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837B1 -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 Google Patents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837B1
KR100945837B1 KR1020080008117A KR20080008117A KR100945837B1 KR 100945837 B1 KR100945837 B1 KR 100945837B1 KR 1020080008117 A KR1020080008117 A KR 1020080008117A KR 20080008117 A KR20080008117 A KR 20080008117A KR 100945837 B1 KR100945837 B1 KR 10094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il
filter paper
waste oi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932A (ko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주)클린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랜드 filed Critical (주)클린랜드
Priority to KR102008000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8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폐 오일용기로부터 유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스크루의 날개 일면에 안내부를 형성하여 회전부하에 의한 여과지의 막힘 현상을 해소하여 무리 없이 이송 배출되도록 하고, 보조압착부재를 날개의 다른 일면에 장착하여 압착공간의 공간면적을 줄임으로써, 압착률의 향상으로 여과지의 유분분리효율을 극대화하며, 이로 인한 스크루의 불필요한 보수 및 처리지연 등을 예방하기 위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08117
폐오일, 오일용기, 스크루, 날개, 압착, 공간면적, 분리, 보수

Description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A SCREW STRUCTURE FOR WASTE OIL SEPARATOR OF THE WASTE OIL VESSEL TREATMENTAPPARATUS}
본 발명은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지가 막히지 않고 무리 없이 이송 배출되도록 하고, 압착률의 향상으로 여과지의 유분분리효율을 극대화하며, 이로 인한 스크루의 불필요한 보수 및 처리지연 등을 예방하기 위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유 등의 오일을 사용하는 차량은 오일을 깨끗이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원하는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오일필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일필터는 적정기간이 지나면 새것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사용이 끝난 폐 오일필터에는 제거되지 못한 상당량의 폐 오일이 머금고 있다.
참고로 오일필터는 금속성분의 케이스와 상기 금속성분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여과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사용이 끝난 폐 오일필터에는 폐 오일이 상당량 머금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폐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폐 오일필터는 일정 장소에서 일시 보관하였다가 한번에 압착처리하거나 소각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폐기처리는 폐 오일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공해가 심각하였을 뿐만 아니라 폐 오일의 일부는 지면으로 누유되면서 토양을 오염시키는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윤활유를 쓰고 난 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여 공해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처리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도 5에서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의 처리장치는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파쇄하는 파쇄기(1)와, 상기 파쇄기(1)에서 파쇄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를 따라 이송하는 금속성분의 스크랩을 선별하기 위한 자기선별기(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선별기(3)에는 선별되는 금속성분의 스크랩에 잔류하는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세척기(4)가 연결되어 있고, 이송컨베이어(2)에는 이송된 여과지에 잔류하는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분리기(6)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철캔)와 폐 오일을 수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저장탱크(7)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폐 오일필터는 여과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쇄되기 때문에 여과지에 침착된 상태의 폐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유분분리기(6)는 도 6에서 단면으로 보인 것과 같이, 파쇄기(1)에서 파쇄된 폐 오일용기의 여과지를 공급받기 위해 투입구(6a)와 배출구(6b)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6b)의 근접측에 다수의 통공(6c)이 형성된 여과지이송관(6d)과,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지이송관(6d) 내의 여과지를 압착 가압하여 여과지에서 유분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를 갖는 스크루(S)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과지이송관(6d)에는 외측으로 통공(6c)을 통해 흘러나오는 유분을 집유하여 한 곳으로 모으도록 하는 집유통(6e)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6b) 쪽에는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협경부(6f)를 두어 스크루(S)에 의해 배출구(6b)로 빠져나가는 여과지의 압착을 더욱 증대하여 유분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분분리기는 여과지에 묻은 폐 오일을 압착하여 이송시키는 스크루의 날개들 사이의 공간이 투입구부터 배출구까지 일정하기 때문에 압착률이 저하되고, 이는 유분분리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 스크루의 날개는 단순히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어 여과지의 이송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과부하에 의해 스크루의 작동이 멈추거나, 심한 경우 스크루가 일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과부하에 의해 멈춘 스크루의 작동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스크루를 해체할 수밖에 없어 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발생은 물론이고, 보수로 인해 전체적인 처리공정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에 사용되는 스크루의 구조를 개선하여 여과지의 원활한 이송은 물론이고, 압착률의 향상으로 유분의 분리효율이 높아져 궁극적으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된 여과지의 원활한 이송을 유도하고, 이송과정에서 효과적인 여과지의 압착으로 유분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루의 과부하에 의한 보수 및 교체과정을 생략하여 일상적인 점검만으로도 폐 오일의 처리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 오일의 효과적인 재활용을 유도하여 산업발달을 촉진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폐 오일용기를 파쇄하고 이송하여 금속성분의 스크랩은 이송과정에서 선별하여 분리하고, 여과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된 유분분리기에 공급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날개 사이에 압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의 일면에는 경사진 안내부가 형성되며, 날개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압착공간의 공간면적을 줄이기 위한 보조압착부재가 장착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크루에 형성된 날개의 일면에 경사진 안내부가 형성됨에 따라 파쇄된 여과지의 원활한 이송을 유도하고, 상기 날개의 다른 일면에는 보조압착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압착공간의 공간면적을 줄여 이송과정에서 효과적인 여과지의 압착으로 유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크루의 과부하에 의한 보수 및 교체과정을 생략하여 일상적인 점검만으로도 