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550B1 -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550B1
KR100946550B1 KR1020030024645A KR20030024645A KR100946550B1 KR 100946550 B1 KR100946550 B1 KR 100946550B1 KR 1020030024645 A KR1020030024645 A KR 1020030024645A KR 20030024645 A KR20030024645 A KR 20030024645A KR 100946550 B1 KR100946550 B1 KR 10094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easurement object
ultrasonic
laser beam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665A (ko
Inventor
이재경
주웅용
홍순택
임충수
나가타야수아키
야마다히로히사
하마다나오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니뽄스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니뽄스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5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02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02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 G01N2021/1708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with piezo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초음파 탐상 검사를 원격으로 수행하여 고온 및 이동체의 비파괴 결함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펄스형 니오디뮴-야그 레이저(pulsed Nd-YAG laser)와, 1개의 고출력 레이저 빔을 다수 가닥의 분리된 레이저 빔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빔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레이저 빔 사이의 거리와 각각의 레이저 빔의 조사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조합렌즈기구를 포함하여 한 가닥의 레이저 빔을 다수의 가닥으로 분리하여 측정 대상체에 조사함으로써, 고강도의 다중 펄스 레이저 초음파를 측정 대상체로부터 발생시키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 출력 초음파를 생성시켜 측정 대상체(100)에 입사시킬 수 있으므로 잡음대비 신호비(S/N)가 높은 신호를 취득하여 신뢰성 있는 결정립경 및 내부 결함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초음파 출력, 초음파 탐상 검사, 비파괴 결함검사, 레이저 초음파 발생장치, 고 출력 초음파

Description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AN APPARATUS FOR GENERATING LASER-BASED ULTRASONIC BY MULTI-BEAM IRRADIATION}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서 레이저 빔의 분할이 이루어지는 구성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서 얻어지는 레이저 빔의 궤적을 도시한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 갖춰진 조합 렌즈기구의 상세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서 레이저 빔의 중심 거리에 따른 레이저 초음파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 의해서 생성시킨 다중 레이저 빔들의 조사형태를 도시한 사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의 쐐기형 초점렌즈를 이용하여 조정한 다중 레이저 빔들의 조사형태를 도시한 사진;
제 8도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 의해서 얻은 시간당 초음파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도;
b)는 a)도에서 얻은 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주파수별 진폭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서 빔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획득한 초음파 강도를 빔 사이의 거리 함수로서 도시한 그래프도;
제 10도는 일반적인 레이저 조사 강도 밀도에 따른 초음파 포화현상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펄스형 야그 레이저 20.... 빔 크기 축소 장치(beam reducer set)
22a... 오목 렌즈 22b... 볼록 렌즈
30....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
32.... 빛살 가르개 40.... 제 2 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
42a... 거울(mirror) 42b.... 빛살 가르개
50.... 제 3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
52a,54a... 빛살 가르개
60.... 조합 렌즈기구(pulse distance controlling focusing lens)
62a.... 대구경 초점렌즈
62b....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
70.... 정밀 모터(step motor) 72.... 조정기(controller)
74.... 자동 렌즈 위치 조정기(automatic lens position controller)
80.... 컴퓨터 100.... 측정 대상체
110... 광 간섭계(interferometer)
P1,P2,P3,P4,P5... 레이저 빔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초음파 탐상 검사를 원격으로 수행하여 고온 및 이동체의 비파괴 결함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중 레이저 빔을 생성시켜 적절하게 측정 대상체에 조사시킴으로서, 고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측정 대상체 내부의 결함 탐상이나 결정립경 등의 제 물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신뢰성 있는 결정립경 및 내부 결함 평가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초음파의 송,수신 방법으로 압전소자를 이용한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철 공정과 같이 고온의 환경이거나 측정 대상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접촉매질(couplant)를 이용하는 접촉식 압전 초음파법의 사용이 제한된다.
