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220B1 -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220B1
KR100944220B1 KR1020090060432A KR20090060432A KR100944220B1 KR 100944220 B1 KR100944220 B1 KR 100944220B1 KR 1020090060432 A KR1020090060432 A KR 1020090060432A KR 20090060432 A KR20090060432 A KR 20090060432A KR 100944220 B1 KR100944220 B1 KR 10094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panel
nonwoven panel
web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익
Original Assignee
(주)협성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성섬유 filed Critical (주)협성섬유
Priority to KR102009006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도록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차원 구조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부직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를 혼타면, 소면 가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섬유 웹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 웹(web)을 2회에 걸쳐 니들펀칭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을 열처리, 및 부가적으로 방염처리한 후에 재단하여 구성되며,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 고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서, 통상적인 손대패를 이용한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용이하므로 건축물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쉽게 굴곡되어 가공성이 탁월하며, 건축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 시공편의성, 경량성, 심미성 등을 구비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INTERIOR MATERIAL OF POLYESTER NONWOVEN FABRIC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도록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차원 구조로 구성되는 부직포 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 고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서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용이하므로 건축물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쉽게 굴곡되어 가공성이 탁월하며, 건축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 시공편의성, 경량성, 심미성 등을 구비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거주자에게 쾌적함과 심미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축물 내부를 판상 형태의 내장재로 시공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건축물 내부에 주로 합판 재질, 석고보드 재질, 유리섬유 패널 재질로서 사각패널 형태를 이루는 건축물 내장재가 시공되고 있다.
건축물 내부에 시공되는 건축물 내장재는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구성된 종래의 건축물 내장재는 적어도 4 ㎏/㎡ 이상의 밀도를 지녀서 무거울 뿐만 아니라, 상기 건축물 내장재가 쉽게 굴곡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성이 부족하여 곡면 시공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각패널 형태의 내장재를 그대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 내부를 장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내장재 사이의 틈새가 건축물 내부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각패널 형태의 내장재의 각 모서리를 우아한 디자인으로 절단 가공하여 미려한 외관을 지닌 내장재를 형성하고, 상기 내장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 내부를 장식하는 것이, 상기 내장재 사이의 이음선이 미려하게 시인되어 건축물 내부의 미관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런데, 합판 재질, 석고보드 재질, 유리섬유 패널 재질의 내장재는 그 재질의 성질로 인하여 각 모서리를 우아한 디자인으로 절단 가공하는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곤란하므로, 상기와 같은 내장재의 모서리 형태 가공은 숙련공이 전용장비를 사용하여 실시해야 하는 시공 상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내장재 중에서 합판 재질의 내장재는 외관과 단열성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재에 극히 취약하다. 석고보드 재질의 내장재는 단열성과 방염성이 양호하지만,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 유리섬유 패널 재질의 내장재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이 양호하지만,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특히 내 장재에서 탈리된 유리섬유가 거주자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 내장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84426호(발명의 명칭 :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사, 상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사보다 융점이 낮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사가 일정함량으로 혼합되고 예열과 냉간압축을 반복실시하여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는 폴리에스테르사가 3차원 구조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모서리 형태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방향에 따른 휨 강도가 상이하여 휨 가공을 실시하거나 또는 낱장 이동할 때 섬유 판재가 자연스럽게 휘어지지 않고 꺽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게 되며,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41147호(발명의 명칭 : 날염인쇄 마감된 흡음보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32571호(발명의 명칭 : 환경친화형 난연액으로 처리된 흡음 보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495호(고안의 명칭 : 환경친화형 난연액으로 처리된 흡음 보드)에서는 폴리에스터섬유, 저융점 폴리에스터섬유, 선택적으로 폴리프로필렌섬유나 이종의 고분자재료가 동시방사되어 제사된 시스-코아형 복합사 재질의 매트를 니들펀칭하고, 예열하고, 롤러에 의해 압착하여 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보드를 난연액로 처리하여 구성되는 흡음 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 보드는 롤러에 의해 압착되면서 열처리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압착으로 