걸림부에 형성된 제 1결합면의 측면과 원활히 맞닿도록 제1 접촉면을 형성하여 가동사다리의 연장이 이루어질 때,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발판이 클램퍼 하우징의 걸림부에 걸리지 않도록 작용하고, 가동사다리를 줄일 때에는 걸림방지면에 의해 논스톱으로 가동사다리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사다리 및 고정사다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2 슬라이딩 캡에 의해 가동사다리가 원활히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부 캡 및 제1 슬라이딩 캡에 의해 벽면 등에 거취시킬 때에, 고정사다리 및 가동사다리의 프레임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벽면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미끄럼방지 발판에 의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미끄럼방지 발판과 고정사다리의 고정사다리프레임과의 결합이 발판고정홈과 회전을 위해 형성된 힌지고정홈 2개소에서 이루어져 결합력이 향상되어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사다리(100), 가동사다리(200), 승강장치(300) 및 클램퍼(400), 미끄럼방지 발판(500), 제1, 2 슬라이딩 캡(600, 700)으로 구성된다.
우선, 고정사다리(100)는 한쌍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사다리프레임(110) 사이에는 고정사다리발판(12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사다리(200)는 한쌍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사이에는 가동사다리발판(220)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상측으로는 상측 캡(231)과 상측 캡 결합홀(232)로 구성된 상측 캡(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장치(300)는 제1, 2 도르레부(310)로 구성된다.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제1 도르레부(310)는 일측으로는 상기 고정사다리(100)에 형성된 고정사다리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도르레 결합홈(3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앙으로는 로프(L)를 고정할 수 있는 중공부(312)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중공부(312)를 중심으로 제1 도르레 결합홈(311)이 형성된 타측으로는 제1 도르레(313)이 구비된다.
또한, 제2 도르레부(320)는 상기 가동사다리(200)에 형성된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도르레 결합홈(32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상기 제1 도르레부(310)의 중공부(312)에 결합되어 있는 로프(L)가 감길 수 있으면서, 제1 도르레부(310)의 제1 도르레(313)에 다시 감길 수 있도록 제2 도르레(32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도르레(322)의 상측으로는 제1 도르레부(310)의 제1 도르레(313)에 감긴 로프(L)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로프고정홈(323a)를 포함하는 로프고정플레이트(3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프고정플레이트(323)의 로프고정홈(323a)은 도 4에서와 같이 통상의 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a),(b)에서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로프(L)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의 (c)에서와 같이 로프(L)의 고정을 더욱 손쉽게 하도록 ㄴ자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고정플레이트(323)의 로프고정홈(323a)은 도 5의 (d)에서와 같이 로프(L)의 고정시 로프(L)가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부(324)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클램퍼(400)는 클램퍼 고정부(410)와 클램퍼 하우징(420), 보조플레이트(430) 및 볼트(440)와 토우션 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우선, 클램퍼 고정부(410)는 상기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에 결합하는 클램퍼 고정 결합홈(411)을 양 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퍼 고정 결합홈(411) 사이의 중앙에는 고정부 회전홈(412)을 포함하는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가 구성되며, 상기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 사이에는 수납홈(415)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415)의 양 측면에는 스토퍼(416)가 구비된다.
