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284A -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284A
KR19990086284A KR1019980019209A KR19980019209A KR19990086284A KR 19990086284 A KR19990086284 A KR 19990086284A KR 1019980019209 A KR1019980019209 A KR 1019980019209A KR 19980019209 A KR19980019209 A KR 19980019209A KR 19990086284 A KR19990086284 A KR 1999008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waste
heater
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니부
Original Assignee
니브 가즈오
엔. 아이.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브 가즈오, 엔. 아이.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브 가즈오
Priority to KR101998001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6284A/ko
Publication of KR1999008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284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에 있어서, 발효성 쓰레기와 포장식품, 트레이, 비닐, 셀로판, 소독저 등의 비발효성 쓰레기가 혼재한 채로 투입·발효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처리후에 완숙분체와 비발효물로 자동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효조(2)와 발효조(2)의 하류측의 완숙조(4), 발효조(2)의 조벽외면에 부설되는 제1히터(5), 완숙조(4)의 조벽외면에 부설되는 제2히터, 발효조(2)내의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를 파쇄하면서 교반하는 제l 회전블레이드(9), 완숙조(4)내의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를 교반하는 제2 회전블레이드(10) 및 발효처리종료품을 완숙분체(ll)와 비발효물(12)로 분리하는 체(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본 발명은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산시설에서 배출하는 축분, 어시장이나 생선가게 등에서 배출하는 생선찌꺼기, 시장이나 레스토랑 등에서 배출하는 야채찌꺼기, 가정, 호텔, 슈퍼 등에서 배출하는 부엌쓰레기, 및 그 밖의 쓰레기를 단기간에 발효처리하는 장치로서, 발효조내로 송풍기, 온풍히터 등에 의해 온풍을 불어넣어, 온풍량을 바꿈으로써 온도제어하여, 투입직후의 쓰레기를 가열시켜 발효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발효열에 의해 따뜻하게 된 배기가스를 열교환하여 급기가스를 예열하는 장치를 또한 부설한 것 등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에서는, 셀로판, 비닐, 트레이 등, 또는 그것들로 포장된 식품, 또는 병음료의 마개 등을 분리처리할 수 없고, 비발효성 쓰레기를 사람손으로 제거하고 나서 발효성 쓰레기만을 발효조내에 투입해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또한, 온풍을 직접 발효조내로 보내주는 것으로는, 미생물에 필요한 공기량, 수분증발에 필요한 공기량에 대하여 10배 이상의 가열용 공기량이 필요해져, 배기가스의 탈취설비의 규모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열전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발효조의 아래쪽으로 온풍분출구가 설치되었지만, 온도제어를 위해 온풍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분출구의 막힘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안정가동을 할수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발효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완숙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치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처리방법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회전블레이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입구 2: 발효조
3: 쓰레기 배출구 4: 완숙조
5: 제1히터 6: 제2히터
7: 발효성 쓰레기 8: 비발효성 쓰레기
9: 제1 회전블레이드 10: 제2 회전블레이드
11: 완숙분체 12: 비발효물
13: 체 18: 구획벽
20: 오버플로우구 23: 보온재
24: 온도제어수단 37: 축부
40: 봉투 채우는 기계 50: 수평축심
70: 회전블레이드 71: 각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가 투입되는 개폐가능한 투입구를 갖는 밀폐상의 발효조, 그 발효조의 하류측에 배설됨과 동시에 쓰레기 배출구를 갖는 밀폐상의 완숙조, 상기 발효조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발효조내를 가온하는 제1히터, 상기 완숙조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완숙조내를 가온하는 제2히터, 상기 발효조내의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를 파쇄하면서 교반하는 제l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완숙조내의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를 교반하는 제2 회전블레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완숙조에서 배출되는 발효처리종료품을 완숙분체와 비발효물로 분리하는 체를 구비하고, 그 체에 완숙분체를 소정중량으로 봉투를 채우는 봉투 채우는 기계를 연결한다.
