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643B1 -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43B1
KR100949643B1 KR1020080056845A KR20080056845A KR100949643B1 KR 100949643 B1 KR100949643 B1 KR 100949643B1 KR 1020080056845 A KR1020080056845 A KR 1020080056845A KR 20080056845 A KR20080056845 A KR 20080056845A KR 100949643 B1 KR100949643 B1 KR 10094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operating element
gear set
clutch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064A (ko
Inventor
김철진
이병민
김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64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ight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 F16H2200/008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wo reverse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hree sets of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유성기어셋트와 복합유성기어셋트에 클러치 4개와 브레이크 2개를 조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전진 8속과 후진 2속의 변속단을 구현하여 자동 변속기의 부피와 중량 저감 및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유성기어셋트(PG-1)는 입력축(10)과 연결되는 제1캐리어(C1)와, 변속기 케이스(30)에 구속되는 제1선기어(S1) 및, 상기 제1캐리어(C1)에 외접하는 제1링기어(R1)를 구비하고; 제2유성기어셋트(PG-2)는 상기 제1링기어(R1)와 연결되는 제2선기어(S2)와, 상기 제2선기어(S2)에 외접하는 제2캐리어(C2) 및, 상기 제1캐리어(C1)와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링기어(R2)를 구비하며; 제3유성기어셋트(PG-3)는 상기 제2선기어(S2)와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캐리어(C2)와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입력축(10)과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3선기어(S3)와, 상기 제2링기어(R2)와 연결되는 제3캐리어(C3) 및, 출력축(20)과 연결되는 제3링기어(R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변속기, 8속, 파워 트레인, 유성기어셋트, 클러치, 브레이크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Power train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진 8속 및 후진 2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을 주행부하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시도되어 왔으나, 대체로 유성기어를 포함한 기어열과, 이 기어열을 조작하는 유압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기어열은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마찰요소의 작동 조합에 의해 특정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 및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제어장치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면, 원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은 다단으로 형성될수록 엔진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보다 높은 효율로 구동륜에 전달할 수 있어서, 연비 및 가속성능의 향상과 변속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종래에 6속 이상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해 자동 변속기의 기어열에 사용되 는 유성기어셋트로는 라비뉴타입(Ravigneaux Type)이 많이 사용되는데, 라비뉴타입의 유성기어셋트는 캐리어가 롱피니언과 숏피니언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가 되어야 하므로, 캐리어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고, 공간상의 제약으로 4쌍 이상의 피니언을 지지하기 어려워서 고토크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치폭을 늘리거나 피니언을 크게 해야만 하므로 변속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 변속기의 부피 및 전체 길이를 축소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저감하며 제조원가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요청은 상시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개의 감속유성기어셋트와 2개의 유성기어셋트를 상호 구속하는 1개의 복합유성기어셋트를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에 클러치 4개와 브레이크 2개를 조합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전진 8속과 후진 2속의 변속단을 구현하여 자동 변속기의 부피와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변속기의 중량 저감과 제조 원가의 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축과 직결되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회전으로 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각각 비감속회전과 감속회전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출력축 으로 다단의 변속회전을 출력하는 복합유성기어셋트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변속기 케이스에 항시 구속되는 제1작동요소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단일의 작동요소에 항시 연결되는 제2작동요소 및, 상기 입력축과 항시 연결되는 제3작동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제2작동요소와 항시 연결되는 제4작동요소와, 상기 출력축과 항시 연결되는 제5작동요소, 상기 제3작동요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는 제6작동요소 및, 상기 제2작동요소와 상기 제4작동요소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제7작동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7작동요소 사이와 상기 제3작동요소와 상기 제6작동요소 사이 및 상기 제4작동요소와 상기 제7작동요소 사이는 각각 클러치 수단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등가 전이 또는 감속 전이로 전달하며;
상기 제6작동요소와 상기 제7작동요소는 각각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브레이크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당 작동요소의 회전구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전진 8 속 및 후진 2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며, 자동 변속기의 부피 및 전체길이를 축소할 수 있어서, 자동 변속기의 중량 저감 및 제조원가의 저감을 도모하고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키며, 자동 변속기의 윤활 및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4개의 클러치와 2개의 브레이크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비해 마찰요소의 수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변속기의 보다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D 레인지 1속에서 원웨이클러치가 작동요소를 고정요소로 전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D 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 새롭게 체결되는 작동요소에 체결압만을 제공하게 되면,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고정된 작동요소에서는 자동 해방이 이루어지므로, 변속 제어에 용이함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D 레인지 각 변속단별 변속 제어에 있어, 1속에서 5속까지 하나의 클러치를 작동상태로 하고, D 레인지 5속에서 8속까지 다른 하나의 클러치를 작동상태로 하여, 변속시 하나의 마찰요소만을 해제하고 다른 하나의 마찰요소를 체결하는 제어를 통해 변속 제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2단 스킵 변속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엔진의 연소작용을 통해 발생된 구동력을 유체의 유동을 매개로 토크의 증배 기능을 구현하는 토크 컨버터를 매개로 전달받는 입력축(10)과, 상기 입력축(10)과 직결되 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을 일정한 수준의 감속비의 감속회전으로 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셋트 및,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로부터 전이되어 출력되는 감속회전을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출력축(20)을 통해 다단 변속비의 변속회전으로 출력하는 복합유성기어셋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1개의 