한편, 클램퍼 하우징(420)은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의 수납홈(41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의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회전홈(412)과 대응되는 하우징 회전홈(421)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하우징 힌지홈(421a)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상기 가동사다리(200)를 가동한 후 고정시킬 때에,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걸릴 수 있도록 고정사다리발판(120)과 동일한 형상의 제1, 2, 3 결합면(422a, 422b, 422c)으로 구성된 걸림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422)의 연장선상에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곡면부(423)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는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시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클램퍼 하우징(420)이 걸리지 않는 유선형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플레이트(430)는 상기 클램퍼 하우징(420)의 하우징 힌지홈(421a)에 통상의 힌지(H)에 의해 결합가능하도록 보조플레이트 힌지홈(431)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면(422a)의 측면에 맞닿을 수 있는 제1 접촉면(43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면(432)과 이웃하는 면에는 걸림방지면(433)을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와 클램퍼 하우징(420)을 연결하는 볼트(440)와 상기 볼트(440)에 결합하며, 일측은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의 하측 수납플레이트(414)에 고정되고, 타측은 클램퍼 하우징(420)의 스프링 홈(424)에 고정되는 토우션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7에서와 같이 클램퍼 하우징(420)의 하우징 회전홈(421)의 하단 부에는 토우션 스프링(450)이 삽입될 수 있으면서 토우션 스프링(45)의 끝단이 걸릴 수 있는 단턱부(42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미끄럼방지 발판(500)은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 하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발판 고정힌지홈(511)과 힌지고정홈(512)을 형성한 발판 결합부(510)와, 상기 발판 결합부(510)와 볼트(5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발판힌지홈(531a)을 포함하는 한쌍의 발판프레임(531)과 상기 발판프레임(531)의 하측 중앙으로 바닥면과 맞닿을 때에 미끄럼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부(532)를 포함하는 발판부(5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 발판(500)의 발판 결합부(510)와 발판부(530)는 볼트(520)에 의해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에 일체로 결합하여 결합력을 더욱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슬라이딩 캡(600, 700)은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 상측과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 하측에 각각 고정결합할 수 있는 제1, 2 슬라이딩 캡 고정홈(620, 7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슬라이딩 캡 고정홈(620, 720)의 일측으로는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이 탈착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2 슬라이딩턱(630, 73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는 평상시에는 고정사다리(100)에 가동사다리(200)가 겹쳐져 있는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에,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미끄럼방지 발판(500)의 발판부(530)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방지부(532)에 의해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미끄럼방지 발판(500)의 발판 결합부(510)로부터 발판부(530)가 볼트(5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가 어떠한 각도로 거취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발판(500)은 발판 결합부(510)의 발판 고정홈(511)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과 고정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발판 결합부(510) 및 발판부(520)을 연결하는 볼트(520)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결합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캡(600)에 의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가 거취되는 벽면의 파손을 줄이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와 같이 고정사다리(100) 및 가동사다리(200)가 겹쳐진 상태로는 작업할 수 없는 높이에서 작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동사다리(200)를 연장시키 위해 승강장치(300)에 형성된 로프(L)를 잡아당기게 되면, 고정사다리(100) 및 가동사다리(20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장치(300)의 제1, 2 도르레부(310, 320) 의 제1, 2 도르레(313, 322)에 의해 가동사다리(20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의 상측과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슬라이딩 캡(600, 700)의 제1, 2 슬라이딩 턱(630, 730)이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과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을 고정하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클램퍼(400)가 고정사다리(10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사다리발판(120)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클램퍼(400)는 도 10에서와 같이 높이조절 사다리(5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클램퍼 하우징(420)의 제1 결합면(422a)의 측면과 보조플레이트(430)의 제1 접촉면(432)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퍼(400)의 클램퍼 하우징(420)에 형성되어 있는 유선형 형상의 곡면부(423)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과 맞닿게 되며, 승강장치(300)의 로프(L)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클램퍼 하우징(420)의 유선형의 곡면부(423)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을 타고 넘어가려 한다.
