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379B1 -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 Google Patents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379B1
KR100943379B1 KR1020070131202A KR20070131202A KR100943379B1 KR 100943379 B1 KR100943379 B1 KR 100943379B1 KR 1020070131202 A KR1020070131202 A KR 1020070131202A KR 20070131202 A KR20070131202 A KR 20070131202A KR 100943379 B1 KR100943379 B1 KR 10094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cabin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731A (ko
Inventor
서보근
강민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3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캐빈형 트랙터의 루프(100)에 설치되는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내에서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하며, 공조 완료된 공기를 전방부에서 송출하는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서 송출하는 측면송출부(213) 구비된 공조유닛(210);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된 공기를 운전석 전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전방공조덕트(220); 및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 측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측면공조덕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공조완료된 공기를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캐빈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고르게 공급가능하면서도, 운전자가 전방부의 공기취출상태와 측면부의 공기취출상태를 원하는대로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야를 작업을 하기에 무리가 없을 정도로 보다 확장하여 트랙터를 이용한 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캐빈 공조 덕트 내부커버 외부커버

Description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Air conditioner of tractor having cabin and tra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루프 내부에서 캐빈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캐빈 내부로 취출하는 공조유닛을 구비한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빈형 트랙터의 루프에 설치되는 공조장치는, 공조유닛을 이용해 공조시킨 공기를 운전자의 전방 및 측방으로 취출하여, 캐빈 내부의 공기를 정화, 냉각, 가열, 감습, 또는 가습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공기분위기를 조성하고, 유리창에 김이 서리거나 성애가 끼이는 것을 방지·제거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공조장치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2004-106209호의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특허등록번호 제751978호의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를 포함한 다수의 공지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상에 하나의 공기송출구가 형성되고, 공조유닛에서 공조 완료된 공기를 캐빈의 전방부 및 측면부로 각각 취출 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공조덕트가 상기 공기송출구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하나의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공조덕트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공기의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공조완료된 공기가 캐빈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고르게 도달하지 못하여 캐빈 내부 전반에 걸쳐 일정한 공조성능을 구현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운전자가 전방부의 공기취출상태와 측면부의 공기취출상태를 원하는대로 명확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공조장치는 공조유닛이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는 착좌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빈 내부의 천장이 운전자의 전방에서 하향 팽출된 형상을 가지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좁히게 되어 작업을 하기에 불편할 뿐 아니라, 전방의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공조완료된 공기를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캐빈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고르게 공급가능하면서도, 운전자가 전방부의 공기취출상태와 측면부의 공기취출상태를 원하는대로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를 작업을 하기에 무리가 없을 정도로 보다 확장하여 트랙터를 이용한 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캐빈형 트랙터의 루프(100)에 설치되는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내에서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하며, 공조 완료된 공기를 전방부에서 송출하는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서 송출하는 측면송출부(213) 구비된 공조유닛(210);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된 공기를 운전석 전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전방공조덕트(220); 및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 측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측면공조덕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는, 상호 독립된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와 측면송출부(213)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에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거쳐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가 분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루프(100)에는, 상기 전방공조덕트(220) 사이에 썬루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에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달부(221)와, 상기 다수의 전달부(221)들이 하나의 연통된 유동경로를 이루며 일체로 합쳐지는 연결부(222)와, 상기 연결부(222)에서 다수의 독립된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분기되는 분기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전방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25)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225)는 상대적으로 좌, 우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좌, 우 양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상기 좌, 우측 측면송출부(213)에 서 공급되는 공기가 각각 좌, 우측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측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35)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235)는 상대적으로 전, 후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캐빈(300)의 상부에 공조장치가 설치된 캐빈형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캐빈(30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루프(100); 및 상기 루프(100) 내부에서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하며, 공조 완료된 공기를 전방부에서 송출하는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서 송출하는 측면송출부(213)가 구비된 공조유닛(210)과,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송출된 공기를 운전석 전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전방공조덕트(220)와,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송출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 측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측면공조덕트(230)가 구비된 공조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빈형 트랙터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유닛(210)은,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천정면(110)은, 상기 운전석 착좌부의 전방부가 상기 공기유닛(210)이 위치하는 운전석의 착좌부보다 상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루프(100)는, 상기 캐빈(300) 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천정면(110); 상기 천정면(110) 상측에서 상기 공조장치(200)를 커버링하는 내부커 버(120); 및 상기 내부커버(120)와의 사이에 공기의 수용 및 유동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커버(120) 외측에 이격형성되는 