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357B1 -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357B1
KR100947357B1 KR1020090090485A KR20090090485A KR100947357B1 KR 100947357 B1 KR100947357 B1 KR 100947357B1 KR 1020090090485 A KR1020090090485 A KR 1020090090485A KR 20090090485 A KR20090090485 A KR 20090090485A KR 100947357 B1 KR100947357 B1 KR 10094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ase
traffic
light emit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9009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Abstract

본 발명은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차량 또는 보행 상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신호등(10) 및 횡단보도 신호등(20)을 제어부(30)를 통해 제어하여 도로 교차로의 교통을 안내하는 시스템으로서, 교차로 노면과 상면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형 제1 보호케이스(1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내 배치되는 제1 발광부(200)와; 제1 발광부(200)의 전선(2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관(300)과; 횡단보도 노면과 상면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I형 제2 보호케이스(4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내 배치되는 제2 발광부(500)와;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전선(5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관(600);으로 구성되어, 제어부(30)가 차량 신호등(10)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20)과 함께 제1 또는 제2 발광부(200, 500)의 LED(220, 520)를 차량 진행 방향 또는 보행자 진행 방향을 육안으로 명확히 확인하도록 한다.
Figure R1020090090485
도로, 교차로, LED, 신호등

Description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A TRAFFIC INFORMATION SYSTEM FOR ROAD OF NEW-TOWN}
본 발명은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나 보행자가 가장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노면상에 각 방향별로 이정을 표시함과 아울러 신호등과 연동하여 각 진행방향의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대적 신도시개념은 1898년 영국의 하워드(E. Howard)에 의한 전원 도시구상 제안에서 시작된다. 또한 '신도시(뉴타운, new town)'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것은 1946년 영국에서 신도시법에 의해 건설된 도시만을 지칭했던 것인데 영국의 신도시 개발정책이 높게 평가됨에 따라 각국에서는 대도시의 주변에 건설되는 대규모의 주택지들도 '뉴타운'이라 부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신도시계획은 1960년대 이후에 시작되었고 신도시의 개발목적은 크게 지역개발차원에서 배후도시로개발, 서울의 도심기능분산과 주택공급확대, 대도시 인구분산 및 지역개발의 수단, 수도권 주택공급수단 등이다. 1960년대에는 공업단지 배후신도시가 개발되었는데 그 성격은 산업기지 배후도시와 수도권의 과밀문제 완화를 위한 것이었다. 공업단지 배후도시로 건설된 최초의 신도시는 석유화학단지와 함께 조성된 울산 산업도시(1962)이고, 1960년대 후반 서울시가 불량주택 정리방안의 일환으로 세운 광주주택단지(후에 성남으로 행정구역 개편)는 수도권 과밀문제 완화를 위해 추진된 신도시라 할 수 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수도권 인구분산문제와 관련하여 계획적인 신도시건설이 시작되었는데, 안산(반월), 창원, 과천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1980년 12월 '택지개발촉진법'의 제정을 계기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공영개발이 활성화되었고, 신도시라는 용어가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신시가지에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주로 수도권의 주택부족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목동지구(1983)나 상계지구(1986)와 같은 도시내의 대단위신시가지(New town in town)건설이 추진되었다. 1987년 제6공화국 출범 직후 정부는 선거공약으로 내걸었던 '주택건설 200만호의 개발계획'에 큰 비중을 두고, 서울시내와 외곽주택공급에 치중했으나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개발제한구역 밖의 값싼 토지에 눈을 돌려 1989년 '수도권 5개 신도시 건설사업'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서울을 중심으로 반경 25㎞ 사이에 입지한 소위 주택도시(bed town)성격의 5개 신도시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처럼 신도시 계획에 맞춰 신도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먼저 도로 시설물을 확충한 후 주거용지 등을 설계하고 있으며, 도로 시설물 설계시 교차로에는 차량의 안전한 소통을 위하여 교통신호등과 교통표지판이 각각 장착된다. 교통신호등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점등되는 다수의 램프(정지등(적색), 경고등(황색), 좌회전등(녹색 좌회전표시), 직진등(녹색))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교통신호등은 교차로의 각 방향(4방향 교차로의 경우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1개소에 설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교차로에 횡단보도가 마련된 경우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의 설치 방향상 그 점소등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으므로 횡단보도측에는 우회전 전용신호등(정지등 및 우회전등이 구비됨)이 설치된다. 교통표지판은 도로(교차로 등)에 이정(里程)을 적어 세워놓은 푯말이나 표석을 말하며, 원활한 도로교통과 도로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길가에 세운 표지판으로, 거리표라고도 한다. 지역간의 경계지점이나 마을이 있는 곳, 교통의 요충지인 삼거리나 사거리 등에 설치되며, 다음 지점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알려준다. 예컨대, 4방향 교차로에 설치되는 교통표지판의 경우 3방향(후방은 표시안됨)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도시되고, 직진, 좌측 및 우측 화살표에 이정이 각각 표시된다. 운전자는 도로 주행시 교통표지판에 도시된 도형 및 이정을 확인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을 결정하고, 신호등의 점등된 램프를 확인하여 차량을 주행/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교통표지판이 단지 교차로를 기준으로 하여 각 방향의 이정을 표시하는 단순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교차로의 주행시 운전자는 교통표지판의 이정을 보고 자신의 주행 방향을 확인하고, 또한 신호등의 점등 램프를 확인하여 차량을 주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순간적으로 놓칠 수 있으므로 충돌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교통표지판을 주시하다 보면 우회전 전용신호등을 확인하지 못하여 신호위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통표지판은 전방, 좌측 및 우측만 이정표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로에 진입하려는 차량의 운전자는 현재 위치한 교차로의 이정을 알지 못하여 당황하여 순간적이지만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신호등과 함께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가장 육안으로 명확히 확인가능한 도로면상에 차량 진행 또는 보행자 진행 상황을 표시하여 충분한 교통 정보의 통보가 가능한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신호등 및 횡단보도 신호등을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여 도로 교차로의 교통을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형상을 갖고,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1 상부케이스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1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제1 하부케이스 외주면을 따라 제1 상부케이스가 끼움설치되며, 차량 통행방향에 따라 교차로 노면과 그 제1 상부케이스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보호케이스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 내 형성된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의 전선이 제어부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가이드관과; 각각이 I형상을 갖고,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2 상부케이스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2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제2 하부케이스 외주면을 따라 제2 상부케이스가 끼움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방향을 따라 횡단보도 노면과 그 제2 상부케이스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보호케이스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 내 형성된 I형 공간을 따라 2줄로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2 발광부의 전선이 제어부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 가이드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차량 신호등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부의 LED가 차량 진행 방향 또는 보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내측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격벽이 설치되고, 그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가 배치되고, 