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611B1 -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 Google Patents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11B1
KR100949611B1 KR1020060095848A KR20060095848A KR100949611B1 KR 100949611 B1 KR100949611 B1 KR 100949611B1 KR 1020060095848 A KR1020060095848 A KR 1020060095848A KR 20060095848 A KR20060095848 A KR 20060095848A KR 100949611 B1 KR100949611 B1 KR 10094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ing
insert
insert according
assembly
snap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149A (ko
Inventor
드로트레프 롤프
장클 마르틴
뮐러 다니엘
미켈러 유겐
Original Assignee
랩 엔지니어링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랩 엔지니어링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랩 엔지니어링 앤드 컴퍼니
Priority to KR102006009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6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과 같은 장치의 벽영역의 구멍용 인써트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소켓과, 그 하우징 소켓에 제공된 조립구와 가압링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구는 장치의 벽영역의 구멍을 관통하여 가이드되며 스냅 요소들을 갖는 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냅 요소들은 구멍의 모서리 뒤쪽에서 맞물리며, 상기 가압링은 스냅 요소들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 소켓에 배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의 결과 전진하는 가이드부에 의해 스냅 요소들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장치의 벽영역에 형성된 구멍용 인써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하우징 소켓을 고정하는 제 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 소켓은 파지 요소에 의해 가압링의 제 1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60095848
인써트

Description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도 1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1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하우징 소켓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케이블 관통 공급용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2 실시예의 하우징 소켓의 사시도.
도 5는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5 실시예의 가압 링의 사시도.
도 8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6 실시예의 가압 링의 사시도.
도 9는 분할된 위치에서의 도 8에 따른 가압 링의 사시도.
도 10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7 실시예의 가압 링의 사시도.
도 11은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8 실시예의 가압 링의 사시도.
도 12는 조립된 상태의 도 11에 따른 제 8 실시예의 가압링의 부분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영역 A의 확대도.
도 14는 케이블 관통 공급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9 실시예의 도 1과 유사한 사시도.
도 15는 일측이 막힌 인써트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의 제 10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소켓 12 ; 고정부재
14 : 케이블 16 : 캡너트
18, 20 : 나사부 26 : 시일 링
32 : 중심축 34 : 중앙 통로
40 : 벽 영역 44 : 구멍
41 : 조립구 42 ; 조립부
46 : 스냅 요소 62 : 구멍 모서리
70 : 가압링 78 : 플랜지
본 발명은 케이블 관통 삽입을 위해 구멍이 형성된 어떤 장치의 벽 영역에 형성된 구멍용 인써트(insert)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써트는 하우징 소켓, 그 하우징 소켓에 제공되는 조립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구는 장치의 벽영역의 구멍을 통하여 가이드될 수 있고 스냅 요소들을 갖는 조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요소들은 그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 소켓에 배치되는 가압링과 함께 구멍의 모서리뒤에 맞물리며, 상기 가압링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의 결과로서의 제 1 전진 가이드에 의해 스냅 요소들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 관통 공급용 인써트는 DE 41 28 632 C1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써트들에서는 장치의 벽 영역에 장착되는 하우징 소켓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소켓이 확고하게 고정조립될 수 있도록 인써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링이 하우징 소켓을 고정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하우징 소켓이 파지 요소에 의해 제 1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해결책은 가압링이 단순화된 방식으로 벽 영역의 구멍에 하우징 소켓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점에서 잇점이 있다.
벽영역에서의 가압링의 고정은 특히 제 1 나사가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스냅 요소들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한 자동 잠금은 가압링을 이동시키는 제 1 나사형성된 가이드부는 재료에 관계없이 그 피치로 인하여 항상 자동 잠금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멍용 인써트는 여러 방법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공통적인 유형의 인써트는 하우징 소켓에 고정부재용의 중앙 통로가 제공되어 있고, 그 중앙 통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클램핑 요소가 회전가능하게 하우징 소켓에 제공되어 인써트를 통하여 가이드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인써트는 케이블 관통 공급을 위한 것이다.
