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212B1 -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212B1
KR100944212B1 KR1020090130846A KR20090130846A KR100944212B1 KR 100944212 B1 KR100944212 B1 KR 100944212B1 KR 1020090130846 A KR1020090130846 A KR 1020090130846A KR 20090130846 A KR20090130846 A KR 20090130846A KR 100944212 B1 KR100944212 B1 KR 10094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nit
frame
coupl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김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선 filed Critical 김태선
Priority to KR102009013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3/00Equipment for handl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1/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 B22C11/12Moulding machines able to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2Pressure casting making use of mechanical pressure devices, e.g. cast-fo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는, 프레임-프레임에는 주형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가 결합 됨-과,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슬라이드부에는 제1고정부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주형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가 결합됨-와, 프레임 또는 슬라이드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걸림부와, 프레임 또는 슬라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걸림부에 걸린 후 당겨지게 됨으로써 제2고정부를 제1고정부 방향으로 압착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는, 슬라이드부 및 걸림부가 상호 당기게 됨으로써 금형을 상호 압착하기 때문에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주형, 이송, 가압

Description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MOULD TRANSFERRING AND PRESSING DEVICE}
본 발명은 주형의 이송 및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 및 주물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주형의 이송 및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조(casting)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鑄物)은 우리들의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자동차 엔진, 펌프의 몸체, 재봉용 머신의 프레임, 공작기계, 섬유기계, 농업용 기계, 차량 등의 몸체 및 부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가 대단히 광범위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금속으로 형성된 장치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 또는 장치 등도 주물로서 광범위하게 제작되고 있다.
주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융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을 형틀에 해당하는 주형(mould)에 주입해야 한다. 주형은 그 재질에 따라 종류가 나뉘는데,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형(金型), 목재로 만들어진 목형(木型), 모래로 만들어진 사형(沙型) 등이 있다. 그리고 주형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데, 상형 및 하형 2부분으로 이루어진 주형도 그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2부분으로 분리된 주형은, 상형 및 하 형을 강한 압력에 의해 상호 밀착한 상태에서 플라스틱 수지 등을 주입하고, 일정한 냉각 시간이 경과한 후 하형에서 상형을 분리함으로써 주물을 빼내게 된다. 그리고 주물을 분리한 주형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수지가 잔존할 수 있기 때문에, 주형의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주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2부분으로 나뉘어진 주형을 이용하여 주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형 또는 하형을 이동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주형의 이동을 자동화 하기 위해서, 상형 또는 하형을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한 후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밀고 당기는 방식에 의해 주형을 이동하였다. 그러나 상형과 하형은 상당히 강한 압력에 의해 상호 밀착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강한 압력에 의해 상형 또는 하형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에는 많은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보강부재를 결합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프레임을 통과하는 경우, 프레임의 하부 보강부재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다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하부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주형 이송장치에 대한 제작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주형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작업 효율을 높 일 수 있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는, 프레임 - 프레임에는주형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가 결합 됨-과,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슬라이드부에는 제1고정부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주형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가 결합됨-와, 프레임 또는 슬라이드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걸림부와, 프레임 또는 슬라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걸림부에 걸린 후 당겨지게 됨으로써 제2고정부를 제1고정부 방향으로 압착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는, 걸림부에 대해 돌출 또는 후퇴할 수 있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결합되어 돌출된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걸림부는, 피스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피스톤삽입공과, 걸림부재가 걸리게 되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는, 걸림부에 대해 돌출 또는 후퇴할 수 있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는, 피스톤이 삽입될 수 있는 피스톤삽입공과, 걸림홈에 삽입되어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액츄에이터는 공기압 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레임은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가압부는 슬라이드부의 측면 또는 측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걸림부는 가압부에 대향하여 슬라이드부의 측면 또는 측면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는 슬라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는 슬라이드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고, 프레임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고정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걸림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부의 상부에는 상부유닛이 결합되어 있고, 제1고정부의 하부에는 하부유닛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유닛은 제1고정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형과 접할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부유닛은 제1고정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형과 접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측면 프레임은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형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는,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주형(194, 도 12 참조)을 이송하는 슬라이드부(130)와, 