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129B1 -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129B1
KR100946129B1 KR1020020078646A KR20020078646A KR100946129B1 KR 100946129 B1 KR100946129 B1 KR 100946129B1 KR 1020020078646 A KR1020020078646 A KR 1020020078646A KR 20020078646 A KR20020078646 A KR 20020078646A KR 100946129 B1 KR100946129 B1 KR 10094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carbon steel
cooling
medium carbon
spheroid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690A (ko
Inventor
이덕락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21D1/32Soft annealing, e.g. spheroid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탄소강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열처리 방법은 탄소함량이 0.20~0.60중량%이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중탄소강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탄소강을 Ac1~Ac3로 가열한 다음 2~3시간 유지시키고,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705~715℃까지 1차 냉각한 다음 2~4시간 유지시킨 후,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650~680℃까지 2차 냉각한 다음 공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열처리 방법은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충분히 구상화가 이루어지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열처리 비용 저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중탄소강, 구상화 열처리, 탄화물, 연화

Description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A SPHEROIDIZING ANNEALING METHOD TO SOFTEN MEDIUM CARBON STEEL RAPIDLY}
도 1은 탄소함량 0.45중량%인 중탄소강의 선재 압연 상태에서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2는 탄소함량 0.45중량%인 중탄소강의 1차 냉각 후, 유지온도에 따른 구상화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탄소함량 0.45중량%인 중탄소강의 1차 냉각 후, 유지온도에 따른 구상화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의한 시편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탄소강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상화 열처리시 가열 및 유지 후 냉각하는 단계에 있어서 탄화물 성장속도가 빠른 구간에서는 일정시간 유지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빠른 속도로 냉각시켜 줌으로써, 중탄소강을 단시간에 신속히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함량 0.20~0.60중량%의 중탄소강 선재는 자동차 부품, 건설기계용 부품 등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며, 열간압연을 마친 상태에서의 주된 미세조직이 페라이트(Ferrite)와 펄라이트(Pearlite)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탄소강 선재의 인장강도는 70kg/mm2급으로, 자동차용 또는 건설기계용 부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인장강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 중탄소강 선재를 냉간압조 가공을 통해서 자동차용 또는 건설기계용 부품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구상화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인장강도를 약 55kg/mm2 수준으로 떨어뜨려야 한다. 상기 구상화 열처리는 펄라이트 조직속에 포함된 판상의 시멘타이트(Fe3C)를 구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강을 연화시키는 열처리이다. 상기 구상화 열처리는 열간압연된 강재를 Ac1~Ac3로 가열하여 판상 시멘타이트를 씨(seed)만 남기고 모두 재고용 시킨 후, 약 680℃까지 연속적으로 서냉하거나 또는 서냉중 720℃에서 일정시간 유지하여 열처리재의 온도를 균일하게 만든 후 680℃까지 재 서냉함으로써,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씨(seed)가 성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상화 열처리 방법은 전체 열처리 시간이 약 20시간 정도로 매우 길기 때문에 열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생산 효율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열간압연상태의 강재의 미세조직을 변화시킴으로써 구상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대표적인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6460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중량%로, C: 0.1~0.5%, Si: 0.01~0.5%, Mn: 0.3~1.5%을 함유하는 강을 사용하여 750℃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한 후 온수에 침적시켜 냉각함으로써, 미세한 페라이트(Ferrite)와 펄라이트(Pearlite)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형성시켜 구상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냉간압조용 강선재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열간압연 상태의 조직을 미세화 시키기 위하여 저온압연을 실시하고 온수에 침적을 시켜야 하므로, 저온압연 설비 및 온수 침적설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상화 열처리시 가열 및 유지 후 냉각하는 단계에 있어서 탄화물 성장속도가 빠른 구간에서는 일정시간 유지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빠른 속도로 냉각시켜 줌으로써, 중탄소강을 단시간에 신속히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소함량이 0.20~0.60중량%이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중탄소강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탄소강을 Ac1~Ac3로 가열한 다음 2~3시간 유지시키고,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705~715℃까지 1차 냉각한 다음 2~4시간 유지시킨 후,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650~680℃까지 2차 냉각한 다음 공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상화 열처리 조건을 적절하게 변화시켜 중탄소강을 단시간에 연화시키는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중탄소강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탄소강은 탄소함량이 0.20~0.60중량%인 강을 의미한다. 상기 중탄소강의 대표적인 예로는 중량%로, C: 0.20~0.60%, Si: 0.15~0.35%, Mn: 0.60~0.90%, P: 0.030% 이하, S: 0.03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이 있다.
