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669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69B1
KR100949669B1 KR1020080057094A KR20080057094A KR100949669B1 KR 100949669 B1 KR100949669 B1 KR 100949669B1 KR 1020080057094 A KR1020080057094 A KR 1020080057094A KR 20080057094 A KR20080057094 A KR 20080057094A KR 100949669 B1 KR100949669 B1 KR 10094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rganic waste
cooling water
pla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227A (ko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동남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플랜트(주) filed Critical 동남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08005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669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로 처리하는 처리 장치로써, 분해조 내부의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고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로 제습 및 열교환 시켜 이를 분해조로 재순환 시킴으로, 외부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으며,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미생물의 착상재로 이용되며 동시에 분해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수분조절재가 필요 없으며,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분해조; 상기 분해조의 교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분해조에 저장된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부; 및 상기 분해조에서 발생된 수분을 제거하고 제습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공급시키는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성 폐기물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ORGANIC WAST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조 내부의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고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로 제습 및 열교환 시켜 이를 분해조로 재순환 시킴으로, 외부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으며,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미생물의 착상재로 이용되며 동시에 분해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수분조절재가 필요 없으며,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투입하여 유기성 폐기물과 미생물을 교반 처리하여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처리 장치 내부에서 미생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다량의 수분이 발생되어, 수분을 조절하는 수분조절재가 필요하였다.
특히, 상기 수분조절재는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유지 관리하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고온의 미생물을 사용하는데 이때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며 발생되는 고온의 포화수증기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였다.
이때, 방출된 포화 수증기는 악취를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온의 포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므로, 미생물의 생존을 위하여 고온을 유지해야 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내부에 별도의 열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해조 내부에서 미생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발생하는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고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로 제습 및 열교환 시켜 이를 분해조로 재순환 시킴으로, 외부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으며,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수분조절재가 별도로 필요 없으며, 마이크로캡슐로 처리된 아케아를 포함한 미생물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효율 및 유지관리 비용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분해조; 상기 분해조의 교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분해조에 저장된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50℃~60℃를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부; 및 상기 분해조에서 발생된 수분을 제거하고 제습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공급시키는 제습가열 순환공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조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1차 분해조, 상기 1차 분해조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2차 숙성조, 상기 2차 숙성조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3차 건조조, 그리고 3차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의 잔사에 대한 배출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흡기관,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와 연결되는 제2 흡기관 및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투입구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형성된 결로(結露)를 수집하기 위한 결로 수집홈, 상기 결로 수집홈과 연결되는 결로 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근접센서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상기 1차 분해조, 상기 2차 숙성조, 상기 3차 건조조를 관통하는 교반로우터와, 상기 교반로우터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교반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결로 수집홈으로 결로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유지부는, 오일주입구와, 상기 오일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오일의 양에 대한 게이지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따라 구동되는 히터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는, 제습가열조와, 상기 분해조에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제습가열조에서 제습과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매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열교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가열조는, 상기 분해조 내부로 제습 가열된 공기를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제1 흡기관이 연결되고, 제1 흡기관의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접촉되어 제습되는 제습판; 상기 제습판을 통과한 제습된 공기가 접촉되어 열교환을 형성시켜 고온의 공기를 형성시키는 재열판; 및 상기 재열판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를 송풍기를 통해 제2 흡기관을 통해 상기 분해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습판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조;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감지센서; 상기 냉각수조의 냉각수를 상기 제습판에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수단; 상기 제습판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조로 회수시 외기와 접촉하여 냉각수와 외기간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에 외기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외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급팬; 상기 재열판과 냉각수 열교환기로 냉매를 강제 유동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압축기; 