타측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제어되는 제1 및 제2 열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 내측공간에는 에폭시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은 종래의 신호등과 함께 도로면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 내 제1 및 제2 발광부의 동작을 통해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차량 진행 또는 보행자 진행 상황을 육안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도 그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 내 배치된 열선을 통해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교통 신호의 안내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 내 투명 에폭시를 충전함으로써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하중에 견디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발광부의 빛을 외부로 분산시켜 시각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에폭시가 충전된 제1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제1 보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제2 보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차량 신호등(10) 및 횡단보도 신호등(20)을 제어부(30)를 통해 제어하여 도로 교차로의 교통을 안내하는 시스템으로서, 교차로 노면과 상면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형 제1 보호케이스(1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내 배치되는 제1 발광부(200)와, 제1 발광부(200)의 전선(2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관(300)과, 횡단보도 노면과 상면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I형 제2 보호케이스(4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내 배치되는 제2 발광부(500)와,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전선(5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관(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는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1 상부케이스(110)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1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그 각각이 #형상을 갖고, 제1 하부케이스(120) 외주면을 따라 제1 상부케이스(110)가 끼움설치되며, 차량 통행방향에 따라 교차로 노면과 그 제1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수평하 게 배치되도록 교차로에 설치된다. 제1 보호케이스(100)의 크기는 이하 기술되는 제1 발광부(200)가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에 충분하도록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광부(200)는 제1 보호케이스(100) 내 형성된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210)로 이루어져 차량 신호등(10) 및 횡단보도 신호등(20)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연결되고, 이 제어부(30)에 의해 차량 신호등(10)의 진행표시에 대응하여 LED(210)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쌍방향 직진의 경우는 그 직진방향을 향해 해당 교차로 차선에 배열된 2줄의 LED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차량 진행을 표시할 수 있고, 좌회전의 경우는 ㄱ자형으로 LED(210)를 순차적으로 차량진행방향을 따라 발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0)가 별도의 전원공급부 및 LED 제어회로부를 구비하여 제1 발광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LED(210)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관(300)은 제1 보호케이스(1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30)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200)의 전선(2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가이드관(300)으로는 직관이나 곡관 등 다양한 관체가 결합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0)까지 지하로 제1 발광 부(200) 전선(220)의 전체 보호 경로가 제공된다.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는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2 상부케이스(410)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2 하부케이스(420)로 이루어져 그 각각이 I형상을 갖고, 제2 하부케이스(420) 외주면을 따라 제2 상부케이스(410)가 끼움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방향을 따라 횡단보도 노면과 그 제2 상부케이스(4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제2 보호케이스(400)의 크기는 이하 기술되는 제2 발광부(500)가 설치되어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에 충분하도록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광부(500)는 복수개의 LED(510)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으로 제2 보호케이스(400) 내 형성된 I형 공간을 따라 2줄로 차량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제어부(30)와 연결되는데, 이 제어부(30)에 의해 횡단보도 신호등(20)의 동작에 대응하여 2줄 각각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됨으로써 보행가능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제어부(30)가 별도의 전원공급부 및 LED 제어회로부를 구비하여 제2 발광부(5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LED(510)의 순차적 점멸을 제어하는 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바에 따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가이드관(600)은 제2 보호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6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30)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전선(5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제1 가이드관(300)과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관(600) 또한 직관이나 곡관 등 다양한 관체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0)까지 지하로 제2 발광부(500) 전선(520)의 전체 보호 경로가 제공된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에 형성된 내측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통공(131, 431)을 갖는 격벽(130, 430)이 설치되고, 그 격벽(130, 43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배치되고, 타측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제어되는 제1 및 제2 열선(700, 800)을 설치함으로써 겨울철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100, 400)에 눈이 쌓여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열선(700, 800)은 각각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100, 400)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공(101, 601)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제어부(30)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차량 신호등(10)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20)과 함께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발광부(200, 500)의 LED(220, 520)가 차량 진행 방향 또는 보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데 더하여, LED(220, 520)를 다색발광 가능한 것으로 사용하고 그 LED(220, 520)의 점멸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교통 진 행 상황에 대한 경고가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써 차량 신호등(10)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20)에서 녹색등이 점등될 시에 LED(220, 520)가 녹색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고 최초 LED 작동시점부터 신호등(10, 20)이 적색으로 바뀌기 전까지 점차적으로 점멸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교통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는 한편, 차량 신호등(10)에 황색등이 켜질 경우 주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던 LED(220) 전체가 적색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교통 신호가 바뀌는 상황을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 내부에 투명한 에폭시를 최대 높이로 충전한 다음으로 제1 및 제2 상부케이스(110, 410)를 덮음에 따라 차량이나 보행자 하중에도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100, 400)가 견고히 견딜 수 있음과 아울러, 에폭시를 투과한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의 빛이 외부로 분산될 수 있어 운전자나 보행자가 시각적으로 그 빛을 확인하기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에폭시가 충전된 제1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제1 보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중 제2 보호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3)