외부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은,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루프(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유동가능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은, 상기 공조유닛(210)의 시동 시,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유닛(210)까지 도달되기 전에, 일정량의 공기를 선공급가능한 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에는, 상기 캐빈(3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유동가능한 경로가 추가로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공조유닛을 설치하고, 공조유닛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각각 전방공조덕트와 측면공조덕트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전방공조덕트와 측면공조덕트의 길이의 최소화를 구현가능하여 공조유닛에서 공조완료된 공기를 열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캐빈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고르게 공급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공조덕트와 측면공조덕트가 각각 독립적인 공기유동경로를 가지 며, 각각의 전방공조덕트와 측면공조덕트 또한 다수를 구비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함에 따라, 전방공조덕트와 측면공조덕트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캐빈 전방부의 공기취출상태와 측면부의 공기취출상태를 원하는대로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캐빈의 천정면을, 운전자의 시야가 향하게 되는 운전석의 착좌부 전방부가 운전석의 착좌부에 비해 보다 상향되도록 제작가능하여, 트랙터를 이용한 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유닛의 시동 시, 루프 및 캐빈 외부의 공기가 공조유닛의 흡입구까지 도달되기 이전에, 내부커버와 외부커버 사이의 여유공간상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가 먼저 공조유닛으로 흡입됨에 따라, 외기가 좁은 통로를 통해 공조유닛의 흡입구까지 도달되는 방식으로만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던 기존과 비교하여 공조유닛의 흡입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캐빈 외부의 공기가 루프로 도입되는 입구인 외기유입구가 내부커버와 외부커버 사이의 여유공간과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캐빈 내부의 공기가 루프로 도입되는 입구인 내기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경우에도 보다 청정한 상태의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공조유닛으로의 공기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의 제1,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루프에 설치한 캐빈형 트랙터의 일부를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이며, 도 4, 5, 6, 7, 8, 9는 각각 도3의 A-A선, B-B선, C-C선, D-D선, E-E선, F-F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는,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상기 캐빈(300) 내부로 취출하도록 캐빈형 트랙터의 루프(100)에 설치되는 공조장치로, 크게 공조유닛(210), 전방공조덕트(220), 측면공조덕트(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각각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가 연결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조유닛(210)은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라 한다) 내지 상기 캐빈(300) 내부의 공기(이하 '내기'라 한다)를 흡입구(211)를 통해 흡입하여 공조하며, 전방부에 개방형성된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 개방형성된 측면송출부(213)를 통해 공조 완료된 공기를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과 측방으로 각각 송출한다.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된 공기를 운전석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의 측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는 각각의 공기유동경로가 교차되거나 겹치지 않고 상호 독립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전방송출부(212) 내지 전방공조덕트(220), 그리고 상기 측면송출부(213) 내지 측면공조덕트(230)상에 공기유동로를 개폐조정하는 조절판(미도시)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각의 공기유동경로를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조작을 구현가능하다.
종래에는 공조완료된 공기를 캐빈의 전방부와 측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동경로가, 하나의 연통된 공간상에 다수의 취출구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거나, 공유된 하나로부터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거나, 측방을 경유하여 전방측으로 연장되거나 전방을 경유하여 측방측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공기유동경로를 독립적으로 개폐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특정한 유동경로로 공기유동이 이루어짐에 있어서도 연결된 다른 유동경로의 영향을 받아 공기의 흐름이 분산되거나 공기의 운동에너지 및 열에너지가 감소되어 명확한 경로, 세기, 공조상태로 공기유동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공기 유동경로를 개폐시킴에 있어서도, 취출구 자체를 개폐조작하는 이외에, 공기유동경로상에서는 공유하거나 교차되는 다른 공기유동경로를 고려하여 조절판을 복잡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가 각각 독립적인 공기유동경로를 가지며, 상기 공조유닛(210)상에 다수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와 측면송출부(213)를 형성하면,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 또한 다수를 구비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함에 따라, 상기 전방공조 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캐빈(300) 전방부의 공기취출상태와 측면부의 공기취출상태를 원하는대로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송출부(212)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상에 좌, 우측 2개소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거쳐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가 분리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송출부(213)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좌, 우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좌, 우측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각각 좌, 우측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좌, 우측으로 분리형성된 구조를 가지면, 각각의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완전히 독립된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전방송출부(212) 및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형성하는 공기유동경로를 개별적으로 개폐 내지 신축시킴으로써 공기의 세기 및 공조상태를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좌,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들 사이에 썬루프(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루프(100)에 썬루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방송출부(212)가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 상에 좌, 우측 2개소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측면송출부(213)가 상기 공조유닛(2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전달부(221), 연결부(222), 분기부(223)로 이루어져 다수의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일부의 공기유동구간을 서로 공유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상기 전방공조덕트의 전달부(221)는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 마다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로부터 공조완료된 공기를 전달받는 부분으로, 다수의 상기 전달부(221)는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222)는 상기 다수의 전달부(221)들이 일체로 합쳐지며 하나의 연통된 유동경로를 이루게 되는 부분으로, 다수의 상기 전방공조덕트(220)가 일부의 공기유동구간을 서로 공유하도록 하며, 상기 분기부(223)는 적정한 위치에 취출구(22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22)에서 분기되어 다수의 독립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2실시예에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의 전방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25)가 형성됨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의 전방단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좌, 우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공조덕트(230)의 측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35)가 