인하여 시스-코아형 복합사가 3차원 구조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모 서리 형태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휨 가공을 실시하거나 또는 낱장 이동할 때 섬유 판재가 자연스럽게 휘어지지 않고 꺽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게 되며, 흡음 기능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075호(발명의 명칭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에서는 벤토나이트/난연제가 함침된 폴리에스테르 웹과 함침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웹이 니들펀칭에 의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는 함침 폴리에스테르 웹과 미함침 폴리에스테르 웹이 니들펀칭에 의해서만 적층되어 구성되므로, 섬유 판재의 조직 결합력이 매우 취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상기 함침 폴리에스테르 웹과 미함침 폴리에스테르 웹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 고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서, 통상적인 손대패를 이용한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용이하므로 건축물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쉽게 굴곡되어 가공성이 탁월하며, 건축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 시공편의성, 경량성, 심미성 등을 구비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30∼70 중량%, 시스-코어(seath-core)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 30∼70 중량%를 혼타면 가공하여 폴리에스테르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웹을 소면 가공하여 두께 4∼20 ㎜의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 웹의 하부에서 360∼420 회/㎠의 펀칭밀도로 1차 니들펀칭한 후에, 상부에 360∼420 회/㎠, 하부에 700∼780 회/㎠의 펀칭밀도로 2차 니들펀칭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을 160∼230 ℃의 열풍으로 60∼350 초간 열처리하여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재단하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발명에서는 상기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 법에 의거하여 제조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3차원 구조로 배열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서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용이하므로 건축물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쉽게 굴곡되어 가공성이 탁월하며, 건축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 시공편의성, 경량성, 심미성 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폴리에스테르만으로 구성되어 재활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를 혼타면, 소면 가공하여 일정한 두께의 섬유 웹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 웹을 2회에 걸쳐 니들펀칭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 고정된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을 비압착, 무장력 상태로 열처리하고 방염처리한 후에 재단하여 구성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30∼70 중량%,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 30∼70 중량%를 혼타면 가공하여 폴리에스테르 웹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모서리 형태 가공이 용이하도록 유연성 등과 같은 가공 물성이 우수하고 쉽고 매끄럽게 절단되는 성질을 지닌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코어 및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시스의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보다 훨씬 저온인 110 ℃ 정도에서 연화되기 시작하여 접합력이 발현되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조합되어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저온연화에 의해 접착력이 발현되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열융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섬도 1∼3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30∼70 중량%, 및 섬도 2∼10 데니어의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 30∼70 중량%를 혼타면 장치(1)에 투입하고 혼타면 가공하여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재료인 폴리에스테르 웹을 형성한다.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상기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제 대로 열융착되지 않으며,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상대적인 함량 부족으로 인하여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모서리 형태 가공이 곤란하며, 소면 공정, 니들펀칭 공정에서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섬도가 1 데니어 미만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섬도가 30 데니어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굴곡성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섬도가 2 데니어 미만이면 상기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폴리에스테르 웹에 포함되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섬도가 10 데니어를 초과하면 상기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제대로 열융착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혼타면 장치(1)에서 혼타면 가공되어 폴리에스테르 웹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웹을 소면 가공하여 두께 4∼20 ㎜의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웹을 소면 장치(2)에서 소면 가공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3차원 구조로 미융착된 두께 4∼20 ㎜의 섬유 웹을 형성한다.