이의 대안으로 로렌츠(Lorentz) 원리를 이용하는 EMAT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와 강자성체의 자왜 현상을 이용하는 MsS (magnetostrictive sensor) 기술이 비접촉식 초음파 발생 및 수신법으로 제안되고 있으나, 측정 대상체와 송수신 탐촉자의 거리가 수 mm에 불과하므로, 주변 기술의 획기적인 진보가 없이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이와 같이 레이저를 측정 대상체에 조사시키면 열탄성 (thermoelastic) 및 용발 메카니즘(ablation mechanism)에 의해 측정 대상물체에서 초음파가 발생 된다. 특히 레이저 빔이 고출력에 이르게 되면, 입사 레이저에 의해 매질 표면에서 용발 현상이 일어나서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의 반작용으로 매질 내에 진동파인 고 강도의 초음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용발(ablation)영역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초음파는 측정 대상체와의 이격거리(lift-off)가 큰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므로 원격(remote) 탐상 방식으로 측정 대상체의 물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를 이용한 초음파 발생시에 레이저 강도를 무한히 증가 시킨다고 해서 발생 초음파가 증대 되지는 않는다. 이는 도 10에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강도 300mJ 부근에서는 발생 초음파의 강도가 포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고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초음파의 발생 포화현상을 피해야 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응용 초음파 발생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강도의 레이저 발생기에서 나오는 레이저 빔을 다수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시켜 측정 대상체에 입사시키는 기술 및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한 가닥의 광 섬유당 펄스형 레이저 에너지 전송 세기는 250mJ 내외 인데, 고 에너지 레이저를 요구하는 계측 분야에서는 이러한 한 가닥의 레이저 만으로는 그 강도가 부족한 것이고, 다수 가닥의 레이저 빔을 다룰 수 있는 광학계와 이에 연계된 다수의 광 섬유가 있어야만 광원부에서 계측 지역으로 효과적인 레이저 에너지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레이저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 결함검사는 고온의 제철공정에서 재질 물성 평가에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높은 잡음대비 신호비(S/N) 값의 신호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고출력 초음파 발생용 레이저의 사용이 요구되지만, 레이저 강도 증대에 따라 레이저 초음파의 강도는 포화 되어 효과적인 신호 증대를 꾀하기가 곤란하다.
종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의 내부 결함을 비접촉식으로 탐상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해서는 여러 발명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특허가 제시되어 있다.
레이저 초음파에 대한 이들 발명은, 주로 측정 대상체의 한 면에 레이저를 조사시켜 측정 대상체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의 반대편에 비접촉식 초음파 탐촉자로서, 예를들면 광간섭계, 음향 마이크로폰, 공기 충진 탐촉자, 전자기 음향 탐촉자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결함등을 평가하도록 된 방법과 장치들에 관한 내용들이다.
그리고, 초음파 탐상과 관련한 레이저 빔의 활용 분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미국특허 번호 제5,773,721호의 "Laser beam aiming apparatus for ultrasonic inspection"이 있다. 이는 초음파 탐촉자와 동축으로 가시(visible) 레이저 빔을 측정 대상체에 조사시켜, + 모양을 측정 대상체 표면에 생성시켜 원하는 탐상 위치를 확인하도록 보완해 주는 레이저 조준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그리고, 다중 레이저 빔 조사의 개념을 이용하는 미국특허번호 제6,466,351호의 "Multi-beam optical system "이 있으나, 이는 반도체의 회로를 뜰때, 빔 궤적선(beam spot line)의 휘어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된 다중 레이저 빔 활용에 관한 특허로서 초음파 탐상과 관련한 기술내용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가닥의 레이저 빔을 생성시켜 측정 대상체에 조사시킴으로서, 고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그에 따라서 측정 대상체 내부의 결함 탐상을 신뢰성 있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이저 강도에 대한 레이저 초음파의 포화현상 없이 최적의 레이저 유기 초음파의 강도 증대를 얻기 위하여, 다중의 레이저 빔을 생성시켜 적절하게 측정 대상체에 조사시킴으로서, 고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측정 대상체 내부의 결함 탐상이나 결정립경 등의 제 물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신뢰성 있는 결정립경 및 내부 결함 평가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초음파 탐상 검사를 원격으로 수행하여 고온 및 이동체의 비파괴 결함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펄스형 니오디뮴-야그 레이저(pulsed Nd-YAG laser);
상기 펄스형 야그 레이저로 부터 출사된 1개의 고출력 레이저 빔을 다수 가닥의 분리된 레이저 빔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빔 분리 기구;및
상기 빔분리 기구에서 형성된 5개의 레이저 빔 사이의 거리와 각각의 레이저 빔의 조사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대구경 초점 렌즈 및 쐐기형 창 초점 렌즈의 조합렌즈기구;를 포함하여 한 가닥의 레이저 빔을 다수의 가닥으로 분리하여 측정 대상체에 조사함으로써, 고강도의 다중 펄스 레이저 초음파를 측정 대상체로부터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1)는 다중 펄스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을 위하여 다중 레이저 빔의 빔간 거리와 빔의 단면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십자 형태로 배치된 5개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킨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1)는 펄스형 야그 레이저(10)의 후방측으로 다수의 오목 및 볼록 (concave 및 convex) 렌즈(22a)(22b)들로 구성된 빔 크기 축소 장치(beam reducer set)(20)를 구비한다.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는 수정(quartz)으로 만들어진 볼록-오목 렌즈(convex-concave lens)의 조합으로 고출력 레이저 빔(P0)의 크기를 줄이는 부분이다.
