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478B1 -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 Google Patents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78B1
KR100943478B1 KR1020070127961A KR20070127961A KR100943478B1 KR 100943478 B1 KR100943478 B1 KR 100943478B1 KR 1020070127961 A KR1020070127961 A KR 1020070127961A KR 20070127961 A KR20070127961 A KR 20070127961A KR 100943478 B1 KR100943478 B1 KR 10094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cap
filter
eart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110A (ko
Inventor
박동국
Original Assignee
조양의료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의료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양의료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터는 알칼리 토금속이 채워진 원통형의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양 단부에는 각각 캡이 고정되며, 상기 캡 중 어느 일측의 캡에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타측 캡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측에 챔버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이 이루는 챔버의 일부 공간에 알칼리 토금속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며, 상기 격벽의 양단부에 물을 정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부직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의 외측면에 상기 캡과 연결된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부채꼴형의 회전개폐판이 설치되어 회전개폐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알칼리 토금속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 내부의 물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필터 내부의 격막구조와 필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고, 알칼리 토금속을 통과하는 물의 비율을 제어하여 토출수의 PH와 산화환원전위(ORP)를 조절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알칼리환원수, 필터, 알칼리 토금속, 카본블럭, 부직포

Description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A filter for becoming an alkaline reducing water}
본 발명은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하기 위한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 내부의 물흐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알칼리환원수를 효과적으로 생성함과 아울러 토출수의 PH와 산화환원전위(ORP)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가 충분히 된 알칼리수는 위장내 이상발효, 만성설사, 소화불량, 위산과다, 변비에 효과가 있는 점이 인정되어 전해 알칼리수를 만들어 내는 대부분의 이온수기는 일본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정수기로 보다는 의료용 물질 생성기로 인정받고 있다.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알칼리수를 만드는 장치는 모두 직류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분해수를 만들어내는 장치(이온수기)는 매우 고가인 것에 비해 광물 소재 세라믹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저 렴한 장점이 있다.
물과 접촉하여 수소를 발생하며 물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미네랄들이 함유된 광물소재 세라믹들이 있다.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마그네슘(Mg), 칼슘(Ca)과 같은 미네랄들이 그런 성질들을 보인다. 마그네슘의 경우 물과 상대적으로 서서히 반응하기 때문에 알칼리수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마그네슘 또는 칼슘은 물과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반응식 1]
M + 2H₂O → M²+ + 2OH- + H₂(H· + H· → H₂), M = Mg 또는 Ca
이렇게 형성된 수산기(OH-)는 마그네슘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적절하게 물을 알칼리성으로 만들어준다. 그리고 동시에 형성되는 수소(활성수소)는 물에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를 없애는 능력을 부여한다.
보통의 수돗물이나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은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 ORP) 값이 +200mV 내지 +500mV이나, 활성 수소가 생성된 물은 산화환원전위가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정수기에 사용되는 정수용 필터의 구조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필터(100)는 알칼리 토금속(101)이 채워진 원통형의 챔버(102)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102)의 양 단부에는 각각 캡(103)이 고정되며, 상기 캡(103) 중 어느 일측의 캡(103)에는 입수구(104)가 형성되고, 타측 캡(103)에는 토출구(105)가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필터(100)의 입수구(104)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챔버(102) 내부 의 알칼리 토금속(101)을 거치면서 알칼리수가 되어 상기 토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용 필터는 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기능상의 한계로 인하여 질 좋은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하는데 미흡함이 있고, 장시간 사용시 알칼리 토금속의 변화로 물의 정수기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물맛이 좋지 않게 변하며, 정수되는 물의 PH나 산화환원전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정수용 필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 내부의 물흐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알칼리환원수를 효과적으로 생성함과 아울러 토출수의 PH와 산화환원전위(ORP)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칼리 토금속이 채워진 원통형의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양 단부에는 각각 캡이 고정되며, 상기 캡 중 어느 일측의 캡에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타측 캡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에 챔버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 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이 이루는 챔버의 일부 공간에 알칼리 토금속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며, 상기 격벽의 양단부에 물을 정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부직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의 외측면에 상기 캡과 연결된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부채꼴형의 회전개폐판이 설치되어 회전개폐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알칼리 토금속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의 물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은 구획되는 상기 챔버 내부의 공간을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나누어 주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외측면에 카본블럭이 부착되어 카본블럭을 지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개폐판은 축을 매개로 상기 캡과 연결되어 이 캡의 회전작동을 통해 회전개폐판이 회전되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의 일부를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캡에 형성되는 입수구와 토출구는 하나의 캡에 입수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직진식과 하나의 캡에 입수구와 토출구가 동시에 형성되는 순환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에 의하면, 필터 내부의 격막구조와 다층 필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고, 필터의 회전개폐판을 이용하여 필터 내부의 물흐름과 물의 양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질 좋은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알칼리 토금속을 통과하는 물의 비율을 제어하여 토출수의 PH와 산화환원전위(ORP)를 조절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하는 필터의 구조를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1)는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진 