하우징 소켓에 클램핑 요소와 별도로 파지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해결책은 클램핑 요소가 이중 기능을 갖고 파지 요소로서도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해결책은, 관통 공급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핑 요소의 제 2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과 반대의 제 1 회전방향으로 가압링이 하우징 소켓을 고정하도록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통 공급 케이블이 장치에 설치될 때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핑 요소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와 반대방향으 로 조립구, 특히 가압링이 회전될 수 있어서 조립구의 어떠한 헐거움도 방지된다.
변형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고정용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위하여 제공되는 제 2 나사 형성된 가이드부보다 더 큰 자동 잠금력을 갖는 나사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스냅 요소들의 방향으로 가압링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가압링의 조정 덕분에 벽을 관통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관통 케이블이, 가이드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가 이동될 때 헐거워지지 않게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에 대하여, 가압링용으로 제공된 제 1 나사형성된 가이드부가 그 일회전시 제 2 나사 형성된 가이드부의 적어도 한 회전 보다 작은 피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 회전으로 클램핑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나사 형성된 가이드부를 제공한다.
클램핑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나사 형성된 가이드부는 사다리꼴 나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관통 공급용 인써트에 대하여, 다른 해결책은 하우징 소켓이 조립구로부터 먼쪽에 공구와 맞물리는 요소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하우징 소켓의 상기와 같은 구성은 특별한 라인들 공급용으로 제공되거나, 하우징 소켓이 조립구로 부터 먼쪽이 밀폐되어 있을 때, 구멍이 필요하지 않는 장치의 벽영역의 구멍을 밀폐하기 위한 일측이 막힌 인써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공구와 맞물리는 요소는 공구로 맞물리게 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하우징 소켓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가압링이 제 1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하우징 소켓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잇점이 있다.
조립부를 구종하기 위한 스냅 요소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한가지 유리한 특징은, 예를들어 스냅 요소들이 중앙 통로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벽 영역의 구멍 모서리 뒤쪽에서 맞물리는 지지면을 가짐으로써 벽영역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스냅 요소들이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케이블용 인써트는 삽입 방향과 반대의 벽영역의 뒤쪽면에 지지면이 접촉하게 됨으로써 벽영역의 구멍속에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스냅 요소들에 제공된 중심을 잡게 하는 표면들과 스냅 요소의 지지표면은 함께 작용하여 조립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구멍의 경우에 조립부가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스냅 요소들이 벽영역을 따라 슬라이드되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형의 중심을 잡게 하는 표면들은 구멍쪽에서 중심축을 향하여 접촉함으로써 구멍에서의 조립부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편, 스냅 요소들의 펴짐을 방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조립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스냅요소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 해결책은 스냅 요소들이 쌍들로 서로 바로 이웃하여 위치 하는 식으로 배치되며, 즉 서로 이웃한 스냅 요소들은 웹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서로에 대하여 스냅 요소들의 독립된 움직임을 허용하는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 영역의 구멍에 대한 조립부의 최적의 배치 관점에서, 스냅 요소들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미만의 각도 간격으로 조립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링 또는 클램핑 요소의 회전중에 벽영역의 구멍에서 조립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예는 스냅 요소들에 지지면을 지탱하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코팅이 제공되도록 한다.
마찰을 증가시키는 코팅이 상기 중심 표면들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중심 표면들을 통하여 뿐만 아니라 지지면을 통하여 양호한 마찰력으로 조립부를 구멍에서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해결책은 스냅 요소들에 조립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표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표면 구조는 리브나 돌출부들 또는 거친 표면들로서, 중심 표면의 영역과 지지 표면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조립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해결책은 조립부가 스냅 요소들 외측에 구멍의 모서리와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돌출부들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들은 일부분의 재료가 제거될 수 있거나 조립부가 구멍에 삽입될 때 변형될 수 있는 리브 또는 핀들로서, 조립부와 구멍의 모서리 사이에서 잠금 연결에 이용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돌출부는 조립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가압링의 구조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한가지 바람직한 해결책은 가압링이 벽영역을 향한 플랜지면을 갖도록 하여 가압링이 벽 영역에 접촉할 수 있게 하여 스냅 요소들의 지지면들과 플랜지면들 사이에서 벽영역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것이다.