이와 동시에 클램퍼 고정부(410)의 고정부 회전홈(412)과 클램퍼 하우징(420)의 하우징 회전홈(421)을 결합하는 볼트(440) 및 토우션 스프링(450)에 의해 클램퍼 하우징(420)이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퍼 고정부(410)에서 회전이 이루어져 클램퍼 하우징(420)의 유선형의 곡면 부(423)에 의해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을 타고 넘어가게 됨으로써, 가동사다리(200)는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을 통과한 후에는 토우션 스프링(450)에 의해 클램퍼 하우징(420)은 최초의 자리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승강장치(300)의 로프(L)를 이용하여 가동사다리(200)를 상승시키던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가동사다리(200)가 가까워지게 되면, 사용자는 가동사다리(200)에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의 클램퍼(400)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을 지나는 순간에 잡아당겼던 로프(L)에 힘을 천천히 해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의 클램퍼(400)의 클램퍼 하우징(420)에 힌지(H)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보조플레이트(430)의 제1 접촉면(432)이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의 하단부에 맞닿게 되어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에 사용자가 승강장치(300)의 로프(L)에 가한 힘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승강장치(300)에 의해 상승하였던 가동사다리(200)가 중력에 의해 하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서,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가 결합됨과 동시에 클램퍼 하우징(420)에 힌지(H)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보조플레이트(430)가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사다리(100)와 고정사다리(200)가 클램퍼(400)에 의해 고정결합된 상태로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캡(230)에 의해 본 발명의 높이조절 사다리(800)가 거취되는 벽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거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승강장치(300)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L)를 승강장치(300)의 제2 도르레부(320)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고정홈(323a)에 삽입시켜 매듭을 짓게 되면, 상기 클램퍼(400)에 의한 고정사다리(100) 및 가동사다리(200)의 고정결합뿐만 아니라, 승강장치(300)의 로프(L)에 의한 고정결합도 이루어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 사다리(500)를 연장시켜 사용하던 중 작업이 완료하여 처음 상태로 고정사다리(100)와 가동사다리(200)를 겹치게 하기 위해서는 승강장치(300)의 로프(L)를 로프고정홈(323a)에서 매듭을 푼 후 상기 로프(L)를 가동사다리(200)가 가동하는 방향으로 살짝 잡아당기게 되면, 보조플레이트(430)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의해 회전하여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에 형성된 제1 결합면(422a)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과 보조플레이트(430)의 제1 접촉면(432)이 맞닿을 때까지 로프(L)를 잡아당긴다.
그런 후, 승강장치(300)의 로프(L)를 서서히 놓게 되면, 보조플레이트(430)의 걸림방지면(433)에 의해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최초의 상태로 가동사다리(200)가 위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높이조절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제2 도르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우션 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슬라이딩 캡을 도시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사다리,
110:고정사다리프레임 120:고정사다리발판
200:가동사다리,
210:가동사다리프레임 220: 가동사다리발판
230:상측 캡 231:상측 캡 결합홈 232:상측 캡 결합홀
300 : 승강장치,
310:제1 도르레부 311:제1 도르레 결합홈 312:중공부 313:제1 도르레
320:제2 도르레부 321:제2 도르레 결합홈 322:제2 도르레 L:로프
323:로프고정플레이트 323a:로프고정홈 324:코팅부
400 : 클램퍼,
410:클램퍼 고정부 411:클램퍼 고정부 결합홈 412:고정부 회전홈
413:상측 수납플레이트 414:하측 수납플레이트 415:수납홈 416:스토퍼
420:클램퍼 하우징 421a:하우징 회전홈 422:걸림부 422a:제1 결합면
422b:제2 결합면 422c:제3 결합면 423:곡면부 424:스프링 홈 425:단턱부
430:보조플레이트 431:보조플레이트 힌지홈 432:제1 접촉면
433:걸림방지면
440:볼트 450:토우션스프링
500 : 미끄럼방지 발판
510:발판결합부 511:발판 고정홈 512:힌지 고정홈
520 :볼트
530:발판부 531:발판프레임 531a:발판힌지홈 532:미끄럼방지부
600 : 제1 슬라이딩 캡
620:제1 슬라이딩 캡 고정홈 630:제1 슬라이딩 턱
700 : 제2 슬라이딩 캡
720:제2 슬라이딩 캡 고정홈 730:제2 슬라이딩 턱
800 : 높이조절 사다리

Claims (5)

