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672B1 -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 Google Patents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672B1
KR100945672B1 KR1020080026450A KR20080026450A KR100945672B1 KR 100945672 B1 KR100945672 B1 KR 100945672B1 KR 1020080026450 A KR1020080026450 A KR 1020080026450A KR 20080026450 A KR20080026450 A KR 20080026450A KR 100945672 B1 KR100945672 B1 KR 10094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cabinet
automatic dispenser
semiconductor wire
wir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924A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6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필러리가 지급되는 자동지급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캐필러리의 배출불량은 방지하고 적재량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캐필러리 보관용기에 대한 지급부와 수거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 용기배출구 및 배출롤러를 구비한 수납본체, 상기 배출롤러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배출롤러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지급부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캐비닛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공급동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본체는 캐비닛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캐필러리 보관용기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걸림이나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적재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도체,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수납본체, 바코드 인식부

Description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Wire Bonding Cappillary Automatic Dipenser For Semiconductor}
본 발명은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필러리가 지급되는 자동지급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캐필러리의 배출불량은 방지하고 적재량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wafer)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부터 칩(Chip)을 보호하기 위한 패키징(packaging)에 이르기까지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제작된다.
특히, 상기 패키징은 칩의 입출력 및 전원 단자들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bonding)공정을 포함한다. 본딩 공정은 대략 20㎛-50㎛ 정도의 금세선(金細線) 또는 알루미늄세선으로 칩상의 본딩 패드와 리드 프레임을 접합시켜주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와이어 본딩 작업은 반도체 와이어 본더(wire bonder) 에 의해 시행되는데, 이 반도체 와이어 본더는 금세선 또는 알루미늄세선을 안내하기 위한 캐필러리(capillary)를 갖추고 있다. 캐필러리는 고정밀도, 고경도, 고내열성의 물성을 갖는 것으로, 대략 360°C 정도로 가열된 칩과 리드 프레임에 금세선 또는 알루미늄세선을 안내하여 열 압착(thermo compression)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캐필러리는 고정밀도의 부품이므로 보관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충격과, 먼지와 수분 및 각종 유기물 등의 불순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관용기 내에 보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캐필러리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면, 정밀도가 떨어지고, 먼지, 수분, 각종 유기물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바, 이를 주기적으로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데, 교환하는 과정에서 새것의 캐필러리와 이미 사용한 중고(中古)의 폐캐필러리를 신중하게 보관하고 처리해야 한다. 즉, 캐필러리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사이즈를 사용하는 바, 구별하기 쉽도록 사이즈 별로 구분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이즈가 다른 캐필러리간에 서로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이미 사용한 중고의 캐필러리는 반드시 수거함으로써 기타 다른 쓰레기들과 구별함은 물론 구별된 중고 캐필러리로부터 재생가능한 캐필러리를 따로 분리해야 내야 한다. 이는 비교적 고가(高價)인 캐필러리를 재사용함으로써 캐필러리의 교체에 따른 비용증가를 최대한으로 줄여주기 위함이며, 아울러 고경도, 고내열성의 물성을 갖는 캐필러리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현재에는 캐필러리를 사이즈 별로 구분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필요한 사이즈의 캐필러리를 자동으로 지급할 수 있고, 이미 사용한 중고 캐필러리를 수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구조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46798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급구(28)를 갖는 캐비닛(22)과, 캐필러리가 수용된 보관용기(C)를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는 수직수납실(34) 및 상기 수직수납실(34)의 보관용기(C)가 자중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36)를 가지며, 각기 다른 사이즈의 캐필러리를 수용한 상기 보관용기(C)를 구분하여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2)에 설치되는 복수의 매거진(30)들과; 상기 각 매거진(30)의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보관용기(C)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정렬되는 수용홈(42a)을 갖는 복수의 회전자(42)들과; 상기 회전자(42)의 수용홈(42a)으로부터 상기 보관용기(C)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자(42)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스텝모터(미도시)들과; 상기 회전자(42)로부터 이탈된 상기 보관용기(C)를 상기 캐비닛(22)의 지급구(28)로 안내하는 호퍼(46)와; 상기 각 스텝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22)에 설치되는 복수의 누름스위치(26)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의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사이즈 별로 구분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매거진(30)에 수 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사이즈의 캐필러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는 캐필러리를 수납시키는 매거진 수직수납실(34)의 경우에는, 통로의 너비(ℓ)가 캐필러리를 보관하는 보관용기(C) 직경의 2배에도 못미쳐 많은 갯수의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수납시킬 수 없었고, 상기 보관용기(C)는 서로 지그재그로 수납되는 구조에 따라 접촉면이 많아져 잼(Jam: 끼임)이 발생하여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수직수납실(34)에 수납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인출이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유입된 먼지나 윤활유 성분과 같은 외부요인에 잼 발생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직수납실(34)은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수납시키기 위한 도입구(32)가 상면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머리위로 팔을 뻗어 수납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함으로 사용자를 쉽게 