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34Y1 -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34Y1
KR200467834Y1 KR2020110006593U KR20110006593U KR200467834Y1 KR 200467834 Y1 KR200467834 Y1 KR 200467834Y1 KR 2020110006593 U KR2020110006593 U KR 2020110006593U KR 20110006593 U KR20110006593 U KR 20110006593U KR 200467834 Y1 KR200467834 Y1 KR 200467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ground
adsorp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687U (ko
Inventor
김찬균
Original Assignee
김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균 filed Critical 김찬균
Priority to KR2020110006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3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6Non-ski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프레임부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디딤부 및 프레임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에 흡착되어 프레임부를 벽에 고정시키는 흡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다리 장치{A Ladder Unit}
본 고안은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다리를 구조물의 벽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 사다리가 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사다리가 벽으로부터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고 이탈되거나 미끄러짐으로써,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과제는 벽에 설치된 사다리가 임의로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프레임부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디딤부 및 프레임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에 흡착되어 프레임부를 벽에 고정시키는 흡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는 프레임부에 흡착고정부를 형성하여 흡착고정부를 통해 프레임부를 벽에 견고하게 체결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는 프레임부에 흡착고정부를 형성된 흡착고정부를 통해 프레임부를 벽에 견고하게 체결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는 프레임부에 흡착고정부를 형성하여 흡착고정부를 통해 프레임부를 벽에 견고하게 체결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흡착고정부(130) 및 지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제1 프레임부(110a)와 제2 프레임부(110b)로 한 쌍의 프레임부(110)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부(110)는 제1 프레임부(110a) 및 제2 프레임부(110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프레임부(110a)와 제2 프레임부(1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두께, 굵기 등을 가진다.
디딤부(120)는 프레임부(110)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프레임부(1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디딤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a)와 제2 프레임부(110b)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프레임부(110a)와 제2 프레임부(1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이웃하는 디딤부(120)들끼리는 일정한 이격거리를 둔다.
또한, 디딤부(1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두께, 굵기 등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부(11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진행할수록 소정의 두께, 굵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디딤부(120)는 디딤부체결부(121)에 의해 프레임부(110)와 체결된다.
흡착고정부(130)는 프레임부(1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1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흡착고정부(130)는 프레임부(110)와 벽(2000) 사이에 위치하여 벽(2000)에 달라붙도록 형성함으로써, 프레임부(110)가 벽(20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흡착고정부(130)가 벽(2000)에 단단히 흡착됨으로써, 프레임부(110)가 임의적으로 벽(20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착고정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착고정부(130)는 큰 지름을 가지면서 하나로 형성되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고정부(130)의 크기 또는 개수가 다르더라도 흡착고정부(130)와 벽(2000)이 흡착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흡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지탱부(140)는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110)를 지탱한다. 이러한 지탱부(140)는 제1 프레임부(110a)의 하단과 제2 프레임부(110b)의 하단 각각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110a) 및 제2 프레임부(110b)의 하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사다리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는 일단이 디딤부(120)에 접하고 타단이 제1 프레임부(110a) 또는 제2 프레임부(110b)에 접하면서 디딤부(120)를 지지하는 보강부(15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사다리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200)는 프레임부(210), 디딤부(220), 흡착고정부(230) 및 지탱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210), 디딤부(220), 지탱부(240) 및 보강부(2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지탱부(140) 및 보강부(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흡착고정부(230)는 프레임부(2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2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흡착고정부(230)는 제1 각도 제어부(231)와 제1 흡착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각도 제어부(231)는 프레임부(210)에 체결되어 벽(2000)과 프레임부(210) 간의 각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1 각도 제어부(231)는 제1 프레임부(210a) 및 제2 프레임부(210b)의 상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210a)와 제2 프레임부(2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벽(2000)과 프레임부(210)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각도 제어부(231)는 좌우로 회전하여 프레임부(210)와 벽(2000)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제1 각도 제어부(231)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흡착부(232)와 벽(2000)이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 제어부(231)는 각도체결부(233)를 통해 프레임부(210)와 체결되어 동작된다.
