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566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566B1
KR101897566B1 KR1020110141588A KR20110141588A KR101897566B1 KR 101897566 B1 KR101897566 B1 KR 101897566B1 KR 1020110141588 A KR1020110141588 A KR 1020110141588A KR 20110141588 A KR20110141588 A KR 20110141588A KR 101897566 B1 KR101897566 B1 KR 10189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air
housing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627A (ko
Inventor
윤성진
서영진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specially adapted to be released by contact with a liquid, e.g. for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저장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격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처리 필터의 교체나 세정에 따른 관리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에 저장된 물을 통해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 된다.
즉,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여 주위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공기 정청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현재의 공기 청정기는 입자크기에 따라 각각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종류가 다른 복수의 필터를 설치하여 직경이 큰 입자 뿐만아니라 미세입자 또는 냄새입자까지 필터링 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 청정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헤파 필터(HEPA FILTER)와 같은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통과하기 이전 단계에서 동물털 또는 직경이 큰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전처리 필터(PRE-FILTER)가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 전처리 필터의 경우, 소정 시간 사용 후에는 상기 전처리 필터를 교체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후 물로 세정해야하므로, 관리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처리 필터를 교체 또는 세정없이 장기간 사용시에는 전처리 필터에 다량의 입자들이 부착되어 공기 유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기 청정기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처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처리 필터의 교체나 세정에 따른 관리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처리 필터의 사용없이 직경이 큰 입자를 제거하여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송풍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저장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격막부, 상기 하우징의 유입측으로부터 상기 격막부 근처의 물저장부로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을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 경사지게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물저장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막부 근처의 물저장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유출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을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 경사지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측에서 경사지게 유입되고 유출측으로 경사지게 유출되어 "V"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고,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 상을 경유하여 관성에 의해 먼지 입자를 상기 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격막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물저장부를 통과 후,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격막부는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기 물저장부에서 걸러지지 않은 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유출측에 배치되는 필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상기 송풍부가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격막부가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은 1mm ~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물저장부는 착탈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물저장부에서 직경이 큰 입자가 제거되므로, 전처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처리 필터의 교체나 세정에 따른 관리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전처리 필터의 사용없이 물저장부에서 직경이 큰 입자를 제거하여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공기 청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착탈방식의 물저장부를 분리하여 새로운 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공기 청정기(10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는 송풍부(200)가 구비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 중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3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저장부(300)의 상측에 소정 간격(410)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격막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송풍부(200)와 물저장부(300)와 격막부(400)를 포함하며, 필터부(700)와 제1가이드부(500)와 제2가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시킨 후 다시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부(200)는 각종의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과 유출측은 서로 바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공기의 유입측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 내지 도 6의 실험 결과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공기의 유입측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저장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물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에 의해 공기 중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격막부(4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3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저장부(300)의 상측에 소정 간격(410)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들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물저장부(3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들을 걸러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물저장부(300)에서 걸러지지 않은 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에는 필터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필터부(70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저장부(300)는 직경이 큰 입자들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막부(400)는 상기 물저장부(300)의 상측에 소정 간격(410)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간격(410)은 1mm ~ 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격막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직경이 작은 입자들은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의 간격(410)을 통해 통과되어 유출측으로 이동하지만, 직경이 큰 입자들은 물에서 걸러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물저장부(300)와 상기 격막부(4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410)을 향해 유동된 공기는 물저장부(300)를 통과 후,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에서 경사지게 유입되는 공기는 역시 유출측으로 경사지게 유출되며, 전체적으로 공기의 유동형상은 'V'자에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속도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에서 경사지게 유입되는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려는 관성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300)에 저장된 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의 입자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300)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물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하지만,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의 입자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자의 일부는 물로 들어가지만, 나머지는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에는 필터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을 통해 이동된 직경이 작은 입자는 상기 필터부(70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에 배치된 필터부(700)는 직경이 작은 입자를 필터링 할 수 있는 헤파 필터(HEPA FILTER)로 마련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물저장부(30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자는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자는 상기 간격(410)을 통해 통과될 수 있는 전처리 필터로서 작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을 통과하는 정도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기재한 [표 1]과 실험 그래프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μm 2μm 3μm 4μm 5μm
2mm 0% 0% 0% 2.6% 37%
1mm 0% 3% 25.4% 60.6% 80.3%
상기 [표 1]에서 가로열은 입자의 크기로 마이크로-미터 단위를 사용하고, 세로열은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으로 밀리미터 단위를 사용하며, 입자의 크기당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물저장부(300)에서 걸러진 비율은 퍼센티지(Percentage)로 나타내었다.
한편, 실험조건의 경우, 상기 격막부(400)의 너비는 2mm이고,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으로 입사되는 속도는 3m/s이며, 공기는 바닥에 대해 45°의 각도를 가지고 유입되도록 마련되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이 1mm인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1μm 입자들은 수조에서 걸러지지 않고 모두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으로 이동되었다.
또한, 입자크기가 2μm인 입자들은 97%가 수조에서 걸러지지 않고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였으나, 3%는 수조에서 걸러졌음을 알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입자크기가 3μm인 입자들은 74.6%가 수조에서 걸러지지 않고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였으나, 25.4%는 수조에서 걸러졌음을 알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입자크기가 4μm인 입자들은 39.4%가 수조에서 걸러지지 않고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였으나, 60.6%는 수조에서 걸러졌음을 알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입자크기가 5μm인 입자들은 19.7%가 수조에서 걸러지지 않고 상기 간격(410)을 통과하였으나, 80.3%는 수조에서 걸러졌음을 알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에 형성된 간격(410)이 2mm인 경우에는 상기 간격(410)이 1mm인 경우와 대비할 때, 각종의 입자들이 상기 물저장부(300)에서 걸러지는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에 대한 [표 1] 및 실험 결과 그래프를 참조할 때,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의 간격(410)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입자의 크기에 따른 상기 물저장부(300)에서의 필터링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실험 결과에 대한 [표 1] 및 실험 결과 그래프를 참조하면, 입자크기가 증가할 수도록 상기 물저장부(300)에서 걸러지는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는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헤파 필터를 통과하기 이전 단계에서 동물털 또는 직경이 큰 입자가 걸러질 수 있는 전처리 필터(PRE-FILT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으로부터 상기 격막부(400) 근처의 물저장부(300)로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측으로부터 상기 격막부(400) 근처의 물저장부(300)까지 연결되는 유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500)의 너비는 필요에 따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500)는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1)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물저장부(300)가 배치된 하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가이드부(600)는 상기 물저장부(3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막부(400) 근처의 물저장부(30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막부(400) 근처의 물저장부(30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까지 연결되는 유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부(600)의 너비는 필요에 따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600)는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2)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300)가 배치된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저장부(300)는 착탈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물저장부(300)는 오염정도가 높아지므로, 소정 기간 경과 후에는 물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300)가 착탈방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저장부(3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시켜 오염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한 후, 상기 물저장부(300)를 다시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300)는 수위센서와 제어부, 물공급부 및 배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가 소정 기간 사용되어 상기 물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저장부(300)에 연결된 배수부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300)의 오염된 물을 모두 배수시키며,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새로운 물이 상기 물저장부(30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300)의 적정 수위까지만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공기 청정기(1000)에 대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송풍부(200)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100)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부(500)를 따라 상기 물저장부(300)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의 입자들도 상기 물저장부(300)측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자의 경우, 관성에 의해 계속 이동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므로,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의 간격(4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물저장부(300)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자는 상기 물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에 걸러지게 되고, 상기 물저장부(300)는 전처리 필터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공기 청정기에서 사용되던 전처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처리 필터의 교체나 세정에 따른 관리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자의 경우, 일부는 상기 물저장부(300)로 들어가서 걸러지지만, 나머지는 상기 격막부(400)와 상기 물저장부(300) 사이의 간격(410)을 통과하며, 제2가이드부(600)를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측으로 이동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자의 경우, 필터부(700)에서 걸러지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정화된 청정한 공기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송풍부
300 : 물저장부 400 : 격막부
410 : 간격 500 : 제1가이드부
600 : 제2가이드부 700 : 필터부
1000 : 공기 청정기

