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180B1 -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 Google Patents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80B1
KR100948180B1 KR1020070062505A KR20070062505A KR100948180B1 KR 100948180 B1 KR100948180 B1 KR 100948180B1 KR 1020070062505 A KR1020070062505 A KR 1020070062505A KR 20070062505 A KR20070062505 A KR 20070062505A KR 100948180 B1 KR100948180 B1 KR 10094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ttern
formwork
synthetic resi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705A (ko
Inventor
황문기
손천근
Original Assignee
황문기
손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문기, 손천근 filed Critical 황문기
Priority to KR102007006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8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1/00Designs imitating artistic work
    • B44F11/04Imitation of mosaic or tarsia-work pattern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는, 연속된 롤 구조의 시트로 제작이 가능하여 차량 이송이 용이하고, 시공시에 벽면에 문양을 형성할 때 이음새 부분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벽 문양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고, 또한 시트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배면에 음양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되어, 시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문양본, 거푸집, 합성수지, 롤 구조, 벽면, 시트

Description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rm-mold-sheet for concrete, and form-mold-sheet made by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가 도시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가 도시된 구성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의 배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이용하여 건축물 벽면에 형성할 수 있는 문양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문양본 시트 12 : 발포층
14 : 문양면 15 : 코팅층
16 : 음양각 21 : 거푸집
22 : 합성합판
30 :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40 : 합성수지 공급부 50 : 문양본시트 형성부
51 : 메인 롤러 53 : 대향 롤러
54 : 입구 롤러 56 : 출구 롤러
57 : 보조 롤러 59 : 시트 성형대
60 : 냉각부 70 : 경화 배출부
본 발명은 콘크리트 외벽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문양본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운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보다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면에 단순히 타일이나 석재 등을 부착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여러 가지 입체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외벽을 아름답게 장식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축구조물의 내, 외벽이나 기둥 또는 제방공사, 항만공사, 고속도로 및 지하차도의 방음벽, 조경 시설물, 기타 장식을 위한 콘크리트 벽면에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벽면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음각 또는 양각 문양을 형성하고, 여기에 컬러 색상을 추가하여 장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콘크리트 벽면에 각종 장식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무늬면이 형성된 문양 거푸집을 이용하는 바, 이러한 문양 거푸집의 재료로는 통상 철판이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거푸집 문양본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종래 합성수지 거푸집 문양본은,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크기가 정해진 모형틀(성형틀)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강제 압출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거푸집 문양본의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시공할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할 문양의 면적이 넓고 길이가 긴 경우에는, 여러 개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해야 하나, 이때 여러 거푸집의 문양을 전체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할 문양에 맞추어 이음 처리된 부분에 문양을 같게 만들어야 하는 등 거푸집의 문양 형성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거푸집의 문양이 잘 조합되도록 맞추더라도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의 이음 처리된 부분에, 시공 과정에서 온도변화에 팽창과 수축에 의해 주름과 골이 생겨 콘크리트 문양을 복사한 후에 표면에 이음새 부분이 굴곡되거나 돌출되는 등 시공 후 콘크리트 외벽의 미관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문양본은 대개 우레탄 소재를 경화제와 배합하여 성형틀에 붓고 건조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우레탄성분 자체의 신축성에 의해 압축탈력에 약하고, 거푸집 틀에 부착하는 과정에 본드 및 우레탄을 표면에 발라 밀착시키므로 다수회로 사용하기 쉽지 않고, 문양 표면에 굴곡 등이 발생하면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사용 수명이 짧고, 사용 후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다량의 산업 폐기물이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거푸집은 상당한 두께와 하중을 갖는 합성수지 패널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탈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크레인으로 이송하는 도중에 과다한 하중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양틀인 거푸집에 문양본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볼트 등으로 결합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양생될 때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볼트가 절단되어 문양본이 이탈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 문양의 이음새 부분을 최소함과 아울러,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도 최소화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벽면의 문양을 보다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시트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며, 시공성 및 경제성 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공급하는 합성수지 공급부와;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에서 공급된 합성수지를 통과시키면서 적어도 일면에 문양본이 형성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이하 '문양본 시트'라 함)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문양본 시트의 전면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메인 롤러와; 입구 롤러, 보조 롤러, 배출 롤러들이 상기 메인 롤러와 대향되게 순서대로 배치되어, 용융된 합성수지가 통과하면서 경화되어 문양본 시트가 성형되도록 함과 동시에 문양본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하는 대향 롤러들과; 상기 대향 롤러의 입구 롤러와 보조 롤러 사이의 일정 구간에 상기 메인 롤러의 외면과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호형상의 곡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도록 냉각수가 통과하는 시트 성형대; 로 이루어진 문양본시트 