제1 흡착부(232)는 제1 각도 제어부(231)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2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제1 흡착부(232)는 큰 지름을 가지면서 둘 이상이 형성되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적어도 4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흡착부(232)의 크기 또는 개수가 다르더라도 제1 흡착부(232)와 벽(2000)이 흡착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흡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흡착고정부(230)는 제1 각도 제어부(231)와 제1 흡착부(232)를 포함함으로써, 프레임부(210)와 벽(2000)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흡착고정부(230)가 벽(2000)에 더욱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10)가 벽(20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300)는 프레임부(310), 디딤부(320), 흡착고정부(330) 및 지탱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310), 디딤부(320), 지탱부(340) 및 보강부(3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지탱부(140) 및 보강부(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흡착고정부(330)는 프레임부(3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3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흡착고정부(330)는 제2 각도 제어부(331)와 제2 흡착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각도 제어부(331)는 프레임부(310)에 체결되어 벽(2000)과 프레임부(310) 간의 각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2 각도 제어부(331)는 제1 프레임부(310a) 및 제2 프레임부(310b)의 상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310a)와 제2 프레임부(3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벽(2000)과 프레임부(310)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각도 제어부(331)는 제2 실시 예에서 이미 설명한 제1 각도 제어부(231)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한다. 여기서, 제2 각도 제어부(331)는 각도체결부(333)를 통해 프레임부(310)와 체결되어 동작된다.
제2 흡착부(332)는 제2 각도 제어부(331)의 양옆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3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제2 흡착부(332)는 큰 지름을 가지면서 둘 이상이 형성되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적어도 4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흡착부(332)의 크기 또는 개수가 다르더라도 제2 흡착부(332)와 벽(2000)이 흡착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흡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제2 흡착부(332)가 제2 각도 제어부(331)의 양옆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각도 제어부(331)가 제1 각도 제어부(231)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프레임부(310)와 벽(2000)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제2 흡착부(332)와 벽(2000) 간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착부(332)와 벽(2000)이 흡착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흡착고정부(330)는 제2 각도 제어부(331)와 제2 흡착부(332)를 포함함으로써, 작은 회전각도 움직임에도 프레임부(310)와 벽(2000) 간의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흡착고정부(330)가 벽(2000)에 더욱 견고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가 벽(20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3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400)는 프레임부(410), 디딤부(420), 흡착고정부(430) 및 지탱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410), 디딤부(420), 지탱부(440) 및 보강부(4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지탱부(140) 및 보강부(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흡착고정부(430)는 프레임부(4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4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흡착고정부(430)는 제3 흡착부(432)와 로프부(4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흡착고정부(430)는 프레임부(410)의 상단과 프레임부(410)의 하단의 중간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흡착부(432)는 벽(2000)에 흡착되어 프레임부(410)를 벽(2000)에 고정시킨다. 제3 흡착부(432)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제1 흡착부(232) 또는 제2 흡착부(3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프부(43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면서 일단이 제3 흡착부(432)에 체결되고 타단이 프레임부(410)에 체결되된다. 이러한 로프부(431)는 일단이 제3 흡착부(432)와 체결되고, 타단이 프레임부(410)에 체결되되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흡착할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 즉, 프레임부(410)가 벽(2000)에 기대어 접하는 동안 사용자는 로프부(431)가 형성되는 길이 범위 내에서 로프부(431)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3 흡착부(432)를 벽(2000)에 자유롭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프부(431)의 일단에 형성된 제3 흡착부(432)를 벽(2000)에서 평평한 부분만을 골라 흡착시킴으로써, 제3 흡착부(432)와 벽(2000) 간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흡착고정부(430)는 제3 흡착부(432)와 로프부(431)를 포함함으로써, 로프부(431)가 형성되는 길이 범위 내에서 제3 흡착부(432)를 벽(2000)에 자유롭게 흡착시켜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410)가 벽(20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500)는 프레임부(510), 디딤부(520), 흡착고정부(530) 및 미끄럼방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510), 디딤부(520), 흡착고정부(530) 및 보강부(5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흡착고정부(130) 및 보강부(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부(540)는 프레임부(5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5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미끄럼방지부(540)는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의 하단 각각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540)는 프레임부(51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제3 각도제어부(541)와 제3 각도제어부(541)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510)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각도제어부(541)는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3 각도제어부(541)는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즉, 제3 각도제어부(541)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어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정부(542)는 제3 각도제어부(541)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부(542)는 고무성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과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마찰도 증가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제1 프레임부(510a)와 제2 프레임부(5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다리 장치(500)를 오르다가 사다리 장치(500)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600)는 프레임부(610), 디딤부(620), 흡착고정부(630) 및 미끄럼방지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610), 