이는 오목 렌즈(22a)를 통하여 초음파 발생용 고 에너지 레이저 빔(P0)이 들어가서 볼록 렌즈(22b)를 통과하면, 오목-볼록 수정 렌즈 집합체(quartz lens set of convex and concave)로써 빔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의 후방측에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P0)을 40:60의 비율로 분리되도록 하는 빛살 가르개(32)를 구비한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가 배치되며, 그 후방측에는 제 2빔 분리기구(40)및 제 3빔 분리기구(50)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빛살 가르개(32)는 유리면에 적절한 코팅 처리로서, 빛을 일정 비율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시키는 렌즈이다.
상기 제 2 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40)는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40% 반사된 빔을 광 경로를 가지도록 다수의 거울(mirror)(42a)로서 조정한 후, 이를 빛살 가르개(42b)를 통과시켜 50:50으로 분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x-축 상에 조사되는 2개의 레이저 빔(P1)(P2)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60%로 투과된 레이저를 받고, 상기 제 2빔 분리기구(40)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3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50)는 먼저 60%로 투과된 레이저를 33.3% 반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1개의 레이저 빔(P3)을 조사시키도록 하는 빗살 가르개(beam splitter)(52a)를 구비하고, 나머지 66.7%의 투과된 레이저 빔을 50:50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는 빛살 가르개(54a)를 구비하여 측정 대상체(100)의 원점에 1개의 레이저 빔(P4)을 조사시키고, 마지막으로 투과된 레이저를 거울로 반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최종적으로 1개의 빔(P5)을 조사시키도록 하 는 거울(52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빔 분리기구(40)와 제 3빔 분리기구(50)의 출측에는 측정 대상체(100) 표면과 펄스간의 거리 조정용 조합 렌즈기구(pulse distance controlling focusing lens)(60)가 배치되어 측정 대상체(100)와의 사이 거리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각 빔 사이의 거리(d)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합 렌즈기구(60)는 제 4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의 대구경 초점렌즈(62a)와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의 조합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제 4도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일반적인 초점 광학렌즈(62a), 예를 들면 볼록렌즈만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측정 대상체(100)와 렌즈(62a)의 거리 변화에 따라 다수의 레이저 빔간의 거리(d)뿐만이 아니라, 조사된 빔의 크기가 동시에 변화되므로, 만일 적정 레이저 빔간 거리(d)와 빔 크기를 결정한 후에는 제 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구경 초점렌즈(62a)만의 사용으로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레이저 빔들의 크기를 빔 크기 축소 장치(20)를 통과시켜 줄이고, 레이저 빔간의 거리(d)만을 감소시키고자 한다면, 빔의 크기가 변화되는 대구경 초점렌즈(62a)로는 안되기 때문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를 이용하여 빔간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는 측정 대상체(100)와의 거리가 변화되면, 레이저 빔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레이저 빔간의 거리(d)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 4b)에서 화살표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레이저 빔간의 거 리(d)는 자동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매우 간단하면서 소형의 구조를 갖추고, 레이저 빔간의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볼록렌즈의 대구경 초점렌즈(62a)와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의 조합체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각각 사용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합 렌즈기구(60)는 볼록렌즈의 대구경 초점렌즈(62a)와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z-축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정밀 모터(step motor)(70)와 조정기(controller)(72)를 구비한 자동 렌즈 위치 조정기(automatic lens position controller)(74)를 도 1에서와 같이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펄스형 야그 레이저(10)와 자동 렌즈 위치조정기(74)를 컴퓨터(80)와 연계시켜 컴퓨터(PC) 모니터의 화상 프로그램(MMI) 화면을 통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5 가닥의 레이저를 측정 대상체(100)에 조사시키면 각 빔(P1)(P2)(P3)(P4)(P5)의 레이저 강도에 따라 열탄성(thermoelastic) 및 용발 메카니즘(ablation mechanism)에 의해 측정 대상물체에서 초음파가 발생된다.
