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655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655B1
KR100948655B1 KR1020090074398A KR20090074398A KR100948655B1 KR 100948655 B1 KR100948655 B1 KR 100948655B1 KR 1020090074398 A KR1020090074398 A KR 1020090074398A KR 20090074398 A KR20090074398 A KR 20090074398A KR 100948655 B1 KR100948655 B1 KR 10094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upper plate
guide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서재흥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서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서재흥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9007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 놓고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에 다수 개의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각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분할된 분할상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상판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기, 가스레인지, 상부 플레이트, 분할상판, 가이드레일, 가이드홈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 놓고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분할되어 이동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과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가스레인지가 상용화되어 있고, 가스레인지는 상면에 가열수단과, 그 가열수단의 상부로 조리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삼발이가 구비된다.
도 6은 종래의 조리기기인 가스레인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가스레인지(100)에는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110)에 버너로 이루어진 가열수단(120)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각 가열수단(120)에는 조리용기를 올려 놓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레인지는 상부 플레이트(110)가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열수단(120)이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가열수단(120)의 상부로 올려 놓을 경우 하나의 조리용기와 이웃하는 조리용기가 가열수단(120)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서 로 간섭되어,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가스레인지는 조리용기의 부피가 큰 경우 하나의 가열수단(120)만을 사용할 수 있었고 다른 가열수단(120)의 상부로 조리용기를 올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은 전기레인지나, 인덕션 히터와 같은 조리기기 또한 전술한 가스레인지와 같은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 놓고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크기에 따라 가열수단간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에 다수 개의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각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분할된 분할상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상판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수단과,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되, 상기 좌,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의 일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면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분할상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체결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전,후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이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본체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 놓고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울적으로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크기에 따라 가열수단을 포함한 분할상판의 폭조절을 좌,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조리 시에는 간격을 멀게 하고, 부피가 작은 조리용기를 사용할 시에는 간격을 좁게 하여, 조리기기의 부피에 맞추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분할상판의 폭조절을 좌,우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여러개를 올려 놓고 조리를 할 수 있어, 활용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10)에 다수 개의 가열수단(120)이 구비된 본체(100)로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각 가열수단(120)을 포함하여 분할된 분할상판(30a)(30b)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상판(30a)(30b)은 이동수단(1)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가열수단(120)을 포함하는 분할상판(30a)(30b)으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할상판(30a)(30b)은 상기 이동수단(1)에 의해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올려 놓을 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은, 상기 분할상판(30a)(30b)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수단(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이동수단(10)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이동수단(10)은,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일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면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과, 상기 분할상판(30a)(30b)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이 삽입체결되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수단(120)은 상기 분할상판(30a)(30b)이 좌,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가열수단(120) 또한 좌,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분할상판(30a)(30b)에 통상적인 브라켓등과 같은 고정수단(40)으로 고정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분할상판(30a)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분할상판(30b)은 각각 가열수단(120)이 포함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분할상판(30a)과 분할상판(30b)은 각각 독립적으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할상판(30a)과 분할상판(30b)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상판(30a)(30b)의 저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에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상판(30a)(30b)은 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12)와, 상기 가이드부재(12)에 형성되는 삽입공이 가이드레일(11)에 삽입되어 상기 분할상판(30a)(30b)이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2)는 분할상판(30a)(30b)이 흔들리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1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분할상판(30a)(30b)이 본체(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좌측 내부측면으로부터 우측 내부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11)은 상기 가이드부재(12)와 분할상판(30a)(30b)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도록, 한쌍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할상판(30a)(30b)의 저면으로 결합되어 고정된 가이드부재(12)가 평행하게 배열된 가이드레일(11)로 슬라이딩될 시 평행한 가이드레일(11)의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간격유지구(13)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양단과 중간에 결합되어,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이 평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구(13)는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원활하게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로 하는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할상판에 고정된 가열수단(120)은 좌,우로 이동되므로 상기 가열수단(120)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호스는 유연성을 가지고 늘어났다 줄어들기 용이한 재질과 형태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120)이 가스를 연료로 하는 버너일 시 버너와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호스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호스이거나, 코일형태로 감겨져거 늘어나거나 줄어들기 용이한 코일호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좌,우 이동수단(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할상판(30a)과 다른 분할상판(30b)이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상기 분할상판(30a)과 다른 분할상판(30b)의 저면에는 각각 가이드부재(12)가 형성되므로, 분할상판(30a)과 다른 분할상판(30b)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놓고 조리 시 가열수단(120)을 포함하는 각각의 분할상판(30a)(30b) 중 하나의 분할상판(30a)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분할상판(30b)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할상판(30a)(30b) 간의 간격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확보된 간격만큼 더 큰 조리용기를 사용한 조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가열수단(120)을 포함하는 분할상판(30a)(30b)이 좌,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부피가 큰 조리용기를 동시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수단(1)은, 상기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수단(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좌,우 이동수단(10)과 동일한 좌,우 이동수단(10a)이 더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전,후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 이동수단(20) 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분할상판(30a)(30b)(30c)(30d)은 좌,우 이동수단(10)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좌,우 이동수단(10a)에 의하여 나머지 분할상판(30c)(30d) 또한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전,후 이동수단(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후 이동수단(2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측면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양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21)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1)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이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본체(30a)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홈(21)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양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가이드홈(21)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가이드홈(21)은 가이드레일(11)의 양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21)과 다른 가이드레일(11)의 양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21a)이 더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가이드홈(21)과 가이드홈(21a)은 각각 본체(100)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1)(21a)은 상기 가이드레일(11)(11a)의 양끝단이 일부 삽입되어, 가이드홈(21)(21a)을 따라 가이드레일(11)(11a)이 전 방으로 슬라이딩되거나,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21)(21a)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11)(11a)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분할상판(30a)(30b)과 분할상판(30c)(30d)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에, 본 발명은 좌,우 이동수단(10)과 다른 좌,우 이동수단(10a)이 각각 형성되어,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측면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21)(21a)인 전,후 이동수단(20)이 형성되어 분할상판(30a)(30b)과 다른 분할상판(30c)(30d)이 본체의 전방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전방방향과 후방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상판(30a)(30b)(30c)(30d)을 본체(100)를 기준으로 전방 방향과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킨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할상판(30a)(30b)(30c)(30d)이 전,후로 이동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으로 삽입된 가이드레일(11)은 본체의 전방을 기준으로 동일한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서 분할상판(30a)(30b)이 본체(100)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1a)으로 삽입된 가이드레일(11a)은 본체(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인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1a)과 체결된 분할상판(30c)(30d)은 후방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에, 상기 분할상판(30a)(30b)과 다른 분할상판(30c)(30d)이 이격될 수 있는 간격은 상기 가이드홈(21)과 가이드홈(21a)이 본체(100)의 내부측면으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서 조절된다.