탄소함량이 0.20~0.60중량%이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중탄소강 강재를 Ac1~Ac3로 가열한 다음 2~3시간 유지시킨다. 상기 구상화 열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가열하는 온도가 Ac1 미만이면 펄라이트 조직이 오스테나이트(austenite)로 역변태 되지 못하여 시멘타이트(cementite)의 구상화에 너무 긴 시간이 소요되고, Ac3를 초과하면 온도가 너무 높아 구상화를 위한 씨(seed)가 남지 않고 모두 용해되어 버리므로, 상기 구상화 열처리를 위해 가열하는 온도는 Ac1~Ac3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 후 유지시간을 2시간 이상 유지하는 이유는 펄라이트 조직이 적절한 구상화 씨(seed)를 남긴채 모두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바뀌도록 하기 위함이며, 유지시간이 3시간을 초과하면 구상화 자체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전체적으로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늘어나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유지시간은 2~3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705~715℃까지 1차 냉각한 다음 2~4시간 유지한다. 상기 1차 냉각속도가 30℃/시간 미만이면 구상화는 잘 되나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200℃/시간을 초과하면 구상화 씨(seed)가 성장할 시간이 너무 부족하므로, 상기 1차 냉각속도는 30~200℃/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냉각종료 온도(705~715℃)는 구상화 씨(seed)가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온도로써, 705℃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인해 탄소 확산 속도가 늦어져 구상화 속도가 크게 감소하며, 715℃를 초과하면 시멘타이트가 생성되려는 구동력이 현저히 떨어져 구상화 속도가 감소되므로, 상기 1차 냉각종료 온도는 705~7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냉각 후 유지시간이 2시간 미만이면 구상화 입자가 충분히 자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4시간을 초과하면 전체적인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1차 냉각 후 유지시간은 2~4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650~680℃까지 2차 냉각한 다음 공냉한다. 상기 2차 냉각속도가 30℃/시간 미만이면 구상화는 잘 되나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200℃/시간을 초과하면 구상화 씨(seed)가 성장할 시간이 너무 부족하므로, 상기 2차 냉각속도는 30~200℃/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냉각종료 온도가 650℃이면 구상화 탄화물이 성장하기에 충분한 온도이고, 680℃를 초과하면 시멘타이트가 충분히 성장되지 못한 상태에서 열처리가 종료되어 구상화 열처리 조직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므로, 상기 2차 냉각종료 온도는 650~68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되는 강선재의 미세조직은 도 1과 같다. 상기 시편을 740℃로 가열한 다음 2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100℃/시간의 냉각속도로 690, 700, 710 및 720℃까지 각각 냉각시킨 다음 2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급냉시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또한, 각각의 미세조직에서 구상화된 시멘타이트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되는 강선재의 시편을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단축 구상화 열처리 방법으로 각각 구상화 열처리를 실시한 후, 그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Figure 112002041092338-pat00001

도 1은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중탄소강 선재의 압연 상태에서의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흰부분)와 펄라이트(검은부분, 회색부분) 조직을 보여준다.
도 2는 1차 냉각 후, 유지온도에 따른 구상화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흰색 입자로 보이는 시멘타이트의 크기가 유지온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도 2의 (a)는 유지온도 690℃, (b)는 유지온도 700℃, (c)는 유지온도 710℃ 및 (d)는 유지온도 720℃에서의 구상화 조직을 나타낸다. 상기 흰색 시멘타이트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도시한 도 3을 보면 시멘타이트의 평균 크기가 710℃에서 유지하였을 때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구상화 열처리시 구상화 시멘타이트의 성장 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705~715℃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가열 및 유지후 종래 방법은 10℃/시간의 냉각속도로 680℃까지 냉각하였고, 본 발명은 100℃/시간의 냉각속도로 710℃까지 냉각한 다음 2시간 유지 후 다시 680℃까지 100℃/시간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였다. 종래 방법에서는 총 17시간의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소요되었고, 본 발명에서는 13.6시간이 소요되었다.
