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054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054A
KR20050097054A KR1020040021774A KR20040021774A KR20050097054A KR 20050097054 A KR20050097054 A KR 20050097054A KR 1020040021774 A KR1020040021774 A KR 1020040021774A KR 20040021774 A KR20040021774 A KR 20040021774A KR 20050097054 A KR20050097054 A KR 2005009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insertion hole
cov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047B1 (ko
Inventor
김성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047B1/ko
Priority to CNA2004100915064A priority patent/CN1677751A/zh
Publication of KR2005009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는, 단말기의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리셉터클과; 외부 데이타 케이블이 연결된 제 2 리셉터클이 상기 제 1리셉터클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구를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A Receptacle Connecting Part For Mobile Handse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삽입구를 스프링에 연결된 회전덮개가 덮어서, 리셉터클의 장착과 탈거에 편의를 도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리셉터클 연결부의 형상을 예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시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단순한 폰 기능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 단말기(10)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은 무선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20)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일측면에는 제 1 리셉터클(12)이 설치되는 리셉터클 연결부(11)가 형성되며, 제 1 리셉터클(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리셉터클(21)에는 외부 케이블(20)이 연결되어 있다.
리셉터클 연결부(11)는 케이블(20)이 연결되는 제 2리셉터클(21)이 삽입되는 리셉터클 삽입구(13)와, 리셉터클 삽입구(13)의 내측단에 단말기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 단자가 양면에 형성된 제 1 리셉터클(12)과, 리셉터클 삽입구(13)를 개폐하는 고무마개(15)를 포함한다.
종래 단말기(10)에 의하는 경우에는, 충전이나 외부와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2 리셉터클(21)을 제 1 리셉터클(12)에 삽입하여 케이블(20)과 단말기 시스템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삽입구(13)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마개(15)를 빼내어 삽입하면 된다.
그리고,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난 후에는, 제 2 리셉터클(21)을 삽입구(13)로부터 빼어내고 삽입구(13)에는 다시 고무마개(15)를 삽입하여 외부로부터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리셉터클 연결부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종래에는 리셉터클(21)을 삽입할 때에는 고무마개(15)를 빼내어 두고 삽입하며, 리셉터클(21)을 탈거한 후에는 다시 고무마개(15)를 삽입구(13)에 끼워넣어야 하는데, 고무마개(15)의 장착과 탈거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이 있게되며, 이 과정에서 고무마개(15)가 분실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셉터클이 설치되는 삽입구를 스프링에 연결된 회전덮개가 덮어서, 리셉터클의 장착시에는 회전하여 내측으로 들어가고, 리셉터클을 탈거한 때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리셉터클 삽입구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설치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는, 단말기의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리셉터클과; 외부 데이타 케이블이 연결된 제 2 리셉터클이 상기 제 1리셉터클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구를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의 양단에는 회전핀이 돌설되고 상기 각 회전핀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리셉터클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리셉터클의 삽입구의 덮개가 리셉터클이 삽입상태인 경우에는 회전하여 삽입구의 상면에 밀착되고, 리셉터클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덮개가 회전하여 삽입구를 폐쇄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리셉터클을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리셉터클의 장착과 탈거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연결부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그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본 실시예의 리셉터클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일측면에는 단말기의 충전이나 데이타 통신을 위한 제 1 제 2 리셉터클(35,4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리셉터클 연결부(31)가 형성된다.
단말기(30)의 하우징에는 PCB(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리셉터클(35)이 설치되고, 이 제 1 리셉터클(35)에는 외부 데이타 케이블(40)이 연결된 제 2 리셉터클(41)이 선택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30)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 1 리셉터클(35)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단말기 시스템의 PCB(33)가 연장되는 다수개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35)에 대응하는 전방의 케이싱(32)에는 외부 케이블(40)이 연결되는 제 2 리셉터클(41)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37)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삽입구(37)의 내측에는 덮개(38)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덮개(38)의 상단 양측으로는 덮개(38)의 회전을 위한 회전핀(38a)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삽입구(37)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핀(38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39a)이 형성된 회전돌기(3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38)가 삽입구(37)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면, 틈이 발생하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제 1 리셉터클(35)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덮개(38)는 삽입구(37) 전체를 내측에서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리셉터클(41)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덮개(38)가 삽입구(37)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구(37)의 내측 케이싱(32)에는 덮개(38)를 외측방향으로 미는 탄성복원력을 인가하는 스프링(50)이 장착된다.
본 실시에서 스프링(50)은 삽입구(37) 상부의 케이싱(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덮개(38)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30)의 리셉터클 연결부(31)에 외부 케이블(40)을 연결하여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 2 리셉터클(41)을 삽입구(37)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제 2 리셉터클(41)을 삽입하는 경우 덮개(38)에는 외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미치지만, 제 2 리셉터클(41)이 미는 힘에 의해 덮개(38)가 회전하여 삽입구(37) 상방으로 이동하고 삽입구는 오픈된다. 따라서, 제 2 리셉터클(41)이 제 1 리셉터클(35)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반대로 외부 케이블(40)을 연결하지 않고 단말기(3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연결부(31)에 삽입되어 있는 제 2 리셉터클(41)을 빼내면 된다. 이 경우에는 덮개(38)를 미는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덮개(38)가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와 삽입구(37)가 폐쇄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리셉터클의 장착과 탈거에 있어서, 삽입구에 별도의 마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삽입구의 선택적인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리셉터클 연결부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
도 2는 리셉터클이 연결부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을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이동통신 단말기 33......PCB(Printed Curcuit Board)
35......제 1 리셉터클 37......삽입구
38......덮개 40......케이블
41......리셉터클 50......스프링

