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711B1 - 슬림형 usb 모뎀 장치 - Google Patents

슬림형 usb 모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711B1
KR100946711B1 KR1020080076060A KR20080076060A KR100946711B1 KR 100946711 B1 KR100946711 B1 KR 100946711B1 KR 1020080076060 A KR1020080076060 A KR 1020080076060A KR 20080076060 A KR20080076060 A KR 20080076060A KR 100946711 B1 KR100946711 B1 KR 10094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cylindrical mold
usb connector
modem device
sl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137A (ko
Inventor
손민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to KR102008007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상으로 제공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 연결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와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 몰드가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몰드와 연결되되, 내부에 무선 송수신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USB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공을 관통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따라서, USB 커넥터의 일측, 즉, 회전유닛의 일측에 USB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부품과 무선 송수신 모듈과 USB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부품을 구비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SB, 모뎀, 회전축, 일측, 슬림형

Description

슬림형 USB 모뎀 장치{SLIM TYPE USB MODEM APPARATUS}
본 발명은 슬림형 USB 모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와 무선 송수신 모듈을 수용한 하우징 간의 물리적 및 전기적 결합을 위한 부품을 일측에 배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제작 가능하여 컴퓨터에 구비된 인접한 USB 포트 간에 서로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슬림형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IT의 급격한 기술발전은 원하는 정보를 휴대단말기나 디지털가전기기 등 새로운 제품들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갖춰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되면서 서비스의 광대역화와 초고속화가 되는 추세에 있어 네트워크의 기술은 대단히 중요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 등의 발달로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단순한 텍스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과 동영상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종합 정보 통신망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새로운 통신 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차세대 기술로서 제안된 것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다.
이러한 통신수단을 사용함에 있어서, 케이블 모뎀은 설치와 사용에 있어서 많은 비용이 들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무선 모뎀이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전통적인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점차적으로 랩탑(lap top)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모뎀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서, 무선 모뎀이라 함은 랩탑 컴퓨터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무선 공중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화를 하기 위한 장치를 통칭한다. 이러한 무선모뎀의 형태는 주로 랩탑 컴퓨터 또는 PDA에 공급되는 PCMCIA형태(PC card)와 CF 형태가 있고, 무선 모듈이 제품에 내장된 일체형도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종래의 무선 모뎀 장치는 휴대 및 설치 편의성을 위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하여 무선 모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의 USB 모뎀 장치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USB 모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USB 모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모뎀장치(10)는 USB 커넥터(11) 및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USB 커넥터(11)는 컴퓨터(20)의 USB 포트(21)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무선 모뎀(미도시)을 구비 하여 상기 컴퓨터(20)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2)과 상기 USB 커넥터(11)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USB 커넥터(11)의 일측에는 힌지(13)를 구비하여 상기 USB 커넥터(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2)과 결합되고, 타측에는 USB 플러그 등의 부품(15)이 구비되며, 상기 USB 커넥터(1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4)이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된 무선 모뎀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USB 모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힌지(hinge)와 케이블과 같은 USB 플러그와 같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품들로 인하여 일정 이하의 폭으로 제작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별도로 힌지와 케이블과 같은 USB 플러그와 같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품들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USB 포트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힌지(hinge)와 케이블과 같은 USB 플러그와 같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품들을 구비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제작될 수 있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 및 케이블과 같은 USB 플러그와 같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품들을 일측으로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SB 모뎀 장치를 사용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USB 포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 연결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와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 몰드가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몰드와 연결되되, 내부에 무선 송수신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USB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공을 관통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상기 원통형 몰드의 외주 면에 산과 마루 형상으로 돌출된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되, 상기 산과 마루 형상에 따라 상기 원통형 몰드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캠, 상기 캠과 상기 조절부를 탄성을 가지고 결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캠 및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캠 및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유닛이 45도 마다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형 몰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스파이랄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원통형 몰드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B 커넥터의 일측, 즉, 회전유닛의 일측에 USB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부품과 무선 송수신 모듈과 USB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부품을 구비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과 USB 커넥터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품들을 일측으로 구비하여 제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USB 포트를 서로 간에 간 섭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모뎀 장치는 USB 커넥터(100), 회전유닛(200), 하우징(300) 및 케이블(500)을 포함한다.