슬라이드부(13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2주형(194)을 제1주형(192) 방향으로 압착하는 가압부(150)와,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서 가압부(150)에 대향되게 위치하면서 가압부(150)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160)와, 프레임(110)의 양 측면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유닛(180)과, 프레임(110)의 양 측면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프레임(110)의 일 측면에는, 제1주형(192)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30)의 일 측면에는 제2주형(194)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13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130)가 프레임(1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면, 제1고정부(114)에 장착된 제1주형(192)과 제2고정부(134)에 장착된 제2주형(194)이 상호 접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150)가 회전하면서 걸림부(160)에 삽입된 후 피스톤(156)이 당겨지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이 상호 압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는 주형(192, 194)의 후방에서 가압하여 주형을 압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부(130)에 결합된 가압부(150)와 프레임(110)에 결합된 걸림부(160)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주형을 상호 압착하기 때문에,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 보강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레임(110)의 구조가 단순화 되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장치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30)의 다른 측면에도 제2주형(194)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134)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110)의 다른 측면에도 제1주형(192)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좌측의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이용하여 주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우측의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에 대해 주형 내부 청소 및 작업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는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프레임(1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슬라이드부(130) 및 가압부(15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골격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110)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112)과, 슬라이드부(130)를 가이드 하는 상부프레임(116)과, 측면프레임(112)이 고정되는 베이스(12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11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측면프레임(112)의 일 단부는 베이스(124)와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는 상부프레임(116)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12)에는 제1주형(192)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114)가 결합되는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2)에 결합된 제1고정부(114)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제1고정부(114)의 하부에는 하부유닛(170)이 위치하고, 그 상부에는 상부유닛(180)이 위치한다. 또한, 측면프레임(112)의 좌우측에는 각각 걸림부(160)가 결합되어 있다.
측면프레임(112)에 고정되어 있는 제1고정부(114)에는 제1주형(192)이 장착된다(도 14 참조). 제1고정부(114)는, 좌우 측면프레임(112)에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제1고정부(114)에는 제1주형(19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114)의 내부에는 열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주형(192)에 열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4)는 편평한 형상에 다수 개의 체결공(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제1고정부의 구조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형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 어, 제1고정부(114)는 클램프(clamp) 또는 다이 클램퍼(die clamper)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이 클램퍼는 주형의 부착을 공기압 또는 유압을 동력으로 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종래의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에서 측면프레임은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모두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하부 보강부재를 결합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프레임(110)에서는,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상호 압착하기 위한 하중이 측면프레임(112) 및 슬라이드부(130)로 분산되기 때문에, 별도의 하부 보강부재를 결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측면프레임(112)은 하부 보강부재 없이 판 형상의 베이스(124)와 결합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16)은 좌우 측면프레임(112)을 연결하고, 슬라이드부(130)가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프레임(116)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18)로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레일(118)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18)의 내측에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22)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30)의 롤러(142)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122)을 따라서 이동하는 롤러(142)에 의해서 슬라이드부(13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측면프레임(112)의 하부에 회전축이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1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회전축(126)이 측면프레임(112)에 결합된 프레임(110)의 일 측면 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제2회전축(128)이 측면프레임(112)에 결합된 프레임(110)의 타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좌우 측면프레임(112)의 하단부에는 제1회전축(126)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제1회전축(126)을 중심축으로 측면프레임(112)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축(126)은 지지플레이트(127)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27)는 제2회전축(128)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4를 참고하면, 측면프레임(112)은 지지플레이트(127)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27)는 제2회전축(128)에 의해 회전이 일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프레임(112)은 제2회전축(128)을 중심축으로 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회전축(126) 및 제2회전축(128)은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126) 및 제2회전축(128)을 회전축으로 하는 프레임(110)의 회전을 통해서, 주형의 내부에 있는 공기 또는 가스 등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슬라이드부(130) 및 가압부(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슬라이드부(130) 및 가압부(15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 부(130) 및 가압부(150)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부(130) 및 가압부(150)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부(130)는 사각형의 바디(132)와, 바디(132)의 중앙에서 양 측면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2고정부(134)와, 바디(132)의 상부에서 돌출된 한 쌍의 연결부재(138)를 포함한다.