상기 재열판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로 회수시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기에 의하여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의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주며 냉매의 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리시버탱크 및 드라이필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리시버탱크와 드라이필터를 각각 통과한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는 팽창변; 및 상기 팽창변을 통해 냉각수조로 회수되는 냉매를 통해 상기 제습판에서 회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 열교환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조에 내부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마이크로켑슐화 된 아케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조 내부에서 미생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발생하는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고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로 제습 및 열교환 시켜 이를 분해조로 재순환 시킴으로, 외부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으며, 고온의 포화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켜 사용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조 내부에 수분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수분 조절재가 필요 없으며, 마이크로캡슐로 처리된 아케아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효율 및 유지관리 비용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온도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분해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상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페기물 처리 장치의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크게,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분해조(100a), 상기 분해조(100a)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미생물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온도를 제공하는 온도유지부(300) 및 상기 분해조(100a)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분해조(100a) 내부로 순환 공급시키는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각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1. 분해조 >
상기 분해조(100a)는 상판(110a)과 본체(120a)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상판(110a)은,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01a)와, 상기 투입구(101a)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02a)와,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형성된 상기 분해조(100a) 내부에 형성된 결로(結露)를 수집하기 위한 결로 수집홈(103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로 수집홈(103a)은, 결로가 배출되는 결로 배출부(104a)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로 수집홈(103a)은, 상기 상판(110a)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20a)는, 상기 투입구(101a)에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1차 분해조(121a)와, 상기 1차 분해조(121a)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를 일정시간 숙성시키는 2차 숙성조(122a)와, 상기 2차 숙성조(122a)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는 3차 건조조(123a), 그리고 3차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의 잔사를 배출하는 배출부(124a)와 상기 본체(120a)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흡기관(125a)과,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를 상기 본체(120a)로 공급하는 제2 흡기관(126a)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124a)에 배출되는 잔사를 수집하는 잔사수집홈(500)이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102a)는, 상기 투입구(101a)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투입구(101a)가 개폐되면 상기 근접센서(102a)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200)이 작동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200)은, 교반기(100)기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교반기(100)는 상기 1차 분해조(121a), 상기 2차 숙성조(122a), 상기 3차 건조조(123a)를 관통하는 교반로우터(110)와, 상기 교반로우터(110)와 상기 구동수단(200)에 연결되는 교반장치(12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200)은 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장치(120)과 풀리(125)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200)이 구동되며, 상기 교반로우터(110)가 회전되어 상기 본체(120a)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20a)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마이크로켑슐화 된 아케아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로우터(110)에서 아케아와 함께 교반되어 상기 아케아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게 되며, 마이크로켑슐화 된 아케아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미생물과 상호 연관 작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효율이 증가 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20a)는, 상기 결로 수집홈(103a)으로 결로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128a)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20a)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상기 상판(110a)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는 상기 결로 수집홈(103a)에 의해 수집되고, 상기 결로 수집홈(103a)에 수집된 결로는 상기 경사부(128a)의 경사에 의하여 상기 결로 배출부(104a)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2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부(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게 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근접센서(102a)의 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수단(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분해조(100a)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127a)가 구비되어 분해조(100a) 내부 온도에 따라 온도유지부(300)의 히터선(330)을 가동하여 분해조(100a) 내부 온도를 미생물의 생존 온도대 즉, 미생물이 활발한 활동이 가능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 2. 온도유지부 >
상기 온도유지부(300)는, 상기 본체(120a)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해조(100a)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이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50℃~60℃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오일이 주입되는 오일주입구(310)와, 상기 오일주입구(310)를 통해 주입된 오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320)와, 히터선(330)으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온도유지부(300)에 주입된 오일은 상기 히터선(330)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본체(120a) 내부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게된다.