피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낱개로 포장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1개씩 수납시킬 수밖에 없어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필러리 보관용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잼 발생현상을 억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적재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자동지급기에 수납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기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수거율은 높이고 새로운 캐필러리는 보다 효율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는 캐필러리 보관용기에 대한 지급부와 수거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 용기배출구 및 배출롤러를 구비한 수납본체, 상기 배출롤러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배출롤러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지급부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캐비닛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공급동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본체는 캐비닛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급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코드 인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급스위치와 상기 지급스위치와 연결된 바코드 인식부가 함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본체는 캐비닛 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캐필러리 보관용기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걸림이나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적재량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본체는 캐비닛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수납시키는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본체에는 간격조절판이 설치되어 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수납공간의 크기를 일률적으로 하여 제작의 편의성과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에는 바코드 인식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쉽고 빠르게 지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수거용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캐필러리 보관용기의 수거효율을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1000)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 대한 지급부(110)와 수거부(120)를 구비한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210), 용기배출구(201) 및 배출롤러(220)를 구비한 수납본체(200)와, 상기 배출롤러(220)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배출롤러(220)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부(110)로 안내하는 호퍼(400)와, 상기 캐비닛(10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00)와 연결된 지급스위치(140)로 구성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은 사각의 박스(Box)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박스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캐비닛(100)는 새로운 캐필러리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지급부(110)와, 폐캐필러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부(120)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급부(110)는 캐비닛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수거부(120)는 지급부(110)의 동일면 좌측일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전면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캐비닛(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111,12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급부(110)와 수거부(120)의 위치는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100)은 내부 점검 작업이 용이하도록 그 전면에 도 어(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130)에는 후술할 구동모터(300)와 연결되어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받도록 하는 지급스위치(140)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지급스위치(140)의 일측 근방에는 표시판(141)이 부착된다.
즉, 상기 지급스위치(140)는 사용자가 직접 눌러서 원하는 캐필러리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전기신호를 구동모터(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 아래쪽에 부착된 표시판은 지급되는 캐필러리의 사이즈 및 정보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급스위치(140)의 내부에는 확인램프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캐필러리에 대한 지급 가능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부(120)는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사이즈 별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회수통로(122)와 회수함(123)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회수통로(122)에는 회수용 감지센서(1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수용 감지센서(124)는 후술할 구동모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회수통로(122)를 통과한 상태를 감지한 후 그 갯수 만큼의 새로운 캐필러리를 지급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수납본체(200)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랍방식의 지지프레임(15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50)은 수납본체(2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이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150)은 캐비닛(100)에 나사체결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00)에는 수납본체(200)로부터 낙하하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호퍼(400)로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판(16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납본체(20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캐비닛(100)의 지지프레임(15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는 수납공간(210)과, 상기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용기배출구(201)와, 상기 용기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롤러(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본체(200)를 이루는 패널은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인출되는 것을 감안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료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내구성과 이동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플라스틱, 알루미늄 등)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200)의 수납공간(210)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길이방향 폭에 대응하는 폭을 제공하는 간격조절판(230)이 설치된다.