특히 레이저 빔이 고출력에 이르게 되면 입사 레이저에 의해 매질 표면에서 용발 현상이 일어나서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의 반작용으로 매질내에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측정 대상체(100)의 후면에 조사된 검지용 레이저, 즉 광 간섭계(interferometer)(110)로 부터 조사된 별도의 레이저로써 측정 대상체(100) 표면에서 나타나는 미세한 초음파 변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야그 레이저 발생장치(1)의 후방측으로 다수의 오목 및 볼록 (concave 및 convex) 렌즈(22a)(22b)들로 구성된 빔 크기 축소 장치(beam reducer set)(20)가 배치되어 이를 이용하여 고출력 펄스형 레이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 즉 본 발명의 야그 레이저(10)로 부터 출사되는 9mm 직경의 빔(P0)을, 측정 대상체(100)에서 레이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데 적절한 정도의 레이저 강도를 가지도록 변화시킨다.
즉,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는 수정(quartz)으로 만들어진 오목-볼록 수정 렌즈 집합체(quartz lens set of convex and concave)로서 초음파 발생용 고 에너지 레이저 빔(P0)이 들어가면 그 빔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는 다중으로 측정 대상체(100)로 입사되는 레이저 입사 빔(P1)(P2)(P3)(P4)(P5)들이 각각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 시에 초음파 강도의 포화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 레이저 강도를 가지도록 상기 레이저 빔(P0)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크기가 조절된 레이저 빔(P0)은,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의 후방측에 위치한 제 1 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40:60의 비율로 분리되어 그 후방측에 마련된 제 2빔 분리기구(40)및 제 3빔 분리기구(50)측으로 반사 및 투과된다.
상기 제 2 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40)에서는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1)에서 40% 반사된 빔이 광 경로를 가지도록 거울(mirror)(42a)들로서 조정한 후, 이를 빗살 가르개(42b)로서 50:50으로 분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x-축 상에 조사되는 2개의 레이저 빔(P1)(P2)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60%로 투과된 레이저는 상기 제 2빔 분리기구(40)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3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50)에서, 상기 60%의 레이저 빔을 먼저 빗살 가르개(52a)가 33.3% 반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1개의 레이저 빔(P3)을 조사시키도록 하고, 나머지 66.7%의 투과된 레이저 빔을 빗살 가르개(54a)로써 50:50으로 반사 및 투과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원점에 1개의 레이저 빔(P4)을 조사시키고, 마지막으로 투과된 레이저는 거울(mirror)(52b)로써 반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최종적으로 1개의 빔(P5)을 조사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x,y축에 걸친 십자(+)형태의 5개의 레이저 빔(P1)(P2)(P3)(P4)(P5)은 거의 동시에 측정 대상체(100)에 조사되도록 각 빔의 행로차를 최소화 하여 상기 광학요소들, 즉 상기 빔 분리 기구(30)(40)(50)들을 배치한다.