바디(132)는 제2고정부(134)를 지지하는 틀에 해당한다. 바디(132)의 좌우 측면에는 가압부(15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32)의 양 측면에는 제2주형(194)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134)가 배치되어 있다.
바디(132)의 상부에서 돌출된 연결부재(138)에는 롤러(142)가 결합되어 있다. 롤러(142)는 상부프레임(116)의 가이드홈(122)에 삽입되어서 이동하게 되는데(도 1 참조), 이로 인해서 슬라이드부(130)가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38)는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도 있다.
제2고정부(134)는 바디(13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고정부(114)와 동일한 구성 및 배치 위치를 갖는다. 따라서 제2고정부(134)에도 다수 개의 체결공(136)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주형(194)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부(130)는, 가압부(150)가 걸림부(160)에 걸린 후 수축됨으로써 측면프레임(112) 방향으로 압착된다. 따라서 측면프레임(112) 측에 고정된 제1주형(192)과 슬라이드부(130) 측에 고정된 제2주형(194)은 상호 압착된다. 그리고 일 측에서 주물의 제작이 완료된 후 슬라이드부(130)는 타 측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주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가압부(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가압부(150)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가압부(150)가 걸림부(16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130)의 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150)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형성되는 액츄에이터(152)와, 액츄에이터(152)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수축하는 피스톤(156)과, 피스톤(156)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부재(154)와, 슬라이드부(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158)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52)는 회동부재(158)와 함께 회전하며, 피스톤(156)을 돌출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기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등에 형성되는 액츄에이터(152)는 제어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피스톤(156)은 액츄에이터(152)에 의해 걸림부재(160)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또는 걸림부재(160)로부터 후퇴하여 그 길이가 수축되면서 걸림부(160)를 당겨줄 수 있다. 걸림부(160)에 삽입된 피스톤(156)이 걸림부(160)를 당겨줌으로써, 제2주형(194)이 제1주형(192) 방향으로 압착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피스톤(156)의 일단부에는 걸림부재(15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54)는 피스톤(156)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피스톤(156)의 외면에서 돌출됨을 알 수 있다. 걸림부재(154)는 걸림부(160)의 내부에 삽입된 후 걸림면(164)에 걸리게 된다.
회동부재(158)에는 액츄에이터(15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158)의 회전에 의해서 액츄에이터(152)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52)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56) 및 걸림부재(15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가압부(150)는, 슬라이드부(130)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슬라이드부(13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압부(150)도 걸림부재(154)가 좌측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가압부(150)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향하고 있다가 슬라이드부(130)가 이동하게 되면 90도 회전하여서 걸림부(160)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150)가 슬라이드부(13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부(150)는 측면프레임(112)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걸림부(160)는 슬라이드부(13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60)는 가압부(150)에 대향되도록 측면프레임(112)에 결합되어 있다. 가압부(150)는 걸림부(16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데, 이때 가압부(150)의 피스톤(156) 길이가 수축하여 걸림부(160)를 당겨주게 됨으로써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이 압착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걸림부(160)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전면에 해당하는 걸림면(164)과, 걸림면(164)에 형성된 피스 톤삽입공(162)을 갖는다.