형성됨에 있어서는, 상기 측면공조덕트(230)의 측단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 후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의 전방단부상에 상기 전방공조덕트의 취출구(225), 상기 측면공조덕트(230)의 측단부상에 상기 측면공조덕트의 취출 구(235)를 각각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25, 235)들을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의 전방단부와, 상기 측면공조덕트(230)의 측단부상에 적정하게 분기하여 형성시키면 상기 캐빈(300)의 전방부와 측면부 전반에 걸쳐 고르게 공조공기를 취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2실시예를 상기 루프(100)내에 설치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조유닛(210)을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와 측면부에 각각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를 연결설치하게 되면, 일정한 면적 및 체적을 가지는 상기 루프(100)내에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의 길이의 최소화를 구현가능하여 공조유닛에서 공조완료된 공기를 열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캐빈(300)의 전방부와 측면부로 공급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캐빈형 트랙터의 A-A선, B-B선, C-C선, D-D선, E-E선, F-F선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면들로부터 천정면(110), 내부커버(120), 외부커버(130)로 이루어진 상기 루프(100) 및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200)의 구조와, 상기 공조장치(200)의 루프(100)내 설치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루프(100)는 천정면(110), 내부커버(120), 외부커버(130)로 이루어짐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110)은 상기 캐빈(300) 내부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커버(120)는 상기 천정면(110) 상측에서 상기 공조장치(200)를 커버링하고, 상기 외부커버(130)는 상기 내부커버(120)와의 사이에 공기의 수용 및 유동이 가능한 여유공간(100a)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커버(120) 외측에 이격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 및 측면공조덕트(230)에 비해 두꺼운 형상을 가지게 되는 상기 공조유닛(210)을 상기와 같이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배치시키면, 상기 루프(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천정면(110)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석 착좌부의 전방부를 상기 공조유닛(210)이 위치하는 운전석의 착좌부보다 상향형성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공조유닛(210)을 상기 루프(100) 내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야가 향하게 되는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형성시킴에 따라 운전자가 충분한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웠으나, 상기와 같이 상기 운전석의 착좌부의 전방부를 상향형성시키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다 확장시키게 되어 트랙터를 이용한 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루프(100)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상기 루프(100)상에 관통형성된 공기통로를 외기유입구(410)라 하며,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100a)은, 상기 외기유입구(410)를 통해 상기 루프(100)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유동가능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여유공간(100a)은 단순히 상기 외기유입구(410)에서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의 공기유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의 체적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공조유닛(210)의 시동 시,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도달되기 전에,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가 보다 많은 양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흡입모터의 부하없이 일정량의 공기를 선흡입가능한 정도의 체적을 가진다.
상기 외기유입구(410)와 여유공간(100a)은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는 상기 여유공간(100a)이 제공하는 보다 많은 양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됨에 따라, 외기가 협소한 공기유동경로를 연속적으로 거쳐야지만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도달되는 방식으로만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던 기존과 비교하여, 상기 공조유닛(210)의 흡입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빈(3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루프(100) 내부로 유입가능하도록 상기 루프(100)상에 관통형성된 공기통로를 내기유입구(미도시)라 하며, 상기 여유공간(100a)상에 상기 내기유입구가 추가로 연통형성하면, 내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경우에도 보다 청정한 상태의 외기가 혼합된 상태로 상기 공조유닛(210)으로의 공기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를 루프에 설치한 캐빈형 트랙터의 일부를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4 - 도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5 - 도3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6 - 도3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7 - 도3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8 - 도3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 9 - 도3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루프 100a : 여유공간
110 : 천정면 120 : 내부커버
130 : 외부커버 200 : 공조장치
210 : 공조유닛 211 : 흡입구
212 : 전방송출부 213 : 측면송출부
220 : 전방공조덕트 221 : 전달부
222 : 연결부 223 : 분기부
225 : 전방공조덕트의 취출구 230 : 측면공조덕트
235 : 측면공조덕트의 취출구 300 : 캐빈
410 : 외기유입구

Claims (16)

  1. 캐빈형 트랙터의 루프(100)에 설치되는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내에서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하며, 공조 완료된 공기를 전방부에서 송출하는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서 송출하는 측면송출부(213)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송출부(212)와 측면송출부(213)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닛(210);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된 공기를 운전석 전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전방공조덕트(220); 및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 측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측면공조덕트(2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와 측면공조덕트(230)는,
    상호 독립된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에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거쳐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가 분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에는,
    상기 전방공조덕트(220) 사이에 썬루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전방부에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상호 독립된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각각의 상기 전방송출부(212)에 결합되는 다수의 전달부(221)와, 상기 다수의 전달부(221)들이 하나의 연통된 유동경로를 이루며 일체로 합쳐지는 연결부(222)와, 상기 연결부(222)에서 다수의 독립된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분기되는 분기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공조덕트(220)는,
    전방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25)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225)는 상대적으로 좌, 우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는,
    상기 공조유닛(210)의 좌, 우 양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상기 좌, 우측 측면송출부(213)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각각 좌, 우측으로 직선이동가능한 유동경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조덕트(230)는,
    측단부상에 상기 캐빈(30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취출구(235)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235)는 상대적으로 전, 후측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200).