벽 영역의 구멍에서의 밀폐를 위하여, 가압링이 시일 링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수단은 플랜지면이 접하게 되고 가압링의 나사가 형성된 통로속으로 들어가서 시일 링이 조립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사용될 수 있도록 요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요홈은 벽영역의 방향과 조립부의 방향으로 시일링에 작용하는 가압면을 구비하여서 이중의 시일 효과, 즉, 벽영역과 조립부에 대하여 시일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조립부는 시일용의 원통형의 접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영역의 구멍속에 조립부를 삽입하는 동안 중심축 방향으로 예비 응력과, 스냅 요소들이 그 지지면들로 벽영역에 접촉하여 구멍에서 회전하지 않는 스냅 요소들의 잠금상태를 얻기 위하여, 가압링에는 탄성의 예비 응력 발생 요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비 응력발생 요소는 스냅 요소들의 지지면들이 벽의 뒤쪽에 맞물린 다음에 벽 영역의 앞쪽에서 접촉하여 지지하여 벽영역의 구멍에서 조립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확고하게 고정한다.
상기한 예비 응력발생 요소는 가압링에 지지되는 탄성 링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링은 가압링의 요홈에 배치되어 그 플랜지면으로부터 나사형성된 통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요홈은 연장부를 구비하여 가압링이 조여지는 동안에 그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의 예비 응력발생 요소가 요홈속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최종적으로 가압링이 그 플랜지면이 벽영역을 향하게 벽영역에 직접 작용하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해결책은, 탄성의 예비 응력발생 요소는 지지작용과 함게, 하우징 소켓의 원주방향의 표면과 벽영역의 일측면 사이에 시일된 상태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 소켓의 원주 방향의 표면과 벽영역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 요소로서도 효과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해결책으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시일링이 예비 응력발생 요소들을 유연성 있게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예비 응력발생 요소는 가압링을 벽영역에 대하여 고정시키고, 가압링이 벽영역에 대해 충분히 작용하지 못할 때 상기 예비 응력발생 요소는 그 예비 응력으로 가압링의 회전으로 인한 조립부의 헐거워짐을 방지한다.
특히, 예비 응력발생 요소들은 가압링의 플랜지면으로 부터 벽영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예비 응력발생 요소들은 가압링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도 벽영역에 대하여 조립부의 헐거워짐 방지 작용을 한다.
하우징 소켓에 가압링을 조립하는 것에 대하여, 여러가지의 가능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것은 가압링이 스냅 요소 너머로 나사 형성된 가이드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나사형성된 가이드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가압링의 직경을 가능한 작게 하고 클램핑 요소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한 조립 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스냅 요소 너머로 가압링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예를들어 가압링이 스냅 요소들의 탄성의 편향적인 움직임으로 인하여 스냅 요소들 너머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스냅 요소들이 가압링을 나사에서 멀어지게 이동시키도록 조립부의 삽입에 대응하여 편향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그러나, 가압링이 스냅 요소들 너머로 이동될 때 갇히는 방식으로 스냅링에 의해 고정된다.
다른 바람직한 해결책은 가압링이 스냅 요소들의 배치와 크기에 일치하는 요홈들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홈들은 가압링이 어떠한 편향된 움직임 없이 스냅 요소들 너머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요홈들은 가압링의 상당한 부분을 침입한다. 바람직한 해결책은 가압링의 나사부에 요홈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이 요홈들은 나사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 써 간편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해결책은 가압링이 가압링들을 두개의 원호형 부분들로 분할하는 분할면을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부에 두개의 가압링 부분들을 연결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잇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공급용 케이블의 제 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14)의 관통 공급을 가이드하도록 고정부재(12)가 제공되고 부호(10)으로 표시된 하우징 소켓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재(12)는 클램핑 요소로서 캡 너트(16)를 포함하며, 그 캡 너트는 그 내부 나사부(18)가 하우징 소켓(10)의 외부 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클램핑 요소는 순수하게 클램핑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케이블이 나선형으로의 꼬임 방지 또는 마찰 완화를 위한 꼬임방지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 소켓(10)은 외부 나사부(20)와 인접하고 캡 너트(16)와 맞물리는 단부 영역에 시일 링(26)을 포함하며, 상기 시일 링은 하우징 소켓(10)의 시일 단부(27)에 밀봉되게 접촉되는 한편, 케이블(14)의 케이징(28)에 밀봉되게 접촉되게 작용한다.