걸림부(16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서 피스톤(156) 및 걸림부재(154)가 걸림부(160)의 내부로 삽입된다. 바닥을 향하고 있는 피스톤(156) 및 걸림부재(154)는 90도 회전에 의해 걸림부(160)의 하면을 통해서 걸림부(16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가압부(150)의 피스톤(156)은 피스톤삽입공(162)에 삽입된다. 피스톤삽입공(162)은, 걸림부(160)의 개방된 하면에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삽입공(162)의 폭은 걸림부재(154)의 직경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60)의 내부에 삽입된 걸림부재(154)는 걸림면(164)에 걸리게 된다. 걸림부재(154)가 걸림면(164)에 걸린 상태에서 피스톤(156)이 당겨지게 되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은 상호 압착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하부유닛(17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하부유닛(17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하부유닛(170)의 정면도이다.
하부유닛(170)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1고정부(114)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하부유닛(170)에는 코어(196)가 고정될 수 있는데, 코어(196)는 주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의 내부에 삽입되어 주물의 모양을 일부 변경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유닛(170)은 하부플레이트(172), 액츄에 이터(174) 및 가이드바(176)를 갖는다.
하부플레이트(172)는 액츄에이터(17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의 하면과 접한다.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은 하부플레이트(17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주물 제작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바(176)는 하부플레이트(172)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플레이트(17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부유닛(18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상부유닛(18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예시된 상부유닛(180)의 정면도이다.
상부유닛(180)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4)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1고정부(114)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상부유닛(180)은 상부플레이트(182), 액츄에이터(184) 및 가이드바(184)를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182)는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과 각각 접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82)는 액츄에이터(184)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고, 가이드바(184)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슬라이드부(130)가 이동한 후 가압부(150)가 작동하여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이 상호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130)가 상부프레임(116)을 따라서 좌측에 위치한 측면프레임(11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부(130)에 고정된 제2주형(194) 및 측면프레임(112)에 고정된 제1주형(192)이 상호 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150)가 회전하면 피스톤(156) 및 걸림부재(154)가 걸림부(160)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부재(154)가 걸림면(164)에 걸리게 된다.
이때, 가압부(150)의 액츄에이터(152)가 작동하여 피스톤(156)이 후퇴하여 길이가 수축됨으로써 가압부(150)는 걸림부(160)를 당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이 상호 압착된다.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가 상호 압착되면, 하부유닛(180) 및/또는 하부유닛(170)이 작동하여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과 접하면서 이들을 지지한다. 그 후, 에폭시 수지 등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의 내부에 주입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34)에 내장된 열선(도시하지 않음)이 작동하여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가열하여 에폭시 수지의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좌측에 위치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에 의해 주물이 완성되면, 슬라이드부(13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주물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위치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이용하여 주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100)에서 가압부(150) 및 걸림부(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구성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의 가압부(250)는 피스톤(256)의 일단부에 걸림홈(25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254)은 피스톤(256)의 둘레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피스톤(256)은 액츄에이터(252)에 의해 걸림부(260)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후퇴하여 그 길이가 변경된다.
걸림부(260)는 가압부(250)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피스톤삽입공(262) 및 고정클립(264)을 포함한다.
피스톤삽입공(262)은 고정클립(264)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한다. 피스톤삽입공(262)을 통해서 피스톤(256)이 삽입되고, 이에 의해서 걸림홈(254)이 고정클립(264)의 아랫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피스톤(256)이 삽입된 후 고정클립(264)이 하강하게 되면 고정클립(264)은 걸림홈(254)에 삽입되는데, 이에 의해서 가압 부(250)가 걸림부(260)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 후, 피스톤(256)이 수축하면서 걸림부(260)를 당기게 되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이 상호 압착된다.
