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897B1 -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 Google Patents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97B1
KR100944897B1 KR1020080009932A KR20080009932A KR100944897B1 KR 100944897 B1 KR100944897 B1 KR 100944897B1 KR 1020080009932 A KR1020080009932 A KR 1020080009932A KR 20080009932 A KR20080009932 A KR 20080009932A KR 100944897 B1 KR100944897 B1 KR 10094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permanent magnet
magnetic flux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013A (ko
Inventor
전연도
구대현
한필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0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8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93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6Magnetic cores, or permanent magnets characterised by their sk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또는 발전기 등에서 사용되는 평판형 기기의 고정자 및 회전자 구조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자의 치 단부에 영구자석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홈 구조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회전자의 치 구조는 돌극형 구조로 하여 기존의 영구자석 부착 회전자 구조를 가지는 평판형 전동기나 발전기와 비교할 때, 기기의 회전 속도 증가로 인한 영구자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자 구조가 간단하고 강인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회전자 위치 및 전류에 대한 인덕턴스 변화가 작고 전기적 시정수가 작기 때문에 저속 및 고속을 요구하는 산업응용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제공한다.
평판형 전동기, 자속역전식, 영구자석, 치, 슬롯, 평판형 고정자, 평판형 회전자, 고출력, 고효율, 자속역전식 평판형 멀티 기기