캡 너트(16)에는 핀 바스켓(24)에 작용하도록, 캡 너트(16)가 그 내부 나사(18)가 외부 나사(20)에 체결될 때, 하우징 소켓(10)의 중앙 통로(34)의 중심축(32) 방향으로 핀 바스켓(24)에 작용하는 원추형 표면(30)이 제공된다.
하우징 소켓(10)을 장치의 벽 영역(40)에 장착하기 위하여, 하우징 소켓(10)에는 벽 영역(40)의 구멍(44)을 통하여 가이드될 수 있는 조립부(42)를 구비한 조립구(41)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부(42)에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냅요소(46)들이 제공되며, 상기 스냅 요소들은 전체적으로 조립부(42)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스냅 요소는 조립부(42)의 벽(50)을 뚫어 형성된 U자형의 홈(48)에 의해 중심축(32)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적인 절편(5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편의 부분(54)은 조립부(42)의 벽(50)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편들은 절편의 부분(54) 반대쪽에 위치한 절편 단부(56)를 구비하며, 지지 표면(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32)에 횡으로 연장되고, 조립부(42)가 벽 영역(40)의 제 1 측면(58)으로부터 제 2 측면(59)으로 구멍(44)을 통하여 가이드될 때 벽 영역(40)의 제 2 측면(59)에서 구멍(44)의 모서리부(62) 뒤쪽에 맞물리게 되어서 구멍의 모서리(62)가 지지 표면(60)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심 표면(64)은 절편 단부(56)에 제공되고, 상기 중심 표면은 구멍(44)에 맞물리며 조립부(42)를 향한 구멍의 모서리부(62)의 내측면(66)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조립부(42)와 함께 하우징 소켓(10)이 구멍(44)에서 중심을 잡도록 해준다.
이와 함께, 상기 중심 표면(64)은 절편(52)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와 같은 절편의 펼쳐짐은 중심축(32)으로 부터 멀어지게 이동됨으로 인하여 조립부(42)에 강한 인장 응력을 발생시킨다.
벽 영역(40)의 구멍 모서리(62)에 대하여 조립부(4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 소켓(10)을 둘러사는 가압 링(70)이 제공되며, 상기 가압 링은 그 내측 나사부(72)가 하우징 소켓(10)의 내측 나사부(74)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중심축(3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 링(70)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 플랜지(78)의 플랜지면(76)이 지지표면(60)에 대향된 위치한 쪽에서 벽 영역(40)에 접촉됨으로써 지지표면(60)과 플랜지면(76) 사이에서 벽 영역(4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 소켓(10)을 벽 영역(40)에 확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 나사(72)와 외부 나사(74)의 자기 잠금 각도 보다 작은, 중심축(32)에 대한 피치가 제공된다.
더욱이, 내부 나사(72)와 외부 나사(74)는 소위 왼손 나사이며, 벽 영역(40)의 플랜지면(76)의 접촉은 반시계방향의 회전방향(85)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캡 너트(16)와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소켓(10)의 외부 나사(18)는 오른손 나사로 캡 너트(16)의 체결은 시계방향의 회전방향(89)을 필요로 하며, 여기서 외부 나사부(20)의 나사(88)는 나사(84) 보다 큰 피치를 가지며, 자기 잠금에 필요한 피치 보다 작은 피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반대로, 상기 캡 너트(16)는 원추형 표면(30)이 핀 바스켓(24)과 결합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핀 바스켓(24)에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외부 나사부(20)의 나사(88)는 오른손 나사로서 이중 사다리꼴 나사 형상을 가지며 캡 너트(16)의 적은 회전으로도 중심축(32) 방향으로의 비교적 큰 이동이 가능하며 그러므로 핀바스켓(24)의 중심축(32) 방향으로의 약간의 이동으로 케이블(14)의 케이징(28)에 시일 링(26)을 확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소켓(10)의 외부 나사부(20) 뿐만 아니라 외부 나사(74)도 거의 같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가압링(70)을 핀 바스켓(24)쪽으로부터 외부 나사부(18)를 넘어서 외부 나사(74)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에서, 가압링(70)을 조립부(42)쪽으로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내부 나사(72)는 스냅요소(46)너머로 이동되어야 하며, 절편(52)이 그 지지 표면(60)이 중심축(32)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가압링(7)을 그 플랜지면(76)이 벽 영역(40)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제공된 나사(72,74)가 왼손나사인 결과, 오른손 나사인 캡 너트(16)의 조임중에 헐거위지지 않고 계속 조여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조립구로 벽 영역(40)에 장착된 다음 케이블 관통 공급용 인써트는, 캡 너트의 조임으로 고정부재(12)로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를 통하여 가이드되는 케이블의 후속적인 고정중에도 헐거워지지 않고 벽 영역(40)에 견고하게 장착된 채로 유지된다.
