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004B1 - 집진 필터 구조 - Google Patents

집진 필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004B1
KR100946004B1 KR1020090026142A KR20090026142A KR100946004B1 KR 100946004 B1 KR100946004 B1 KR 100946004B1 KR 1020090026142 A KR1020090026142 A KR 1020090026142A KR 20090026142 A KR20090026142 A KR 20090026142A KR 100946004 B1 KR100946004 B1 KR 10094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ing panel
pa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훈
유재흥
권일윤
윤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2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부, 하부는 차단판(111, 112, 113)에 의해 차단된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에 단면이 "ㄷ"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된 집진패널(114)과, 상기 집진패널(114)의 전방에는 집진패널(114)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115)와, 상기 상부프레임(110) 하부에는 먼지수거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먼지수거통(120)의 상부는 집진패널(114)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집진 필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설치하되 유입공기의 흐름을 집진패널로 유도하고 공기의 배출 흐름은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대량의 집진을 가능하게 하며, 또 이처럼 집진된 먼지는 하부 본체로 모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집진장치를 멈추지 않고도 지속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집진, 필터, 구조

Description

집진 필터 구조{Apparatus of filter for collecting dust}
본 발명은 집진 필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유입되는 먼지를 공기와 함께 유도한 다음 공기는 흘려보내고 먼지만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 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장치는 먼지(슬러지를 포함한다)에 오염된 공기를 필터로 걸러 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환경오염방지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소각로나 보일러 및 산업설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분진, 그리고 빌딩 등 대량의 분진이 배출되는 덕트나 환풍구 등에 사용하기 위한 대형 집진장치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으나, 기존 필터방식의 집진장치는 필터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신속한 집진과 대량의 집진은 곤란하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크게 제한하지 않으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의 필요성 또한 매우 절실한 시점이다.
종래의 집진방법은 대개 집진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여과효율이 낮고, 복잡한 집진시설을 갖추어야 함에 따라 설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 오염된 먼지가 집진필터에 쌓이게 되어 결국 집진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집진필터는 자주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는 빈번한 교체로 인한 집진장치의 가동 중단, 불필요한 작업량의 증가 및 세척에 따른 비용발생 등의 폐단을 갖는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공기와 먼지를 따로 분리하여 먼지만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필터 교체 시간을 최대한 늘일 수 있는 집진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의 블레이드에 의해 먼지와 공기를 집진패널로 유도하고 집진패널로 유입된 먼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본체로 적층 되도록 하되, 상기 적층된 먼지는 집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집진 필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블레이드 설치구조에 의해 공기 의 흐름은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먼지는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 필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패널에 공기배출수단과 필터를 형성하여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집진 필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설치하되 유입공기의 흐름을 집진패널로 유도하고 공기의 배출 흐름은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대량의 집진을 가능하게 한다.
또 이처럼 집진된 먼지는 하부 본체로 모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집진장치를 멈추지 않고도 지속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집진장치(100)는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부, 하부는 차단판(111,112,113)에 의해 차단된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 방에 단면이 "ㄷ"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된 집진패널(114)과, 상기 집진패널(114)의 전방에는 그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115)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먼지수거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먼지수거통(120)의 상부는 집진패널(114) 하부와 연통(連通)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블레이드(115)는 단면이 "V"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된 구조이며, 상단과 하단이 상부 차단판(111) 및 하부 차단판(113)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블레이드(115)는 차단판(111,113)에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블레이드(115)의 상하단 측면에 통공(114b)을 구비한 결합편(114a)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편(114a)을 나사로 결합시켜 차단판(111,113)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15)는 집진패널(114)의 입구부(114c)의 양측에 한 쌍씩 배치되어 지되, 전방을 향할수록 블레이드(115)의 간격은 점점 더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물론 가장 전방의 블레이드(115)는 측면에 위치한 또 다른 집진패널(114)의 블레이드(115)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인접하고 있는 두 개의 집진패널(114)로부터 배치되어 최전방까지 위치하게 된 두 개의 블레이드(115)의 전방에는 공기유도블레이드(115a)가 형성되어 본 발명 집진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양측의 블레이드(115)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집진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도블레이드(115a)와 블레이드(115)들에 의해 방향이 유도되어 각각의 집진패널(114)로 모이게 되고, 상기 집진패널(114)에 모인 공기들은 와류가 형성되면서 먼지만 중력에 의해 떨어지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집진패널(114)을 빠져나가 블레이드(115) 사이를 통해 상부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진다.