특히, 상기 히터선(33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부(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 되어 구동되게 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27a)의 신호를 통해 상기 히터선(3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상기 분해조(100a) 내부 온도를 미생물의 생존 온도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 3. 제습가열 순환공급부 >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는, 상기 분해조(100a)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제1 흡기관(125a)을 통해 공급받아 제습가열조(400a)를 거쳐 공기내 수분을 제거한 후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고온의 공기를 상기 제2 흡기관(126a)를 통해 상기 분해조(100a)내부로 순환공급시켜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이 처리시 필요한 온도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의 구성은 고온다습한 공기를 제습 및 재가열하는 제습가열조(400a)와, 상기 분해조(100a)에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제습가열조(400a)에서 제습과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매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열교환부(40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습가열조(400a)는, 상기 상판(110a)에 형성된 제1 흡기관(125a)이 연결되고, 제1 흡기관(125a)으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접촉되어 제습되는 제습판(420a)이 구비되어, 상기 제습판(420a)을 통과한 제습된 공기가 접촉되어 열교환을 통해 고온의 공기를 형성시키는 재열판(430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재열판(430a)의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2 흡기관(126a)을 통해 상기 분해조(100a)로 공급되도록 송풍기(410a)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송풍기(410a)는, 본체(120a)로 공기를 순환공급시키는 것으로, 상기 분해조(100a)에서 발생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제습가열조(400a)로 흡입시키고 상기 제습가열조(400a)에서 제습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분해조(100a) 내부로 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습가열조(400a)에서 발생하는 결로는 드레인배출부(4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결로 배출부(104a)에서 배출되는 결로와 외부로 함께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의 열교환부(400b)는, 상기 제습가열조(400a)로 유입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판(420a)의 냉각수조(405b)에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습판(420a)을 냉각시켜 상기 제습판(420a)에 결로현상을 일으켜 상기 제습판(420a)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열교환 되고 고온다습한 공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냉각수조(405b)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조(405b)로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 의하여 냉각되며 이때, 상기 냉각수조(405b)의 냉각수의 온도는 냉각수 온도감지센서(410b)에서 감지하며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 압축기(440b)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춘,추,동절기에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이 가능하므로, 냉각수 온도감지센서(410b)에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면 압축기(440b)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하절기에 외기에 의한 냉각수의 냉각이 불가능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410b)에 감지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을 일정시간 유지시에는 상기 압축기(440b)를 구동시켜 냉각수조(405b)의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서 냉각수를 냉각시킴으로 상기 제습판(420a)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습판(420a) 공급되어 고온다습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시 외기와 접촉하여 열교환 되는데, 이때, 냉각수와 외기 간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430b)가 구비된다.
특히, 냉각수는 상기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430b)에서 외기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외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급팬(430b-1)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공급수단(420b)은 냉각수를 상기 제습판(420a)에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펌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각수공급수단(420b)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부(미도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된다.
특히, 상기 냉각수는 제1 공급관(405b-1)을 통해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되며,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제습판(420a)을 냉각시킨 후 제1 회수관(405b-2)를 통해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되어, 상기 제1 공급관(405b-1)과 제1 회수관(405b-2)를 통행 상기 제습판(420a)으로 순환 공급되게 된다.
또한, 압축기(440b)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재열판(430a)을 거쳐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공급되게 된다.
특히, 상기 압축기(440b)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상기 재열판(430a)으로 공급시키므로 제습판(420a)을 통과한 공기가 재열판(430a)을 통과하며 고온고압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고온의 공기가 상기 분해조(100a) 내부로 공급되 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에 필요한 열원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재열판(430a)에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열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분해조(100a) 내부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열원을 공급하지 않고 냉매의 폐열을 사용하여 고온의 공기를 발생시킴으로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440b)는 상기 재열판(430a)과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냉매를 강제 유동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때, 냉매는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시 냉매를 응축시켜는 콘덴서(450b)를 거쳐 냉매가 응축되어 외기에 의하여 냉매를 냉각되어 냉매는 저온으로 유지되게 되며, 이때 외기는 제2 외기공급팬(450b-1)에 의하여 외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콘덴서(450b)에서 응축된 냉매는 리시버탱크(460b) 및 드라이필터(470b)를 거치며 이물질과 수분이 걸려지며, 상기 리시버탱크(460b)와 드라이필터(470b)를 각각 통과한 냉매를 저온의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는 팽창변(480b)을 통과하여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 되게 된다.