폐 오일의 처리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나아가 폐 오일의 효과적인 재활용을 유도하여 산업발달을 촉진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되 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를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파쇄된 여과지를 공급받고 배출하기 위한 여과지이송관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스크루의 날개에 장착되어 압착공간의 공간면적을 줄여 여과지가 머금고 있는 유분의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보조압착부재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의 장착 예를 일부 확대도로 보인 것으로, 스크루의 날개에 보조압착부재가 용접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의 다른 장착 예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스크루의 날개에 보조압착부재가 볼트 체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SCREW)는 파쇄된 여과지가 머금고 있는 유분의 분리효율을 높여 이 유분의 재활용 측면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40)는 파쇄된 여과지를 공급받고 배출하기 위하여 입구(11)와 출구(12)가 형성된 여과지이송관(10)의 내부에 모터(M)의 구 동으로 회전토록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여과지이송관(10)의 내경과 스크루(40)의 외경은 여과지의 압착률을 높여 유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거의 오차 없이 동일 곡률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스크루(40)가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여과지이송관(10)은 주로 하부에 통공(13)이 형성되어 여과지로부터 분리된 유분을 자연배출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를 별도의 케이스(20)로 보호토록 하여 외부진동 및 충격이 스크루(4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이 케이스(20)의 설치시에는 유분의 배출을 위하여 보조통공(21)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케이스(20)의 하부에는 별도의 집유판(30)을 설치하여 여과지의 이송과정에서 자연배출된 유분을 최종 집유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 최종 집유된 유분은 주로 공지의 집유탱크(미도시)에 공급되어 재활용되며, 이를 위한 유분배출구(31)가 상기 집유판(30)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40)는 여과지이송관(10)에 입구(11)를 통해 공급된 여과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날개(41)가 형성되어 제공되며, 이 날개(41) 사이에는 압착공간(42)이 형성되어 여과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자연 압착하여 유분을 분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지이송관(10)의 입구(11)와 인접한 스크루(40)의 후단축(43)은 중단축(43a) 및 선단축(43b)에 비하여 점차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여과지의 공급시 넓은 압착공간(42)에서 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압착공간(42)으로 이송토록 하여 이송효율은 물론이고, 압착률을 동시에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압착공간(42)이 형성되도록 스크루(40)에 형성된 날개(41)의 일면에는 경사진 안내부(44)가 형성되어 제공되며, 이를 통해서는 여과지의 이송과정에서 스크루(40)와 여과지이송관(10) 사이에 여과지가 껴서 스크루(40)의 회전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즉, 상기 여과지이송관(10)의 내경과 스크루(40)의 외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적 오차가 없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여과지의 이송시 압착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마찰이 극대화되어 여과지가 종종 끼어 스크루(40)의 회전에 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날개(41)에 경사진 안내부(44)가 형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날개(41)의 마찰면적을 줄이고, 압착공간(42)은 넓혀 용이한 여과지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과정에서 여과지를 앞선 압착공간(42)에 용이하게 넘길 수 있어 스크루(40)의 회전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스크루(40)의 불필요한 수리 및 이를 해제하기 위한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폐 오일용기를 처리하기 위한 전체적인 공정에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내부(44)가 일면에 형성된 날개(41)의 다른 일면에는 여과지가 압착되어 유분이 분리되는 압착공간(42)의 공간면적을 줄여 압착률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보조압착부재(45)가 장착되며, 이 보조압착부재(45)는 날개(41)의 다른 일면에 사각 또는 원형의 돌기를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보조압착부재(45)가 날개(41)에 장착됨에 따라 예로, 압착공간(42) 의 100% 공간면적을 최소 95~90%로 줄여 상대적으로 이 압착공간(42)을 메우고 있는 여과지가 압착되는 효과를 얻도록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압착부재(45)를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날개(41)와 동일 곡률로 형성하여 제공하게 되며, 특히 선단에는 압착유도부(46)가 일종의 쐐기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어 압착공간(42)을 가득 메운 여과지를 용이하게 비집고 들어가 공간면적을 줄여 압착률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보조압착부재(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41)의 다른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별도로 제공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용접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를 통해서 작업자가 가장 최적화된 압착공간(42)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압착부재(45)의 다른 장착 예로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날개(41)의 다른 일면에 보조압착부재(45)가 볼트 체결된 것을 보이고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압착부재(45)에는 체결구멍(47)이 뚫어진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장기간 여과지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마모나 훼손이 발생할 경우 누구나 쉽게 볼트를 풀어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45)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진 안내부(44)가 일면에 형성된 날개(41)의 다른 일면에 장착됨에 따라 압착공간(42)의 공간면적을 줄여 이송된 여과지의 압착률을 높이고, 이로 인해 유분의 분리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송과정을 통해 유분이 분리된 여과지는 스크루(40)의 선단으로 이송된 후 최종적으로 여과지이송관(10)의 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컨베이어(50)에 공급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0)로 공급된 여과지는 별도의 저장장소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한편, 상기 보조압착부재(45)는 날개(41)의 다른 일면에 전체적으로 장착되기보다는 어느 한 부분에만, 또는 서로 대칭되게 두 곳에 장착하여 압착공간(42)의 공간면적이 여과지의 이송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지나치게 줄어드는 것은 방지하고, 유분분리효율은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된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의 장착 예를 보인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압착부재의 다른 장착 예를 일부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종래 폐 오일용기처리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종래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여과지이송관 20 - 케이스
30 - 집유판 40 - 스크루
41 - 날개 42 - 압착공간
44 - 안내부 45 - 보조압착부재
46 - 압착유도부