원통형의 챔버(20)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2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캡(30)이 고정되며, 상기 캡(30) 중 어느 일측의 캡(30)에는 입수구(31)가 형성되고, 타측 캡(30)에는 토출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은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1)는 챔버(20)의 내측에 챔버(20)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40)이 원주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격벽(40)이 이루는 챔버(20)의 일부 공간에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며, 상기 격벽(40)의 양단부에 물을 정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부직포(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70)의 외측면에 상기 캡(30)과 연결된 축(6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부채꼴형의 회전개폐판(60)이 설치되어 회전개폐판(6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의 물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캡(30)의 챔버(20)쪽 내면과 상기 격벽(4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부직포(70) 사이에는 챔버(20)를 통과하기 전 또는 챔버(20)를 통과한 물이 합쳐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캡(30)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부직포(70)가 위치하도록 격벽(40) 및 챔버(20)의 길이를 설정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부직포(70)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1)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직포(70) 대신에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격벽(40)은 구획되는 상기 챔버(20) 내부의 공간을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나누어 주도록 된 것으로,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 일부의 공간을 상기 격벽(4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개폐판(60)을 이용하여 일정 비율만큼 막아줌으로써 통수되는 물의 물흐름을 조절하여 알칼리환원수의 PH와 ORP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부직포(70)의 일측면에 카본블럭(50)을 부착하여 카본블럭(50)을 지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카본블럭(50)를 이용하여 입수 또는 출수되는 물을 한번 더 걸러줌으로써 더욱 깨끗한 알칼리환원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70)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개폐판(60)은 축(6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캡(30)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캡(3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회전개폐판(60)이 회전되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의 일부를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캡에 1단, 2단, 3단의 표시를 해 두고 캡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개폐판의 개방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알칼리 토금속과 접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알칼리환원수의 PH와 ORP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작동되는 회전개폐판(6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챔버(20)의 내부를 비대칭으로 구획하는 격벽(40)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40)으로 구획된 챔버(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개폐판(60)과 연결된 축(61)이 설치되며, 상기 축(61)과 연결된 캡(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개폐판(60)이 회전되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상기 챔버(20)의 소정 공간을 막아주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으로 유입되는 물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1)를 통해 물의 흐름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필터(1)의 일측 캡(30)에 형성된 상기 입수구(31)를 통하여 물이 상기 챔버(2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물은 부직포(70)와 상기 카본블럭(50)을 차례로 지나면서 정화되며, 이렇게 정화된 물은 상기 챔버(20)의 일부분에 채워진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치는 물과,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치지 않는 물로 나뉘어져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부직포(70)와 상기 캡(30) 내면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되어 생성된 알칼리환원수는 토출구(32)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환원수(10)의 PH와 ORP는 상기 회전개폐판(60)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바, 상기 회전개폐판(60)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넓은 격벽(B)에만 걸쳐지게 되면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의 상부가 모두 열리게 되는 결과가 되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 내부로 물이 많이 유입되어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치는 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고, 이에 따라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치지 않은 많은 양의 물과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친 일정량의 물이 서로 혼합되어 PH는 낮고 ORP는 높은 알칼리환원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회전개폐판(60)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격벽중 작게 구분된 격벽(C,D,E) 중1-3개의 격벽을 막게 되면,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의 상부가 조금 열리게 되는 결과가 되고, 따라서 적은 양의 물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 내부로 유입되므로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친 일정량의 물에 비하여 알칼리 토금속(10)을 거치지 않은 물의 비율이 적으므로 서로 혼합된 물은 PH는 높고 ORP는 낮은 알칼리환원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1)는 물의 흐름에 따라 직진식과 순환식 2가지 형태로 나뉘어질 수 있는 바, 상기 직진식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챔버(20)의 양단에 설치된 캡(30)에 각각 입수구(31)와 토출구(32)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31)에서 유입된 물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진 챔버(20)와 빈 공간의 챔버(20)를 각각 지난 후 상부의 캡(30) 내면과 부직포(70)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합쳐짐으로써 알칼리환원수로 생성되어 상기 토출구(3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순환식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챔버(2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캡(30)의 중앙에 물이 유출되는 토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2)의 주변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캡(30)에 형성된 입수구(31)에서 유입된 물이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진 챔버(20)와 빈 공간의 챔버(20)를 각각 순환한 후 하부의 캡(30)의 내면과 부직포(70)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합쳐짐으로써 알칼리환원수로 생성된 다음, 동일한 캡(30)에 형성된 상기 토출구(3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1)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고, 알칼리 토금속(10)과 카본블럭(50) 및 부직포(70) 등으로 물을 효과적으로 정화함으로써 보다 질 좋은 알칼리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용 필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회전개폐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의 물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터 10 : 알칼리 토금속
20 : 챔버 30 : 캡
31 : 입수구 32 : 토출구
40 : 격벽 50 : 카본블럭
60 : 회전개폐판 61 : 축
70 : 부직포