그리고 일 측에 위치한 주형에 의해 작업이 완료된 후, 슬라이드부(230)가 타 측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주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부(250)는 슬라이드부(230)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걸림부(260)에 걸리게 되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상호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에서, 가압부(250)는 슬라이드부(230)의 좌우 측면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260)도 프레임(210)에 좌우 각각 2개씩 총 4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는, 4쌍의 가압부(250) 및 걸림부(260)에 의해 제1주형(192) 및 제2주형(194)을 상호 압착하기 때문에, 고압의 사출물이 주형에 주입되어도 안정성을 갖게 된다. 최근에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최고 10~15bar의 압력으로 주형에 주입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는 이와 같은 고압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200)에서는, 프레임(210)에 걸림부(260)가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부(230)에 가압부(2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부(250)가 프레임(210)에 결합되고 걸림부(260)가 슬라이드부(23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 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에서 슬라이드부 및 가압부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에서 프레임의 하부에 제1회전축이 추가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에서 프레임의 하부에 제2회전축이 추가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슬라이드부 및 가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부 및 가압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슬라이드부 및 가압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가압부가 슬라이드부에 대해 회전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가압부가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하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하부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상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 예시된 상부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에서 슬라이드부가 이동한 후 가압부가 작동하여 주형이 상호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예시된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의 가압부 및 걸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Claims (9)

  1. 프레임-상기 프레임에는 주형이 장착되는 제1고정부가 결합 됨 -;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주형이 장착되는 제2고정부가 결합됨 -: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린 후 당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를 상기 제1고정부 방향으로 압착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부에 대해 돌출 또는 후퇴할 수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돌출된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피스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피스톤삽입공과,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게 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부에 대해 돌출 또는 후퇴할 수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피스톤이 삽입될 수 있는 피스톤삽입공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기압 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측면 또는 상기 측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향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의 측면 또는 상기 측면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에는 상부유닛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의 하부에는 하부유닛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형과 접할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형과 접할 수 있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KR1020090130846A 2009-12-24 2009-12-24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KR10094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46A KR100944212B1 (ko) 2009-12-24 2009-12-24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46A KR100944212B1 (ko) 2009-12-24 2009-12-24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212B1 true KR100944212B1 (ko) 2010-02-26

Family

ID=4208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846A KR100944212B1 (ko) 2009-12-24 2009-12-24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2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337B1 (ko) 1995-12-27 1999-06-15 권문구 금형 체결장치
JPH11235741A (ja) 1998-02-23 1999-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0696026B1 (ko) 2005-04-25 2007-03-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의 복합식 형체 장치
KR100712751B1 (ko) 2004-06-17 2007-04-3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몰드크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337B1 (ko) 1995-12-27 1999-06-15 권문구 금형 체결장치
JPH11235741A (ja) 1998-02-23 1999-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0712751B1 (ko) 2004-06-17 2007-04-3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몰드크램핑장치
KR100696026B1 (ko) 2005-04-25 2007-03-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의 복합식 형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1772B (zh) 模制装置
US8251124B2 (en) Molding machine
CN208497547U (zh) 注塑模具定位装置
KR100944212B1 (ko) 주형 이송 및 가압장치
CN109531946A (zh) 一种用于注塑机的合模装置
CN103934340A (zh) 一种管端墩头机
JP2008120037A (ja) 射出成形機
CN214556497U (zh) 一种汽车水切压弯模锁紧复位机构
CN106079269B (zh) 一种注塑模具
CN211588452U (zh) 一种超薄超硬铸造材料注射机
CN208343301U (zh) 一种塑料模具加工用注塑机取模机构
CN207710592U (zh) 磨头自动成型装置
CN210733242U (zh) 一种可快速更换吹瓶机模具的锁模装置
CN219924520U (zh) 压铸模抽芯挤压结构及压铸机
CN111546573B (zh) 一种注塑模具快速装夹系统
CN213291177U (zh) 一种树脂透镜用注塑模具
CN216138074U (zh) 一种覆膜砂射芯机
CN209552383U (zh) 侧移顺畅的注塑模斜顶组件
CN109080058A (zh) 一种汽车内饰件模压成型凹槽压料框
CN220447093U (zh) 一种注塑机高强度拱形十字头结构
CN108262926B (zh) 一种剪切治具及其使用方法
CN212264460U (zh) 一种型砂铸造用射芯机
CN202180161U (zh) 电子元器件的ω型引脚成型装置
CN221848604U (zh) 一种可快速更换的模胚
CN215701393U (zh) 一种机械自动化压紧装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