Claims (4)

  1. 폐 오일용기를 파쇄하고 이송하여 금속성분의 스크랩은 이송과정에서 선별하여 분리하고, 여과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된 유분분리기에 공급하여 유분을 분리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날개 사이에 압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의 일면에는 경사진 안내부가 형성되며, 날개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압착공간의 공간면적을 줄이기 위한 보조압착부재를 장착하되, 이 보조압착부재는 상기 날개와 동일 곡률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압착유도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압착부재는 날개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압착부재는 날개에 볼트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KR1020080008117A 2008-01-25 2008-01-25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KR10094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17A KR100945837B1 (ko) 2008-01-25 2008-01-25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17A KR100945837B1 (ko) 2008-01-25 2008-01-25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32A KR20090081932A (ko) 2009-07-29
KR100945837B1 true KR100945837B1 (ko) 2010-03-05

Family

ID=4129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17A KR100945837B1 (ko) 2008-01-25 2008-01-25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45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969B1 (ko) * 2014-03-20 2015-06-25 최선기 축방향 이송용 회전 샤프트
KR102025270B1 (ko) * 2019-05-20 2019-09-25 주식회사 회림테크 스크류 프레스 탈수장치
CN113457242B (zh) * 2021-07-10 2023-06-20 海南哈勃新能源技术合伙企业(有限合伙) 一种化学化工用废水固液分离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601A (en) 1977-10-08 1980-09-23 Fried. Krupp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ress worm, especially for filter presses
JPH08132295A (ja) * 1994-11-08 1996-05-28 Riyuuzaki Welding:Kk スクリュープレス機
KR20060011802A (ko) * 2005-11-24 2006-02-03 (주)클린랜드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유분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601A (en) 1977-10-08 1980-09-23 Fried. Krupp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ress worm, especially for filter presses
JPH08132295A (ja) * 1994-11-08 1996-05-28 Riyuuzaki Welding:Kk スクリュープレス機
KR20060011802A (ko) * 2005-11-24 2006-02-03 (주)클린랜드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유분 분리장치
KR100712299B1 (ko) 2005-11-24 2007-04-27 (주)클린랜드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유분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45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KR20220000517A (ko) * 2020-06-26 2022-01-04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KR102524056B1 (ko) * 2020-06-26 2023-04-21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32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KR100945837B1 (ko) 폐 오일용기처리장치의 유분분리기용 스크루구조
KR10067201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
CN208897281U (zh) 一种多功能综合清污船
US536616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of automotive oil filters
CN108296261A (zh) 一种餐厨垃圾预处理系统及工艺
US20040178053A1 (en) Improved auger dewatering system
CN106311721B (zh) 一种餐厨垃圾筛净制浆系统以及制浆工艺
CN213436277U (zh) 一种餐厨垃圾水洗预处理系统
CN211757544U (zh) 一种餐厨垃圾的分选破碎筛选一体机
CN111715358B (zh) 一种餐厨垃圾前处理一体机及处理方法
CN101987325B (zh) 餐厨垃圾综合分选预处理集成设备
US3713594A (en) Waste treatment system
CN110586306A (zh) 一种颗粒材料粉碎装置用的传送装置
KR101957225B1 (ko)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CN214053079U (zh) 一种车载式生活垃圾多级分选装置
KR10194937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집탱크와 직결된 펌핑장치
USRE28677E (en) Waste treatment system
CN212914765U (zh) 一种污水处理垃圾回收装置
CN210230091U (zh) 一种餐饮垃圾处理机
KR20100138547A (ko)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 용기 처리장치
CN207386143U (zh) 一种杂质分离效果好的新型餐厨垃圾预处理装置
KR20100129999A (ko) 폐 오일필터 유분분리기
KR20100001253A (ko) 폐 오일필터 유분분리기
KR200481960Y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