또한, 발효조와 완숙조가 인접하여 설치되고, 그 발효조와 완숙조의 사이에 오버플로우구를 갖는 구획벽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효조의 용적이 완숙조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l히터의 발열량이 제2히터의 발열량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l 회전블레이드가 발효조와 완숙조에 관통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공통구동원에 연결되어 수평축심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축부의 발효조측에 복수 형성되고, 또한 제2 회전블레이드가 상기 축부의 완숙조측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효조내를 발효최적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제어수단과, 발효조·완숙조의 조벽외면에 각각 부설된 제1히터·제2히터를 외측에서 포위하는 보온재를 구비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l과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실시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장치는 발효성 쓰레기와 비발효성 쓰레기가 투입되는 개폐가능한 투입구(l)를 갖는 밀폐상의 발효조(2), 그 발효조(2)의 하류측에 배설됨과 동시에 자동개폐 뚜껑부착의 쓰레기 배출구(3)를 갖는 밀폐상의 완숙조(4), 발효조(2)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발효조(2)내를 가온하는 제1히터(5), 완숙조(4)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완숙조(4)내를 가온하는 제2히터(6), 발효조(2)내의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를 파쇄하면서 교반하는 제l 회전블레이드(9)와, 완숙조(4)내의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를 교반하는 제2 회전블레이드(10) 및 완숙조(4)로부터 배출되는 발효처리종료품을 완숙분체(ll)와 비발효물(12)로 분리하는 체(13)를 구비하고 있다.
발효조(2)와 완숙조(4)는, 단면형상이 U자형상인 만곡벽부(14)와 그 만곡벽부(14)의 좌우양단부에 배설되는 수직벽부(15, 15)와, 만곡벽부(14)와 수직벽부(15, 15)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플랜지부(16)로 이루어지는 윗쪽 개구상의 외조벽(17)의 내부를, 상부에 오버플로우구(20,20)를 갖는 구획벽(18)으로 2구획으로 나누고, 또, 외조벽(17)의 윗쪽 개구부를 윗덮개체(19)로 덮어서 형성된다.
즉, 발효조(2)와 완숙조(4)는 인접하여 설치되고, 발효조(2)와 완숙조(4)의 사이에 오버플로우구(20, 20)를 절결형성한 구획벽(18)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발효조(2)의 용적이 완숙조(4)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예를들면, 발효조(2)의 용적을 완숙조(4)의 용적의 4∼6배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외조벽(17)의 안, 발효조(2)를 이루는 부분의 상부에 흡기구(21)가 설치된다. 흡기구(21)의 근처에는, 흡기용 온풍히터(49)가 설치된다. 또, 외층벽(17)에 배기구(47)가 설치된다.
또한, 이 쓰레기 발효처리장치는, 발효조(2)·완숙조(4)의 조벽외면에 각각 부설된 제l히터(5)·제2히터(6)를 외측에서 포위하는 보온재(23)를 가지고 있다. 도면예에서는, 1매의 보온재(23)로 제l히터(5)와 제2히터(6)의 양쪽을 포위하고 있지만, 제l히터(5)와 제2히터(6)를 각각의 보온재(23)로 포위하더라도 좋다. 또한, 투입구(l) 근처에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48)를 설치하여, 그 센서(48)를 소정시간 (예를 들면, 48시간) 투입구(l)의 개폐가 없는 경우는, 교반용의 모터, 통기용의 송풍기, 및 제1히터(5)와 제2히터(6)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OFF하는 타이머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전원이 자동적으로 OFF된 후에도, 투입구(l)의 개폐에 의해 타이머 수단이 리세팅되어 통상 운전을 개시한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조(2)내를 발효최적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제어수단(24)을 설치한다. 온도제어수단(24)은 제1온도검출기(27)와 제2온도검출기(28), 제l온도설정기(29)와 제2온도설정기(30) 및 히터운전조작기(31)를 구비한다. 제1온도검출기(27)는 발효조(2)내의 쓰레기(26)(발효성 쓰레기(7))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신호를 제1온도설정기(29)로 보낸다. 또한, 제2온도검출기(28)는 제1히터(5)에 의해서 가열되는 조벽의 내면(또는 외면)에 설치되고, 조벽내면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신호를 제2온도설정기(30)로 보낸다. 제1온도설정기(29)와 제2온도설정기(30)는 각각 상한온도설정치, 하한온도설정치를 가져, 제1히터(5)의 작동과 정지를 행하는 히터운전조작기(31)를 제어한다.