상기 USB 커넥터(100)는 상술한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되고, 후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유닛(200)은 상기 USB 커넥터(100)와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가 중공이 원통형 몰드(210)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몰드(210)는 상기 회전유닛(200)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내부에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400)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유닛(200)과 연결되되, 상기 회전유닛(200)이 상기 원통형 몰드(210)를 중심으 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몰드(21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관통홀(40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401) 내에 상기 원통형 몰드(210)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400)은 상술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상용화된 모듈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블(500)은 상기 USB 커넥터(1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중공을 관통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4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상기 케이블(500)과 상기 원통형 몰드(210)로 구비되는 상기 회전유닛(200)의 회전축이 상기 USB 커넥터(100)의 일측에 동시에 배치되어, 종래의 USB 모뎀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림(slim)한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종래의 USB 모뎀 장치는 상술한 힌지와 케이블, USB 플러그와 같은 부속품들 때문에 30 밀리미터 이상의 폭을 가지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대략 24밀리미터로 상대적으로 더 좁은 폭을 지닐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의 폭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인접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컴퓨터의 USB 포트를 서로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USB 커넥터(100)를 회전시키는 상기 원통형 몰드(210)와 상기 USB 커넥터(100)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케이블(500)을 상기 회전유닛(200)의 일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 공정이 간단하며, 또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USB 커넥터(100)의 회전 각도 또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제시한다. 도 5는 도 3의 슬림형 USB 모뎀 장치의 USB 커넥터를 변형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USB 커넥터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USB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USB 커넥터(100), 회전유닛(200), 하우징(300), 케이블(500), 조절부(220), 캠(230), 탄성부재(240) 및 고정부재(2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USB 커넥터(100)에 형성된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외주면에 산과 마루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230)은 상기 조절부(220)와 선택적으로 접하되, 상기 산과 마루 형상에 따라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캠(230)과 상기 조절부(220)를 탄성을 가지로 결합하도록 탄성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부재(250)는 상기 탄성부재(240)가 상기 원통형 몰드(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스파이랄 스프링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캠(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원통형 몰드(210)에서 이탈되지 않는 형태이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상기 탄성부재(240)가 상기 원통형 몰드(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250)를 상기 원통형 몰드(210)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 가이드(2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60)으로 이-링(E-ring)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60)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60)가 상기 고정홈에 결착되어 상기 고정부재(250)가 상기 원통형 몰드(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USB 커넥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작동 전에는 상기 탄성부재(2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캠(230)이 서로 접한 상태로 위치된다.
즉, 산과 마루의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캠(230)이 서로 아귀가 맞은 상태이고, 이런 상태를 상기 탄성부재(240)로 인해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에 구비된 상기 USB 커넥터(100)를 회전 시키면, 즉, 외부에서 상기 USB 커넥터(100)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유닛(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캠(230)은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캠(230)에 형성된 기어 형상에 의해 상기 회전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240)는 압축 응력을 받게 된다.
이후에,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캠(230)에 형성된 산과 산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캠(230)은 상기 탄성부재(240)의 압축응력을 해소하는 방향, 즉, 상기 조절부(220)와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유닛(200)은 상기 조절부(220) 및 상기 캠(230)의 이러한 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USB 커넥터(100)에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회전유닛(200)은 상기 조절부(220)와 상기 캠(230)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캠(230)과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회전유닛(200)이 45도마다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림형 USB 모뎀 장치는 상기 회전유닛(200)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500)과 상기 원통형 몰드(210), 상기 조절부(220), 상기 캠(230), 상기 탄성부재(240), 상기 고정부재(250) 및 이탈방지 가이드(260)를 구비하면서도, 상기 USB 커넥터(100)를 의도하는 대로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제작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 모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USB 모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림형 USB 모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슬림형 USB 모뎀 장치의 USB 커넥터를 변형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USB 커넥터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USB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USB 커넥터 200: 회전유닛
210: 원통형 몰드 220: 조절부
230: 캠 240: 탄성부재
250: 고정부재 260: 이탈방지 가이드
300: 하우징 400: 무선 송수신 모듈
401: 관통홀 500: 케이블