Description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The flux reversal axial machine}
본 발명은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자, 회전자, 영구자석 등을 포함하며 전동기 또는 발전기로서 이용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속역전식 기기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Switched reluctance motor)의 단점을 보완하고 영구자석형 기기의 장점을 활용한 것으로 전동기(Motor) 및 발전기(Generator)로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기기는 평판형의 고정자(10) 및 회전자(11)가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10)에는 고정자 권선(미도시)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자 치(1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11)에는 고정자 치(12)의 위치에 상응하면서 대치되는 영구자석(13)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 어져 있으며, 이때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영구자석(13)을 갖는 회전자(11)는 고정자 치와 대항하여 공극을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11)로 이루어진 기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고정자 치(12)와 영구자석(13) 사이에 반발력 또는 흡인력을 생성하여 회전 토크를 발생시켜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회전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평판형 기기의 경우 고속 회전시 축방향 자기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영구자석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와 같이 회전자계에 의한 연속적인 방식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원리가 아니라, 릴럭턴스 토크를 이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토크 맥동에 의한 진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영구자석 전동기에서 회전자에 부착하는 영구자석 구조를 고정자 치 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속도 증가에 따른 영구자석의 원심력으로 인한 영구자석의 비산을 방지하고, 회전자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고속 운전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 계자로 인해 기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토크 밀도를 가질 수 있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는 고정자에 고정자 권선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자 치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 치의 단부에는 홈에 끼워지는 구조로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에는 고정자 치에 있는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치되는 형태로 대항하면서 공극을 형성하는 회전자 치가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는 출력 증가를 위하여 다수 개의 고정자와 회전자를 축방향으로 쌓아서 만든 멀티 기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직경이 크고 축방향 길이가 짧은 박형 구조로서 출력을 증가하기 위해 평판형 고정자 및 회전자를 축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단위 체적당 고출력, 고효율 기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둘째, 기존 평판형 전동기에 비하여 영구자석을 고정자에 부착한 구조, 돌극형 구조의 회전자를 채택하여 기기의 회전속도 증가에 따른 영구자석의 이탈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동시에 소음이나 진동 문제를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고, 회전자 구조가 간단하고 강인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셋째, 회전자 위치 및 전류에 대한 인덕턴스 변화가 작고 전기적 시정수가 작기 때문에 저속 및 고속을 요구하는 산업응용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한쪽면을 마주보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자(10)와 회전자(11)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에서 보통 사용되는 원판형 의 형상을 가지며, 이것들 사이에는 영구자석(13)이 개재된다.
상기 고정자(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는 일정높이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자 치(12)가 형성되며, 이때의 각 고정자 치(12)의 둘레에는 고정자 권선(14)이 수회 감겨진다.
또한, 상기 회전자(11)에는 고정자(10)가 갖는 고정자 치(12)와 대치되는 형태의 회전자 치(16)가 구비되고, 이때의 회전자 치(16) 역시 고정자 치(12)와 마찬가지로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는 일정높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자 치(Ns)와 회전자 치(Nr)의 관계는 다음식과 같다.
Ns = 2mk
Nr = Ns±2k
(여기서, m은 고정자 권선의 상수, k = 1,2,...n 인 정수)
특히, 상기 고정자(10)의 고정자 치(12) 단부에는 홈(15)이 형성되고, 이 홈(15)을 통해 영구자석(13)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전 회전자에 부착되어 있던 영구자석 설치구조를 대신하여 고정자에 영구자석을 부착한 영구자석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13)이 설치되는 홈(15)의 경우 쐐기 형태의 홈, 예를 들면 홈 바닥쪽의 폭(도 3을 기준할 때 가로방향 폭)에 비해 바깥쪽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쐐기 형태의 홈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영구자석(13)의 이탈문제없이 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13)은 옆쪽으로 밀어 끼운 후, 억지끼움, 접착, 융착 등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13)은 반경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로도 설치할 수 있고, 또 한쪽 옆으로 약간 틀어진 형태, 즉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틀어진 스큐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스큐 구조로 영구자석(13)을 설치하는 경우 코킹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코깅 토크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치 슬롯 구조로 인하여 자기적인 공극이 불균일하여 발생하는 힘으로, 자속역전식 평판형 전동기에서 고정자의 영구자석배치가 이와 대치되는 회전자의 치 구조와 동일 반경방향으로 놓여 있는 경우 회전자가 회전할 때 주기적으로 증감하게 된다.
이러한 코깅 토크는 영구자석을 반경방향에 대해 틀어지게 스큐 구조로 배치하거나, 또는 스큐를 시행하지 않은 영구자석의 경우 영구자석은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그대로 두고 회전자의 치 구조를 반경방향에 대해 틀어지게 스큐 구조로 배치하면 영구자석과 회전자의 치 구조가 반경방향에 대해서 정렬되지 않고 어긋나게 되어 회전자가 회전시 고정자의 영구자석에 대한 자기저항의 변화가 분산되므로 이때 발생되는 코깅 토크가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11)의 회전자 치(16)는 그 단부가 원주방향 양 옆으로 돌출된 형태, 즉 단부에 돌출부(19)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자 쇄교자속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적용한 멀티 기기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편측식, 양측식 등과 같이 여러 평판형 기기를 조합한 형태의 멀티 기기 형태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고출력 고효율에 맞게 다수 개의 고정자(10)와 회전자(11)를 축방향으로 쌓아서 만든 형태의 평판형 멀티 기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축방향 길이가 짧은 박형 공간에 단위 체적당 전동기 또는 발전기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축방향으로 평판형 고정자 및 회전자 갯수를 늘려줌으로써 용량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의 작용(회전자의 회전에 따른 자속의 변화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 전자계에서 힘이 발생되는 원리는 전류와 자장 상호 간에 발생되는 로렌쯔(Lorentz)힘(토크)과, 치 슬롯 구조의 자기적 저항(릴럭턴스) 차이에 의한 릴럭턴스 힘(토크)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자속역전식 전동기는 스위치드릴럭턴스 모터와 같이 구조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가 상호 이중 돌극 구조를 가지고 있고(릴릭턴스 힘이 존재), 고정자 치 단부의 영구자석에 의한 로렌쯔 힘이 상호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고정자(10)의 각 고정자 치(12)에는 고정자 권선(14), 즉 코일이 권선되어 각각 고정자 극을 이루고 있고, 각각의 고정자 극들은 상수에 따라 전기적으로 360°위치의 고정자 극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극성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자(11)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 치(16)의 중심부가 영구자석(13)의 극과 극 사이의 위치에 있는 경우 영구자석(13)에 의한 자속은 고정자 치(12), 공극 및 회전자 치(16)를 통해 흐르므로, 권선에 쇄교하는 자속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A상 권선의 쇄교 자속량은 "0"이 된다.
그러나, 회전자(11)가 회전하게 되면 자속은 점차 고정자 요크부분을 통해 흐르게 되고, 권선에 쇄교하는 자속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고정자(10)에 고정되어 있는 영구자석(13)의 한 극과 회전자 치(16)가 완전히 일치하게 되면 권선의 쇄교자속은 최대가 된다.
즉, A상의 쇄교 자속은 최대가 된다.
회전자(11)가 다시 더 회전하게 되면 영구자석(13)의 한 극으로부터 회전자 치(16)가 점차 벗어나면서 쇄교자속의 양도 점점 감소하게 되고, 회전자(11)의 돌출되지 않은 부분의 중심부가 영구자석(13)의 극과 극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쇄교 자속은 "0"이 된다.
회전이 더 진행되면 쇄교 자속의 극성이 바뀌게 되고 영구자석의 극과 회전자의 치(16)가 일치하면 쇄교자속은 다시 최대가 된다.
그리고 다시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이 회전자 치로부터 벗어나면서 쇄교자속은 점차 감소하여 결국“0”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자(11)가 회전함에 따라서 고정자 권선의 쇄교자속 극성이 역전(Reversal)하게 되고, 유기 역기전력 또한 극성이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평판형 전동기나 평판형 발전기에서 고정자 영구자석 부착 구조를 적용하고, 회전자 부분을 돌극 구조로 하는 새로운 타입의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구현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관계없이 영구자석 이탈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고, 회전자 구조의 단순화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자의 위치 및 전류에 대한 인덕턴스 변화가 작고 전기적 시정수가 작기 때문에 저속 및 고속을 요구하는 응용분야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에서 영구자석의 스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를 적용한 멀티 기기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자 11 : 회전자
12 : 고정자 치 13 : 영구자석
14 : 고정자 권선 15 : 홈
16 : 회전자 치 17 : 프레임
18 : 샤프트 19 : 돌출부