유성기어셋트로서 3개의 작동요소를 가지고서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항상 일정한 수준의 감속회전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변속기 케이스(30)에 구속되어 회전이 항시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는 제1작동요소(N1)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단일의 작동요소에 항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받은 동력을 감속비로 출력하는 상태의 감속전이 출력요소로 작용하는 제2작동요소(N2) 및, 상기 입력축(10)과 항시 연결되어 등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받은 동력은 등속비로 출력하는 상태의 등가전이 출력요소로도 작용하는 제3작동요소(N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있어,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입력축(10)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를 통한 감속회전을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출력하기 위해, 2개의 유성기어셋트의 각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여 5개의 독립된 작동요소를 형성하거나,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 로 더 공유하여 4개의 독립된 작동요소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항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감속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는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출력축(20)과 연결되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을 항시 적정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요소로 작용하는 제5작동요소(N5),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비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등가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는 제6작동요소(N6) 및,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상기 제4작동요소(N4)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감속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입력축(10)과 선택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비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등가 입력요소로 작용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제7작동요소(N7)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제7작동요소(N7) 사이와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 사이 및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 사이는 각각 클러치 수단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 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등가 전이 또는 감속 전이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6작동요소(N6)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각각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브레이크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당 작동요소의 회전구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어셋트(PG-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싱글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어셋트(PG-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입력축(10)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와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 및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입력축(10)의 외주에 설치된 외접기어(22)를 매개로 동력을 출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작동요소 사이는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입력축(10)과 제4클러치(C-4)를 매개 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원웨이클러치(OWC)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대해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병렬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작동요소는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있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 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1개의 유성기어셋트로서 3개의 작동요소를 가지고서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항상 일정한 수준의 감속회전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변속기 케이스(30)에 구속되어 회전이 항시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는 제1작동요소(N1)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단일의 작동요소에 항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받은 동력을 감속비로 출력하는 상태의 감속전이 출력요소로 작용하는 제2작동요소(N2) 및, 상기 입력축(10)과 항시 연결되어 등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받은 동력은 등속비로 출력하는 상태의 등가전이 출력요소로도 작용하는 제3작동요소(N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 있어,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입력축(10)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를 통 한 감속회전을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출력하기 위해, 2개의 유성기어셋트의 각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여 5개의 독립된 작동요소를 형성하거나,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더 공유하여 4개의 독립된 작동요소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항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감속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는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출력축(20)과 연결되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 사이의 상호 작용을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을 항시 적정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요소로 작용하는 제5작동요소(N5),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비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등가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제6작동요소(N6) 및,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상기 제4작동요소(N4)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감속전이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입력축(10)과 선택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비감속회전으로 입력받는 등가 입력요소로 작용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의 고정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는 제7작동요소(N7)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제7작동요소(N7) 사이와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 사이 및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 사이는 각각 클러치 수단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등가 전이 또는 감속 전이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6작동요소(N6)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각각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브레이크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당 작동요소의 회전구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싱글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어셋트(PG-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입력축(10)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와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 