도 5는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의한 시편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종래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의한 시편(a)과 본 발명에 의한 단축 구상화 열처리 방법에 의한 시편(b)의 조직이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상화 입자의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역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는 본 발명을 이용하면 충분한 구상화를 달성하면서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충분히 구상화가 이루어지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열처리 비용 저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탄소함량이 0.20~0.60중량%이며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중탄소강을 구상화 열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탄소강을 Ac1~Ac3로 가열한 다음 2~3시간 유지시키고,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705~715℃까지 1차 냉각한 다음 2~4시간 유지시킨 후, 30~200℃/시간의 냉각속도로 650~680℃까지 2차 냉각한 다음 공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KR1020020078646A 2002-12-11 2002-12-11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4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46A KR100946129B1 (ko) 2002-12-11 2002-12-11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46A KR100946129B1 (ko) 2002-12-11 2002-12-11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90A KR20040051690A (ko) 2004-06-19
KR100946129B1 true KR100946129B1 (ko) 2010-03-10

Family

ID=3734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6129B1 (ko) 2002-12-11 2002-12-11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06B1 (ko) * 2008-12-0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고탄소강 선재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
KR102065264B1 (ko) * 2018-08-08 2020-01-10 주식회사 포스코 연질 열처리 시간 단축형 냉간 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5265B1 (ko) * 2018-08-08 2020-01-10 주식회사 포스코 연질 열처리 시간 단축을 위한 냉간 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1809029A (zh) * 2020-07-14 2020-10-23 东北大学 一种高成形性中碳钢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501405A (zh) * 2020-11-16 2021-03-16 建龙北满特殊钢有限责任公司 一种解决碳素结构钢切削加工困难的方法及其制备的碳素结构钢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026A (en) * 1980-07-14 1982-02-06 Kobe Steel Ltd Spheroidization treatment for bar steel material
JPS61127811A (ja) * 1984-11-26 1986-06-16 Komatsu Ltd 中炭素鋼の軟化焼鈍熱処理法
JPS6386815A (ja) * 1986-09-30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H02185918A (ja) * 1989-01-11 1990-07-20 Sumitomo Metal Ind Ltd 軟化棒・線材の製造方法
KR19990057397A (ko) * 1997-12-29 1999-07-15 이구택 구상화 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 제조방법
KR19990055102A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냉간압조용 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20010060642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구상화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026A (en) * 1980-07-14 1982-02-06 Kobe Steel Ltd Spheroidization treatment for bar steel material
JPS61127811A (ja) * 1984-11-26 1986-06-16 Komatsu Ltd 中炭素鋼の軟化焼鈍熱処理法
JPS6386815A (ja) * 1986-09-30 1988-04-18 Kobe Steel Ltd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H02185918A (ja) * 1989-01-11 1990-07-20 Sumitomo Metal Ind Ltd 軟化棒・線材の製造方法
KR19990055102A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냉간압조용 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9990057397A (ko) * 1997-12-29 1999-07-15 이구택 구상화 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 제조방법
KR20010060642A (ko) * 1999-12-27 2001-07-07 이구택 구상화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90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905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3118B2 (ja) 工具鋼の製造方法
JPH04365816A (ja) 冷間加工用棒鋼線材の製造方法
TWI812127B (zh) 機械構造零件用鋼線及其製造方法
CN115341077B (zh) 一种轴承钢及其球化退火方法
KR100946129B1 (ko) 중탄소강을 신속하게 연화시킬 수 있는 구상화 열처리 방법
JP5359582B2 (ja) 焼入れ用工具鋼素材
KR101053406B1 (ko) 고탄소강 선재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
KR19990053873A (ko) 절삭가공성이 우수한 고응력 스프링용 강 및 이강을 이용한 스프링의 제조방법
JPS62199718A (ja) 機械構造用鋼の圧延材直接軟質化法
JP2014040626A (ja)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軸受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35972B2 (ja) 工具鋼中間素材の製造方法及び工具鋼の製造方法
KR102678568B1 (ko) 저탄소 구상화 합금강 및 그 제조방법
JP3241748B2 (ja) 加工性と焼入れ性に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5521A (ja) 線材の球状化焼鈍方法
JP2852810B2 (ja) 加工性にすぐれた高炭素冷延鋼帯の製造方法
KR100276320B1 (ko) 냉간압조성이 우수한 중탄소강 선재의 구상화 열처리 방법
JP3598147B2 (ja) 冷間加工性および高周波焼入れ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JPH0572442B2 (ko)
KR100296253B1 (ko) 냉각속도제어에 의한 오스템퍼드 구상흑연주철의 제조방법
KR100973922B1 (ko) 소성유기 동적 변태에 의하여 생성된 페라이트를 갖는연화열처리 생략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S626612B2 (ko)
CN118422054A (zh) 一种风电紧固件钢及其制备方法、风电紧固件
JP3480290B2 (ja) 高強度歯車の製造方法
JPH11106864A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