폴리에스테르 웹의 소면 가공에 의해, 재료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되는 섬유 웹이 형성된다.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중간재인 섬유 웹은 건축물 내장재에 요구되는 내구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4∼20 ㎜의 두께를 지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섬유 웹의 두께가 4 ㎜ 미만이면 상기 섬유 웹로부터 제조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이 건축물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섬유 웹의 두께 20 ㎜를 초과하면 상기 섬유 웹로부터 제조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섬유 웹의 하부에서 360∼420 회/㎠의 펀칭밀도로 1차 니들펀칭한 후에, 상부에 360∼420 회/㎠, 하부에 700∼780 회/㎠의 펀칭밀도로 2차 니들펀칭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섬유 웹에서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에 의한 3차원 구조를 그대로 고정함으로써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3차원 구조로 미융착되는 섬유 웹을 열간롤링, 또는 예열 후 냉간롤링하여 건축 내장재용 패널을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건축 내장재용 패널은 롤링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3차원 구조가 압착되므로 사실상 2차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사실상 2차원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재용 패널은 모서리 형태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섬유 웹을 롤링하게 되면, 방향에 따른 휨 강도가 상이하여 휨 가공을 실시할 때 건축 내장재용 패널이 자연스럽게 휘어지지 않고 꺽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게 되며, 아울러 흡음 기능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선 섬유 웹을 니들펀칭 장치(3)에서 니들 펀칭하여, 각각의 니들에 의해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교차점,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교차점을 압박하여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섬유 웹의 전체적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섬유사 사이의 3차원 배열을 촉진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도록, 섬유 웹이 4∼20 ㎜의 두께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두께의 섬유 웹을 상,하 어느 한 방향으로만 니들 펀칭하게 되면, 섬유사와 섬유사의 교차점을 압박 융착하여 상기 섬유사 사이의 3차원 배열을 촉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에 걸리는 부하가 과중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섬유 웹을 2회에 걸쳐 니들펀칭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섬유 웹을 그 하부에서 360∼420 회/㎠의 펀칭밀도로 1차 니들펀칭하며, 상기 1차 니들펀칭된 섬유 웹을 그 상부에서 360∼420 회/㎠, 하부에서 700∼780 회/㎠의 펀칭밀도로 2차 니들펀칭함으로써,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교차점,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교차점이 융착되어 섬유사가 3차원으로 배열된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한다.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웹의 1차 니들펀칭의 펀칭밀도가 360 회/㎠ 미만이면 상기 섬유 웹에서 섬유사 사이의 3차원 배열을 촉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1차 니들펀칭의 펀칭밀도가 420 회/㎠를 초과하면 상기 1착 니들펀칭되는 섬유 웹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웹의 2차 니들펀칭에 있어서, 섬유 웹의 하부에서 니들펀칭되는 펀칭밀도가 360 회/㎠ 미만이면 상기 섬유 웹에서 섬유사 사이의 3차원 배열을 촉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섬유 웹의 하부에서 니들펀칭되는 펀칭밀도가 420 회/㎠를 초과하면 상기 니들펀칭되는 섬유 웹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섬유 웹의 상부에서 니들펀칭되는 펀칭밀도가 700 회/㎠ 미만이면 상기 섬유 웹에서 섬유사 사이의 3차원 배열을 촉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섬유 웹의 상부에서 니들펀칭되는 펀칭밀도가 780 회/㎠를 초과하면 상기 니들펀칭되는 섬유 웹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을 160∼230 ℃의 열풍으로 60∼350 초간 열처리하여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섬유 웹이 니들펀칭되어 이루어진 3차원 부직포 패널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면,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의 섬유사가 융착되어 3차원 구조가 열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교차점,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의 교차점이 융착된 상태인 3차원 부직포 패널을 열간롤링, 또는 예열 후 냉간롤링으로 열처리하여 건축 내장재용 패널을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건축 내장재용 패널은 롤링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가 3차원 구조가 압착되므로 사실상 2차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사실상 2차원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재용 패널은 모서리 형태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부직포 패널을 롤링하게 되면, 상기 부직포 패널의 방향에 따른 휨 강도가 상이하게 되어 휨 가공을 실시할 때 건축 내장재용 패널이 자연스럽게 휘어지지 않고 꺽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게 되며, 아울러 흡음 기능과 단열 기능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부직포 패널을 열처리 장치(4)에 넣고, 160∼230 ℃의 열풍을 60∼350 초간 가하여 무장력, 비접촉 상태 로 섬유사를 열융착함으로써 3차원 구조로 열고정된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한다.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에 가해지는 열풍의 온도가 160 ℃ 미만이면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의 섬유사가 제대로 열융착되지 않으며, 3차원 부직포 패널에 가해지는 열풍의 온도가 230 ℃를 초과하면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의 섬유사에서 열적 변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에 열풍이 가해지는 시간이 60 초 미만이면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의 섬유사가 충분히 열융착되지 않으며,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에 열풍이 가해지는 시간이 350 초를 초과하면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섬유사의 열융착에 필요한 이상의 열이 사용되어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에 의해 3차원 부직포 패널을 이루는 섬유사가 열융착되어 3차원 구조가 열고정됨으로써,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재단하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서냉하고 재단기(7)에 의해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제조한다.