상기 집진패널(114)의 하단은 먼지수거통(120)과 연결된 상태여서 하강하는 먼지들은 먼지수거통(120)에 모이게 된다. 이때 먼지수거통(120)에 모인 먼지들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먼지수거통(120)의 중간부에는 경사판(121)이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 경사판(121)의 상단부측에는 고압공기분사노즐(123)이 설치되어 경사판(121)에 쌓여있는 먼지들을 불어서 경사판(121)의 하단부로 적재되도록 한다.
이때 경사판(121)의 하단부에 적재된 먼지들은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어 진다. 또한 상기 먼지수거통(120)에는 먼지의 집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점검구(1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집진패널(114)은 차단판(111,113)에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집진패널(114)의 상하단 측면에 통공을 구비하는 결합편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을 나사로 결합시켜 차단판(111,113)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집진패널(114) 내부로 너무 강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는 공기 중의 먼지가 미처 먼지수거통(120)으로 하강하거나 집진패널(114) 내부로 유입되기도 전에 공기 압력에 휩쓸려 공기와 함께 블레이드(115)들의 사이를 통해 상부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진패널(114)의 후방에 통 기공(114d)을 천공하여 공기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통기공(114d)을 통해 먼지가 그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통기공(114d) 전방에 필터(114g), 즉 거름망을 형성하였다. 또한 집진패널(114)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부(114h)가 구비된 슬라이드판(114e)을 집진패널(114)의 통기공(114d) 전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설치하였다. 상기 슬라이드판(114e)의 고정은 집진패널(114) 후방에 천공된 수직장공(垂直長孔)(114k)을 관통하는 볼트부(114h)가 나비너트(114j)에 결합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114e)에는 집진패널(114)의 통기공(114d)에 대응하는 통기공(114f)이 천공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판(114e)의 통기공(114f)이 승하강 되면서 집진패널(114)의 통기공(114d)을 여닫음으로 배출되는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판(114e)은 집진패널(114)의 수직장공(114k)의 범위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 본 발명은 블레이드(115) 상부에 블레이드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세척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블레이드 세척수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130)과, 상기 물공급관(13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15) 상부에 위치하는 물분사관(131)과, 상기 물분사관(131)에 형성되어 물을 블레이드 상단에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공(131a) 또는 물분사노즐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분사관(131)은 블레이드(115)의 평면 배치형상과 동일하게 설치 하여 세척수를 아끼면서 세척효율은 더 높일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집진장치의 집진 필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V-V선 단면도.
도 4 - 도 2의 W-W선 단면도.
도 5 - 도 4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6 - 본 발명 집진패널의 구성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7 -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 본 발명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 도 8의 X-X선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집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 도 1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집진장치 110: 상부프레임
111,112,113: 차단판 114: 집진패널
114c: 입구부 114d: 통기공
114e: 슬라이드판 114g: 필터
114h: 볼트부 114j: 나비너트
114k: 수직장공 115: 블레이드
120: 먼지수거통 121: 경사판
122: 배출구 123: 고압공기분사노즐
130: 물공급관 131: 물분사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부, 하부는 차단판(111,112,113)에 의해 차단된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에 단면이 "ㄷ"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된 집진패널(114)과, 상기 집진패널(114)의 전방에는 그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115)와, 상기 상부프레임(110) 하부에는 먼지수거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먼지수거통(120)의 상부는 집진패널(114)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집진 필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먼지수거통(120)의 중간부에는 경사판(12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121)의 상단부측에는 고압공기분사노즐(123)이 설치되어 경사판(121)에 쌓여 있는 먼지들을 불어서 경사판(121)의 하단부로 적재되도록 하고, 경사판(121)의 하단부에 적재된 먼지들은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구조.
  4.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부, 하부는 차단판(111,112,113)에 의해 차단된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전방에 단면이 "ㄷ"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된 집진패널(114)과, 상기 집진패널(114)의 전방에는 그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115)와, 상기 상부프레임(110) 하부에는 먼지수거통(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먼지수거통(120)의 상부는 집진패널(114)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집진 필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집진패널(114) 후방에는 통기공(114d)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114d) 전방에는 필터(114g)를 설치하며, 상기 필터(114g)의 후방에는 볼트부(114h)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판(114e)이 승하강 가능토록 설치되어 지되, 상기 슬라이드판(114e)의 볼트부(114h)가 집진패널(114)의 수직장공(114k)을 관통하게 나비너트(114j)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판(114e)의 통기공(114f)이 집진패널(114)의 통기공(114d)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구조.
  5. 삭제
KR1020090026142A 2009-03-26 2009-03-26 집진 필터 구조 KR10094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42A KR100946004B1 (ko) 2009-03-26 2009-03-26 집진 필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42A KR100946004B1 (ko) 2009-03-26 2009-03-26 집진 필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004B1 true KR100946004B1 (ko) 2010-03-09