제어방법은 조벽(철피)온도가 제l온도설정기(29)의 상한온도설정치로 될 때까지는 제l히터(5)를 운전하여 조벽내면온도가 제2온도설정기(30)의 상한온도설정치에 달하면 운전을 정지하고, 제2온도설정기(30)의 하한온도설정치까지 저하하면 다시 운전한다. 그리고, 조벽온도가 제1온도설정기(29)의 상한온도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조벽온도가 제1온도설정기(29)의 하한온도설정치로 될 때까지, 제2온도설정기(30)로부터의 신호에 관계없이 제l히터(5)의 운전을 정지하고, 그 하한온도 설정치에까지 저하하면, 운전을 재개한다.
여기서, 각 온도설정기(29,30)의 상한, 하한 온도설정치를 처리물을 발효최적온도로 유지하는 값으로 한다. 예를들면, 처리물온도, 즉, 제l온도설정기(29)의 상한설정치는 균을 사멸시키지 않는 90℃이하, 하한설정치는 발효균이 최적으로 활동하는 40℃이상, 및 조벽의 내면온도, 즉 제2온도설정기(30)의 상한설정치는 100℃이하, 하한설정치는 4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숙조(4)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25)을 설치한다. 그 온도제어수단(25)은 발효조(2)의 온도제어수단(24)과 동일한 구조로서, 제1온도검출기(32)와 제2온도검출기(33), 제1온도설정기(34)와 제2온도설정기(35) 및 히터운전조작기(3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히터(6)는 제1히터(5)와 동일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l히터(5)의 발열량을 제2히터(6)의 발열량보다도 크게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l히터(5)의 발열량을 제2히터(6)의 발열량에 대하여 2∼5배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제l히터(5)로서 1.3kw의 히터를 9개 사용하고, 제2히터(6)로서 0.3kw의 히터를 9개 사용한다. 또, 도 3에 도시한 온도제어수단(25)을 생략하고, 도 2에 도시한 온도제어수단(24)만으로 제1히터(5)와 제2히터(6)의 작동을 제어하여, 발효조(2)내의 온도제어와 완숙조(4)내의 온도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 면상히터, 시스히터 또는 온수, 증기의 사용에 따라 균일가열 방식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도 1과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블레이드(9)가 발효조(2)와 완숙조(4)에 관통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공통구동원에 연결되어 수평축심(50) 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축부(37)의 발효조(2)측에 복수 형성되고, 또한, 제2회전블레이드(10)가 축부(37)의 완숙조(4)측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축부(37)의 일단부에는, 도시생략한 스프로킷이 고착되어, 그 스프로킷과 공통구동원으로서의 모터의 출력축에 고착된 소직경의 스프로킷에 체인을 매달아, 축부(37)를 회전구동 가능하게 한다.
제1 회전블레이드(9)와 제2 회전블레이드(10)는, 야채, 햄, 치즈, 소세지 등의 포장식품, 혹은, 셀로판, 비닐, 트레이, 소독저, 맥주뚜껑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발효성 쓰레기(8)나, 야채, 육류, 가공식품 등의 부엌쓰레기로 이루어지는 발효성 쓰레기(7)의 덩어리를 파쇄할 수 있는 것 같은 형상(예를들면, 띠판형상, 또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축부(37)에 복수라인의 가는 막대모양의 교반용 패들을 형성하여, 그 교반용 패들의 선단부에 리본형상의 교반 블레이드를 교락상으로 설치하여 제l 회전블레이드(9)와 제2 회전블레이드(10)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숙조(4)의 쓰레기 배출구(3)의 외측에 배출슈트(39)가 설치되어, 그 배출슈트(39)의 선단개구부의 아래쪽으로 윗쪽 개구상의 체(13)가 배설된다. 그 체(13)에, 완숙분체(ll)를 계량하여 소정중량으로 봉투를 채우는 봉투 채우는 기계(40)를 연결한다. 봉투 채우는 기계(40)는, 체(13)의 아래쪽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비닐봉투 등의 완숙분체 수납봉투(41)가 수납되는 봉투 채우는 부분(42)과, 봉투 채우는 부분(42)의 아래쪽으로 배설되는 계량기(43)를 구비한다. 또한, 체(13)의 근처에, 비발효성 쓰레기 수납상자(44)를 배치한다.