형성부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의 메인 롤러와 대향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와 상기 시트 성형대 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를 통해 성형되는 문양본 시트를 경화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서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경화시켜 배출하는 경화 배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성형대를 통과하여 어느 정도 초기 경화된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 롤러들 중에서 상기 보조 롤러에 문양본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 배출부는,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서 성형된 문양본 시트를 침수시켜 경화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침수통과, 이 침수통의 내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어 문양본 시트를 이송하는 이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를 통해, 상기 거푸집 문양본 시트 내부에 기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발포제가 첨가된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 공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에서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를 상기 메인 롤러와 이와 대향되는 대향 롤러 및 시트 성형대 사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되, 메인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의 전면에 문양본을 성형하고, 대향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함께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성형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배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상기 제 2 단계에서, 문양본시트 성형부에서 문양본 시트를 성형할 때, 메인 롤러의 표면에 코팅제를 공급하면서 문양본 시트의 전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는, 상기한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로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발포층을 갖고, 전면에 문양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발포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문양면에 코팅제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되며, 배면에 요철 모양의 음양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 문양본 시트는, 합성수지재에 일정량의 돌가루와 석회분말이 첨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본 시트 및 그것의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의 배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플라스틱 종류인 PE(Polyethylene), PP(P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에,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발포제를 첨가하여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발포층(12)을 갖는 시트형 구조로 길게 제작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포층(12)을 형성하기 위한 발포제는 고분자 재료에 배합되어 열분해 등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문양본 시트(10)에 기포를 형성할 수 있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학 발포제이면 가능하다.
이러한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전면(도면에서 상면)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문양면(14)이 형성되고, 배면(도면에서 하면)에는 음양각(16)이 형성된다.
시트의 문양면(14)은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문양면(14)은 형성하고자 하는 벽면의 문양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문양면의 문양면(14)의 표면에는 발포층(12)이 노출되지 않도록 코팅제가 도포된 코팅층(15)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제는 콘크리트가 접촉된 상태에서도 쉽게 벗겨지거나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성, 내수성, 방습성, 내구성을 가진 코팅제이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계열 코팅제나, 비닐 수지계 코팅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음양각(16)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된 양각과, 이 양각 사이에 배치되는 음각으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는 벌집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음양각(16)은 문양본 시트에 외력이나 열이 가해질 때, 완충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즉,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문양본 시트(1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된 음양각에 대하여 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조건에 따라 다른 여러 모양의 엠보싱 형상으로 음양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후술할 본 발명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생산되는데, 연속된 시트 구조로 생산된 후에, 롤(roll) 구조로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시에는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도 4를 참조하면, 거푸집(21)의 안쪽에 배치된 받침합판(22)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벽면에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즉, 가장 바깥쪽에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21)이 위치되고, 그 안쪽에 받침합판(22)이 배치되며, 이 받침합판(22)의 내면에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가 고정되게 배치된다. 이때 문양본 시트(10)를 받침합판(22)에 고정하는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정용 볼트나 못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거푸집 어셈블리를 구성한 다음,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문양본 시트(10)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벽면의 문양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 등의 건축물 외벽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가 도시된 구성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30)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합성수지 공급부(40)와,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이 롤러들 사이에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40)에서 제공된 용융된 합성수지가 통과하면서 일면에 문양이 형성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를 형성하는 문양본시트 형성부(50)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를 통해 형성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서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를 최종 경화시켜 배출하는 경화 배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3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 공급부(40)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공급하는 통상의 용융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공급되는 수지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재질인 PE, PP, 기타 수지류 등이다.