  1. 고정사다리프레임(110)과 고정사다리발판(120)으로 구성된 고정사다리(100);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동사다리프레임(210)과 가동사다리발판(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상측으로 상측 캡 결합홈(231)과 상측 캡 결합홀(232)로 구성된 상측 캡(230)을 포함하는 가동사다리(200);
    일측으로는 상기 고정사다리(100)에 형성된 고정사다리프레임(110)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도르레 결합홈(31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로프(L)를 고정할 수 있는 중공부(312)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도르레 결합홈(311)의 타측으로는 제1 도르레(313)를 형성한 제1 도르레부(310)와;
    상기 가동사다리(200)에 형성된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도르레 결합홈(32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상기 제1 도르레부(310)의 중공부(312)에 고정되어 있는 로프(L)가 감길 수 있는 제2 도르레(32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도르레(322)의 상측으로는 제1 도르레부(310)의 제1 도르레(313)에 감겨있는 로프(L)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로프고정홈(323a)을 포함하는 로프고정플레이트(323)로 구성된 제2 도르레부(320);로 구성된 승강장치(300);
    상기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에 결합하는 클램퍼 고정부 결합홈(411)을 양 측면에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고정부 회전홈(412)을 포함하는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를 형성하며, 상기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홈(415) 및 상기 수납홈(415)의 양 측면의 스토퍼(416)로 구성된 클램퍼 고정부(410)와;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의 수납홈(415)에 삽입되되, 클램퍼 고정부(410)의 상, 하측 수납플레이트(413, 414)에 형성된 고정부 회전홈(412)에 대응하는 하우징 회전홈(421)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하우징 힌지홈(421a)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발판(120)에 걸릴 수 있도록 제1, 2, 3 결합면(422a, 422b, 422c)으로 구성된 걸림부(422)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422)에서 유선형으로 연장된 곡면부(42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 회전홈(412)의 상측으로 스프링홈(424)를 형성한 클램퍼 하우징(420)과;
    상기 클램퍼 하우징(420)의 하우징 힌지홈(421a)과 대응하는 보조플레이트 힌지홈(431)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클램퍼 하우징(420)의 걸림부(422)에 형성된 제1 결합면(422a)의 측면과 대응하는 제1 접촉면(43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면(432)과 이웃하는 면에 형성된 걸림방지면(433)으로 구성된 보조플레이트(430)와;
    상기 클램퍼 고정부(410)와 클램퍼 하우징(420)을 연결하는 볼트(440);와, 상기 볼트(440)에 결합하며, 일측은 클램퍼 고정부(410)의 하측 수납플레이트(414)에 고정되고, 타측은 클램퍼 하우징(420)의 스프링 홈(424)에 고정되는 토우션스프링(450);으로 구성된 클램퍼(400);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 하측에 결합하는 발판 고정홈(511)과 힌지 고정홈(512)을 형성한 발판 결합부(510)와;
    상기 발판 결합부(510)와 볼트(5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발판힌지홈(531a))을 포함하는 한쌍의 발판프레임(531)과 상기 발판 프레임(531)의 하측 중앙으로 고무재질의 미끄럼 방지부(532)를 포함하는 발판부(530)로 구성된 미끄럼방지 발판(500);
    상기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의 상측과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 하측에 고정결합하는 제1, 2 슬라이딩 캡 고정홈(620, 7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2 슬라이딩 캡 고정홈(620, 720)의 일측으로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사다리(200)의 가동사다리프레임(210)이 탈착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2 슬라이딩 턱(630, 730)으로 구성된 제1, 2 슬라이딩 캡(600, 70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300)의 제2 도르레부(320)에 형성된 로프고정플레이트(323)의 로프고정홈(323a)은 일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300)의 제2 도르레부(320)에 형성된 로프고정플레이트(323)의 로프고정홈(323a)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부(32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의 클램퍼 하우징(420)에 형성된 하우징 회전홈(421)의 하단부에는 토우션 스프링(450)이 삽입되면서 토우션 스프링(450)의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425)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발판(500)에 형성된 발판 결합부(510)의 힌지 고정홈(512)과 발판부(520)의 발판힌지홈(531a)은 고정사다리(100)의 고정사다리프레임(110)에 볼트(520)에 의해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높이조절 사다리.