  10. 캐빈(300)의 상부에 공조장치가 설치된 캐빈형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캐빈(30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루프(100); 및
    상기 루프(100)내에서 캐빈(30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하며, 공조 완료된 공기를 전방부에서 송출하는 전방송출부(212)와, 측면부에서 송출하는 측면송출부(213)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송출부(212)와 측면송출부(213)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닛(210)과, 상기 공조유닛의 전방송출부(212)에서 송출된 공기를 운전석 전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전방공조덕트(220)와, 상기 공조유닛의 측면송출부(213)에서 송출된 공기를 상기 운전석 측방에서 상기 캐빈(3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측면공조덕트(230)가 구비된 공조장치(2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210)은,
    운전석의 착좌부 상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천정면(110)은,
    상기 운전석 착좌부의 전방부가 상기 공기유닛(210)이 위치하는 운전석의 착좌부보다 상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는,
    상기 캐빈(300) 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천정면(110);
    상기 천정면(110) 상측에서 상기 공조장치(200)를 커버링하는 내부커버(120); 및
    상기 내부커버(120)와의 사이에 공기의 수용 및 유동이 가능한 여유공간(100a)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커버(120) 외측에 이격형성되는 외부커버(1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100a)은,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루프(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유동가능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100a)은,
    상기 공조유닛(210)의 시동 시, 상기 캐빈(3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유닛(210)까지 도달되기 전에, 일정량의 공기를 선공급가능한 체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내부커버(120)와 외부커버(130)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100a)에는,
    상기 캐빈(3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유닛의 흡입구(211)까지 유동가능한 경로가 추가로 연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트랙터.
KR1020070131202A 2007-12-14 2007-12-14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KR10094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202A KR100943379B1 (ko) 2007-12-14 2007-12-14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202A KR100943379B1 (ko) 2007-12-14 2007-12-14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731A KR20090063731A (ko) 2009-06-18
KR100943379B1 true KR100943379B1 (ko) 2010-02-18

Family

ID=4099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202A KR100943379B1 (ko) 2007-12-14 2007-12-14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122A (ja) * 1998-03-17 1999-09-2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JP2000219029A (ja) * 1999-01-28 2000-08-08 Kubota Corp キャビン
JP2007245958A (ja) * 2006-03-16 2007-09-27 Kubota Corp 作業車の空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122A (ja) * 1998-03-17 1999-09-2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JP2000219029A (ja) * 1999-01-28 2000-08-08 Kubota Corp キャビン
JP2007245958A (ja) * 2006-03-16 2007-09-27 Kubota Corp 作業車の空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731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139B1 (ko)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EP2460675A1 (en) Integrated Front and Rear HVAC System
CN100448708C (zh) 汽车用空调装置
CN106061772B (zh) 汽车乘员舱空气调节用空调系统
JP2002154315A (ja) 2つの混合領域を有する自動車用空調装置
US6547152B1 (en) Vehicle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module for improved heating and defrosting performance
CN103660847A (zh) 车用空调装置
CN104781094A (zh) 车辆空气调节器
KR20160048678A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US6439296B1 (en) Heating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compartment
KR20050120156A (ko)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US20130303069A1 (en) Duct architecture for regulating climate zone in a vehicle
JP2003002035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708055B2 (en) Air-conditioner housing
US6685554B2 (en) Air guide box
KR100943379B1 (ko) 캐빈형 트랙터의 공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랙터
KR2011009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70207719A1 (en) Heater or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Z20013476A3 (cs) Zařízení pro vytápění/větrání/nebo klimatizaci prostoru pro cestující ve vozidle
CN112118979A (zh) 用于机动车的通风装置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CN111907304A (zh) 用于机动车的空调设备、机动车
JPS633768B2 (ko)
KR201200191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1