디딤부(620), 흡착고정부(630) 및 보강부(6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210), 디딤부(120,220), 흡착고정부(130,230) 및 보강부(150,2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부(640)는 프레임부(6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6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미끄럼방지부(640)는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의 하단 각각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640)는 프레임부(61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제3 각도제어부(641)와 제3 각도제어부(641)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610)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각도제어부(641)는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3 각도제어부(641)는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즉, 제3 각도제어부(641)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어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정부(642)는 제3 각도제어부(641)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부(642)는 고무성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6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과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마찰도 증가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제1 프레임부(610a)와 제2 프레임부(6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다리 장치(600)를 오르다가 사다리 장치(600)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700)는 프레임부(710), 디딤부(720), 흡착고정부(730) 및 미끄럼방지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710), 디딤부(720), 흡착고정부(730) 및 보강부(7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310), 디딤부(120,320), 흡착고정부(130,330) 및 보강부(150,3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부(740)는 프레임부(7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7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740)는 제3 각도제어부(741)와 고정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각도제어부(741)는 제1 프레임부(710a)와 제2 프레임부(710b)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3 각도제어부(741)는 제1 프레임부(710a)와 제2 프레임부(7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710a)와 제2 프레임부(7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정부(742)는 제3 각도제어부(741)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710a)와 제2 프레임부(7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부(742)는 고무성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800)는 프레임부(810), 디딤부(820), 흡착고정부(830) 및 미끄럼방지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810), 디딤부(820), 흡착고정부(830) 및 보강부(8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410), 디딤부(120,420), 흡착고정부(130,430) 및 보강부(150,4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부(840)는 프레임부(8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8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미끄럼방지부(840)는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의 하단 각각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840)는 제3 각도제어부(841)와 고정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각도제어부(841)는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3 각도제어부(841)는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정부(842)는 제3 각도제어부(841)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부(810a)와 제2 프레임부(810b)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부(842)는 고무성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900)는 프레임부(910), 디딤부(920), 흡착고정부(930) 및 지면흡착고정부(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910), 디딤부(920), 흡착고정부(930) 및 보강부(9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 디딤부(120), 흡착고정부(130) 및 보강부(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지면흡착고정부(940)는 프레임부(9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9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에 흡착되어 프레임부(9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면흡착고정부(940)는 지면각도 제어부(941)와 지면흡착부(9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면각도 제어부(941)는 프레임부(910)에 체결되어 지면과 프레임부(910) 간의 각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지면각도 제어부(941)는 제1 프레임부(910a) 및 제2 프레임부(9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910a)와 제2 프레임부(9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지면과 프레임부(910)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각도 제어부(941)는 각도체결부(943)를 통해 프레임부(910)와 체결되어 동작된다.
지면흡착부(942)는 지면각도 제어부(941)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지면에 흡착되어 프레임부(9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면흡착부(942)는 큰 지름을 가지면서 둘 이상이 형성되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적어도 4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흡착부(942)의 크기 또는 개수가 다르더라도 지면흡착부(942)와 지면이 흡착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흡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지면흡착고정부(940)는 지면각도 제어부(941)와 지면흡착부(942)를 포함함으로써, 프레임부(910)와 지면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지면흡착고정부(910)가 지면에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9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9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0)는 프레임부(1010), 디딤부(1020), 흡착고정부(1030) 및 지면흡착고정부(10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010), 디딤부(1020), 흡착고정부(1030) 및 보강부(10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210), 디딤부(120,220), 흡착고정부(130,230) 및 보강부(150,2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지면흡착고정부(1040)는 프레임부(10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프레임부(1010)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에 흡착되어 프레임부(10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면흡착고정부(1040)는 지면각도 제어부(1041)와 지면흡착부(10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면각도 제어부(1041)는 프레임부(1010)에 체결되어 지면과 프레임부(1010) 간의 각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지면각도 제어부(1041)는 제1 프레임부(1010a) 및 제2 프레임부(1010b)의 하단과 중첩되어 위치하되 제1 프레임부(1010a)와 제2 프레임부(1010b)가 좌우로 회전하여 지면과 프레임부(1010)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각도 제어부(1041)는 각도체결부(1043)를 통해 프레임부(1010)와 체결되어 동작된다.