Claims (5)

  1.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 연결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와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 몰드가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통형 몰드와 연결되되, 내부에 무선 송수신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USB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공을 관통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로 연결되는 케이블;
    을 포함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몰드의 외주 면에 산과 마루 형상으로 돌출된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되, 상기 산과 마루 형상에 따라 상기 원통형 몰드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캠;
    상기 캠과 상기 조절부를 탄성을 가지고 결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캠 및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및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유닛이 45도 마다 회전 후 걸림 동작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형 몰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스파이랄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원통형 몰드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USB 모뎀 장치.
KR1020080076060A 2008-08-04 2008-08-04 슬림형 usb 모뎀 장치 KR10094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60A KR100946711B1 (ko) 2008-08-04 2008-08-04 슬림형 usb 모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60A KR100946711B1 (ko) 2008-08-04 2008-08-04 슬림형 usb 모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37A KR20100015137A (ko) 2010-02-12
KR100946711B1 true KR100946711B1 (ko) 2010-03-12

Family

ID=4208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060A KR100946711B1 (ko) 2008-08-04 2008-08-04 슬림형 usb 모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30B1 (ko) * 2011-09-02 2013-08-07 주식회사 팬택 Usb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usb 모뎀
CN102646907A (zh) * 2012-04-19 2012-08-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Usb接口和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522B1 (en) 2000-10-10 2002-07-23 Twinhead International Corp. Structure and circuit of input/output port bar to connect computer peripheral
KR20050051439A (ko) * 2003-11-27 2005-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유.에스.비 장치
JP2008022129A (ja) 2006-07-11 2008-01-31 Nec Infrontia Corp Usb型無線通信用移動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522B1 (en) 2000-10-10 2002-07-23 Twinhead International Corp. Structure and circuit of input/output port bar to connect computer peripheral
KR20050051439A (ko) * 2003-11-27 2005-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유.에스.비 장치
JP2008022129A (ja) 2006-07-11 2008-01-31 Nec Infrontia Corp Usb型無線通信用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37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383B2 (en) Hinge connector for folding-type electronic apparatus
KR100985697B1 (ko) Usb 모뎀 장치
US8579645B2 (en) Connector mechanism for connecting a board card
KR20090118619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US7104837B1 (en) Structure of a rotatable USB female connector
KR100946711B1 (ko) 슬림형 usb 모뎀 장치
JP4199597B2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US20120140388A1 (en) Swivel hing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US7113812B2 (en) Rotatable wireless transceiver device
KR101047093B1 (ko) Usb 모뎀장치
WO2022262664A1 (zh) 电子设备
KR200482852Y1 (ko)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KR20090114193A (ko) 무선 모뎀 장치
KR100987923B1 (ko) Usb 모뎀 장치
KR200419714Y1 (ko) 동축케이블과 필름케이블간의 연성 접속구조
KR101327601B1 (ko) Usb 장치
KR200360118Y1 (ko) Usb 플러그 유니트
CN216120847U (zh) 连接器
KR100790154B1 (ko) 외장형 기기
KR200382527Y1 (ko) 힌지타입 usb커넥터
KR20020057597A (ko) 휴대용 컴퓨터
KR100639335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고정장치
KR200500970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0606832B1 (ko) 복수의 통신포트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