Family

ID=4218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42A KR100946004B1 (ko) 2009-03-26 2009-03-26 집진 필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0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016B1 (ko) 2009-07-07 2011-12-29 한일엔브이(주) 소음 저감형 관성 필터
KR102212450B1 (ko) * 2019-11-28 2021-0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소음 미세먼지 동시 저감 장치
CN113236452A (zh) * 2021-06-08 2021-08-10 中车(天津)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均流功能的滤网
CN114251204A (zh) * 2020-09-24 2022-03-29 中车(天津)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多单元空气滤清装置
KR102416087B1 (ko) * 2021-11-09 2022-07-05 한국철도공사 흡입팬을 구비한 더스트박스 연계형 철도 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619A (ja) * 1985-10-23 1987-05-07 Asahi Glass Co Ltd ル−バ型慣性集塵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619A (ja) * 1985-10-23 1987-05-07 Asahi Glass Co Ltd ル−バ型慣性集塵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016B1 (ko) 2009-07-07 2011-12-29 한일엔브이(주) 소음 저감형 관성 필터
KR102212450B1 (ko) * 2019-11-28 2021-0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소음 미세먼지 동시 저감 장치
CN114251204A (zh) * 2020-09-24 2022-03-29 中车(天津)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多单元空气滤清装置
CN113236452A (zh) * 2021-06-08 2021-08-10 中车(天津)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均流功能的滤网
KR102416087B1 (ko) * 2021-11-09 2022-07-05 한국철도공사 흡입팬을 구비한 더스트박스 연계형 철도 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0946004B1 (ko) 집진 필터 구조
KR101082023B1 (ko) 무동력 싸이클론 방식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548800A (zh) 一种工业除尘器
JP2020040012A (ja) 液切板及びそれを備える湿式集塵機
JP2008119556A (ja) 塗装ブースろ過網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20130010781A (ko) 오폐수의 거품 제거장치
KR101219406B1 (ko) 무동력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한 먼지 저감장치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KR102316625B1 (ko) 고효율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28085B1 (ko) 기모필터를 장착한 기모필터장치와 기모필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04645738B (zh) 湿式静电油烟净化器中的除纤维装置
CN205019898U (zh) 一种除尘器
WO2020248738A1 (zh) 过滤网清洗装置及空调器
CN103252147A (zh) 一种自洁式空气过滤器
KR101442082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장착식 정화냉각장치
CN204502621U (zh) 湿式静电油烟净化器中的除纤维装置
CN109276966A (zh) 一种用于垃圾焚烧炉的环保设备
CN205137590U (zh) 前端水过滤环保烟罩
CN219441113U (zh) 一种风管净化装置
KR101897566B1 (ko) 공기 청정기
CN204017597U (zh) 一种水射流油尘净化器
CN215352755U (zh) 无动力除粉尘机构及新风系统
US20150152785A1 (en) Air intake hood for turbine inlet filter house
CN220225545U (zh) 一种河道消防取水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