또한, 이 쓰레기 발효처리장치는 도 4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조(2)에 쓰레기를 자동적으로 투입하는 자동투입수단(45)을 구비한다.
다음에, 이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작동을 도 5의 플로우챠트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자동투입수단(45)으로, 발효조(2)에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가 혼재한 쓰레기를 투입한다. 이 때, 발효·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혼입시킨다. 이와 같은 미생물로서는, 당분 분해균, 단백질 분해균, 셀룰로스 분해균 및 리그닌 분해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 염기성물질, 천연유기물 및 약제의 모든 조합을 발효성 재료로 하여, 쓰레기에 혼입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 탈취작용을 갖는 미생물을 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조(2)내의 제l 회전블레이드(9)를 회전시켜, 쓰레기를 파쇄하면서 교반한다. 즉, 야채, 햄, 치즈, 소세지 등의 포장식품이나, 셀로판, 비닐, 트레이, 젓가락, 맥주뚜껑 등의 비발효성 쓰레기(8), 또는 발효성 쓰레기(7)의 덩어리를 제l 회전블레이드(9)가 파쇄하면서 교반한다. 이 때, 제l 회전블레이드(9)는 3∼30분간의 바른회전과, 동시간의 역회전을, 회전방향 변경시에 수초-수십초사이의 정지시간을 취하면서 되풀이한다. 또한, 쓰레기 투입과 동시에 제l히터(5)와 온도제어수단(24)에 의해, 발효조(2)내가 발효최적온도로 유지되어, 발효성 쓰레기(7)의 발효를 촉진한다. 구체적으로는, 발효성 쓰레기(7)의 종류에 따라서, 조내벽면온도로 40℃이상, 100℃이하의 값으로 유지된다.
또한, 발효조(2)로부터 넘친 발효처리물(쓰레기)은 도 l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구(20)을 통해 완숙조(4)로 들어 간다. 그 처리물은 완숙조(4)내의 제2 회전블레이드(10)로 교반되고, 또한 제2히터(6)와 온도제어수단(25)으로 발효최적온도로 유지되면서 완숙된다. 그리고, 처리제의 쓰레기가 완숙조(4)로부터 쓰레기 배출구(3)를 통해 배출슈트(39)로 넘쳐 나가, 체(13)로 들어 간다. 또, 배출구(3)는 처리물 투입시로부터 2∼4시간은 열린 상태가 되어, 그 사이, 오버플로우에 의하여 완숙조(4)로부터 체(13)로 처리물이 나간다. 발효처리종료품은 체(13)에서 완숙분체(ll)와 비발효물(12)로 분리되고, 완숙분체(ll)는 봉투 채우는 기계(40)의 완숙분체 수납봉투(41)에 수납되고, 비발효물(12)은 비발효성 쓰레기 수납상자(44)에 수납된다.
또, 배출구(3)가 열린 상태 동안은 체(13)가 작동하고, 배출구(3)가 닫힌 상태일 때는 체(13)가 정지한다. 그 후, 봉투(41)가 소정중량(예를들면, 25kg∼30kg)에 달하면 계량기(43)가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쓰레기 배출구(3)를 자동적으로 닫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봉투(41)를 꺼낸다. 그 후, 빈 봉투(41)를 봉투 채우는 기계(40)에 세팅하고, 그 후, 배출구(3)를 연다. 이렇게 해서, 2∼4시간의 시간이 경과하던지, 처리물의 배출이 없어지던지 어느 것인가에 의해 처리물의 배출이 완료된다.
또, 처리물의 파쇄, 교반과 보온은 발효조(2)와 완숙조(4)에서 각각 24∼48시간 정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회전블레이드(9)와 제2 회전블레이드(10)의 회전방향변경에 있어서의 정지시간은 발효성 쓰레기(7)의 종류에 따라서 30분∼3시간정도의 범위내로 조정한다.