상기 방식으로 하여 원하는 빔의 크기를 가진 5개로 분리된 레이저 빔(P1)(P2)(P3)(P4)(P5)을 얻은 후, 이를 측정 대상체(100)에 조사 시킬 때 각 빔 사이의 거리(d)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빔 분리기구(40)와 제 3빔 분리기구(50)의 출측에 마련된 상기 조합 렌즈기구(60)중의 볼록렌즈의 대구경 초점렌즈(62a) 또는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광학렌즈(62b)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체(100) 표면과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레이저의 각 빔사이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합 렌즈기구(60)는 레이저 빔의 크기의 변화없이 레이저 빔간의 거리만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제 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 광학렌즈(62b)만을 사용토록 본 발명에서는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빔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 광학렌즈(62b)를 z-축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정밀 모터(step motor)(70)와 조정기(controller)(72)로써 자동 렌즈 위치 조정기(automatic lens position controller)(74)를 구성하며, 상기 야그 레이저(10)와 자동렌즈 위치 조정기(74)들을 모두 컴퓨터(80)와 연계시켜 컴퓨터(PC) 모니터의 화상 프로그램(MMI) 화면을 통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략 1.6Joule의 펄스형 레이저 빔(P0)을 입력시키면, 전송중의 손실등이 발생하여 5개의 레이저 빔(P1)(P2)(P3)(P4)(P5)당 250~300mJ이 측정 대상체(100)의 표면으로 조사된다.
즉, 5개의 레이저 빔(P1)(P2)(P3)(P4)(P5)을 중앙에 1개, 사방 90도 방향으로 4개 배치한 십자(+) 형태 (cross configuration with point symmetry)의 다중 레이저 빔으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십자(+) 형태의 다중 입사 (cross configuration of 5 sources)의 경우에 레이저 원(source)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d)에 따른 발생 레이저 초음파의 강도 변화가 도 5에 그래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십자 형태의 다중 빔 입사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종파)의 강도는 다중 레이저 빔의 입사에 의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레이저 빔간 거리(d)가 감소할수록 발생 초음파의 강도가 커지고,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빔간 거리가 수 mm 이내에서 다중 입사에 의한 초음파 강도 증대 효과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을 활용하여 생성시킨 다중 입사 레이저 빔의 조사 형태를 보여 준다. 이는 빔 직경을 4.5mm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초점 렌즈(62b)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빔 사이의 거리(d)를 0, 5, 10, 15 및 20 mm 로 조정한 결과의 실례이다.
그리고, 도 7은 빔 직경을 3.0mm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쐐기형 창(wedge-type window)의 초점 렌즈(62b)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빔 사이의 거리(d)를 0, 4.5, 8.5 및 13mm 로 조정한 결과의 실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100)에 조사된 5개의 레이저 빔에 의해서 측정 대상체(100)로 부터 고강도의 초음파가 발생되며, 측정 대상체(100) 후면에 조사된 검지용 레이저, 즉 광 간섭계(interferometer)(110)로써 측정 대상체(100) 표면에서 나타나는 초음파 변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서 발생시킨 레이저 초음파 신호를 도시한 결과로서, 도 8의 a)와 같이, 시간 축 평면 (time-domain) 상의 취득 신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부분의 첨두(peak) 신호를 빠른 퓨리어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처리하여 도 8의 b)와 같은 주파수 영역(domain)으로 변환시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는다. 도 9는 레이저 빔의 직경 3.0mm인 상태에서 레이저 빔 사이의 거리(d)를 조정하면 서 획득한 레이저 초음파 신호의 초음파 강도를 레이저 빔 사이의 거리 함수로 도시한 결과의 일례를 보여 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빔들 사이에 거리를 주면서, 서로 다른 근접위치에 5개의 레이저 빔을 입사시킴으로서 각각의 레이저 빔의 조사점에서 초음파들을 발생시키게 되고, 각각 발생된 초음파들이 측정 대상체(100)로 부터 전파되는 과정에서 초음파의 보강 간섭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종래의 단일 레이저 빔에 의한 초음파 출력 강도보다 매우 큰 강도의 초음파 출력 증대를 이루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 강도의 초음파 출력을 측정 대상체(100)로 부터 얻을 수 있음으로서 초음파 탐상 검사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온 및 이동체를 대상으로 비파괴 결함검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즉, 고온의 연주 슬라브나 압연 중에 있는 측정 대상체(100)를 대상으로 고 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측정 대상체(100) 내부의 결함 탐상이나 결정립경 등의 제 물성을 온 라인으로 평가 가능하게 해 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초미세립강과 같은 고부가가치강의 제조에 활용할 수도 있고, 고 출력 초음파를 생성시켜 측정 대상체(100)에 입사시킬 수 있으므로 잡음대비 신호비(S/N)가 높은 신호를 취득하여 신뢰성 있는 결정립경 및 내부 결함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압연 혹은 연주 공정에 피드백 시키게 되면, 연주 슬라브 및 압연제품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 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측정 대상체(1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초음파 탐상 검사를 원격으로 수행하여 고온 및 이동체의 비파괴 결함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펄스형 니오디뮴-야그 레이저(pulsed Nd-YAG laser)(10);
