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817Y1 -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 Google Patents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817Y1
KR200314817Y1 KR20-2003-0004541U KR20030004541U KR200314817Y1 KR 200314817 Y1 KR200314817 Y1 KR 200314817Y1 KR 20030004541 U KR20030004541 U KR 20030004541U KR 200314817 Y1 KR200314817 Y1 KR 200314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main body
terminal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도니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니언 filed Critical (주)도니언
Priority to KR20-2003-0004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접속플러그의 구조를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개선시킨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일측 내부에 적정 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수용부의 내측에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본체와, 그 전자기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 결합되는 접속플러그와, 그 전자기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접속플러그의 외측에 마련되어 전자기기 본체와의 회전시 접속플러그를 외측으로 출몰시키는 캡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부 데이터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요구하지 않고도 전송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삭제시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ING IN MP3 PLAYER}
본 고안은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엠피쓰리 플레이어(MP3)의 일측에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단자를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음향 전자기기의 대표적인 종류로 엠피쓰리 플레이어가 있으며, 그 엠피쓰리 플레이어는 피씨 통신이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MP3 파일)을 다운받아 이를 재생하는 음향 전자기기이다.
통상의 엠피쓰리 플레이어는 음원을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이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증폭하는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직접 다운받기 위해서 유에스비 접속단자를 주로 채용하고 있으며, 그 유에스비 접속단자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위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BUS규격으로서, 새로운 주변기기가 접속되었을때 재부팅이나 셋업 작동없이 자동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유에스비단자의 접속은 적정 길이를 갖는 유에스비 케이블의 양단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양 커넥터가 컴퓨터와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중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커넥터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암 커넥터형식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요구되어 휴대상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접속단자구조는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돌출된 접속단자가 숫 커넥터 방식으로 컴퓨터의 암커넥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식을 일부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음향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는 암커넥터 결합방식일 경우, 별도의 숫커넥터방식의 케이블이 요구되어 휴대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이와는 반대로 숫커넥터방식을 취할 경우, 그 접속단자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노출부위의 부피가 커져 휴대가 불편함과 아울러, 접속단자를 커버하는 캡의 잦은 개폐동작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및 이에 따른 캡 분실의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컴퓨터와의 접속단자구조를 개선시켜 유에스비 접속단자를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한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6a는 본 고안의 접속플러그가 수용부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접속플러그가 외측으로 출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자기기 본체 110 : 수용부
115 : 슬라이딩공 130 : 접점
200 : 접속플러그 210 : 슬라이딩 돌기
215 : 접속접점 230 : 접점
300 : 캡부재 310 : 슬라이딩 홈
315 : 연결접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적정 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고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접속플러그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플러그를 외측으로 출몰시키는 캡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출몰수단은 상기 접속플러그의 양측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캡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속플러그가 승강되도록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접속플러그의 하부에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수용부에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접속플러그의 접점과 전자기기 본체의 단자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선이 상호 연결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접속플러그의 슬라이딩 돌기에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일측에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의 표면에 상기 접속플러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단자에 접속시키도록 복수개의 연결접점이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여기서는 그 전자기기 본체는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일 예로 나타내고, 접속플러그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는, 도 1 내지 도 5을 참조, 일측 내부에 적정 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그 수용부(110)의 내측에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본체(100; 엠피쓰리 플레이터)와, 그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수용 결합되는 접속플러그(200; 유에스비(U.S.B) 접속단자)와, 그 전자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접속플러그(2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전자기기 본체(100)와의 회전시 접속플러그(200)를 외측으로 출몰시키는 캡부재(3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접속플러그(200)는 숫 커넥터방식의 몸체가 전자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출몰수단에 의해 캡부재(3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접속플러그(200)와 전자기기 본체(100)는 연결수단에 의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 캡부재(300)는 양측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서, 그 일단부가 전자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턱(120)에 인서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그 출몰수단은 접속플러그(20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적정 크기의슬라이딩 돌기(210)가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 돌기(210)가 승강되도록 수용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공(115)에 접촉 지지되며, 그 슬라이딩 돌기(210)에 대응되도록 캡부재(300)의 내주면에 나선 형태의 슬라이딩 홈(310)이 형성되어 된 것이다.
또, 그 캡부재(300)의 내주면 상단에는 슬라이딩 홈(310)의 상측에 슬라이딩 돌기(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걸림턱(320)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딩 홈(310)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 돌기(210)와 결합되어 평상시 접속플러그(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그외에도, 미설명부호 "400"은 캡부재(3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뚜껑을 나타낸 것이고, "410"은 개폐뚜껑(40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캡부재(300)와의 결합시 접속플러그의 단부를 폐쇄시키는 끼움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개폐뚜껑(40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채용될 수 있으며, 생략 가능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중 도 3의 연결수단은 접속플러그(200)의 슬라이딩 돌기(210)에 설치된 접속접점(215)과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 내측에 설치된 단자(13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홈(310)의 표면에 복수개의 연결접점(315)이 설치된 것이다.