벽 영역(40)의 구멍의 모서리(62)에서의 조립부(42)의 고정은 조립부(42)가 벽 영역(91)에서 부가적인 리브(90)들을 절편(52)들 사이에 구비하며, 상기 리브들 은 상기 벽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고 구멍(44)에서 조립부(42)가 회전할 수 없게, 강제 잠금되며 부가적으로 중심을 잡도록 제공된다.
상기 리브(90)들은 조립부(42)가 구멍(44)을 통해 가이드될 때 변형되거나 그 재료의 일부분이 제거되지만 여전히 구멍의 모서리(62)의 내측면에 마찰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 스냅 요소(46)는 쌍(92,94)들로서 중심축(32)의 양측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스냅 요소 쌍(92,94)들중 한 쌍을 이루는 두개의 스냅 요소(46)들의 절편(52)들은 서로 바로 이웃하여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의 제 1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조립부(42)의 탄성의 절편들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
하우징 소켓(10), 유지 너트(16) 및 가압 링(70)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 스냅 요소(46)들의 유연성 있는 이동성이 간편하게 실현될 수 있다.
하우징 소켓(10)과 벽 영역(40) 사이에 밀봉되게 연결하기 위하여, 가압 링(70)에는 요홈(96)이 형성되며, 그 요홈은 중심축(32)에 대하여 원추형으로 연장되고 플랜지면(76)으로부터 내부 나사(72)까지 연장된 가압면(98)에 의해 형성된다.
시일 링(100)은 상기 요홈(96)에 배치되며, 시일 링의 일부분은 구멍의 모서리(62)에 접촉될 수 있으며, 하우징 소켓(10)의 외주면(101)은 구멍의 모서리(62) 와 외주면(101) 사이의 밀봉된 연결이 되도록 벽 영역(4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압 링(70)의 원추형 가압 표면(98)은 벽영역(40)에 그 플랜지면(76)을 접촉시키도록 가압링(70)을 조이는 동안, 시일 링(100)이 구멍의 모서리(62)에 접촉할 뿐 아니라 외주면(101)에도 접촉하게 되어 벽영역(40)과 하우징 소켓(10) 사이가 밀봉 상태로 연결되도록 힘이 작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소켓(10)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기재되고,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제 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제 2 실시예에서는 스냅 요소(46)들의 쌍(92,94)들이 중심축(32)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90°의 각도로 편향되어 있으며, 다른 쌍의 스냅 요소(46)들은 중심축(32)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도 4에는 절편(52)의 쌍(102)만이 보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 소켓(10)이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고, 그 하우징 소켓은 스냅 요소(46)의 쌍(102, 104)들과 함께 상(92, 94)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절편(52)은 지지면(60)의 영역에 제공되며, 그 중심면(64)에는 코팅(106)이 제공되어 구멍의 모서리(62)에서의 마찰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구멍(44)의 조립부(42)의 마찰에 의한 고정력을 증가시켜준다.
코팅(106)을 제공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에서는 절편(52)의 쌍(92,94,102,104)들이 제공되며 도 6에 도시된 하우징 소켓(10)은 리브(108)들이 구멍의 모서리(62)에 접촉하여 구멍(44)의 영역에서 마찰증가 효과를 가짐으로써 벽 영역(40)에 대한 조립부(42)의 비회전 고정 및 강제 잠금력을 향상시켜준다.