특히, 상기 콘덴서(450b)에서 응축된 냉매는 리시버탱크(460b) 및 드라이필터(470b)를 통해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주며 냉매의 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며, 상기 리시버탱크(460b)와 드라이필터(470b)를 각각 통과한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는 팽창변(480b)을 통과하여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 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냉각수조(405b)에 구비된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 공급되어 상기 제습판(420a)을 냉각시키고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 공급된 저온의 기체상태의 냉매가 공급된 냉각수 열교환기(490b)를 통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 공급된 저온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440b)로 순환되어 상기 압축기(440b)에서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상기 재열판(430a)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매는 고압냉매관(440b-1)을 통하여 상기 압축기(440b)에서 상기 재열판(430a)으로 공급되고, 상기 재열판(430a)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제1 저압냉매관(440b-2)을 통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공급되어, 상기 냉매는 냉각수 열교환기(490b)에서 제2 저압냉매관(490b-1)을 통해 상기 압축기(440b)로 공급되어 상기 재열판(430a)으로 순환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작동 상태를 도 7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①. 투입구(101a)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조(100a)에 투입한다. (S100);
②. 투입구(101a)의 개패를 근접센서(102a)가 감지한다.(S200);
③.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200)을 구동시킨다.(S300);
④. 구동수단(200)의 구동에 의하여 교반로우터(110)가 구동된다(S400);
⑤. 투입구(101a)를 통해 분해조(100a)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1차 분해조(121a) 1차 처리된다.(S500);
⑥. 1차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이 2차 숙성조(122a)에서 2차 처리된다.(S600);
⑦. 2차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이 3차 건조조(123a)에거 2차 처리된다.(S700);
⑧. 분해조(100a) 내부에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가열조(400a)로 공급시키고 제습가열조(400a)로 공급된 공기를 제습가열조(400a)에서 제습 및 가열하여 분해조(100a)로 공급한다.(S800);
⑨. 분해조(100)의 온도를 온도유지부(127a)를 통해 미생물의 생존 온도대로 유지 시킨다.(S900);
이때, 통상적으로 분해조(100)의 온도는 45℃~ 55℃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⑩. 최종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부(124a)를 통해 배출시킨다.(S10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온도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분해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상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페기물 처리 장치의 제습가열 순환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교반기
110 : 교반로우터
120 : 교반장치
125 : 풀리
100a : 분해조
110a : 상판
101a : 투입구
125a : 제1 흡기관
102a : 근접센서
103a : 결로 수집홈
104a : 결로 배출부
120a : 본체
121a : 1차 분해조
122a : 2차 숙성조
123a : 3차 건조조
124a : 배출부
126a : 제2 흡기관
128a : 경사부
125a : 제1 흡기관
200 : 구동수단
300 : 온도유지부
310 : 오일주입구
320 : 게이지
127a : 온도감지센서
330 : 히터선
400 : 제습가열 순환공급부
400a : 제습가열조
410a : 송풍기
420a : 제습판
430a : 재열판
440a : 드레인배출부
400b : 열교환부
405b : 냉각수조
405b-1 : 제1 공급관
405b-2 : 제1 회수관
` 410b : 냉각수 온도감지센서
420b : 냉각수공급수단
430b :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
430b-1 : 제1 외기공급팬
440b : 압축기
440b-1 : 고압냉매관
440b-2 : 제1 저압냉매관
450b : 콘덴서
450b-1 : 제2 외기공급팬
460b: 리시버탱크
470b : 드라이필터
480b: 팽창변
490b : 냉각수 열교환기
490b-1 : 제2 저압냉매관
500 : 잔사수집홈

Claims (10)

  1. 교반기(100)를 포함하는 분해조(100a)와;
    상기 분해조(100a)의 교반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00)과;
    상기 분해조(100a)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게 50℃~60℃로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부(300) 및;
    상기 분해조(100a)에서 발생된 수분을 제거하고 제습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공급시키기 위해, 제습가열조(400a) 및, 상기 분해조(100a)에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제습가열조(400a)에서 제습과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매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열교환부(400b)로 이루어진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400b)는,
    제습판(420a) 및 재열판(430a)과;
    상기 제습판(420a)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조(405b)와;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감지센서(410b)와;
    상기 냉각수조(405b)의 냉각수를 상기 제습판(420a)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420b)과;
    상기 제습판(420a)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조(405b)로 회수시 외기와 접촉하여 냉각수와 외기간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430b)와;
    상기 외기 냉각수 열교환기(430b)에 외기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외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급팬(430b-1)과;
    상기 재열판(430a)과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냉매를 강제 유동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압축기(440b)와;
    상기 재열판(430a)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회수시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기에 의하여 냉매를 냉각시키는 콘덴서(450b)와;
    상기 콘덴서(450b)에서 응축된 냉매의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주며 냉매의 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리시버탱크(460b) 및 드라이필터(470b)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리시버탱크(460b)와 드라이필터(470b)를 각각 통과한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는 팽창변(480b) 및;