또한, 연속교반 모드로 변환하여 장시간(48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교반할 수도 있다. 이 때, 흡기구(21) 근처의 흡기용 온풍히터(49)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주말 등의 처리량이 많은 경우에도, 통상의 2배 가까운 처리능력의 상승이 얻어진다. 또한, 한냉지에서의 동계 발효처리시의 이슬맺힘의 방지와 발효촉진효과(발효의 장시간화의 방지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쓰레기 발효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블록도를 나타내는데, 발효조(2)에 연통연결되는 탈취수단(22)과 완숙분체가 수납된 봉투를 밀봉하는 봉투밀봉기(46)를 구비한다. 다른 구성은 도 l∼도 5에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탈취수단(22)은 탈취부와 배기팬을 가져, 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외기가 흡기구로부터 발효조(2)와 완숙조(4)로 들어가, 증발수분과 악취를 함유하는 기체가 배기구로부터 나가 탈취수단(22)을 통해 거의 탈취된 기체가 대기로 나간다. 봉투밀봉기(46)는 예를들면, 비닐압착기 또는 미싱기로 이루어진다. 즉, 완숙체 수납봉투로서 비닐제의 봉투 또는 종이봉투를 사용하여, 완숙체 수납후에 개구부를 압착 또는 미싱 멈춤하여 밀봉한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블레이드(70)(제l 회전블레이드(9), 제2 회전블레이드(10))의 횡단면형상을 예리한 각부(71, 71)를 갖는 형상(도면예에서는 횡단면 마름모꼴형)으로 해도 좋다. 결국, 발효성 쓰레기(7)와 이 발효성 쓰레기(7)를 포장하는 비발효성 쓰레기(8)를 동시에 투입하여, 이것을 파쇄하여 발효시키는 횡단면이 예리한 각부(71, 71)를 갖는 회전블레이드(70)를 구비한 발효조(2) 및 완숙조(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수지시트나 종이 등으로 포장된 포장식품을 그대로 투입하더라도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고, 내용유기물(발효성 쓰레기(7))의 완숙처리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설계변경이 가능한데, 예를들면, 쓰레기(발효성 쓰레기(7))의 ph가 발효적정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ph조정제를 투입하는 ph조정제 투입기를 부설하더라도 좋다. 또한, 자동투입수단(45)을 생략하여 사람손으로 쓰레기를 투입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탈취수단(22), 계량기(43), 봉투밀봉기(46), 체(13)를 생략하더라도 좋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큰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l에 의하면,) 장치전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됨과 동시에 규모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고, 유지가 편하다. 또, 야채, 육류, 가공식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효성 쓰레기(7)와, 포장식품, 셀로판, 비닐, 트레이, 젓가락, 맥주뚜껑 등의 비발효성 쓰레기(8)가 혼재한 쓰레기를 그대로 투입할 수 있다. 더구나,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들 쓰레기(7)를 발효처리할 수 있다. 즉, 투입한 쓰레기를 투입으로부터 24∼48시간이라는 단기간에 퇴비 혹은 사료(완숙분체(ll))로서 추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하면,) 투입한 쓰레기를 발효한 완숙분체(ll)와 비발효물(12)의 2종류로 자동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3에 의하면,) 발효조(2)로부터 완숙조(4)로 차례로 발효가 진행하기때문에, 쓰레기의 투입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발효에 중점이 놓이고, 연속적인 흐름으로서의 균형이 좋고, 전체로서 능률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발효에 최적의 온도로 항상 유지가능해지고, 한층 더 쓰레기 처리의 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6에 의하면,) 가온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하면,)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가 혼재한 쓰레기를 그대로 투입하고 분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이 l대로 끝나, 전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하면,) 처리종료물(완숙분체(11))을 자동적으로 봉투에 채울 수 있다. 또한, 일정중량이기 때문에, 그 후의 처리 및 취급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9에 의하면,) 수지시트나 종이 등으로 포장된 포장식품을 그대로 투입하더라도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고, 내용유기물(발효성 쓰레기(7))의 완숙처리가 가능해진다

Claims (9)

  1.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가 투입되는 개폐가능한 투입구(1)를 갖는 밀폐상의 발효조(2), 그 발효조(2)의 하류측에 배설됨과 동시에 쓰레기 배출구(3)를 갖는 밀폐상의 완숙조(4), 상기 발효조(2)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발효조(2)내를 가온하는 제1히터(5), 상기 완숙조(4)의 조벽외면에 부설되어 그 조벽을 통해 완숙조(4)내를 가온하는 제2히터(6), 상기 발효조(2)내의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를 파쇄하면서 교반하는 제1 회전블레이드(9) 및 상기 완숙조(4)내의 발효성 쓰레기(7)와 비발효성 쓰레기(8)를 교반하는 제2 회전블레이드(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완숙조(4)로부터 배출되는 발효처리종료품을 완숙분체(11)와 비발효물(12)로 분리하는 체(1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발효조(2)와 완숙조(4)가 인접하여 설치되고, 그 발효조(2)와 완숙조(4)의 사이에, 