이 연결접점(315)은 접속플러그(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전자기기 본체(100)의 단자(130)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접속플러그(200)의 하부에 설치된 접점(230)과 전자기기 본체(100)의 단자(130)를 연결선(150)으로 연결하여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작동과정은 도 6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접속플러그(200)가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내에 내장되어 있으나, 컴퓨터등의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해서 외부로 노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캡부재(300)를 파지한 후에 전자기기 본체(100)의 외주면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전자기기 본체(100)를 파지한 후에 캡부재(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속플러그(200)의 단부가 외부로 출몰하게 된다.
이때, 접속플러그(200)의 슬라이딩 돌기(210)는 캡부재(300)의 슬라이딩 홈(310)에 접촉되고 수용부(110)의 슬라이딩공(115)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캡부재(300) 혹은 전자기기 본체(100)의 회전시 슬라이딩 홈(3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용부(110)의 슬라이딩공(115)에 지지되어 승강된다.
이는 그 캡부재(300) 또는 전자기기 본체(100)의 회전시 접속플러그(200)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슬라이딩 돌기(210)가 수용부(11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접속플러그(200)가 회전되지 않고 수직으로 상승되는 상승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외부로 노출된 숫 커넥터방식의 접속플러그(200)를 컴퓨터의 커넥터에 연결시킴으로써, 컴퓨터의 데이터신호가 앞서 설명한 연결수단을 통해 전자기기본체(100)의 메모리측으로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그 연결수단은 접속플러그(200)의 접점(230)과 전자기기 본체(100)의 단자(130)가 직접 연결선(150)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전송시키거나, 슬라이딩 돌기(210)의 외측으로 마련된 접속접점(215)을 통해 슬라이딩 홈(310)에 설치된 연결접점(315)을 통해 전자기기 본체(100)측으로 전송시키게 된다.
한편, 다시 접속플러그(200)를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내로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캡부재(300) 또는 전자기기 본체(1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접속플러그(200)가 수용부(110)의 내부공간으로 하강되어 수용되는 과정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접속플러그의 구조를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개선시킨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부 데이터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요구하지 않고도 전송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삭제시켜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일측에 적정 용적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110)가 형성되는 전자기기 본체(100)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내에 수용되고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접속플러그(200)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플러그(200)를 외측으로 출몰시키는 캡부재(3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수단은 상기 접속플러그(200)의 양측에 슬라이딩 돌기(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210)가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부재(300)의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210)가 접촉되어 상기 캡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속플러그(200)가 승강되도록 슬라이딩 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접속플러그(200)의 하부에 접점(230)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130)가 설치되며,
    상기 접속플러그(200)의 접점(230)과 전자기기 본체(100)의 단자(130)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선(150)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접속플러그(200)의 슬라이딩 돌기(210)에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접점(215)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수용부(110) 내측에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130)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310)의 표면에 상기 접속플러그(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전자기기 본체(100)의 단자(130)에 접속시키도록 복수개의 연결접점(31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KR20-2003-0004541U 2003-02-17 2003-02-17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KR200314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541U KR200314817Y1 (ko) 2003-02-17 2003-02-17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541U KR200314817Y1 (ko) 2003-02-17 2003-02-17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817Y1 true KR200314817Y1 (ko) 2003-05-27

Family

ID=4940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541U KR200314817Y1 (ko) 2003-02-17 2003-02-17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8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26B1 (ko) 2008-03-06 2008-10-09 주식회사 한국액센 Usb 장치
KR100874360B1 (ko) 2008-05-30 2008-12-16 주식회사 셀런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전자 기기 연결용 커넥터
KR101116604B1 (ko) * 2004-04-28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 보호막을 구비한 전자장치의 외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04B1 (ko) * 2004-04-28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 보호막을 구비한 전자장치의 외장
KR100862626B1 (ko) 2008-03-06 2008-10-09 주식회사 한국액센 Usb 장치
KR100874360B1 (ko) 2008-05-30 2008-12-16 주식회사 셀런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전자 기기 연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095B2 (en) Charging case with a built-in USB cable
US5509811A (en) Computer enclosure with embedded PCMCIA modem card
US6722917B2 (en) USB hub
KR101721080B1 (ko) 전기 플러그
EP2026426A2 (en) A socket structure
US7819704B1 (en) Connector plug with movable conducting pole
KR200314817Y1 (ko) 유에스비단자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구조
US6957984B1 (en) Errorproof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modular socket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US86576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llapsible plug
KR20070020789A (ko)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36302Y1 (ko) 유에스비 디바이스
KR200339492Y1 (ko) 슬라이드식 접속잭을 구비한 유에스비 커넥터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200406840Y1 (ko) 커넥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액세서리
JP2713155B2 (ja) Pcカード一体型電子機器
KR20090000418U (ko) 회전형 유에스비 젠더
JP3099076U (ja) 回転式電話コネクタ
CN213043116U (zh) 一种壳体结构、插头装置和数据线
KR200382527Y1 (ko) 힌지타입 usb커넥터
WO2007071118A1 (fr) Moyen usb a connecteur usb souple
CN220896020U (zh) 一种便于使用的数据线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3099599U (ja) Usbコネクタ
GB2482718A (en) Electrical plug with cover that can hold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