제 3 및 제 4 실시예들에서 상기한 부분들외의 부분들은 그 앞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 5 실시예에서, 가압 링(70')은 그 내측 나사(72)가 요홈부(110,112)들을 가지며, 그 요홈부들은 절편(52)의 쌍(92,94)들에 일치하는 각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가압링(70')은 변형될 필요없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편(52)의 쌍(92,94)들 위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절편(52)의 쌍(92,94)들은 중심축(32)의 방향으로 내측 나사(72)에서 요홈부(110,112)들 각각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서의 나머지 특징들은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의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압링(70")은 분할 평면(118)을 따라 분할될 수 있으며, 두개의 가압 링부분(120,122)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링부분들은 잠금 요홈부(124)와 맞물릴 수 있는 록킹 후크(126)를 통하여 완전한 가압링(70")을 형성하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그 결과, 가압링(70")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편(52)들 너머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가압 링부분(120, 122)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렬되어 외측 나사(74) 에 배치되고 잠금 요홈부(124)를 록킹 후크(126)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링(70")은 하우징 소켓(10)의 외측 나사(74)에 직접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가압링부분들은 외측 나사(74)에 있을 때 비로서 완전한 가압링(70")을 형성하게 되며, 전술한 가압링(70) 또는 가압링(70')과 같이 회전될 수 있으며, 그 회전의 결과 중심축(32)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나머지 특징들은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0에 도시된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링(70'")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다.
그러나, 가압링(70'")에는 가압 플랜지(78)에서 탄성 돌출부(130)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돌출부(130)는 플랜지면(76)위로 돌출되고 요홈부(132)에서 융기되어 있다. 상기 탄성 돌출부는 가압링(70'")이 회전하면 벽 영역(40)에서 플랜지면(76)을 접촉시키도록 작용하고 그런 다음 가압링이 더 회전되어 탄성력이 극복되면 요홈부(132)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탄성 돌출부(130)는 가압링(70'")이 확실하게 조여지지 않을 때라도 가압링(7'")을 마찰력에 의해 고정하게 되므로 벽영역(40)에 하우징 소켓(10)이 항구적으로 조립되게 한다.
더욱이, 탄성 돌출부(130)는 그 단부면(134)으로 가압링(70'")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가압링이 벽영역(40)에서의 확고한 고정을 돕는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 인써트의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링(70'")에는 요홈부(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는 플랜지면(76)과 평행한 턱(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에 대하여 슬라이드되게 박판 형태로 된 중간 링(142)이 상기 턱(140)에 놓이며,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링(144)이 그 단부면(146)이 턱(140)에 배치되는 중간링(142)의 반대쪽의 면에 안착되고, 그 반대쪽의 단부면(148)은 벽 영역(42)의 일측면(58)을 향하여 상기 벽 영역에 접촉된다.
또한, 탄성링(144)의 내측면(150)은 하우징 소켓(10)의 외주면에 밀봉되게 접촉할 수 있다.
탄성링(144)은, 예를들어 고무재료 또는 다공성 탄성재료와 같은 연질 탄성재료로 형성되며, 중심축(32) 방향으로 눌려져서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예비 응력을 받게 되는 한편, 그 예비 응력은 조립부(42)가 구멍(44) 속에 끼워지게 하우징 소켓(10)을 삽입하고 탄성링의 단부면(148)이 벽 영역(40)의 일측면(58)에 접촉되는 동안에 중심축(32)에 평행하게 작용하게 되어 구멍(44)의 모서리(62)에 지지면(60)들을 접촉시킴으로써 그 예비 응력의 작용하에 구멍의 모서리(62)에 지지면(60)이 고정되며, 이로써 조립부(42)가 벽 영역(40)에 회전될 수 없게 강제 잠금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가압링(70'")을 고정하기 위하여 더 회전함으로써, 상기한 예비 응력은 중심축(32) 방향으로 평행하게 증가되며, 그러한 응력의 증가는 플랜지면(76)이 벽 영역(40)의 일측면(58)에 확실히 접촉 고정되도록 어느 정도의 변형이 일어날 때까지이다.