    상기 펄스형 야그 레이저(10)로 부터 출사된 1개의 고출력 레이저 빔(P0)을 다수 가닥의 분리된 레이저 빔(P1)(P2)(P3)(P4)(P5)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빔 분리 기구(30)(40)(50);및
    상기 빔분리 기구(30)(40)(50)에서 형성된 5개의 레이저 빔 사이의 거리(d)와 각각의 레이저 빔의 조사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대구경 초점 렌즈(62a) 및 쐐기형 창 초점 렌즈(62b)의 조합렌즈기구(60);를 포함하여 한 가닥의 레이저 빔을 다수의 가닥으로 분리하여 측정 대상체(100)에 조사함으로써, 고강도의 다중 펄스 레이저 초음파를 측정 대상체(100)로부터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형 야그 레이저(10)의 후방측으로는 다수의 오목 및 볼록 (concave 및 convex) 렌즈(22a)(22b)들로 구성된 빔 크기 축소 장치(beam reducer set)(20)가 구비되어 빔(P0) 크기를 줄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는 상기 빔 크기 축소 장치(20)의 후방측에서 레이저 빔(P0)을 40:60의 비율로 분리되도록 하는 빛살 가르개(32)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40)는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40% 반사된 빔을 광 경로를 가지도록 조정하는 다수의 거울(mirror)(42a)들과, 상기 빔을 50:50으로 분리시키는 빛살 가르개(42b)를 구비하여 측정 대상체(100)의 x-축 상에 조사되는 2개의 레이저 빔(P1)(P2)을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 3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50)는 상기 제 1빔 분리 기구(Beam splitter module)(30)에서 60%로 투과된 레이저를 받고, 상기 제 2빔 분리기구(40)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60%로 투과된 레이저 빔을 33.3% 반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1개의 레이저 빔(P3)을 조사시키도록 하는 빗살 가르개(beam splitter)(52a)를 구비하고, 나머지 66.7%의 투과된 레이저 빔을 50:50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는 빛살 가르개(54a)를 구비하여 측정 대상체(100)의 원점에 1개의 레이저 빔(P4)을 조사시키며, 마지막으로 투과된 레이저를 거울로 반 사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y-축 상에 최종적으로 1개의 빔(P5)을 조사시키도록 하는 거울(52b)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KR1020030024645A 2003-04-18 2003-04-18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KR10094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45A KR100946550B1 (ko) 2003-04-18 2003-04-18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45A KR100946550B1 (ko) 2003-04-18 2003-04-18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665A KR20040090665A (ko) 2004-10-26
KR100946550B1 true KR100946550B1 (ko) 2010-03-11

Family

ID=3737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645A KR100946550B1 (ko) 2003-04-18 2003-04-18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55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4889B2 (en) 2013-12-10 2017-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avelength-selectable coating thickness measurement apparatus
US11020006B2 (en) 2012-10-18 2021-06-0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ranscranial photoacoustic/thermoacoustic tomography brain imaging informed by adjunct image data
US11029287B2 (en) * 2011-02-11 2021-06-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focus optical-resolution photoacoustic microscopy with ultrasonic array detection
US11137375B2 (en) 2013-11-19 2021-10-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of grueneisen-relaxation photoacoustic microscopy and photoacoustic wavefront shaping
US11369280B2 (en) 2019-03-01 2022-06-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Velocity-matched ultrasonic tagging in photoacoustic flowgraphy
US11530979B2 (en) 2018-08-14 2022-12-2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focal photoacoustic microscopy through an ergodic relay
US11592652B2 (en) 2018-09-04 2023-02-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nhanced-resolution infrared photoacoustic microscopy and spectroscopy
US11672426B2 (en) 2017-05-10 2023-06-1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napshot photoacoustic photography using an ergodic relay