한편, 분할상판(30a)(30b)과 다른 분할상판(30c)(30d)간의 보다 넓은 폭을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할상판이 전,후 및 좌,우로 이동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할상판(30a)과 분할상판(30b)은 가이드홈(21)을 따라서 본체(100)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분할상판(30a)(30b)이 각각 좌측 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분할상판(30c)(30d)은 가이드홈(21a)을 따라서 본체(100)의 후방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레일(11a)을 따라서 각각의 분할상판(30c)(30d)이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 시 부피가 큰 다수의 조리용기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조리용기의 부피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를 실시예로 전술하였으나, 조리기기 의 종류와 무관하게 전기레인지나 인덕션 히터와 같은 조리기기 또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저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할상판이 상,하로 이동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할상판이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종래의 조리기기의 하나인 가스레인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수단 10 : 좌,우 이동수단
11 : 가이드레일 12 : 가이드부재
13 : 간격유지구 20 : 전,후 이동수단
21, 21a : 가이드홈 30a, 30b, 30c, 30d : 분할상판
40 : 고정수단 100 : 본체
110 : 상부 플레이트 120 : 가열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상부 플레이트(110)에 다수 개의 가열수단(120)이 구비된 본체(100)로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각 가열수단(120)을 포함하여 분할된 분할상판(30a)(30b)(30c)(30d)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상판(30a)(30b)(30c)(30d)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수단(10)과,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수단(20)을 포함하는 이동수단(1)에 의해 이동 가능하되,
    상기 좌,우 이동수단(10)은,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일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면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과, 상기 분할상판(30a)(30b)(30c)(30d)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이 삽입체결되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수단(2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측면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양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21)(2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1)(21a)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이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본체(100)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90074398A 2009-08-12 2009-08-12 조리기기 KR10094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398A KR100948655B1 (ko) 2009-08-12 2009-08-1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398A KR100948655B1 (ko) 2009-08-12 2009-08-1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655B1 true KR100948655B1 (ko) 2010-03-18

Family

ID=4218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398A KR100948655B1 (ko) 2009-08-12 2009-08-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7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193U (ko) 1975-09-09 1977-03-17
JPH07239128A (ja) * 1994-02-26 1995-09-12 Nippon Foil Mfg Co Ltd コンロマット
JP2654751B2 (ja) * 1993-11-19 1997-09-17 日本製箔株式会社 多頭レンジ用のコンロマット
KR20050002947A (ko) * 2003-06-27 2005-01-10 (주)성철사창원공장 가스렌지용 유동식 버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193U (ko) 1975-09-09 1977-03-17
JP2654751B2 (ja) * 1993-11-19 1997-09-17 日本製箔株式会社 多頭レンジ用のコンロマット
JPH07239128A (ja) * 1994-02-26 1995-09-12 Nippon Foil Mfg Co Ltd コンロマット
KR20050002947A (ko) * 2003-06-27 2005-01-10 (주)성철사창원공장 가스렌지용 유동식 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7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5972B1 (ko) 2013-12-30 202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1809B2 (en) Induction cooktop appliance
JP2015139709A5 (ko)
GB2471418A (en) Seperating frame group structure of drawer
US9596722B2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40104514A (ko) 조리기구
KR100948655B1 (ko) 조리기기
US2984730A (en) Multi-purpose cooking unit
KR102212008B1 (ko)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JP2017089926A (ja) 加熱調理器
KR100727161B1 (ko) 가열 조리기기
JP2017099595A (ja) グリル装置、及び容器支持体
WO2017005309A1 (en) An oven
KR20150003051U (ko) 테이블에 레일이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덕션 렌지
EP3903037A1 (en) An oven comprising a height-adjustable rail
KR100819592B1 (ko) 조리기기
KR10098870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1233246B1 (ko)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CN105873481A (zh) 食物保持器、使用食物保持器的装置和方法
DE60111353D1 (de) Ofen für Lebensmittel
CN203953383U (zh) 一种立体加热式烤箱
JP6037907B2 (ja) 加熱調理器
KR100641446B1 (ko) 오븐의 랙 구조
KR101800090B1 (ko) 다중 가열이 가능한 전자레인지
KR101932322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0641445B1 (ko) 오븐의 랙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