중심축(32)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링(144)이 변형되면서 중심축(32)의 반경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확대되어서 원주방향의 표면(101)에 내측면(150)이 접촉고정됨으로써, 탄성링(144)은 우선 조립부(42)가 구멍(44)속에 삽입되는 동안에 예비 응력을 가하는 요소로서 작용하고, 이어서 가압링(70'")을 계속 조임으로써 벽 영역의 일측면(58)과 하우징 소켓(10)의 원주방향의 표면(101)에 대하여 밀봉되게 연결하는 시일요소로서 작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공급용 인써트의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제 9 실시예의 캡 너트(16')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순한 캡너트로서 뿐만 아니라 보호 튜브(162)용 수용구(16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튜브는 케이블(10)이 연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주름관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캡 너트(16')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시일링(26)이 관통하는 케이블에 대해 압착되어서 하우징 소켓(10)과 그속을 관통하는 케이블 사이에 밀봉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시일링(26)을 수용하는 핀 바스켓(24)에 작용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0 실시예는 벽영역(40)의 구멍(44)용의 일측이 막힌 인써트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하우징 소켓은 조립부(41)에서 먼쪽에 밀폐구(170)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구는 가장 단순한 경우에는 하우징 소켓(10)에 일체로 형성되고 기밀되게 밀폐한다.
상기 밀폐구(170)에는 공구에 맞물려지는 부분(172)이 제공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구에 맞물려지는 부분(172)은 평탄면(174)들로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공구에 맞물려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하우징 소켓(10)이 회전할 수 없게 유지되는 한편 제 1 회전방향(85)으로 가압링(70)을 회전시켜 하우징 소켓을 벽영역(40)의 구멍(44)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 10 실시예에 따른 인써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였고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는 하우징 소켓을 간편하고 확고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고정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1)

  1. 하우징 소켓(10)과, 그 하우징 소켓(10)에 제공된 조립구(41)와 가압링(70)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구는 장치의 벽영역(40)의 구멍(44)을 관통하여 가이드되며 스냅 요소(46)들을 갖는 조립부(42)를 구비하며, 상기 스냅 요소들은 구멍의 모서리(62) 뒤쪽에서 맞물리며, 상기 가압링은 스냅 요소(46)들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 소켓에 배치되고 중심축(32)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의 결과 전진하는 가이드부(72,74)에 의해 스냅 요소(46)들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장치의 벽영역(40)에 형성된 구멍(44)용 인써트(insert)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하우징 소켓(10)을 고정하는 제 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 소켓(10)은 파지 요소(16,172)에 의해 가압링(70)의 제 1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제 1 나사가 형성된 가이드부(72,74)에 의해 스냅 요소(46)들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나사형성된 가이드부(72, 74)들은 그 피치로 자동 잠금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소켓(10)에는 중앙 통로(34)가 제공되고, 그 중앙 통로(3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클램핑 요소(16)를 구비한 고정부재가 인써트를 관통하여 가이드되는 케이블(14)을 고정하도록 하우징 소켓(10)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6)는 파지(holding)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관통 가이드되는 케이블(14)을 고정하는 클램핑 요소(16)의 제 2 회전방향(89)에 대하여 반대방향인 제 1 회전방향(85)으로 하우징 소켓(10)을 고정하도록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케이블(14)을 고정하는 클램핑 요소(16)를 움직이도록 제공되는 제 2 나사형성된 가이드부(18,20) 보다 더 큰 자동 잠금력을 갖는 제 1 나사형성된 가이드부(72,74)에 의해 스냅 요소들(46)의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8.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링(70)용으로 제공된 상기 제 1 나사형성된 가이드부(72,74)는 제 2 나사형성된 가이드부(18,2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88) 보다 더 작은 피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8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6)를 이동시키는 제 2 나사형성된 가이드부(18,20)는 복수 회전의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나사형성된 가이드부(18,20)는 사다리꼴 나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소켓(10)은 조립구(41)로부터 먼쪽에 공구가 맞물리는 요소(17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요소(46)는 중앙 통로(34)의 중심축(3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벽영역(40)의 구멍의 모서리(62) 뒤쪽에 맞물리는 지지면(60)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요소들에 제공된 중심을 잡는 표면(64)들은 지지면(60)과 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42)는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스냅 요소들(46)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요소(46)들에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코팅(106)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요소(46)들에는 