US11986269B2 (en) 2019-11-05 2024-05-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patiotemporal antialiasing in photoacoustic computed tomograph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548B1 (ko) 2014-10-31 2016-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빔 리플렉터를 이용한 다중 광경로 레이저 광학계
CN111257236A (zh) * 2020-01-07 2020-06-09 温州大学 双脉冲激光超声波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222A (ja) * 1989-02-02 1990-08-1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レーザビームの形状測定用光学系方式および光学装置
KR970010982B1 (ko) * 1993-12-29 1997-07-05 조말수 비접촉식 내부결함 탐상방법 및 장치
JP3406338B2 (ja) * 1993-01-19 2003-05-12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222A (ja) * 1989-02-02 1990-08-13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レーザビームの形状測定用光学系方式および光学装置
JP3406338B2 (ja) * 1993-01-19 2003-05-12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記録媒体の製造装置
KR970010982B1 (ko) * 1993-12-29 1997-07-05 조말수 비접촉식 내부결함 탐상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9287B2 (en) * 2011-02-11 2021-06-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focus optical-resolution photoacoustic microscopy with ultrasonic array detection
US11020006B2 (en) 2012-10-18 2021-06-0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ranscranial photoacoustic/thermoacoustic tomography brain imaging informed by adjunct image data
US11137375B2 (en) 2013-11-19 2021-10-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of grueneisen-relaxation photoacoustic microscopy and photoacoustic wavefront shaping
US9534889B2 (en) 2013-12-10 2017-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avelength-selectable coating thickness measurement apparatus
US11672426B2 (en) 2017-05-10 2023-06-1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napshot photoacoustic photography using an ergodic relay
US11530979B2 (en) 2018-08-14 2022-12-2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focal photoacoustic microscopy through an ergodic relay
US11592652B2 (en) 2018-09-04 2023-02-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nhanced-resolution infrared photoacoustic microscopy and spectroscopy
US11369280B2 (en) 2019-03-01 2022-06-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Velocity-matched ultrasonic tagging in photoacoustic flowgraphy
US11986269B2 (en) 2019-11-05 2024-05-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patiotemporal antialiasing in photoacoustic computed tom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665A (ko) 200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921B1 (en) Optical stress generator and detector
KR100946550B1 (ko) 다중 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초음파의 발생장치
EP14444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pecific frequency response for ultrasound testing
US5959735A (en) Optical stress generator and detector
US4169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 waves by laser pulses
Graham et al. Automated system for laser ultrasonic sensing of weld penetration
CN102323216A (zh) 焊接检查方法及其设备
JP2011058937A (ja) 構造物内部状態計測システム及び構造物内部状態計測方法
JP2009063558A (ja) 超音波検査装置、超音波検査方法および原子力プラントの非破壊検査方法
JPH022921A (ja) 超音波でサンプルを調査する装置
Stratoudaki et al. Full matrix capture and the total focusing imaging algorithm using laser induced ultrasonic phased arrays
JP4027261B2 (ja) 多重ビームの照射によるレーザ超音波発生装置
JP2019095419A (ja) レーザ励起超音波発生装置、レーザ超音波検査装置、及びレーザ超音波検査方法
JP3477330B2 (ja) 超音波発生装置
WO2022254805A1 (ja) 欠陥検出装置及び欠陥検出方法
CN115210016A (zh) 板坯上的铸机相关缺陷的检测及移除
Kaniak et al. Enhanced non-contact ultrasonic testing using an air-coupled optical microphone
KR101398295B1 (ko) 초음파 측정용 레이저-간섭계 효율 증대 장치 및 방법
JPH10260163A (ja) レーザー超音波検査装置
Yang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fiber array for NDE application
KR101008172B1 (ko) 레이저 펄스 빔의 열탄성 효과를 이용한 레이저 초음파 검사 방법
JPH11271281A (ja) レーザー超音波検査装置及びレーザー超音波検査方法
CN117783124A (zh) 一种盆式绝缘子检测方法及检测系统
JP2587732B2 (ja) レーザー光の位置検出方法
CN114018823B (zh) 一种激励接收一体的激光超声探伤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