및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입력축(10)의 외주에 설치된 외접기어(22)를 매개로 동력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작동요소 사이는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입력축(10)과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선 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원웨이클러치(OWC)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대해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병렬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작동요소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작동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레인지 1속에서 상기 제2클러치(C-2)와 상기 원웨이클러치(OWC)가 작동하고, D 레인지 2속에서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며(이때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D 레인지 3속에서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작동하고, D 레인지 4속에서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작동하며, D 레인지 5속에서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3클러치(C-3)가 작동하고, D 레인지 6속에서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클러치(C-2)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작동하며, D 레인지 7속에서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작동하고, D 레인지 8속에서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며, R 레인지 1속에서 상기 제1클러치(C-1)와 상기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고, R 레인지 2속에서 상기 제4클러치(C-4)와 상기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주행중 차량이 엔진에 의한 구동이 아닌 타력 주행시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D 레인지 1속에서 원웨이클러치(OWC)를 대신하여 제2브레이크(B-2)가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통상 L 레인지 1속 상태로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3에 도시된 작동 요소표에 있어 D 레인지 1속에서 체결되는 작동요소는 L 레인지 1속을 기준으로 표기하였고, 통상 D 레인지 1속에서는 제2브레 이크(B-2)를 대신하여 원웨이클러치(OWC)를 체결함으로써, N↔D 변속 및 1↔2 변속시 각각 제어의 용이함을 제공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에서 각 변속단별 변속과정을 레버 해석에 의한 속도의 비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동력의 전달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D 레인지 1속
D 레인지 1속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C-2)와 상기 원웨이클러치(OWC)가 각각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되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6작동요소(N6)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전이되고, 상기 제2선기어(S2)로 전이된 속도는 상기 제2링기어(R2)가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2캐리어(C2)를 통해 2차 감속후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로 전이되며, 상기 제3선기어(S3)로 전이된 속도는 상기 제3캐리어(C3)가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해 3차 감속후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1속으로 출력된다.
- D 레인지 2속
D 레인지 2속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이때,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되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7작동요소(N7)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전이되고, 상기 제2선기어(S2)로 전이된 속도는 상기 제2캐리어(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2링기어(R2)를 통해 2차 감속후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로 전이되며, 상기 제3캐리어(C3)로 전이된 속도는 상기 제3선기어(S3)가 상기 제1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해 2차 감속분 보다 약간 증가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2속으로 출력된다.
- D 레인지 3속
D 레인지 3속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1차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전이됨과 더불어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제7작동요소(N7)에도 동시에 전이되고,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제7작동요소(N7)로 동시에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1차 감속된 수준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전이됨과 더불어 상기 제1클러치(C-1)의 체결을 매개로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로도 전이된다.
이때, 상기 제2클러치(C-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3선기어(S3)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에도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는 상기 제1링기어(R1)로부터 전이된 입력을 그대로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로 전이하여,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한 출력은 상기 제1링기어(R1)에서 감속된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의 D 레인지 3속으로 출 력된다.
- D 레인지 4속
D 레인지 4속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에는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되는 속도는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작고 상기 제4작동요소(N4)의 속도 보다는 큰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전이되고,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에는 상기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등속으로 그대로 전이된다.
이때, 상기 제2클러치(C-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3선기어(S3)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에도 전이된다.
이 결과,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2선기어(S2)로 입력된 상기 제1링기어(R1)의 감속 입력과 상기 제2캐리어(C2)에 입력된 상기 입력축(10)의 등 속 입력에 의해 상기 제2링기어(R2)를 통한 출력은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는 작고 상기 제2선기어(S2)로 입력된 속도 보다는 크게 된다.
이어,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상기 제2링기어(R2)로부터 제3캐리어(C3)에 등가 전이된 입력(입력축(10)의 등속 입력 보다 작은 상태임)과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상기 제3선기어(S3)에 등가 전이된 입력에 의해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한 출력은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4속으로 출력된다.
- D 레인지 5속
D 레인지 5속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C-2)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3클러치(C-3)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되는 속도는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작고 상기 제4작동요소(N4)의 속도 보다는 큰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전이되 고,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에 전이된 등속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 결과,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에서는 제2선기어(S2)로 입력된 상기 제1링기어(R1)의 감속 입력과 상기 제2링기어(R2)에 입력된 상기 입력축(10)의 등속 입력에 의해 상기 제2캐리어(C2)를 통한 출력은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크게 된다.