조립부(42)의 회전을 방지하는 표면구조(108)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42)는 스냅 요소(46)들의 외측에서 벽영역의 구멍의 모서리(62)와 마찰 작용을 하는 돌출부(90)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리브(90)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벽영역(40)을 향한 플랜지면(7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시일 링(100)용 수용 수단(9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96)은 플랜지면(76)에 인접하고 가압링(70)의 나사 형성된 통로로 들어간 요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96)은 벽영역(40)의 방향과 조립부(42)의 방향으로 시일 링(100)에 작용하는 가압면(9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42)는 시일 링(100)용 원통형의 접촉면(10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70"")에는 탄성의 예비 응력발생 요소(130,14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유연성있게 유지되는 예비 응력발생 요소(1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응력발생 요소(130)는 가압링(70'")의 플랜지면으로부터 벽영역(40)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이동을 위해 제공된 나사형성된 가이드(74)를 향하여 스냅 요소(46)들 너머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스냅 요소들의 탄성적인 편향 이동으로 인하여 조립부(42)의 스냅 요소(46)들 너머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스냅 요소(46)들의 배치와 크기에 일치하는 요홈(1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의 나사부(72)는 요홈(1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31. 제 1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70)은 분할면(118)을 따라 가압링 부분(120,122)들로 분할되고, 그 두개의 가압링 부분(120,122)들이 연결되게 조립부(4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써트.
KR1020060095848A 2006-09-29 2006-09-29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KR10094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848A KR100949611B1 (ko) 2006-09-29 2006-09-29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848A KR100949611B1 (ko) 2006-09-29 2006-09-29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149A KR20080030149A (ko) 2008-04-04
KR100949611B1 true KR100949611B1 (ko) 2010-03-25

Family

ID=3953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848A KR100949611B1 (ko) 2006-09-29 2006-09-29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730A (en) 1996-04-19 1999-08-24 U.I. Lapp Gmbh & Co. Kg Threaded cable joint
JP2002315161A (ja) 2001-04-17 2002-10-25 Fuji Heavy Ind Ltd ケーブルの保持構造
KR200339624Y1 (ko) 2003-10-17 2004-01-24 변희선 케이블 그랜드
JP2004180352A (ja) 2002-11-25 2004-06-24 Nippon Flex Kk ケーブルのシー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730A (en) 1996-04-19 1999-08-24 U.I. Lapp Gmbh & Co. Kg Threaded cable joint
JP2002315161A (ja) 2001-04-17 2002-10-25 Fuji Heavy Ind Ltd ケーブルの保持構造
JP2004180352A (ja) 2002-11-25 2004-06-24 Nippon Flex Kk ケーブルのシールコネクタ
KR200339624Y1 (ko) 2003-10-17 2004-01-24 변희선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149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993B2 (en) 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US5829794A (en) Vacuumtight connection
US10910811B2 (en) Cable gland assembly
KR101476570B1 (ko)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RU2738985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труб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вым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м
KR102493549B1 (ko) 고정 요소와 이러한 고정 요소 및 수용 요소를 갖춘 조립체
US7338087B2 (en) Connector fitting
JPS5854295A (ja) 筒状接続体へのホ−ス固定装置
AU2011209227A1 (en) Cable sealing device, cable termination and attaching device
US20120211274A1 (en) Cable Feedthrough
US20120325549A1 (en) Device for fixing a cable to a cable outlet connector
CN109196399B (zh) 用于缆线上的连接器的罩壳
US20110084191A1 (en) Holder for a motor vehicle add-on part and device for holding a motor vehicle add-on part
US6605781B2 (en) Cable guide for a sealed box, and a sealing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US8895878B2 (en) Cable feedthrough
KR20190034099A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CN114901956A (zh) 连接元件和连接装置
EP2167280A1 (en) Attachment mechanism
KR100949611B1 (ko) 장치의 구멍용 인써트
JP2018152941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KR20200065772A (ko)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CN112969860B (zh) 四分之一圈类型的轴向定心紧固装置
JP2020172954A (ja) 防塵キャップ、防塵キャップ取付構造及び防塵キャップ取付方法
JP2020137272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CA2560652C (en) 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