Claims (3)

  1. 단말기의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리셉터클과;
    외부 데이타 케이블이 연결된 제 2 리셉터클이 상기 제 1리셉터클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구를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양단에는 회전핀이 돌설되고 상기 각 회전핀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리셉터클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구를 오픈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20040021774A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068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774A KR10068604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CNA2004100915064A CN1677751A (zh) 2004-03-30 2004-11-18 移动通信终端的插座连接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774A KR10068604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054A true KR20050097054A (ko) 2005-10-07
KR100686047B1 KR100686047B1 (ko) 2007-02-23

Family

ID=3505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774A KR100686047B1 (ko) 2004-03-30 2004-03-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6047B1 (ko)
CN (1) CN16777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3960B (zh) * 2013-05-22 2017-02-0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连接器模块
CN105827752A (zh) * 2015-08-28 2016-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接口结构及终端
CN106410479A (zh) * 2016-09-22 2017-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插孔式连接器及移动终端
CN107682485B (zh) * 2017-10-31 2020-05-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的壳体组件、终端及终端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040A (ko) * 2000-01-11 2001-07-23 임 종 진 Usb 포트를 내부에 장착한 단말기
KR100398240B1 (ko) * 2001-05-18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7751A (zh) 2005-10-05
KR100686047B1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430B1 (ko) 전기코넥터 및 그 전기코넥터를 이용한 전자기기
EP1367497B1 (en) Flash memory apparatus having single body type rotary cover
EP1647923A2 (en) Socket for memory card
JP464715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外付けユニット
US6155882A (en) Collapsible socket connector
US8248819B2 (en) Chip card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92881Y1 (ko) 플립형 휴대폰의 마이크로폰 연결 메카니즘
JPH11273780A (ja) コネクタ保護カバーの取付構造
US5980292A (en) Card edge connector
KR200314817Y1 (ko)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KR20010041980A (ko)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키보드를 구비한 노트북 컴퓨터
JP4147522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の着脱構造
KR10102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부 개폐장치
GB2293506A (en) Pager receiver with locking means for battery cover which hides input terminal
KR200333735Y1 (ko) 배터리실을이용한카메라통신장치
KR100595121B1 (ko) 입출력 컨넥터 내장형 배터리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97566B1 (ko) 이동 단말기
KR200261806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덮개 구조
JP3678671B2 (ja) 携帯電話無線機のカバー収納構造
KR200372520Y1 (ko)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삽입구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04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콘넥터 이물질 침입 방지 장치
KR100606377B1 (ko) 호환형 이어잭 접속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24876Y1 (ko)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