오버플로우구(20)를 갖는 구획벽(1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발효조(2)의 용적이 완숙조(4)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또한, 제1히터(5)의 발열량이 제2히터(6)의 발열량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발효조(2)내를 발효최적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제어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발효조(2)·완숙조(4)의 조벽외면에 각각 부설된 제1히터(5)·제2히터(6)를 외측에서 포위하는 보온재(23)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회전블레이드(9)가 발효조(2)와 완숙조(4)에 관통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공통구동원에 연결되어 수평축심(50)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축부(37)의 발효조(2)측에 복수 형성되고 또한, 제2 회전블레이드(10)가 상기 축부(37)의 완숙조(4)측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완숙조(4)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종료품을 완숙분체(11)와 비발효물(12)로 분리하는 체(13)를 구비하고, 그 체(13)에 완숙분체(11)를 계량하여 소정중량으로 봉투를 채우는 봉투 채우는 기계(4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9. 발효성 쓰레기(7)와 이 발효성 쓰레기(7)를 포장하는 비발효성 쓰레기(8)를 동시투입하고, 이것을 파쇄하여 발효시키는 횡단면이 예리한 각부(71, 71)를 갖는 회전블레이드(70)를 구비한 발효조(2) 및 완숙조(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KR1019980019209A 1998-05-27 1998-05-27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KR19990086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209A KR19990086284A (ko) 1998-05-27 1998-05-27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209A KR19990086284A (ko) 1998-05-27 1998-05-27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284A true KR19990086284A (ko) 1999-12-15

Family

ID=6589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209A KR19990086284A (ko) 1998-05-27 1998-05-27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62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36A (ko) * 2001-03-30 2001-08-04 임정홍 음식물 쓰레기 발효장치
KR20020033510A (ko) * 2000-10-31 2002-05-07 다카노 야스아키 유기물 처리장치
KR20020067017A (ko) * 2001-02-13 2002-08-21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유기물처리장치
KR100949669B1 (ko) * 2008-06-17 2010-03-29 동남플랜트(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510A (ko) * 2000-10-31 2002-05-07 다카노 야스아키 유기물 처리장치
KR20020067017A (ko) * 2001-02-13 2002-08-21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유기물처리장치
KR20010074136A (ko) * 2001-03-30 2001-08-04 임정홍 음식물 쓰레기 발효장치
KR100949669B1 (ko) * 2008-06-17 2010-03-29 동남플랜트(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6786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terilization of spices and leafy herbs
JPH04500765A (ja) 危険性医療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5866409A (en) Garbage fermenting apparatus
JP3659397B2 (ja) 乾燥装置及びその乾燥方法
KR19990086284A (ko) 쓰레기 발효처리장치
CN210701632U (zh) 垃圾生化处理干式发酵箱
JPH11156332A (ja) ごみ発酵処理装置
JPH0198423A (ja) きのこ類人工培地製造用の加熱殺菌釜
KR200144043Y1 (ko) 유기질 비료, 사료 제조기
KR20000010468A (ko) 경사진 스크루 컨베어를 이용하여 남은 음식물을 활용한 자동혼합, 파쇄, 발효, 살균, 건조기능을 가진 사료 배합기
JP2003274916A (ja) 生ごみ飼料化設備、生ごみ飼料化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乾燥装置
JPH11290831A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車
JP3729088B2 (ja) 生ゴミ処理機
JP3603413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2102831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110491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881429B2 (ja) 生ゴミ処理機
JP3435263B2 (ja) 生ゴミ処理方法
JP2003181426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819832B2 (ja) 漬け物製造装置
JP3400210B2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419538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H04505001A (ja) パスツール法で殺菌した培養士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04195390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2159948A (ja) 凍結した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