특히,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40)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의 내부에 기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용융 수지에 발포제를 추가하여 용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수지를 용융하는 과정이 아닌 수지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포제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합성수지 공급부(40)는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관(41)이 구비되고, 공급관(41)의 끝단부에는 공급 호퍼(43)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는,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40)에서 제공된 합성수지가 통과하면서 긴 시트 구조로 형성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시트의 양쪽 면에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문양면(14) 또는 음양각(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16)을 형성하지 않고 문양면(14) 만을 형성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문양본시트 형성부(50)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10)의 전면에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할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메인 롤러(51)와, 이 메인 롤러(51)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합성수지가 통과하면서 시트가 성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대향 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롤러(51)는 대향 롤러(5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문양본 시트(10)의 표면에 문양본을 새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향 롤러(53)들은 상기 메인 롤러(51)와 일정한 간격 즉,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 호퍼(43)의 바로 밑에 상기 메인 롤러(51)와 나란히 입구 롤러(54)가 배치되고, 끝부분에 한 쌍의 배출 롤러(5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 롤러(54)와 배출 롤러(56) 사이에는 다수의 보조 롤러(57)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구 롤러(54)와 보조 롤러(57)들 사이의 일정 구간에는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하는 시트 성형대(59)가 구성되는데, 이 시트 성형대(59)는 상기 입구 롤러(54)와 메인 롤러(51)를 통과한 용융 합성수지를 메인 롤러(51)와의 사이에서 시트(10A) 구조로 성형함과 아울러, 합성수지를 점차 경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성형대(59)는 그 내면이 메인 롤러(51)의 외면과 일정한 틈새를 갖는 호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롤러(57)들은 상기 시트 성형대(59)와 메인 롤러(51) 사이를 통과한 합성수지가 어느 정도 경화된 시트(10A) 상태로 성형되어, 상기 배출 롤러(56) 쪽으로 안내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수로 적절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대향 롤러(53)들 중에는 상기 거푸집 문양본 시트(10)의 배면에 음양각(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성형대(59)를 통과하여 어느 정도 초기 경화된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롤러(57)에 형성된다.
다음,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 내에 구비되어, 용융된 합성수지를 냉각 경화시키면서 시트(10A) 형상으로 제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부(60)는 상기 메인 롤러(51)와 대향 롤러(53)의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하면서 롤러를 통과하는 용융 합성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메인 롤러(51), 입구 롤러(54), 시트 성형대(59), 배출 롤러(56)의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의 각 롤러의 회전축을 통해서 롤러의 내측으로 입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로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는 메인 롤러(51)와 대향 롤러(53)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그 시트(10A)의 전면과 배면에 문양면(14)과 음양각(16)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성형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점차 경화되면서 경화 배출부(70)로 배출된 다.
다음, 상기 경화 배출부(70)는,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서 성형되어 배출된 문양본 시트(10)를 침수시켜 경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서 연속하여 배출된 문양본 시트(10)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경화 배출부(70)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침수통(71)과, 이 침수통(71)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문양본 시트(10)를 이송하는 이송기구(75)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송 기구(75)는 실시 조건에 따라 통상의 이송 기구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구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즉, 상부측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76)와 이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77), 그리고 하부측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76)와 대응되는 위치에 문양본 시트(10)가 이송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 롤러(78)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화 배출부(70)를 통과한 문양본 시트(10B)는 완전히 경화된 시트 구조로 성형되어, 배출부(73)를 통해 연속하여 배출된다.
경화 배출부(70)를 통해 배출되는 문양본 시트(10)는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여 보관하거나, 아니면, 롤(roll) 구조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후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문양본 시트(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은, 먼저 합성수지 공급부(40)에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용융 합성수지는 발포제가 첨가되어 내부에 기공이 형성될 수 있는 수지이다.
다음,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서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40)에서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의 전면에 문양을 형성하면서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냉각부(60)를 통해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를 통과하면서 시트로 형성되는 합성수지를 경화시키게 되고, 시트의 후면에는 음양각(16)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양본 시트(10)의 전면에 형성된 문양과 배면에 형성되는 음양각(16)은 모두 문양본시트 형성부(50)를 구성하는 메인 롤러(51)와 대향 롤러(53)를 통과하면서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문양본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를 통과한 문양본 시트(10)를 경화 배출부(70)에 통과시키면서 최종 경화시켜 배출한다.