이 외에도,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열고정 부직포 패널에 방염액을 살포하여 방염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염 부직포 패널을 건조하여 재단하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3차원 구조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방염 처리하여 방염성을 제공한다
즉,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방염처리 장치(5)에 넣고 기 공지된 방염액을 살포하여 방염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방염액을 살포하여 방염 부직포 패널을 건조기(6)에서 건조하여 상기 방염액을 증발시킨 후에, 재단기(7)에 의해 일정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1.5∼3 ㎏/㎡의 밀도를 지니므로, 종래의 건축 내장재에 비하여 경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톱, 커터 등에 의해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절단되고 쉽게 굴곡되어 가공성이 탁월하며, 초보자가 손대패 등의 간단한 공구에 의해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모서리 형태를 가공할 수 있을 정도로 모서리 형태 가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자(joiner)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마감공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은 건축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단열성, 흡음성, 방염성, 시공편의성, 경량성, 심미성 등을 구비하고 있으 며, 재료가 폴리에스테르만으로 구성되어 재활용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탁월하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타면 장치 2 : 소면 장치
3 : 니들펀칭 장치 4 : 열처리 장치
5 : 방염처리 장치 6 : 건조기
7 : 재단기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30∼70 중량%, 시스-코어(seath-core)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 30∼70 중량%를 혼타면 가공하여 폴리에스테르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웹을 소면 가공하여 두께 4∼20 ㎜의 섬유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 웹의 하부에서 360∼420 회/㎠의 펀칭밀도로 1차 니들펀칭한 후에, 상부에 360∼420 회/㎠, 하부에 700∼780 회/㎠의 펀칭밀도로 2차 니들펀칭하여 3차원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부직포 패널을 160∼230 ℃의 열풍으로 60∼350 초간 열처리하여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재단하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코어, 및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시스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웹을 형성하는 단계는 섬도 1∼30 데 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섬도 2∼10 데니어의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저온융착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고정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열고정 부직포 패널에 방염액을 살포하여 방염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염 부직포 패널을 건조하고 재단하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의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되는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KR1020090060432A 2009-07-03 2009-07-03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432A KR100944220B1 (ko) 2009-07-03 2009-07-03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432A KR100944220B1 (ko) 2009-07-03 2009-07-03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220B1 true KR100944220B1 (ko) 2010-02-24

Family

ID=4208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432A KR100944220B1 (ko) 2009-07-03 2009-07-03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20B1 (ko) 2012-11-21 2014-07-04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탄성 쿠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46B1 (ko) * 2014-12-01 2015-08-12 (주)협성섬유 다층 쿠션보드 제조방법
KR20180031509A (ko) * 2016-09-20 2018-03-28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13316B1 (ko) * 2021-12-30 2022-06-27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필터 엣지밴드 부직포 제조방법
KR102469519B1 (ko) 2021-12-06 2022-11-22 김학수 롤형태의 부직포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26A (ko) * 2000-02-25 2001-09-06 문덕남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0631A (ko) * 2003-08-20 2005-03-04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마쉬넨파브릭 부직포 제조 방법
KR100693075B1 (ko) 2006-03-10 2007-03-14 (주) 비앤비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100729957B1 (ko) 2006-03-23 2007-06-19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직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26A (ko) * 2000-02-25 2001-09-06 문덕남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0631A (ko) * 2003-08-20 2005-03-04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마쉬넨파브릭 부직포 제조 방법
KR100693075B1 (ko) 2006-03-10 2007-03-14 (주) 비앤비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100729957B1 (ko) 2006-03-23 2007-06-19 한국바이린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직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20B1 (ko) 2012-11-21 2014-07-04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탄성 쿠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46B1 (ko) * 2014-12-01 2015-08-12 (주)협성섬유 다층 쿠션보드 제조방법
KR20180031509A (ko) * 2016-09-20 2018-03-28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WO2018056554A1 (ko) * 2016-09-20 2018-03-29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66538B1 (ko) * 2016-09-20 2020-01-15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69519B1 (ko) 2021-12-06 2022-11-22 김학수 롤형태의 부직포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시스템
KR102413316B1 (ko) * 2021-12-30 2022-06-27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필터 엣지밴드 부직포 제조방법
WO2023128099A1 (ko) * 2021-12-30 2023-07-06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필터 엣지밴드 부직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220B1 (ko) 건축 내장재용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1175881B (zh) 带有屏障外皮的无纺材料
AU2001243383B2 (en) Imaged nonwoven fire-retardant fiber blend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A006914B1 (ru) Комплексный материал, состоящий из вуали из элементарных стеклонитей, сформированной по сухому способу, и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орган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арных нитей
KR101397389B1 (ko) 다용도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7710B1 (ko) 고강성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57018B1 (ko) 경량성과 강성이 우수한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28572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매트의 제조방법
Maity Jute needlepunched nonwovens: manufactur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20010084426A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38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75596B1 (ko) 건축용 부직포 하드보드의 제조방법, 건축용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Lin et al. Processing technique and sound absorption property of three-dimensional recycled polypropylene nonwoven composites
JPH02258338A (ja) ガラス長繊維成形マット
KR20170004301A (ko) 고분자 폴리에스터 흡음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EP1059393B1 (en) Heat-insulating material for hous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10019364A (ko) 산업폐기섬유를 재활용한 방음 벽지의 제조방법
KR100720609B1 (ko)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방음 벽지의 제조방법
US20040132375A1 (en) Thermal insulating material for housing us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60111243A (ko) 이중구조를 갖는 흡음보드
JP4743676B2 (ja) 断熱材
EP0591658A1 (de) Wärmedämm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20146965A (ja) 複合繊維構造物
KR200388552Y1 (ko) 이중구조를 갖는 흡음보드
CN217532155U (zh) 一种高强度低起毛性无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