KR1020090064232A 2009-07-14 2009-07-14 높이조절 사다리 KR10094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32A KR100949772B1 (ko) 2009-07-14 2009-07-14 높이조절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32A KR100949772B1 (ko) 2009-07-14 2009-07-14 높이조절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72B1 true KR100949772B1 (ko) 2010-03-30

Family

ID=421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232A KR100949772B1 (ko) 2009-07-14 2009-07-14 높이조절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7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34Y1 (ko) * 2011-07-20 2013-07-08 김찬균 사다리 장치
KR200477505Y1 (ko) * 2010-11-17 2015-06-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저 슬로프형 계단
KR101709703B1 (ko) 2016-09-01 2017-02-23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스프링 핀 고정 기반 길이조절형 2단 사다리
CN110056306A (zh) * 2019-05-20 2019-07-26 苏州江南航天机电工业有限公司 车载组合梯
KR20200108595A (ko) 2019-03-11 2020-09-21 진 신 사다리
KR2022001128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아이지레더 작업플레이트를 갖는 작업사다리에서 안전난간의 높낮이 조절용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138U (ko) 1976-09-16 1978-04-15
JPH0547276Y2 (ko) * 1989-03-04 1993-12-13
JPH0659599U (ja) * 1993-01-28 1994-08-19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伸縮梯子用の定滑車取付具
JPH07247776A (ja) * 1994-03-09 1995-09-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作動ロープたるみ防止機構付伸縮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138U (ko) 1976-09-16 1978-04-15
JPH0547276Y2 (ko) * 1989-03-04 1993-12-13
JPH0659599U (ja) * 1993-01-28 1994-08-19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伸縮梯子用の定滑車取付具
JPH07247776A (ja) * 1994-03-09 1995-09-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作動ロープたるみ防止機構付伸縮梯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505Y1 (ko) * 2010-11-17 2015-06-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저 슬로프형 계단
KR200467834Y1 (ko) * 2011-07-20 2013-07-08 김찬균 사다리 장치
KR101709703B1 (ko) 2016-09-01 2017-02-23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스프링 핀 고정 기반 길이조절형 2단 사다리
KR20200108595A (ko) 2019-03-11 2020-09-21 진 신 사다리
CN110056306A (zh) * 2019-05-20 2019-07-26 苏州江南航天机电工业有限公司 车载组合梯
KR2022001128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아이지레더 작업플레이트를 갖는 작업사다리에서 안전난간의 높낮이 조절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72B1 (ko) 높이조절 사다리
US10760338B2 (en) Ladder securing apparatuse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20160369563A1 (en) Ladder pad
AU2005254585B2 (en) A ladder safety device
US10669777B2 (en) Materials handling system
AU2014277621A1 (en) Ladder safety mechanisms
US1964067A (en) Extension ladder
KR100949777B1 (ko) 높이조절 사다리의 승강장치
GB2353557A (en) Trench safety cover
CN214659882U (zh) 一种升降梯
AU2008288673B2 (en) Ladder support apparatus
JPH01503720A (ja) 窓の取付け
KR100949780B1 (ko) 높이조절 사다리의 클램퍼
CN210350156U (zh) 一种防止接地线脱落的保护装置
KR102283776B1 (ko) 비상탈출용 클램프
JP2007056592A (ja) 梯子安定具
KR102270038B1 (ko)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KR20210022205A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CN111265367A (zh) 一种便于斜坡搬运的担架
CN214692799U (zh) 一种电梯用逃生设备
US2631771A (en) Disappearing stairway
US4123041A (en) Lifting tackle
CN215760310U (zh) 一种液压爬模用宽度可调式安全脚手架
CN215666622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吊具
US4630710A (en) Elevatable work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