이어,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상기 제2캐리어(C2)로부터 제3선기어(S3)에 등가 전이된 입력(입력축(10)의 등속 입력 보다 큰 상태임)과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상기 제3캐리어(C3)에 등가 전이된 입력에 의해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한 출력은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5속으로 출력된다.
- D 레인지 6속
D 레인지 6속에서는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클러치(C-2)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6속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출력되는 속도는 상기 입력축(10)의 속도와 동일하게 되는 이른 바 등속 출력의 상태가 된다.
- D 레인지 7속
D 레인지 7속에서는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4클러치(C-4)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4작동요소(N4)로 전이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되는 속도는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큰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로 전이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에 전이된 등속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 결과,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제3선기어(S3)로 입력된 상기 제2캐리어(C2)의 감속 입력과 상기 제3캐리어(C3)에 입력된 상기 입력축(10)의 등속 입력에 의해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한 출력은 상기 입력축(10)의 속도 보다 증속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D 레인지 7속으로 오버 드라이브 출력된다.
- D 레인지 8속
D 레인지 8속에서는 상기 제3클러치(C-3)의 작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상기 제1브레이크(B-1)가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제6작동요소(N6)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7작동요소(N7)를 고정요소로 하여 증속되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에는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에 전이된 등속의 입력이 그대로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상기 제3캐리어(C3)로 입력된 상기 입력축(10)의 등속 입력이 상기 제3선기어(S3)가 상기 제1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한 출력은 증속되어 D 레인지 8속으로 오버 드라이브 출력된다.
- R 레인지 1속
R 레인지 1속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상기 제2브레이크(B-2)가 각각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작동요소(N1)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2작동요소(N2)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제7작동요소(N7)로 전이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 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6작동요소(N6)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역전되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1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링기어(R1)를 통해 1차 감속후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로 감속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제3선기어(S3)로 입력된 상기 제1링기어(R1)의 감속 입력이 상기 제3캐리어(C3)가 상기 제2브레이크(B-2)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역방향으로 출력된다.
- R 레인지 2속
R 레인지 2속에서는 상기 제4클러치(C-4)와 상기 제2브레이크(B-2)가 각각 체결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3작동요소(N3)로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상기 제7작동요소(N7)로 전이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에 전이된 입력은 상기 제6작동요소(N6)를 고정요소로 하여 상기 제5작동요소(N5)를 통해 역전되어 상기 출력축(20)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입력축(10)을 통해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입력되는 속도는 상기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로 등속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에서는 상기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상기 제3선기어(S3)로 입력된 상기 입력축(10)의 등속 입력이 상기 제3캐리어(C3)가 상기 제2브레이크(B-2)의 작동에 의해 고정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3링기어(R3)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출력축(20)을 통해 역방향을 출력되는 데, 이때 출력되는 속도는 R 레인지 1속에 비해 큰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제3선기어(S3)로 전이되는 입력이 R 레인지 1속에서는 제1링기어(R1)를 통해 감속 입력인 반면에, R 레인지 2속에서는 입력축(10)을 통한 등속 전이의 입력이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대한 각 작동요소별 구성관계와 속도관계를 도시한 해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대한 각 변속단별 마찰요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요소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입력축 20; 출력축
30; 변속기 케이스
PG-1; 제1유성기어셋트 S1; 제1선기어
C1; 제1캐리어 R1; 제1링기어
PG-2; 제2유성기어셋트 S2; 제1선기어
C2; 제1캐리어 R2; 제1링기어
PG-3; 제3유성기어셋트 S3; 제1선기어
C3; 제1캐리어 R3; 제1링기어
C-1; 제1클러치 C-2; 제2클러치
C-3; 제3클러치 C-4; 제4클러치
B-1; 제1브레이크 B-2; 제2브레이크
OWC; 원웨이클러치

Claims (8)

  1. 입력축(10)의 회전을 감속회전으로 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각각 비감속회전과 감속회전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출력축(20)으로 다단의 변속회전을 출력하는 복합유성기어셋트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변속기 케이스(30)에 항시 구속되는 제1작동요소(N1)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에 항시 연결되는 제2작동요소(N2) 및, 상기 입력축(10)과 항시 연결되는 제3작동요소(N3)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항시 연결되는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출력축(20)과 항시 연결되는 제5작동요소(N5),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는 제6작동요소(N6) 및,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상기 제4작동요소(N4)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1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제7작동요소(N7)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 합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어셋트(PG-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싱글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어셋트(PG-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작동요소 사이는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입력축(10)과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원웨이클러치(OWC)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대해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병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5. 