Claims (5)

  1.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진 원통형의 챔버(20)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2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캡(30)이 고정되며, 상기 캡(30) 중 어느 일측의 캡(30)에는 입수구(31)가 형성되고, 타측 캡(30)에는 토출구(32)가 형성된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챔버(20)의 내측에 챔버(20)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40)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40)이 이루는 챔버(20)의 일부 공간에 알칼리 토금속(10)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며, 상기 격벽(40)의 양단부에 물을 정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부직포(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70)의 외측면에 상기 캡(30)과 연결된 축(6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부채꼴형의 회전개폐판(60)이 설치되어 상기 캡(3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선택되는 회전개폐판(6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 내부의 물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0)은 구획되는 상기 챔버(20) 내부의 공간을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나누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70)의 일측에 카본블럭(50)을 부착되어 카본블럭(50)을 지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개폐판(60)은 축(61)을 매개로 상기 캡(30)과 연결되어 이 캡(3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작동을 통해 회전개폐판(60)이 회전되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10)이 채워지지 않은 챔버(20)의 일부를 막아 토출수의 PH농도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에 형성되는 입수구(31)와 토출구(32)는 하나의 캡(30)에 입수구(31)가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캡(30)에 토출구(32)가 형성되는 직진식과 하나의 캡(30)에 입수구(31)와 토출구(32)가 동시에 형성되는 순환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KR1020070127961A 2007-12-11 2007-12-11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KR10094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961A KR100943478B1 (ko) 2007-12-11 2007-12-11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961A KR100943478B1 (ko) 2007-12-11 2007-12-11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110A KR20090061110A (ko) 2009-06-16
KR100943478B1 true KR100943478B1 (ko) 2010-02-19

Family

ID=4099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961A KR100943478B1 (ko) 2007-12-11 2007-12-11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63A (ko) 2017-12-15 2019-06-25 (주)두드림 정수기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88B1 (ko) * 2013-02-20 2015-01-02 (주)바이오세라 알칼리수 생성 카본 블록 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8Y1 (ko)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JP2003024956A (ja) 2001-07-17 2003-01-28 Norihiro Okumura アルカリイオン水の製造方法及び水改質器
KR20050080987A (ko) * 2004-02-12 2005-08-18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마그네슘을 주재로 한 알칼리환원수 발생장치
KR20060112799A (ko) * 2005-04-28 2006-11-02 조봉환 알칼리환원수 생성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956A (ja) 2001-07-17 2003-01-28 Norihiro Okumura アルカリイオン水の製造方法及び水改質器
KR200292958Y1 (ko)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KR20050080987A (ko) * 2004-02-12 2005-08-18 에이취디알 주식회사 마그네슘을 주재로 한 알칼리환원수 발생장치
KR20060112799A (ko) * 2005-04-28 2006-11-02 조봉환 알칼리환원수 생성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63A (ko) 2017-12-15 2019-06-25 (주)두드림 정수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110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9518A (en) Electrolytic cell for treatment of water
RU2682544C2 (ru) Декальци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3820248B2 (ja) 電気分解整水器
KR100943478B1 (ko) 알칼리환원수 생성용 필터
KR20060112799A (ko) 알칼리환원수 생성필터
JP2006305568A (ja) 電解槽及び該電解槽を採用したイオン浄水器及び電解槽の洗浄方法
JP7271612B2 (ja)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水生成方法
KR100887888B1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KR200457725Y1 (ko) 이온수 생성장치
KR102361980B1 (ko) 전해수 생성장치
KR20030093171A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전기분해장치
JP3340519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3275762A (ja) イオン水生成機の転換装置を備えた電解槽
KR200335482Y1 (ko) 이온수기 유로전환 밸브
KR200364847Y1 (ko) 유로전환 밸브
JP3056511B2 (ja) 被処理水の処理装置
JP3905583B2 (ja) pH調整物質添加槽を備えたイオン水生成器
JP3477908B2 (ja) イオン水生成器
JP4347470B2 (ja) 電解水の発生装置
KR200342557Y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전기분해장치
KR200428787Y1 (ko) 살균 및 세척을 위한 라디칼 발생장치
KR20220001342U (ko) 토션장을 이용한 기능성 전해수 생성장치
KR100683885B1 (ko) 전해조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해조
JPH10296276A (ja) ミネラル溶出装置
KR20150042010A (ko) 이온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