지면흡착부(1042)는 지면각도 제어부(1041)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지면에 흡착되어 프레임부(10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면흡착부(1042)는 큰 지름을 가지면서 둘 이상이 형성되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적어도 4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흡착부(1042)의 크기 또는 개수가 다르더라도 지면흡착부(1042)와 지면이 흡착되는 영역이 증가할수록 흡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지면흡착고정부(1040)는 지면각도 제어부(1041)와 지면흡착부(1042)를 포함함으로써, 프레임부(1010)와 지면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지면흡착고정부(1010)가 지면에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0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다리 장치(10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100)는 프레임부(1110), 디딤부(1120), 흡착고정부(1130) 및 지면흡착고정부(1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10), 디딤부(1120), 흡착고정부(1130) 및 보강부(11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3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310), 디딤부(120,320), 흡착고정부(130,330) 및 보강부(150,3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100)의 지면흡착고정부(1140)는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900)의 지면흡착고정부(94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200)는 프레임부(1210), 디딤부(1220), 흡착고정부(1230) 및 지면흡착고정부(1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210), 디딤부(1220), 흡착고정부(1230) 및 보강부(12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4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00,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프레임부(110,410), 디딤부(120,420), 흡착고정부(130,430) 및 보강부(150,45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1100)의 지면흡착고정부(1240)는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900)의 지면흡착고정부(940)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프레임부 110a: 제1 프레임부
110b: 제1 프레임부 120: 디딤부
130: 흡착고정부 140: 지탱부
150: 보강부 231: 제1 각도 제어부
232: 제1 흡착부 331: 제2 각도 제어부
332: 제2 흡착부 431: 로프부
432: 제3 흡착부 540: 미끄럼방지부
541: 제3 각도 제어부 542: 고정부
940: 지면흡착고정부 941: 지면각도 제어부
942: 지면흡착부

Claims (9)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디딤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벽에 흡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흡착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고정부는
    상기 벽에 흡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제3 흡착부;와
    일정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3 흡착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체결되는 로프부;
    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탱하는 지탱부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제3 각도제어부;와
    상기 제3 각도제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기울기를 제어하면서 지면에 흡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면흡착고정부;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프레임부 간의 각도를 제어하는 지면각도 제어부;와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면각도 제어부의 하단 면인 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흡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지면 흡착부;
    를 포함하는 사다리 장치.




KR2020110006593U 2011-07-20 2011-07-20 사다리 장치 KR200467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93U KR200467834Y1 (ko) 2011-07-20 2011-07-20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93U KR200467834Y1 (ko) 2011-07-20 2011-07-20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87U KR20130000687U (ko) 2013-01-30
KR200467834Y1 true KR200467834Y1 (ko) 2013-07-08

Family

ID=5139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593U KR200467834Y1 (ko) 2011-07-20 2011-07-20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3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90A (ja) * 1995-03-16 1996-10-01 Hasegawa Kogyo Kk 梯 子
JPH09112166A (ja) * 1995-10-23 1997-04-28 Eisuke Imai 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梯子および梯子用アダプター
KR19990017256A (ko) * 1997-08-22 1999-03-15 황성규 신축형 사다리
KR100949772B1 (ko) * 2009-07-14 2010-03-30 송일상 높이조절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90A (ja) * 1995-03-16 1996-10-01 Hasegawa Kogyo Kk 梯 子
JPH09112166A (ja) * 1995-10-23 1997-04-28 Eisuke Imai 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梯子および梯子用アダプター
KR19990017256A (ko) * 1997-08-22 1999-03-15 황성규 신축형 사다리
KR100949772B1 (ko) * 2009-07-14 2010-03-30 송일상 높이조절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87U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4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ascent
US8925615B2 (en) Cord guiding device for a window blind
JP6651501B2 (ja) 地震事象における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ための横方向の減衰および中間支持
KR200467834Y1 (ko) 사다리 장치
KR101338634B1 (ko) 자전거의 넘어짐 방지장치
US6253876B1 (en) Ladder stabilizer apparatus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US20080134436A1 (en) Stretcher with brake mechanism
KR101577049B1 (ko)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KR100668055B1 (ko)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KR101627774B1 (ko) 사다리용 미끄럼 방지장치
US9220938B2 (en) Playground assembly
KR101251005B1 (ko) 자동차 운반선에서 자동차 추락 방지용 턱의 고정장치
JP6636730B2 (ja) 梯子の保持構造
KR101717958B1 (ko)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JP2018030687A (ja) エレベータ用レール保持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保持方法
US20050238472A1 (en) Wheelchair retention device and method
KR101727023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CN205399926U (zh) 一种悬浮拼装地板支撑结构
KR20150000036U (ko) 작업용 사다리의 추락방지장치
JP6418846B2 (ja) 踊場装置
US20150369421A1 (en) Bracket and Lifting/Lowering Device Assembly
JP2011236580A (ja) 梯子および梯子の設置方法
JP3197376U (ja) 梯子の滑り防止具
JP2015139606A (ja) 担架運搬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