    상기 팽창변(480b)을 통해 냉각수조(405b)로 회수되는 냉매를 통해 상기 제습판(420a)에서 회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 열교환기(49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00a)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01a)를 포함하는 상판(110a) 및;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1차 분해조(121a)와, 상기 1차 분해조(121a)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2차 숙성조(122a)와, 상기 2차 숙성조(122a)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3차 건조조(123a)와, 상기 3차 건조조(123a)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잔사에 대한 배출부(124a)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흡기관(125a)과, 상기 제습가열 순환공급부(400)와 연결되는 제2 흡기관(126a) 및,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27a)를 포함하는 본체(12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a)은,
    상기 투입구(101a)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02a)와;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형성된 결로(結露)를 수집하기 위한 결로 수집홈(103a) 및;
    상기 결로 수집홈(103a)과 연결되는 결로 배출부(104a)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102a)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200)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100)는,
    상기 1차 분해조(121a), 상기 2차 숙성조(122a), 상기 3차 건조조(123a)를 관통하는 교반로우터(110) 및;
    상기 교반로우터(110)와 상기 구동수단(200)에 연결되는 교반장치(1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a)는,
    상기 결로 수집홈(103a)으로 결로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128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유지부(300)는,
    오일주입구(310)와;
    상기 오일주입구(310)를 통해 주입된 오일의 양에 대한 게이지(320)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127a)에 따라 구동되는 히터선(3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가열조(400a)는,
    상기 분해조(100a) 내부로 제습 가열된 공기를 순환 공급시키기 위한 송풍기(410a)와;
    상판(110a)에 형성된 제1 흡기관(125a)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흡기관(125a)으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접촉되어 제습되는 제습판(420a) 및;
    상기 제습판(420a)을 통과한 제습된 공기가 접촉되어 열교환됨으로써 고온의 공기를 형성시키는 재열판(430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재열판(430a)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송풍기(410a)를 통해 제2 흡기관(126a)을 거쳐 상기 분해조(100a)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00a)에 내부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마이크로켑슐화된 아케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80057094A 2008-06-17 2008-06-1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94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94A KR100949669B1 (ko) 2008-06-17 2008-06-1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94A KR100949669B1 (ko) 2008-06-17 2008-06-1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27A KR20090131227A (ko) 2009-12-28
KR100949669B1 true KR100949669B1 (ko) 2010-03-29

Family

ID=4169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094A KR100949669B1 (ko) 2008-06-17 2008-06-17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870B1 (ko) * 2010-09-09 2013-04-30 주식회사 지케이에코놀로지 음식 폐기물 수집 및 처리장치
KR101124217B1 (ko) * 2010-12-30 2012-03-20 박상호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및 고체연소 연료의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56A (ko) * 1997-01-06 1998-10-15 유인상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KR19990086284A (ko) * 1998-05-27 1999-12-15 니브 가즈오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KR100466092B1 (ko) * 2002-02-05 2005-01-15 남방이앤비(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56A (ko) * 1997-01-06 1998-10-15 유인상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KR19990086284A (ko) * 1998-05-27 1999-12-15 니브 가즈오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KR100466092B1 (ko) * 2002-02-05 2005-01-15 남방이앤비(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27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97B1 (ko) 슬러지 처리를 위한 배기가스 정화 및 열 회수 시스템과 방법
KR1002900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KR100219909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KR100949669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46609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00841A (ko)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060026222A (ko) 배기가스 내부 순환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01621B1 (ko) 음식물쓰레기의건조발효장치
KR101105134B1 (ko) 처리물의 처리 및 고효율 폐열회수 장치
KR100844915B1 (ko)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 소멸화 처리장치
KR1013083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JP2007181759A (ja) 含水汚泥の熱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131191B1 (ko)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KR100918647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에 사용되는 혼합기체 흐름 제어장치
KR19980063228U (ko) 폐열회수 및 공기순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27384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2125494A (zh) 一种回收生物处理工业废水产生的热能来干燥污泥的装置
JP3671826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0332452B1 (ko) 에너지 절감형 발효건조기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99900709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15885B1 (ko) 습식 폐기물 처리용 발효 건조기
KR200217924Y1 (ko)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처리장치
KR0159355B1 (ko) 음식물 찌꺼기 퇴비화장치의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990957B1 (ko) 효율성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하이브리드 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