입력축(10)의 회전을 감속회전으로 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셋트와,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로부터 각각 비감속회전과 감속회전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출력축(20)으로 다단의 변속회전을 출력하는 복합유성기어셋트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변속기 케이스(30)에 항시 구속되는 제1작동요소(N1)와,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에 항시 연결되는 제2작동요소(N2) 및, 상기 입력축(10)과 항시 연결되는 제3작동요소(N3)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항시 연결되는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출력축(20)과 항시 연결되는 제5작동요소(N5),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한 쌍의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제6작동요소(N6) 및, 상기 제2작동요소(N2)와 상기 제4작동요소(N4)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1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의 작동요소중 다른 한 쌍의 작동요소를 항시 공유하는 제7작동요소(N7)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성기어셋트는 더블피니언의 제1유성기어셋트(PG-1)이고, 상기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싱글피니언의 제2유성기어셋트(PG-2)와 싱글피니언의 제3유성기 어셋트(PG-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작동요소(N1)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선기어(S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작동요소(N2)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링기어(R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작동요소(N3)는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의 제1캐리어(C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작동요소(N4)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작동요소(N5)는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링기어(R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캐리어(C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의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제3선기어(S3) 사이를 항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4작동요소(N4)와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작동요소 사이는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작동요소(N3)와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상기 입력축(10)과 제4클러치(C-4)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작동요소(N7)는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상기 변속 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제6작동요소(N6)는 원웨이클러치(OWC)를 매개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30)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제6작동요소(N6)에 대해 상기 제2브레이크(B-2)와 병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0)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성기어셋트(PG-1)와 상기 제2유성기어셋트(PG-2) 및 상기 제3유성기어셋트(PG-3)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20)은 상기 입력축(10)의 외주에 설치된 외접기어(22)를 매개로 동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20080056845A 2008-06-17 2008-06-17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4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845A KR100949643B1 (ko) 2008-06-17 2008-06-17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845A KR100949643B1 (ko) 2008-06-17 2008-06-17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064A KR20090131064A (ko) 2009-12-28
KR100949643B1 true KR100949643B1 (ko) 2010-03-26

Family

ID=4169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45A KR100949643B1 (ko) 2008-06-17 2008-06-17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252B1 (ko) * 2012-08-14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075A (ja) 2003-05-26 2004-12-09 Kyowa Metal Work Co Ltd 多段変速遊星歯車列
JP2005106260A (ja) 2003-10-02 2005-04-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遊星歯車式多段変速機
JP2007139068A (ja) 2005-11-17 2007-06-07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における潤滑装置
KR100883234B1 (ko) 2007-05-21 2009-02-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7075A (ja) 2003-05-26 2004-12-09 Kyowa Metal Work Co Ltd 多段変速遊星歯車列
JP2005106260A (ja) 2003-10-02 2005-04-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遊星歯車式多段変速機
JP2007139068A (ja) 2005-11-17 2007-06-07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における潤滑装置
KR100883234B1 (ko) 2007-05-21 2009-02-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064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234B1 (ko) 자동 변속기의 8속 파워 트레인
KR10055933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79294B1 (ko) 차량용 다단 자동 변속기
KR100936304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49661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11514B1 (ko) 자동 변속기의 4속 파워 트레인
KR100949635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41273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변속 제어방법
KR100909568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892804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49662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49643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07129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897955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40164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변속 제어방법
KR100917945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892803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911505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902206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83235B1 (ko)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888294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41273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변속 제어방법
KR100452870B1 (ko) 차량용 6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및 변속 제어방법
KR100926847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911513B1 (ko)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