Claims (5)

  1. 서로 한쪽면을 마주보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자(10)와 회전자(11), 상기 고정자(10)와 회전자(11) 사이에 개재되는 영구자석(13) 등을 포함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10)에는 고정자 권선(14)을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자 치(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 치(12)의 단부에는 홈(15)에 끼워지는 구조로 영구자석(13)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11)에는 고정자 치(12)에 있는 영구자석(13)의 위치에 대치되는 형태로 대항하면서 공극을 형성하는 회전자 치(16)가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3)이 설치되는 고정자 치 단부의 홈(15)은 바닥쪽의 폭에 비해 바깥쪽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쐐기 형태의 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킹토크를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영구자석(13)을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틀어진 스큐 구조로 설치하거나, 또는 회전 자(11)의 치 구조를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틀어진 스큐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1)의 회전자 치(12)는 회전자 쇄교자속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부가 원주방향 양 옆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기의 출력 증가를 위하여 다수 개의 고정자(10)와 회전자(11)를 축방향으로 쌓아서 만든 멀티 기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KR1020080009932A 2008-01-31 2008-01-31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KR10094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32A KR100944897B1 (ko) 2008-01-31 2008-01-31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32A KR100944897B1 (ko) 2008-01-31 2008-01-31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013A KR20090084013A (ko) 2009-08-05
KR100944897B1 true KR100944897B1 (ko) 2010-03-03

Family

ID=4120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932A KR100944897B1 (ko) 2008-01-31 2008-01-31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89730C1 (ru) * 2015-07-29 2016-07-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убГТУ") Трёхвходовая аксиальная 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784A (ja) 1997-03-21 1998-10-09 Fuji Electric Co Ltd 軸方向空隙形永久磁石励磁同期機
KR20020087005A (ko) * 2002-09-27 2002-11-21 조윤현 평판형 유도전동기 및 평판형 멀티 유도전동기
KR20050022104A (ko) * 2003-08-26 2005-03-07 조윤현 평판형 비엘디시 전동기
JP2006025573A (ja) 2004-07-09 2006-01-26 Nissan Motor Co Ltd ディスク型回転電機のステータ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1784A (ja) 1997-03-21 1998-10-09 Fuji Electric Co Ltd 軸方向空隙形永久磁石励磁同期機
KR20020087005A (ko) * 2002-09-27 2002-11-21 조윤현 평판형 유도전동기 및 평판형 멀티 유도전동기
KR20050022104A (ko) * 2003-08-26 2005-03-07 조윤현 평판형 비엘디시 전동기
JP2006025573A (ja) 2004-07-09 2006-01-26 Nissan Motor Co Ltd ディスク型回転電機のステー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013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13B1 (ko) 모터
US10284032B2 (en) Reluctance rotor with runup aid
WO2014128985A1 (ja) 磁気波動歯車装置
JP5210150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エレベータ装置、及び永久磁石式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8061485A (ja) 交流電源で自起動可能な永久磁石型モータ
JP2014239633A (ja) モータ用ロータコア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015468B1 (ko) 영구자석 매입형 자속역전식기기
KR101230054B1 (ko) 슬롯이 있는 소형 풍력발전기용 종축자속형 영구자석 동기발전기
JP2007215397A (ja) 電動機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CN104767336A (zh) 一种单相他励磁阻式发电机
JP2015042009A (ja) 永久磁石型電動機、これを用いた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944897B1 (ko) 자속역전식 평판형 기기
KR101209631B1 (ko) 길이가 다른 도체바를 갖는 회전자 및 그를 포함하는 lspm 모터
KR101369303B1 (ko) 다층구조 매입형 자속역전식기기
CN112910130B (zh) 一种转子磁极调制型可变磁通记忆电机
KR100551638B1 (ko) 자속 역전식 기기의 고정자 및 회전자 구조
JP7193422B2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5460807B1 (ja) 同期電動機
KR100908126B1 (ko)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회전자
KR101558156B1 (ko) 스위칭 릴럭턴스 모터용 회전자
KR102497574B1 (ko) 영구자석 동기기
CN214480207U (zh) 碟式电机
KR100698158B1 (ko) 모터
KR101260689B1 (ko) 회전자 및 그를 포함하는 동기형 모터
KR100597678B1 (ko)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회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