이때, 문양본 시트(10)는 롤 구조로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여 보관한 후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문양본 시트(10)에 도 1에서와 같은 코팅층(15)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50)에서 문양본 시트를 성형할 때, 메인 롤러(51)의 표면에 코팅제를 공급하면서 코팅할 수 있다. 또한 문양본시트 형성부(50)를 통과한 후에, 경화 배출부에 공급되기 직전에 코팅하거나, 경화 배출부에서 배출된 후에 코팅하는 등 실시 조건에 따라 코팅층을 형성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 실시예 문양본 시트(10)의 주요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상기한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연속된 롤 구조의 시트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이송이 용이하고, 시공시에 벽면에 문양을 형성할 때 이음새 부분을 없앨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벽 문양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즉, 통상 시공되는 외벽 문양의 최대 크기가 폭 2,6200mm, 길이 30,000mm 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문양본 시트(10)는 폭 3000mm로 하고, 길이는 무한정 생산할 수 있게 되어, 거푸집 문양본의 이음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내부에 기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배면에 음양각(16)을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어느 정도 열이 발생하더라도, 시트에 형성된 기공 및 음양각(16)이 완충 작용을 하게 되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문양본 시트(10)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외벽에 원하는 문양을 정확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기공 및 음양각(16)이 형성됨에 따라 시트 전체의 중량 감소로 인하여 소재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작용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중기(타워크레인) 등을 이용한 이송 작업 과정에서도 보다 안전한 시공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플라스틱 종류의 PE, PP 등의 합성수지류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 전량 재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을 도모함과 아울러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도 높아지는 장점도 갖게 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10')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문양판재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위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투입하여 기공이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30)에 의해 길이 제한 없이 연속되게 제조된 구조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합성수지에 돌가루(석분) 등을 투입하여 판재 형태로 제조된다. 여기서 합성수지에 투입되는 보강재는 돌가루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목분, 섬유 등의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도, 일 실시예의 문양본 시트(10)와 동일하게, 전면에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할 문양면(14')이 형성되고, 배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음양각(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거푸집 문양본 시트(10')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과 같이 용융 합성수지에 돌가루 등의 보강제를 혼합하여 유압프레스 장치의 성형틀에 주입한 다음, 유압에 의해 강제로 압축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합성수지 판재 구조를 갖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10')가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문양본 시트(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문양을 형성할 때, 수축 및 평창에 의해 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용융 합성수지에 일정량의 돌가루와 함께 석회분말을 합성수지 전체 중량의 25 ~ 45 중량% 정도 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다 바람직한 석회분말의 첨가 비율은 35 중량%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아파트 및 건축물 외벽에 콘크리트 문양을 복사하기 위하여 거푸집 안에 부착하여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게 된다.
건축물 외벽에 아름다운 미관을 위해 다양한 문양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상 기 문양본 시트(10')를 거푸집에 부착하여 형틀을 구성한 다음, 그 부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건조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수축과 평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량의 석회분말이 배합되어 있고, 배면에 엠보싱 모양의 음양각(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완충작용을 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는 콘크리트 건조 과정에서 수축과 평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자체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을 보다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되고, 전체적으로 하중이 감소하게 됨에 따라 기중기 등의 작업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벽면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이 통상 철판 또는 철 구조물로 형성되어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직사광선 및 기후변화에 대한 보온과 단열을 위하여 문양본 시트(10')와 거푸집 사이에 도 4에서와 같이 받침합판(22)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가 시공되어 건조되는 과정에 발생된 수분이 합판 표면에 부식 및 형태 변형이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문양본 시트에도 전달되어 문양본을 변형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문양본 시트(10')에는 음양각(16')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양각(16')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을 속성으로 건조시켜 시트가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문양본 시트를 연속된 롤 구조의 시트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이송이 용이하고, 시공시에 벽면에 문양을 형성할 때 이음새 부분을 없앨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벽 문양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본 시트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고, 배면에 음양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되어, 시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외벽에 원하는 문양을 보다 우수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본 시트는, 기공 및 음양각이 형성됨에 따라 시트 전체의 중량 감소로 인하여 소재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기중기 등을 이용한 이송 작업 과정에서도 안전한 시공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본 시트는, 일정량의 석회분말이 배합되고, 배면에 엠보싱 모양의 음양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일 실시예의 문양본 시트와 같이 완충작용을 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변형이 방지되어 건물의 외벽을 보다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본 시트들은 플라스틱 종류의 PE, PP 등의 합성수지류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사용 후에 전량 재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을 도모함과 아울러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Claims (19)