Claims (10)

  1. 송풍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입자가 걸러질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물저장부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격막부;
    상기 하우징의 유입측으로부터 상기 격막부 근처의 물저장부로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을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 경사지게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물저장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막부 근처의 물저장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유출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바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을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 경사지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측에서 경사지게 유입되고 유출측으로 경사지게 유출되어 "V"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고,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 상을 경유하여 관성에 의해 먼지 입자를 상기 물로 이탈시키는 공기 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격막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물저장부를 통과 후,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는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에서 걸러지지 않은 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유출측에 배치되는 필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상기 송풍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가 상기 물저장부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은 1mm ~ 5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착탈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10141588A 2011-12-23 2011-12-23 공기 청정기 KR10189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88A KR101897566B1 (ko) 2011-12-23 2011-12-23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88A KR101897566B1 (ko) 2011-12-23 2011-12-23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27A KR20130073627A (ko) 2013-07-03
KR101897566B1 true KR101897566B1 (ko) 2018-09-12

Family

ID=4898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588A KR101897566B1 (ko) 2011-12-23 2011-12-23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032A (zh) * 2020-01-06 2020-07-10 陈明珠 水滤空气净化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214A (ja) * 2001-10-29 2003-07-22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520424A (ja) 2004-11-17 2008-06-19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湿式空気清浄機用浄化ユニット
JP2008520333A (ja) 2004-11-17 2008-06-19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湿式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4B1 (ko) * 2005-03-30 2006-09-01 남주희 탁상용 담배연기 제거기
KR100991645B1 (ko) * 2007-07-10 2010-11-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1196885B1 (ko) * 2009-07-30 2012-11-01 김종권 폭포형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214A (ja) * 2001-10-29 2003-07-22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520424A (ja) 2004-11-17 2008-06-19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湿式空気清浄機用浄化ユニット
JP2008520333A (ja) 2004-11-17 2008-06-19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湿式空気清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032A (zh) * 2020-01-06 2020-07-10 陈明珠 水滤空气净化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27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EP2433698A1 (en) Wet air cleaner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878711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1921428B1 (ko) 주방용 후드 환기 장치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20100093283A (ko) 무동력 싸이클론 방식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329234B1 (ko) 집진부 일체형 절삭유 정제장치
CN109091988A (zh) 有效提高除尘效率的除尘装置
JP2011226670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101256512B1 (ko) 정화성능이 개선된 습식집진장치
KR101897566B1 (ko) 공기 청정기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20110059225A (ko) 공기 정화기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KR20160071081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006594B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20180110738A (ko)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집진장치
KR101733761B1 (ko) 습식 필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클린룸 시스템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CN111871102A (zh) 水雾循环除尘的石材磨抛加工装置
KR20160000259U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KR102262223B1 (ko)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