  1. 차량 신호등(10) 및 횡단보도 신호등(20)을 제어부(30)를 통해 제어하여 도로 교차로의 교통을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형상을 갖고,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1 상부케이스(110)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1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제1 하부케이스(120) 외주면을 따라 제1 상부케이스(110)가 끼움설치되며, 차량 통행방향에 따라 교차로 노면과 그 제1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보호케이스(1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내 형성된 #형 공간을 따라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210)로 이루어진 제1 발광부(200)와;
    상기 제1 보호케이스(1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30)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1 발광부(200)의 전선(2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가이드관(300)과;
    각각이 I형상을 갖고, 투명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제2 상부케이스(410)와 금속을 재질로 하는 제2 하부케이스(420)로 이루어져 제2 하부케이스(420) 외주면을 따라 제2 상부케이스(410)가 끼움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방향을 따라 횡단보도 노면과 그 제2 상부케이스(4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 보호케이스(4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내 형성된 I형 공간을 따라 2줄로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LED(510)로 이루어진 제2 발광부(500)와;
    상기 제2 보호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공(601)과 연통됨과 동시에 노면 아래 배치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어부(30)까지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2 발광부(500)의 전선(520)이 제어부(30)에 접속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제2 가이드관(6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30)는 차량 신호등(10) 또는 횡단보도 신호등(20)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부(200, 500)의 LED(220, 520)가 차량 진행 방향 또는 보행자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에 형성된 내측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통공(131, 431)을 갖는 격벽(130, 430)이 설치되고, 그 격벽(130, 43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 하부케이스(120, 420)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200, 500)가 배치되고, 타측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300, 600)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와 접속되어 제어되는 제1 및 제2 열선(700, 8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케이스(100, 400) 내측공간에는 에폭시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KR1020090090485A 2009-09-24 2009-09-24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KR10094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85A KR100947357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85A KR100947357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357B1 true KR100947357B1 (ko) 2010-03-15

Family

ID=4218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85A KR100947357B1 (ko) 2009-09-24 2009-09-24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239A (ko) *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06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congestion relief using dynamic lighted road lane markings
US9460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congestion relief using dynamic lighted road lane markings
CN108798697B (zh) 一种低等级公路隧道接入口视线诱导系统的设计方法
KR20180106678A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KR2013008714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중앙신호등
KR101330836B1 (ko) 시선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시선유도장치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947357B1 (ko)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 시스템
CN108668417B (zh) 基于车辆的照明控制
CN205259091U (zh) 一种高速公路综合警示单元
Shahar et al. Toward smart active road studs for lane delineation
RU2682295C1 (ru) Управляемый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ый дорожный маркер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0667577B1 (ko)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시스템
ES2277648T3 (es) Alarma de niebla y dispositivo de guia.
KR20080056698A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KR20140120472A (ko) 반(1/2) 입체 교차로를 이용한 논스톱 교통 시스템.
CN111519553A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及方法
TW201320022A (zh) 緊急救援警示方法及其系統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CN216957175U (zh) 一种道路交叉口行人安全过街与车辆右转警示系统
CN212294409U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
CN114387776A (zh) 一种城市十字路口智能交通控制方法及系统
Terry et al. Roadway visibility research needs assessment
KR102472223B1 (ko)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