  1.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공급하는 합성수지 공급부와;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에서 공급된 합성수지를 통과시키면서 적어도 일면에 문양본이 형성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이하 '문양본 시트'라 함)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문양본 시트의 전면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메인 롤러와; 입구 롤러, 보조 롤러, 배출 롤러들이 상기 메인 롤러와 대향되게 순서대로 배치되어, 용융된 합성수지가 통과하면서 경화되어 문양본 시트가 성형되도록 함과 동시에 문양본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하는 대향 롤러들과; 상기 대향 롤러의 입구 롤러와 보조 롤러 사이의 일정 구간에 상기 메인 롤러의 외면과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호형상의 곡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도록 냉각수가 통과하는 시트 성형대; 로 이루어진 문양본시트 형성부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의 메인 롤러와 대향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와 상기 시트 성형대 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를 통해 성형되는 문양본 시트를 경화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서 제작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경화시켜 배출하는 경화 배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성형대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 롤러들 중에서 상기 보조 롤러에 문양본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 배출부는,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서 성형된 문양본 시트를 침수시켜 경화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침수통과, 이 침수통의 내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어 문양본 시트를 이송하는 이송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를 통해, 상기 거푸집 문양본 시트 내부에 기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발포제가 첨가된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문양본시트 형성부에 공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공급부에서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를 상기 메인 롤러와 이와 대향되는 대향 롤러 및 시트 성형대 사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되, 메인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의 전면에 문양본을 성형하고, 대향 롤러를 이용하여 시트의 배면에 음양각을 함께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성형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를 배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문양본시트 성형부에서 문양본 시트를 성형할 때, 메인 롤러의 표면에 코팅제를 공급하면서 문양본 시트의 전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
  6. 청구항 4에 기재된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로서,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발포층을 갖고, 전면에 문양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발포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문양면에 코팅제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되며, 배면에 요철 모양의 음양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문양본 시트는, 합성수지재에 일정량의 돌가루와 석회분말이 첨가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문양본 시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62505A 2007-06-25 2007-06-25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KR10094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505A KR100948180B1 (ko) 2007-06-25 2007-06-25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505A KR100948180B1 (ko) 2007-06-25 2007-06-25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705A KR20080113705A (ko) 2008-12-31
KR100948180B1 true KR100948180B1 (ko) 2010-03-17

Family

ID=4037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505A KR100948180B1 (ko) 2007-06-25 2007-06-25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243B1 (ko) * 1996-06-18 1999-08-16 정종순 합성수지재 판재의 제조장치
KR20040010097A (ko) * 2003-04-30 2004-01-31 채종희 매트용 넌슬립 시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243B1 (ko) * 1996-06-18 1999-08-16 정종순 합성수지재 판재의 제조장치
KR20040010097A (ko) * 2003-04-30 2004-01-31 채종희 매트용 넌슬립 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705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817752B1 (pt) Método de formação de um produto compósito
AU2017220928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building structure kit
KR100968935B1 (ko) 폴리에틸렌 코팅 철판 제작방법
MXPA02009640A (es) Estructura de muro aislado.
KR20230004465A (ko) 3차원 인쇄된 건물 구성요소 및 구조물
KR100948180B1 (ko) 거푸집 문양본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거푸집 문양본 시트
US20100307657A1 (e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plaster panels
KR100724694B1 (ko) 합성수지재 거푸집
CN1397698A (zh) 新型房屋外墙板及其生产工艺和生产设备
KR101069046B1 (ko)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욕실용 벽체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TWM609170U (zh) 中空塑料板模之結構
TWI784032B (zh) 用於製造經固化之聚合性表皮的方法
KR100716619B1 (ko)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KR100308440B1 (ko) 열가소성수지로제조된콘크리트형틀
TWI822042B (zh) 建築模板之結構及其方法
JPH10292624A (ja) 三次元曲線の凹凸模様と、コンリートの側圧を保持する保持装置を埋設した立体装飾コンクリート化粧型枠とその成形方法
KR100916847B1 (ko) 폴리에틸렌 엠보싱 폼시트 제조장치
KR200450585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내장 바닥재
KR100741015B1 (ko) 섬유 보강재 제조 시스템
CN207359788U (zh) 一种环保防水高强型卫浴板材
US20220034082A1 (en) Insulation board comprising enhanced strength
JP4471774B2 (ja) 塀付建物
JPH0716820A (ja) 造形物形成用の型材及びそれを用いた造形物の形成方法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た造形物
GB2480253A (en)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building product
KR20170004402A (ko)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