구제적으로, 상기 수납본체(200)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길이방향 폭에 대응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결합홈(240)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폭에 맞는 위치에 상기 간격조절판(230)을 삽입함으로써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은 상기 간격조절판(2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납본체(200)의 일측 내벽면과 간격조절판(230')의 일면 사이에 스프링(2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판(230')은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수납되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길이방향 폭에 상기 간격조절판(230')이 움직여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본체(200)는 수납공간(210)을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길이방향 폭 맞추어 생산하는 공정 없이 수납본체(200) 및 수납공간(210)의 크기를 일률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롤러(220)는 수납본체(20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일단 아래쪽 모서리부에 형성된 용기배출구(201)에 설치되며, 길이방향 둘레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수용하는 수용홈(2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221)은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수용한 상태에 후술할 구동모터(300)가 회전함에 따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배출롤러(220)는 구동모터(300)의 구동축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310)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300)의 회전시 마찰력에 의해 상대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21)은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크기(직경, 길이방향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수납본체(200)는 지지프레임(150)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캐필러리 보관용기(C)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롤러(220)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 순차적으로 상기 수용홈(221)으로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본체(200)는 캐비닛(100)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캐비닛(100)의 크기에 따른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적재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납본체(200)의 배치구성은 적절히 변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본체(200)는 캐비닛(100)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더블어, 상기 수납본체의 근방에는 배출롤러(220)의 회전각도나 수용홈(221)의 위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롤러용 감지센서(260)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0)는 지지프레임(150)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롤러(220)의 수용홈(221)에 수용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수용홈(221) 밖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출롤러(2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동모터(300)는 상기 배출롤러(220)를 1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텝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텝모터는 전술한 상기 지급스위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지급스위치(140)를 누르는 조작에 상기 스텝모터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00)는 배출롤러(220)로부터 배출되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배출하는데 있어 필요로 하는 소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하는 정역모터의 구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400)는 배출롤러(220)로부터 배출되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부(11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400)와 전술할 가이드 경사판(160)의 상면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낙하할 때, 발생되는 낙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고무, 스폰지, 실리콘 등)의 충격흡수용 패드(161,401)가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표시판(141)을 통하여 필요한 캐필러리의 사이즈를 확인한 이후 지급스위치(140)를 누르면, 상기 지급스위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모터(3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300)는 상기 배출롤러(220)를 회전시킨다.
이 후, 배출롤러(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수용홈(221)에 수용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하부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는 가이드 경사판(160)과 호퍼(4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지급구(110)로 안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급구(110)의 차단막(111)를 열고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 수납된 캐필러리를 사용하면 된다.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1000a)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 대한 지급부(110)와 수거부(120)를 구비한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210), 용기배출구(201) 및 배출롤러(220)를 구비한 수납본체(200)와, 상기 배출롤러(220)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배출롤러(300)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부(110)로 안내하는 호퍼(400)와, 상기 캐비닛(100)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00)와 연결된 바코드 인식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는 사용자가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보다 용이하게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바코드는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모양 기호로 조합한 것이며, 인식부(컴퓨터)는 상기 바코드의 데이터를 빠르고 쉽게 판독하기 역할을 수행하는 공지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즉,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 바코드를 부착시킨 후,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바코드 인식부(500)의 전면 위치에 근접시키게 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는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에 맞는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의 근방 일측에는 바코드를 통해 판독된 새로운 캐필러리가 정상적으로 지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5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밖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1000a)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는 바코드를 부착시키고, 상기 캐비닛(100)에 는 바코드 인식부(500)를 설치한다.
따라서,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바코드 인식부(500)의 전면 위치에 근접시키게 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는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에 맞는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자동 지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코드 인식부(510)는 전술한 수거부(120)의 회수용 감지센서(124)와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정보를 판독한 바코드 인식부(500)는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가능한 상태로 대기시켜 놓고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회수통로(122)를 통과하였음을 알리는 감지센서(124)에 신호에 따라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지급되게 한다. 이는 폐캐필러리의 수거효율을 한층 높이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지급스위치(140)가 없어도 새로운 캐필러리를 지급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 1과 2의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1000b)는 캐필러리 보관용기(C)에 대한 지급부(110)와 수거부(120)를 구비한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210), 용기배출구(201) 및 배출롤러(220)를 구비한 수납본체(200)와, 상기 배출롤러(220)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배출롤러(300)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지급부(110)로 안내하는 호퍼(400)와, 상기 캐비닛(100) 외면에 설치되는 지급스위치(140)와, 상기 지급스위치에 연결된 바코드 인식부(50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100)에는 지급스위치(140)와 바코드 인식부(500)가 함께 설치된다.
즉,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는 지급스위치(140)와 연결되고 상기 지급스위치(140)는 구동모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코드 인식부(500)에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바코드를 인식시킨 후, 상기 지급스위치(140)를 눌러야만 새로운 캐필러리를 지급받을 수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100)에는 지급스위치(140)와 바코드 인식부(500)를 일체로 형성한 디스플레이 패널(6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필러리 보관용기(C)의 지급방법은, 폐캐필러리 보관용기(C)를 바코드 인식부(500)의 전면 위치에 근접시키게 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500)는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00)에 형성된 지급스위치(140')를 눌러야만 새로운 캐필러리 보관용기(C)가 지급되는 것이다.
이밖에 다른 구성과 작용설명은 전술한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작용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납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납본체 간격조절판의 다른 실시예를 난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납본체와 구동모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 설명>
100... 캐비닛 110... 지급부
120... 수거부 130... 도어
140... 지급스위치 150... 지지프레임
200... 수납본체 210... 수납공간
220... 배출롤러 221... 수용홈
230... 간격조절판 300... 구동모터
400... 호퍼 500... 바코드 인식부
600... 디스플레이 패널 C... 캐필러리 보관용기

Claims (18)

  1. 캐필러리 보관용기에 대한 지급부와 수거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수납공간, 용기배출구 및 배출롤러를 구비한 수납본체,
    상기 배출롤러를 구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
    상기 배출롤러를 통해 배출된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지급부로 안내하는 호퍼,
    상기 캐비닛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공급동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본체는 캐비닛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급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코드 인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동작수단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급스위치와 상기 지급스위치와 연결된 바코드 인식부가 함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수납본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형태의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캐비닛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에는 캐비닛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의 수납공간은 캐필러리 보관용기의 길이방향 폭에 대응하도록 하는 간격조절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판은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수납본체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아래쪽 모서리부에 형성된 용기배출구에 설치되며, 길이방향 둘레에는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시 마찰력에 상대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에는 배출롤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롤러용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의 하부에는 배출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호 퍼로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사판과 호퍼의 상면에는 충격흡수용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캐필러리 보관용기를 크기별로 수거할 수 있도록 회수통로와 회수함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회수통로에는 회수용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지급스위치와 바코드 인식부를 일체로 형성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KR1020080026450A 2008-03-21 2008-03-21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KR10094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50A KR100945672B1 (ko) 2008-03-21 2008-03-21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50A KR100945672B1 (ko) 2008-03-21 2008-03-21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924A KR20090100924A (ko) 2009-09-24
KR100945672B1 true KR100945672B1 (ko) 2010-03-05

Family

ID=413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50A KR100945672B1 (ko) 2008-03-21 2008-03-21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2834B2 (en) 2017-04-05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placing capilla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12A (ko) * 2002-07-30 2004-02-11 하아나반도체장비 주식회사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JP2005118401A (ja) 2003-10-20 2005-05-12 Techno Medica Co Ltd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自動分注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自動検査システム
KR20050051805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음파 와이어본딩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와이어본딩 방법
KR20050073753A (ko) * 2004-01-10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공정의 와이어본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12A (ko) * 2002-07-30 2004-02-11 하아나반도체장비 주식회사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JP2005118401A (ja) 2003-10-20 2005-05-12 Techno Medica Co Ltd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自動分注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自動検査システム
KR20050051805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음파 와이어본딩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와이어본딩 방법
KR20050073753A (ko) * 2004-01-10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공정의 와이어본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2834B2 (en) 2017-04-05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placing capill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924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610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US20050274728A1 (en) Tablet automatic packaging machine
US5865342A (en) Medication filling apparatus
CN102327188B (zh) 片剂加料器
EP0719537B1 (en) Medication filling apparatus
KR100744882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CN102264616B (zh) 分类与供给用于成型的药片的装置
JP6590108B2 (ja) 薬剤払出装置
CN103228539A (zh) 用于包装药品的装置的错误识别器
CN109396781B (zh) 一种水泵组件组装机
KR100945672B1 (ko)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CN101976473A (zh) 全自动多种硬币分理机及分离硬币方法
RU2639065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иема использованной бутылочной тары
CN201812319U (zh) 一种全自动多种硬币分理机
KR20130139769A (ko)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 제거 장치 및 방법
WO2007030990A1 (fr) Trieur de pieces de monnaie
US5831856A (en) DRAM testing apparatus
KR100467981B1 (ko)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CN109682450A (zh) 一种配方机
CN1599918A (zh) 硬币分离计数装置
JP2752181B2 (ja) 薬剤包装機
CN108986292A (zh) 一种硬币分拣设备
US20070224927A1 (en) Coin Sorting Apparatus
JP2004051230A (ja) 固形製剤充填装置および固形製剤充填方法
JP2018193231A (ja) 媒体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